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교원의 학교민주주의 실천 유형 분류

        백병부(Byoung-Bu Baek),심재휘(Jaehwee Shim)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2

        이 연구는 교원의 학교민주주의 실천 태도가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지를 확인하고, 이것이 교원의 개인 및 학교 특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2021년에 수집한 교원 1,180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민주주의 실천 양상에 따른 교원 집단은 ‘전반적 저실천 집단’, ‘전반적 고실천 집단’, ‘미시적 민주주의 실천 집단’ 등의 셋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교원들은 교직경력이 길수록 ‘전반적 고실천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컸으며, 혁신학교에서는 저경력 교원들이 ‘미시적 민주주의 실천 집단’으로 분류되는 경향성이 두드러졌다. 한편, 학교의 의사결정 과정이 민주적이라고 인식하는 교원들은 ‘전반적 저실천 집단’과 ‘전반적 고실천 집단’으로 양극화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민주주의가 제도와 절차 수준을 넘어 관계와 실천의 수준으로 진전하는 데 필요한 조건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teacher’s practice in school democracy and compare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and schoo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by latent profile. For this study, using the survey data (1,180 teachers) collected in 2021 by the Gyeonggi Institute of Education,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odels were run. The results of latent profile analysis showed that teacher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verall low-practice group’, ‘overall high-practice group’ and ‘micro democracy practice group’ which pursues democratic values in everyday life but is reluctant to participate in the public sphere. As a result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eaching experienc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school democracy practice. In Hyukshin schools, teachers who had a short career were more likely belong to the ‘micro democracy practice group’ than in general schools. Moreover, teachers who perceived that school’s decision-making process was democratic were polarized into overall low- and high-practice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 conditions for school democracy to encompass the democracy of everyday life beyond the procedural democracy.

      • KCI등재

        청소년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능력주의 신념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백병부(Baek, Byoung-Bu),심재휘(Shim, Jaehwee)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2020년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수집한 조사연구 자료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주관적 계층의식, 능력주의 현실 인식, 사회적 약자 편견/혐오 실태 인식, 분배 원칙 선호 유형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우리 사회에서 능력주의가 제대로 실현되고 있다는 믿음을 강하게 갖고 있었다. 반면 이들 청소년들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과 혐오는 상대적으로 심각하게 여기지 않는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배원칙에 대한 선호 유형에서도 주관적 계층의식 수준에 따라 ‘능력 > (기계적) 평등 > 필요’의 순으로 선호 양상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우리 사회가 능력주의가 구현되는 사회라고 보는 청소년들은 평등의 원칙에 입각한 분배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차적으로는 이 연구에서 설정한 변수의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동시에 우리 사회가 능력주의가 구현되는 사회라고 보는 학생들은 분배 과정에서 능력주의를 관철하는 것보다는 필요의 원칙을 배제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점을 시사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수행한 다집단분석에서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정의교육이 주관적 계층의식에 따른 사회적 약자 편견/혐오 실태 인식을 완화하는 동시에 우리 사회가 능력주의가 구현되는 사회라고 믿는 정도가 평등의 원칙에 입각한 분배를 선호하는 것에 미치는 영향력을 강화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불평등 정당화 이데올로기로서의 능력주의 신념에서 드러나는 계층편향성을 극복하고 학교를 ‘위대한 평등장치’로 복원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s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s subjective social status, perception of meritocracy,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preferences of distribution principles using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Gyeonggi Institute of Education in 2020.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higher th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the stronger the belief of meritocracy being realized in our society.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se students don’t take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ally disadvantaged relatively seriously. In the preferences of distribution principles, a hierarchical structure is formed in the order of ‘ability > (mechanical) equality > ne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confirming the class biases of meritocracy beliefs.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that the students with a strong perception of meritocracy prefer the principle of equity as the principle of distribution. This result can be origina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 of this study. At the same time, this result suggests that students who view our society as a meritocracy society are more interested in excluding the principle of necessity than implementing meritocracy in the distribution process. Finally, in the multi-group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social justice education alleviates the class biases in the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ally disadvantaged while strengthe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meritocracy and the preference for equity principle of distribu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some measures are proposed to overcome the class biases revealed in the meritocracy belief and to restore the school as a great equalizer .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의 학교생활과 사고체계 탐색: 거주 배경의 차이를 중심으로

        백병부(Baek, Byoung-Bu),조현희(Cho, Hyunhee),김아미(Kim, Amie)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4

        6학년 문화에 대한 병리적 접근은 기성세대와 이들의 심리적 거리를 이격시킬 뿐 아니라 이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강화하여 적절한 교육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학교생활과 사고체계를 이들의 관점에서 구성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배경이나 거주지의 여건을 비롯한 문화의 형성적 요인에 주목하면서 이들의 학교생활과 사고체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초등학교 6학년 교실에 대한 관찰과 함께 학생들과의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들의 학교생활 실태는 ‘유튜브의 일상화와 이면의 피상성’, ‘표면적 협력과 이면의 경쟁’, ‘적극적인 수업참여와 이면의 보상’, ‘아싸와 인싸의 경계 짓기’, ‘몸과 마음이 편히 쉴 수 있는 학교’ 등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아인식, 학교와 친구에 대한 인식, 어른과 우리나라에 대한 인식 등을 비롯한 학생들의 사고체계는 거주 배경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6학년 학생들의 생활실태와 사고체계를 긴밀히 연결하여 이들의 문화를 조명하였으며, 이러한 문화가 학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는 이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논의하였다. Situated in the South Korean context that there is an increasing social concern on 6th graders and the denigration of their value system, this qualitative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6th grader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from a series of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 Throughout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is study paid a special attention to formative factors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and school district that might have impact on individual students’ school lives and their belief system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life of 6th graders was closely engaged with the Youtube; and they used the Youtube as a great tool for entertainment. Second, in spite of an increasing emphasis on cooperative learning, the students’ ways of participating in group activities were closer to a division of labor than a genuine cooperation. Third, their self-identification was based on their perceived pressure of academic achievement or anxiety about their relationship with peers. Surrounded by these circumstances, the students perceived the times that they spend in the schools and classrooms as those for relaxation or play. Finally,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tudents’ school lives and value systems are quite dependent upon their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school district. The discussion highlights what should older generations and school mean to our students.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생의 유형별 학습시간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적 분석

        백병부(Baek Byoung-Bu),황여정(Hwang Yeo-J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시간의 배분 양상과 그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학습시간의 초기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는 이전 학업 성취와 교육포부 수준이 공통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학교학습 및 개인학습 시간은 부모 학력으로부터 일부 영향을 받지만, 가계 소득과는 크게 관련이 없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그러나 사교육에 투입한 시간은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대단히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이러한 현상은 학기 중 사교육 시간보다 방학 중 사교육 시간에서 보다 분명하게 드러났다. 아울러 가계 소득이 높고 학업성취가 우수한 학생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교육에 투입하는 시간을 줄이는 속도도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라 학습시간 사용 패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러한 차이는 학업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학교학습 및 개인학습 시간에서 분명하게 드러났는데, 구체적으로 여학생들이 초기수준에서부터 더 많은 학습시간을 투입하고 있었으며,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는 속도도 더 빠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each type of studytime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e major findings of ou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ur research indicates that previous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educational aspiration constitute the main influence on the initial view of the value of study?time. Second, although household incom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tudy?time, the parental levels of education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study?time in school and home. Third, private tutoring time is closely related to household income. Further, this study reveals that this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private tutoring time is much stronger during vacations. Forth, students from high?income families and those with high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tend to decrease their private tutoring time more slowly. Finally, our research indicates that students' study?time allocation is related to the student's gender. Specifically, this difference is more prominent in self?study time and school?study time.

      • KCI등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집중지원 학생의 인지적ㆍ정의적 성취에 미치는 효과: 서울시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백병부(Baek, Byoung-Bu),김정숙(Kim, Jung-Sook),유백산(Yu, BaekSa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집중지원을 받는 초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경향점수매칭 방법을 통해 내생성에 따른 선택편의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분석 결과 집중지원은 대상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거나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집중지원은 인지적 학업성취의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아개념과 성취목표의 향상에는 유의한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육복지 사업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특히 과거에 교육복지 학교가 독점하고 있었던 교육복지적 마인드나 프로그램의 수월성이 사라져가고 있고, 교사들의 관심과 열의와 감소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사업 추진의 방법과 내용에서의 질적 전환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집중지원 대상 학생들이 가질 수 있는 낙인효과와 프로그램 참여 기피 경향을 예방하기 위해 선별적 복지에서 보편적 복지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the target of concentrated support using SELS data. This study tries to minimize the selection bias resulted from endogeneity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to analyze the longitudinal effects employing latent growth modeling.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concentrated support has negative effects on the cognitive growth an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affective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renew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in general. In specific,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licy change and renewal of methods and contents in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because there have been no longer monopolistic status since lots of similar programs implemented in the other schools for the disadvantaged. In addition, teachers' interests and passion in educational welfare schools have been decreased. Furthermore, it is urgently needed to move into general welfare program from selective welfare program which can cause stigma effects and unwillingness of program participants.

      • 계급별 문화자본의 보유 실태 및 문화자본 보유 결정요인 분석

        백병부 ( Byoung Bu Baek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2011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7 No.1

        이 연구에서는 전국 수준에서 대표성있게 수집된 한국교육고용패널 (KEEP) 자료를 사용하여 계급과 문화자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본가와 쁘띠부르주아, 자본가와 노동자, 쁘띠부르주아와 중간계급, 중간계급과 노동자 계급 사이에는 문화자본의 보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자본가와 중간계급, 쁘띠부르주아와 노동자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교육수준, 남성보호자의 직업이 문화자본 보유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보호자의 직업과 관련해서는 일반적으로 더 낮은 학력 수준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기술직과 서비스직의 경우가 사무직보다 문화자본의 보유에 더 큰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셋째, 자녀의 부모에 대한 관심도가 그 어떤 변수들보다 더 크게 문화자본 보유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또한 자녀에 대한 부모의 관심도를 보여주는 변수가 투입되자 가구소득과 아버지의 수학기간이 문화자본에 끼치는 영향력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었다. 이는 한국사회에서 문화자본의 보유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은 경제적 능력이 아니라 부모 특히 어머니의 관심과 시간적 여유라는 점을 추정하게해 준다. 넷째, 남성보호자의 계급은 문화자본 보유에 영향을 끼치고 있지 못했다. 따라서 한국 사회에서 자본가계급과 중간계급이 보유한 문화자본과 쁘띠부르주아 계급과 노동자계급이 보유한 문화자본이 다르게 나타난 이유는 계급의 직접적 영향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ultural capital among classes and the factors affection the possession of cultural capital using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KEEP). The major findings are as below. First, while there is a difference of cultural capital between Bourgeois and petit-bourgeois, bourgeois and labor class, petit-bourgeois and middle class, middle class and labor class, bourgeois and middle clas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tit-bourgeois and labor class. Second, the educational attainments and occupational status of one`s parent have a significant effects on the possession of cultural capital. Third, parent`s interest in their children, namely social capital has the strongest effect on the possession of cultural capital in all variables. Fourth, class status of father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ossession of cultural capital. This result shows that Korea has the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context from western countries in relation to the cultural capital.

      • KCI등재

        A교육청 조직문화에 대한 구성원 인식 탐색 연구: Bolman과 Deal의 조직 프레임을 중심으로

        강호수 ( Kang Ho Soo ),백병부 ( Baek Byoung-bu ),장덕호 ( Jang Deok-ho ),오재길 ( Oh Jae-gil ),김한나 ( Kim Hannah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Bolman과 Deal(2013)의 네 가지(구조적, 인간자원적, 정치적, 상징적) 조직 프레임에 근거하여 A교육청 조직문화의 주요한 현상과 특징을 구성원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다차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일반직, 전문직, 교사 등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한 결과, 구조적 관점에서 교육청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업무로 인해 부서간의 업무 떠넘기기(업무 핑퐁)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고, 인간자원적 관점에서 교육청은 교육청의 구성원들이 대부분 승진 등과 같은 개인의 이익에 대한 욕구가 높은 높았으나, 전문성 개발에 관해서는 일반직과 전문직의 실천 방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적 관점에서 교육청은 조직 내부의 직렬간, 직렬내, 부서간 구성원간의 갈등 뿐 만 아니라 조직 외부와의 갈등이 존재하였다. 상징적 관점에서 A교육청은 우리나라 교육을 선도하는 교육청이라는 데 이견은 없었으나 조직 내부에서 비전에 대한 자발적 실천은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교육청 조직문화 개선을 위해서는 우선 구조적 차원에서 추진 정책과 사업들 간의 정합성을 높여야 할 것이며, 그동안 관행으로 인정되어온 각종의 관료적 일처리 방식과 부서 간 소통을 가로막은 지침들을 새롭게 재편하여야 할 것이다. 인간자원적 차원에서는 구성원들의 역량(전문성) 개발을 위한 각종의 훈련과 연수를 지원하고 각종 정책의 추진과정에 전 구성원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규범을 만들어야 할 것으로 보이고, 정치적 차원에서는 편가르기식 행정관행을 원점에서 놓고 재검토하고, 생산적인 갈등 관리 방법이 도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징적 차원에서 구조적, 인간자원적, 정치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문화적으로 치유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다양한 의례와 문화적 표상들을 다수 창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Bolman and Deal’s four (structural, human resource, political, symbolic) fram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uctural frame,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are severe shift of responsibility between the departments due to the tasks that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frame of human resource, most of the members have a specific desire for personal interests such as promotion. From the political frame,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members in the office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From the symbolic frame, the voluntary practice of vision is lacking. In order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office of Education, it should increase the coherence between the implementation policy and the projects. Also,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guidelines to prevent communication between department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raining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of the employees and to make a tradition that all the memb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urther,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one-sided administrative practices and we need to derive productive conflict management methods. And rituals and symbols should be created so that it can become the Office of Education lead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 KCI등재

        미래교육 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이영희 ( Lee Young Hee ),윤지현 ( Yoon Jihyun ),홍섭근 ( Hong Sub-keun ),임재일 ( Lim Jae Ill ),백병부 ( Baek Byoung-b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최근 몇 년 동안 수행된 미래교육관련 연구보고서들을 대상으로 미래교육의 목표 및 방향에 대한 주요내용을 메타분석적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미래교육관련 연구보고서들은 지난 2013년부터 2018년까지 국책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수행된 총 11개의 미래교육관련 연구보고서들이며, 보고서 내용을 중심으로 미래교육의 비전 및 목표, 미래교육의 인재상, 미래교육의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그리고 교육정책 및 전략의 총 5가지 영역에서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교육연구에서는 주로 교육 현안에 대한 해결 및 새로운 사회구조와 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단기적이고 다소 제한적인 측면의 교육비전 및 목표를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미래교육의 인재상으로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창의성과 문제해결력과 같은 역량을 갖춘 인재뿐 아니라 인성, 감성, 소통과 공감 능력을 지닌 전인적 인재상을 추구하고 있었다. 셋째, 인구구조 변화와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응하기 위한 개별화 및 학습자 맞춤형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과 평가, 그리고 첨단 과학기술기반의 교육환경 구축을 강조하고 있었다. 넷째, 미래교육의 주요 정책은 교육에 대한 현안 해결을 통하여 공교육에 대한 신뢰 회복 목적의 정책들이 제안되었다. 결론적으로 시대에 필요한 사회인의 양성이라는 교육의 기능적 역할뿐 아니라 교육이 우리 사회문화의 가치를 세우는 철학적 바탕이 된다는 역할을 상기하여, 교육의 본질과 기본 이념에 충실한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미래교육 비전 및 방향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reports regarding to the future education, which were conducted by the major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for the past several years with meta-analysis approach. The 11 reports analyzed were published from 2013 to 2018 by the major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and the contents of the report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five domains such as the vision and goals of future education, the talented students, the curriculum,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ssessment in future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ision and goals of future education are focusing on the current educational issues and problems rather than the perspectives of long terms goals and philosophical foundation of education. Second, the talented students are supposed to have not only the capabilities of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but also the upright character, human emotion, sy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for preparing for the future society. Third, the policies and strategies in future education were emphasized on the differentiated and customized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as well as the technology-based educational system. Fourth, the focus of educational policy in future education was to recover the trust for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by solving the current problems in education. To conclude, the important roles of education are not only to foster the citizen who leads to the future but also to establish the value system of our society so the inclusive and long-term vision and goals of future education should be launched based on the fundamental ideology and essence of education.

      • KCI등재

        교내외 방과후 교육활동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백병부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extra-curricula activities on the affectiv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ers using KCYPS data. Specifically, this study uses the school adjustment and the value awareness of school as the index of affective development, and after-schol program in school and Hakwon and Gwaoi out of school as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Major findings are like these. First, the socio-economic status has the independent effects on the school adjustment and the value awareness of school. In detail, the school adjustment is influenced by the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the household income. The value awareness of school is also influenced by the parent's educational level. Second,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or teachers and students,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have th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affective development. Third, whil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school has no significant effects, out of school activities has th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chool adjustment and the value awareness of school. Finally,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school, not to mention out of school activities which are needed to much tuition fee don't contribute to narrow the gap of affective development resulted from the gap of socio-economic status. From these findings, some policy recommendations including the need to review the after-school program policy are offered.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교내외의 방과후 교육활동이 정의적 발달에 어떠 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의적 발달 상태를 잘 드러 내 줄 수 있는 변수로 학교생활적응과 학교가치 인식을 설정하고, 이들에 학원과 과외로 대 표되는 교외 방과후 교육활동과 방과후학교로 대표되는 교내 방과후 교육활동이 각각 어떠 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 배경이 학교생활적응도와 학교가치 인식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교생활적응도는 부모의 교육수준과 가구소득 모두로부터 영향 을 받고 있었고, 학교가치 인식은 부모의 교육수준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었다. 둘째, 부모 와의 관계나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적응도와 학교가치 인식에 유의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생활적응도와 학교가치 인식 모두 부모와의 관계보다는 교사와의 관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내의 방과후학교는 학교생활적응도와 학교가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반면에 교외의 학원과 과외는 이들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외 방과후 교육활동은 물론이고 교내의 방과후학교 도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학교생활적응도 및 학교 가치 인식의 차이를 줄이는 데 기여하 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방과후학교 정책을 재검토해볼 필 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