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시아 문화권별 관광객의 한국 방문 전반적 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신용재 ( Yongjae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여행을 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한 아시아 국가의 관광객이 문화권별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그 차이에 따라 어떠한 관광요소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 외래관광객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단계 분석(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구결과 중국과 일본은 만족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아 동아시아 문화권으로 구분하였고 반면, 아랍문화권은 동아시아 문화권과 동남아시아 국가들과는 한국 방문 만족도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구분된 문화권역을 기준으로 한국 방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요소를 비교한 결과 동아시아 문화권은 치안과 길 찾기를 제외한 10개 요소, 동남_남부 아시아 문화권은 언어소통과 길안내 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요소, 건조문화권(아랍 및 외몽골터키 문화권)은 다른 문화권들과 달리 한국방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요소가 5개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잠재적 아시아 관광객 유치 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from Asian countries who visit Korea for the purpose of travel by culture, and to find out which tourism factors affect th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To this end, a two-step analysi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f the ‘2019 Foreign Tourist Survey’. As a result of the study, China and Japan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satisfaction, so they were classified as East Asian cultures, whereas Arab cultures showed a clear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visiting Korea from East Asian cultures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ourism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visiting Korea based on the cultural regions divided according to this, the East Asian culture includes 10 factors except for security and navigation, and the Southeast_South Asian culture shows all factors except language communication and navigation service. Unlike other cultures, in the element and dry culture (Arab and Outer Mongolia and Turkey), tourism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visiting Korea were found to be less than 5.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important data for establishing strategies to attract potential Asian tourists.

      • KCI등재후보

        `강한 타자` 제국주의의 시선 극복하기: 동남아시아 근대회화 속의 동남아시아 표상

        김용철 ( Kim Yong Cheol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5

        이 논문은 포스트 콜로니얼리즘의 관점에서 동남아시아 근대회화를 조명한 것이다. 19세기 서양 제국주의의 통치 아래 놓여 있던 동남아시아의 회화는 서양인의 이국취미를 반영하는 자연경관이나 생활을 다룬 회화경향이 주류를 이루었다. 야자수 그늘과 원주민 여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이와 같은 경향은 필리핀의 화가 아모르솔로의 그림이나 `무이 인디`로 불린 인도네시아의 풍경화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1920년대 후반 필리핀에서는 그와 같은 시선을 극복하려는 시도가 나오기 시작했고 인도네시아에서도 스죠요노와 같이 이전 세대의 경향을 비판하는 화가들이 나왔다. 새로운 세대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의식하며 자연경관과 현실을 정면에서 다루었을 뿐 아니라, 기독교 신앙도 지역정체성과 결합하여 묘사되었다. 불교나 이슬람교와 관련이 있는 전통적인 문화요소 또한 서양인의 이국취미와 다른 자신들의 정체성을 나타내주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동남아시아 화가들은 2차 세계대전을 겪으며 가장 큰 정체성의 변화를 경험했다. 화가들은 자신들의 지역을 전쟁피해지역으로 묘사하고 일본 군인에 의해 수탈당하는 농촌을 묘사했다. 당시 인도네시아 일부 화가들은 계민문화지도소(啓民文化指導所)의 지도를 받으며 일본인의 이국취미와 군부의 통치를 협력하려는 태도를 보였지만, 화교 화가들은 일본군에 의한 탄압 속에서 이주와 정착을 경험했고, 이방인으로서의 시선을 담은 풍경화와 풍속화를 그렸다. 영국의 영향을 받은 싱가포르에 정착한 화교들은 유럽에 대한 동경을 담아내는 한편으로 화교의 정착에 의해 달라진 싱가포르의 새로운 지역정체성을 묘사하였다. 2차 세계대전 종전 후에는 독립과 새로운 국가건설을 경험하며 현실을 고발하거나 미래의 희망을 담아서 묘사하였다. 패트릭 온과 같은 화가들은 전통적인 종교나 문화적인 요소들도 강렬한 색채와 다이나믹한 묘사를 통해 새로운 시대정신과 강한 지역정체성을 반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Southeast Asia modern paintings in the view of post colonialism. In the 19 century, it was main stream to paint beautiful landscape or life in Southeast Asia painting. They are characterized by palm tree and figure of native women which reflected painters purpose to identify themselves to imperialists, `Strong the Other` as in the Fernando Amorsolo`s works and `Mooi Indie` (Dutch for “Beautiful Indies”) which are landscape paintings of Indonesia. But younger generation like Victorio Edades in Philippine, since late 1902`s, and S. Sudjojono in Indonesia, tried to overcome or criticised old generation who internalized imperialist`s view. Younger generation handled landscape and the reality with their own identity, and described Christianity as combined with identity of area. Traditional culture elements as Buddhism or Islam are also had the meaning of expression of their own identity which was different from Westerner`s exoticism. Painters of Southeast Asia had experienced the change of identity very much through World War II. They painted their own country as ruined area by war, and farm village taken by Japanese Army. Although a part of Indonesian Painters who were guided by Cultural Center for Enlightening People(啓民文化指導所) established by Japanese Army showed pre-Japanese attitude, overseas Chinese people experienced immigrant and diaspora under the oppression by Japanese Army, and painted landscape and life as stranger. Overseas Chinese who settled in Singapore where was influenced by British very much, depicted new area identity changed by settlement of overseas Chinese with yearning for Europe.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painters painted social problems and hope for future through experience of independence and establishment of government. Some painters like Patrick Onn expressed new time-spirit and area identity with strong color and dynamic depiction.

      • KCI등재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조직문화에 관한 연구

        김용민 ( Kim Yong Min ),백상욱 ( Baek Sang Woo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2

        본 연구는 경쟁가치모형을 적용하여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조직문화를 입체적으로 측정하여 조직문화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측정방법은 현재의 조직문화와 미래의 조직문화를 사전 사후 평균차이 비교를 통해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시장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의 정도를 분석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전반적으로 관계지향문화와 혁신지향문화는 현재보다 미래에 증가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장지향문화와 위계지향문화는 현재보다 미래에 감소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유연근무제 활성화, 비정규직의 처우개선, 멘토·멘티제 운영, 동호회 활동지원, 4차산업혁명 교육강화를 통해 조직문화의 개선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Asian Cultural Center by applying a competitive value model and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2 members of the Asian Cultural Center. Measuring methods analyze the degree of clan culture, adhocracy culture, market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through comparison of the present organizational culture and future organizational cul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lan culture and the adhocracy culture generally require an increase in the future. And the market culture and the hierarchical culture demand more reduction than the present. The Asian Culture Center is required to improve its organizational culture through the promotion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improvement of treatment for irregular workers, mentor and mentee management, support for club activities, and reinforcement of educ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중국 신석기 시대 사회구조에 대한 연구 - 교동반도 대문구문화를 중심으로 -

        원중호 ( Wone Joong H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1

        본 연구 대상은 중국 신석기 고고학 연구의 한 획을 그은 중요한 연구성과물로 그 연구방법과 과정에서 수많은 의견들이 공존하는 대문구문화다. 연구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첫째 대문구문화 유적에서 발견된 특징적인 유물들에 대한 분석이다. 두번째는 부장유물에서 보이는 사회 생산을 주도적으로 책임진 노동 인력에 대한 변화다. 중기 이후 생산 공구들이 발견되면서 여자 무덤에서 보이는 부장품들과 차별화가 시작된다. 이러한 부장품의 변화 현상은 당시 사회구조에서 존재한 중심 구성원의 존재와 그들 역할의 변화를 의미한다. 본 논문은 연구목적은 분기설정과 특징유물, 매장 문화 분석을 통해 대구문문화의 기본적인 사회형태 안에서 존재한 부의 격차 개념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문명 발생을 위한 사회구조 개혁의 본질적인 변화 속에서 등장한 사유재산 개념과 구분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농경과 정착생활이 시작되었지만 가축을 사육하고 각종 수공업이 중요시된 과도기 사회구조로의 변천은 철이나 구리, 납을 다루는 연금술이 출현하고 문자가 발명되며 도시가 세워지고, 순장(殉葬) 등이 가능한 대형농경정착사회로의 발전과정과 서로 구분되어 설명되어야 한다. 대문구문화 신석기 시대 과도기 사회구조의 존재와 변천과정은 문명사회 진입기로 주장(主張)된 동북(만주)아시아 홍산(紅山)문화 후기 사회구조 재해석의 근거가 될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culture of 大汶口(Dawenkou) is a part of The Chinese Neolithic archeology research, which have an important of research to the result, but also could have many opinions about the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process coexist. There are two main contents of this study. The first is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 relics found in the cultural relics. The second is a change in the labor force, what is responsible for the social production seen in the director`s relics. As the production tools are discovered after the middle of the century, differentiation begins from the items found in the female tombs. The change of these items means that the existence of the core members, who were existed in the social structure at the time, which could be changed of their ro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 of wealth gap in the basic social form of 大汶口(Dawenkou)culture through branch setting, characteristic artifacts, and store culture analysis. And that it is distinct from the concept of private property emerging in the essential change of social structure reform for civilization. The transition to a transitional social structure in which livestock and settlement life began but the transition to a transitional social structure in which livestock were raised and the importance of various crafts was emphasized and due to the emergence of alchemy dealing with iron and copper lead, It should be explained separately from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to a Big farming settlement society, which are same of the country or civilization. The existence and transition process of transitional social structure in 大汶口(Dawenkou) Neolithic period can be the basis of reinterpretation of the late social structure, which are the Northeast Asia(Manchuria) Hongshan culture claimed as a civilized society.

      • KCI등재

        환경으로 본 안데스 전통문화와 동아시아 문화의 관계성의 원리

        박호진 ( Hojin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논문은 안데스 ​​전통문화의 관계성의 원리와 동아시아 문화의 관계성의 원리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이러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두 지역의 환경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유교의 관계성의 원리를 안데스 전통 문화의 관계성의 원리와 비교하였다. 이러한 비교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특히 환경-문화 관계론, 특히 쌀 문화권 대 밀 문화권이라는 이분법적 문화론을 제기한 이철승의 문화-환경론의 관점에서 동아시아 문화가 안데스 전통 문화와 상대적으로 유사한 이유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본 분석을 통해 강력한 협업 문화는 벼농사 문화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물 공급과 자연재해와 같은 어려운 환경적 요인을 갖는 안데스 전통 문화에서도 발생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 논문을 통해 동아시아 학자들이 안데스의 독특한 문화와 환경에 대한 학문적 지평을 넓히기를 바란다. This paper seeks to compare the principle of relationship in the Andean traditional culture and in East Asian culture, and it argues that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should stem from the environments of the two regions. For this purpose, the Confucian principle of relationship,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ast Asia culture, was compared with the Andean principle. On the base of this comparison, this paper analyzes why East Asian culture has relative similarities to Andean traditional culture relying on the viewpoint of the environment- culture relationship especially expounded by Cheolsung Lee (2021). He distinguishes East Asian rice farming culture from wheat farming culture. But this analysis reveals that the strong cooperative culture does not originate only from rice farming culture but other styles of farming is also accompanied with a cooperative culture, as Andean traditional culture proves. In this culture difficul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unstable water supply and natural disasters make Andean farmers keep such a strong cooperative culture as East Asian’s. Based on this paper, I hope that East Asian scholars give an attention to the Andean pecular culture and environment.

      • KCI등재

        기업의 문화마케팅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효과: 르노삼성자동차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봉훈 ( Lee Bong Hoon ),이규봉 ( Lee Gyu B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전략적 브랜드 관리 차원에서 효율적인 문화마케팅 관리가 브랜드 자산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제시하여 문화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르노삼성자동차의 문화마케팅 사례를 연구하였으며, 관련 자료와 정보는 임직원 인터뷰, 회사 내부자료, 인터넷 검색을 통해 수집 하였다. 연구 결과 르노삼성자동차는 문화마케팅을 브랜드 자산 형성이라는 목표를 갖고 계획, 실행, 효과 분석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했고, 한국 전통 문화예술에 자원을 집중하는 차별화 전략, 일관성과 지속성을 유지했다는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는 브랜드 마케팅 차원에서 문화마케팅 사례를 연구하는 연구자나 실무자들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문화마케팅이 브랜드 자산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논함에 있어 한 회사의 사례로는 보편화에 한계가 따른다. 다양한 사례조사와 실증 분석은 다음의 과제로 미루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at laying a foundation for the culture marketing strategy by suggesting the efficient management of sponsorship activities in order to create the brand equity. We explored the case of Renault Samsung Motors (RSM)’ art sponsorship combined with data collection methods such as interviews with RSM staffs who were involved in the art sponsorship, company’s internal materials, and internet searches.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RSM managed systematically the art sponsorship by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in regards with building the brand equity, 2) differentiated it from the competitors by focusing on Korean traditional art and culture and introducing French art. and 3) kept consistency and continuity in sponsorship activities in conjunction with the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The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practical guide in the sponsorship activities with practitioners as well as researchers. However, a case study of our research has a limit to generalize the effectiveness of culture marketing on the brand equity. Various case studies and the empirical tests will be left for the next task.

      • KCI등재

        청년문화정책의 필요성과 방향 -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김경례 ( Kim Gyoung Ra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3

        이 글은 전남지역 청년문화정책 수립의 접근 관점과 방향성을 모색해보기 위한 것이다. 한국의 청년문제는 청년실업으로 수렴되었고 청년정책은 청년층의 고용촉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 글은 전남지역 청년, 문화예술인의 정책적 욕구를 바탕으로 청년세대의 문화적 표현과 삶의 질 증진을 목적으로 한 청년문화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방향과 구체적인 실행전략을 제안하였다. 청년문제는 취업만이 아니라 청년세대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삶의 복합적인 문제로 접근해야 하며 청년문화정책은 청년층의 일과 생활, 여가의 균형, 문화권의 확장 및 복지 증진과 연동하여 모색되어야 한다. 정책의 실행과정은 청년들을 정책적 대상이 아니라 정책의 기획 및 참여주체로 상정하고 정책 공급 구조를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개별 청년에서 커뮤니티 구성활동 지원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년들의 자유로운 문화 및 사회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공간, 정보, 자원이 충분히 제공되어야 하며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 행정혁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perspective and direction of establishing youth culture policy in Jeollanam-do. The problem of youth in Korea was hunted by youth unemployment and youth policy was centered on the promotion of youth employment. This article raised the need for youth culture policy through the policy needs of young people and cultural artists in Jeollanamdo province and suggested specific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The youth problem should approach not only the employment but also the complex problems of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life of the young generation. Youth cultural policy should be sought in conjunction with work, life, leisure, cultural rights, and welfare promotion of young people. Young people should be presumed to be the planning and the subject of the policy, not the policy object. Policy supply structures need to shift from provider-centric to consumer-centric, and from individual youth to support for community-building activities. For the free culture and social activities of young peopl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fficient space, information, and resources, and administrative innovation that supports but does not interfere.

      • KCI등재

        후기 청소년의 다문화다양성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문화적 지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방희명 ( Bang Hee My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후기 청소년의 문화적 민감성이 다문화다양성 수용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에서의 문화적 지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후기 청소년의 다문화다양성 수용 향상을 위한 개입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성실히 응답한 237명의 자료를 토대로 SPSS 18.0, AMOS 18.0을 사용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하였으며,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obel검정을 실시하여 연구가설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첫째, 문화적 민감성과 문화적 지식이 높을수록 다문화다양성 수용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 지식은 문화적 민감성과 다문화다양성 수용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후기 청소년의 다문화다양성 수용 향상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acceptance of multi-cultural diversity of late adolescence, and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knowledge, and to draw out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enhancing acceptance of multi-cultural diversit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37 late adolescence` data. SPSS 18.0 and AMOS 18.0 were used to analyse the available dat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cultural sensitivity and cultural knowledge could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 of multi-cultural diversity.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knowledge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cultural sensitivity and acceptance of multi-cultural diversity. Based on the results, we provided effective suggestions to improve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 diversity in Korea.

      • KCI등재

        아시아 궁중음악의 문화적 상징 연구 -유네스코무형문화유산을 중심으로

        이상우 ( Sangwoo Lee ),강누리 ( Nuri K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고는 유네스코무형문화유산에 지정된 아시아 세 나라의 궁중음악인 한국의 종묘제례악, 일본의 가가쿠, 베트남의 냐냑을 분석하고, 그에 내재된 문화상징에 대해 밝혀본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세 나라의 궁중음악을 역사, 내용, 연행양상을 정리한 후 이를 바탕으로 궁중음악의 보편적ㆍ특수적 상징성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나라 궁중음악의 보편적 문화상징은 ‘태평성대(太平聖代)’이다. 둘째, 특수한 문화상징으로 한국 종묘제례악은 ‘충(忠)과 주체성’, 일본 가가쿠는 ‘화(和)’, 베트남 냐냑은 지(知)와 행(行)의 ‘즉흥성’을 꼽을 수 있다. 이처럼 아시아 세 나라 궁중음악이 차별적인 특수성을 가진 것은 인류 공통의 정신구조와 함께 시ㆍ공간적 차별성이 다르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본고는 궁중음악에 담겨있는 국가(國家)의 이상과 정신, 그리고 국가 상징물인 전통음악의 가치를 이해하는 학문적 시도로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royal music of three Asian countries designated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Jongmyo Jeryeak in Korea, Gagaku in Japan, and Nha Nak in Vietnam, and reveals the cultural symbols inherent in them. As a research method, the history, contents, and performance patterns of court music of the three countries were summarized, and based on this,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n the cultural symbolism of court music were examin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universal culture symbolism of court music in the three countries is ‘Taepyeongseongdae’. Second, as a special cultural symbol, the Korean Jongmyo ritual music is characterized by ‘Chung (Loyalty)’ and ‘Subjectivity’, Japanese Gagaku is ‘Hwa’, and Vietnamese Nyanac is ‘Improvement’ of knowledge and conduct. The reason why court music from the three Asian countries has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is that it shows different temporal and spatial differentiation along with the common mental structure of mankind. This paper has its significance as an academic attempt to understand the ideals and spirit of the country contained in the royal music, and the value of traditional music, a national symbol.

      • KCI등재

        독일 문화의 현대적 트렌드 고찰: 영화와 무대공연을 중심으로

        박은숙 ( Park Eun Soo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3

        문화는 그 나라의 정수가 담겨있는 정신체이기 때문에, 현대적 관점에서 한 문화의 트렌드를 분석함으로써 그 나라의 정책 수준, 경제 지표, 인권, 사회문제 등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독일의 문화를 예술적 관점, 특히 시청각적 효과가 강한 무대공연과 영화를 통해 분석하고, 그를 통해 현대 독일 문화를 관통하는 트렌드가 무엇인지, 또 그것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지에 대해 알아본다. 예술은 특정 문화를 대변할 수 있는 하나의 개념이며, 독일의 문화예술은 그들의 역사적 사유와 맞물려있기에, 이를 읽어내는 일이야말로 독일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일차대전 직전과 1930년 경 이전의 독일은 괄목할 만한 번영기를 통해 유럽의 여러 국가들과 문화적인 경쟁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1차 대전과 히틀러의 독재는 사태를 급격하게 악화시켰다. 바그너와 바이로이트 페스티벌 그리고 베를린 영화제를 분석해봄으로써 번영기 전과 후를 이어주는 연결점과 시사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As culture is the spiritual embodiment of the country, by analyzing the trend of a culture from a modern point of view, its level of policy, economic indicators, human rights and social problems can be grasped at a glance. By analyzing the German culture through artistic viewpoints, especially through stage performances and films having a strong audiovisual effect, we will see what is the trend that penetrates modern German culture and how to look at it. Art is a concept that can represent a specific culture, and it is very important to read out the german culture and art in studying Germany, because they are linked with their historical reason. In chapter Ⅱ of the performance stage, I will speculate on how Germany looks at the past, by focusing on Wagner and Bayreuth Festival. And, in chapter III of the movie, we will see what kinds of ideas are melt in films through German film`s history, film “Die Welle” and Berlin Film Festival. And I will try to pinpoint the German cultural trends through the above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