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고속철도의 현황과 발전에 관한 연구-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

        이용상,정병현 한국철도학회 2020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23 No.9

        South Korea has grown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increased transportation volume and regional development;significant changes brought by high-speed railways to the lives of the Korean population have been widely recognized. Japan and China, countries adjacent to South Korea, are also operating high-speed railways, which have brought significant changes to people’s lives as well. In this paper, the status of Korea’s high-speed railway will be examined by comparing it to those of Northeast Asian countries, which are well known for population density and concentrated economic zones. The high-speed railways of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were constructed to expand new routes, improve the speed of existing lines, and connect marginalized areas of countries by increasing capacity of existing lines. The Gyeongbu high-speed railway in Korea was constructed to increase the capacity of existing lines, and the Honam high-speed railway was built for regional development and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Similarly, in the cases of Japan and China, construction of new lines was aimed at enhancing economic growth and balancing development of the country by connecting marginalized regions. In this paper, the status of Korean high-speed railways will be examined by comparing various factors of South Korea, Japan (which opened the world’s first high-speed railway), and China, which has the longest high-speed railway in the world.

      • KCI등재

        고속철도건설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영순(Pei Ying Shun),맹해양(Meng Hai Yang),양효붕(Yang Xiao Peng),배기형(Bae Ki Hyung) 한국물류학회 2017 물류학회지 Vol.27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한 교통수단으로서의 중국 고속철도가 개통된 때부터의 발전과정과 현황 그리고 이에 대한 경제적 영향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중국 고속철도의 건설 및 수출의 중요성을 제시하여 향후 중국 고속철도의 발전에 일조하는데 있다. 둘째, 고속철도의 건설과 운영은 연선지역에 가져온 경제효과는 주로 지역경제성장을 촉진하고, 도시사업구조를 개선하고, 지역 경제 일체화를 가속화하고, 취업을 증가시키고, 지역 간 경제적 격차를 축소하고, 국토규형 발전을 실현하게 할 것이다. 셋째, 중국 내륙고속철도망이 중국 7대 경제권을 연결하여 ‘1시간 경제권’ 또는 ‘1일경제권’가 형성되게 함에 따라 통근취업, 산업분포, 사회문화의 동성화 형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지역경제의 일체화가 이뤄질 것이다. 넷째, 중국 고속철도의 건설은 여러 산업발전의 계기로 되었다. 고속철도의 건설공사와 고속철도 차량의 생산은 철강산업, 기계산업, 전자설비산업, 정보통신업, 첨단기술산업 등 다양한 영역에 귀착된다. 다섯째, 고속철도의 탄생은 전통적인 운송방식의 탁월한 혁신이다. 고속철도의 좁은 노반과 작은 터미널은 토지자원을 절약한다. 고속철도 차량 자체의 경량화로 인해 건설재료를 절약한다. 마지막으로 중국정부의 핵심국가 발전전략인 ‘일대일로’로 인해 중국은 세계고속철도의 건설에 참여하였다. 중국 고속철도의 수출은 국제 고속철도시장의 이뤄짐에 도움을 주고 유럽과 아시아의 경제와 무역 구조에 영향을 미쳐 세계경제 일체화에 유리하다. 또한 중국 고속철도의 수출은 발전도상국들의 글로벌화에 기회를 제공하여 공동 변영을 실현할 것을 예상한다. 본 논문은 중국 고속철도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분석과 중국 고속철도 전반적인 발전과정 및 현황에 대한 분석에 대해 중국 현지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경제적 영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자료의 취득이 어려워서 추론을 통해서만 분석을 전개하는 점이 부족하다. 또한 경제적인 데이터 분석 모형을 활용하지 못하고 타인의 신문조사에서 선별하여 직접 사용하는 것은 한계점으로 남는다. 향후에는 더 자세한 통계자료로 중국 고속철도의 건설에 따른 경제적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first, from the Chinese when the opening of the high-speed rail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Development and the status and about the economic impact China, by analysing the construction of high-speed rail and overseas next, putting up the importance of China to help in the development of high-speed rail. Second,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high-speed rail is promote economic growth, and local economic effect is obtained mainly in are as stranded city business to repair the fabric, all regional economy. Accelerate, regional and inter-regional economic gap and augment there duction will realize the development, and guktogyuyeong. Third, China, seventh China the faster train commute in accordance with making the economic bloc one hour or economic bloc a day was for med by connecting the right to employment, industrial distribution, social and cultural. Gay service configuration appears. There fore, our society has become part of the local economy. Fourth, China, the construction of high-speed rail was different instrument of industrial development. The construction of the high-speed railway and highway vehicles, the steel industry, the production of Equipment Manufacturers, the electron theory also resulted in a range of areas, such as industrial, high-tech, high technology industry. Fifth, the traditional birth of the high-speed railway transport system s superior innovation. The narrow road bed of the high-speed railway land and a small terminal to save resources. Lightweight construction materials due to savings of the high speed railway itself. Finally, the Chinese government s core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 ‘one-on-one the world due to take part in the construction of high-speed rail. High-speed railroad between China and made of the international high-speed rail export market and help the affected the economic and trade structure of Europe and Asia in favour of the unification world economy. A lso, China exports of the high-speed railway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to achieve global scale by providing an opportunity we expect to realize the joint bye on yeong. The thesis is the Chinese economic analyses of the effects of the high-speed rail and high-speed rail around China for an analysis of data on the status and overall development process. Acquisition of data and, in economic impact i t has the meaningful, but only through the analysis, I have a hard time for what is insufficient. The economic data analysis can not take advantage of a model and newspapers used directly by selecting a survey of others is a breaking point. In the future, with more detailed statistics, China,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conomic impact on the construction of high-speed railway should be made.

      • 수서역 개통에 따른 접근성 변화 분석

        김도융(Do-Yung Kim),정성봉(Seong-bong Jeong),이슬기(Seul-ki Lee),최지호(Ji-ho Choi),강근식(Gun-sik Gang) 한국철도학회 2013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5

        2015년 개통 예정인 수서-평택 고속철도는 서울 강남권과 동남부 지역 주민들의 통행시간을 단축시켜 고속철도 이용에 따른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이용수요의 증가가 기대된다. 그러나 고속철도 수서역이 개통된다 하더라도 서울특별시 내에 고속철도 이용을 위한 접근성이 낮은 지역은 존재 할 것이다. 이는 철도 역사입지 선정시 철도 이용자들의 접근성 측면은 고려되지 못해 발생하는 문제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된 접근성 산출식을 이용하여 서울역·용산역·수서역의 접근성 지표를 산출해 고속철도 수서역에 대한 접근성 척도를 비교 분석하고, 서울특별시의 고속철도 이용 접근 가능권역을 분석하여 고속철도 이용 접근 가능권역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철도 역사 입지 선정시 접근성을 적용하여 입지 선정에 대한 판별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서울특별시의 고속철도 이용에 대한 접근성 향상 방안의 참고 자료로 사용되어 고속철도 이용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useo-Pyeongtaek high-speed railway opened in 2015, Seoul Gangnam area, and southeastern part of local residents by reducing the travel time in addition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caused by the use of high-speed rail use increase in demand is expected. However, the High Speed Railway is opening Suseo, even though the presence of areas of low accessibility for use in a High Speed Railway in Seoul. Railway station site selection when user accessibility aspects of the problems that occur can’t be considered.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output index the accessibility of Seoul, Yongsan · Suseo, previous studies using the accessibility formul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measures for High Speed Railway-speed rail Suseo Seoul"s High Speed Railway, and use the accessible regions accessible by High Speed Railway changes in the regions examine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termine the location selected for the railway station site selection during future accessibility, And Improving access to High Speed Railway in Seoul, is used as a reference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the use of High Speed Railway.

      • KCI등재후보

        잠재성장모형(LGM)을 활용한 고속철도 개통이 인근 아파트 가격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진옥,정재호 한국부동산학회 2023 不動産學報 Vol.91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After the opening of the high-speed railway station, the volatility of the surrounding real estate prices over time was studied. Data on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s representatively inhabited by the general public among real estate near the high-speed railway st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empirically analyze how much the location of the high-speed railway station, while is a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s affecting the price volatility.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LGM), which is evaluated as the best model for analyzing volatility according to changes in time by group.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sales around the high-speed railway station, the effect of the opening of the high-speed railway station on the volatility of the surrounding apartment price is studied. SPSS 22 was used to process the collected data, and AMOS 22 was used to analyze the potential growth model. (3) RESEARCH FINDING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nconstrained potential growth model, it was confirmed that apartments located within 5km of the high-speed railway station rose in price after the location of the high-speed railway station, and apartments within 2km of the station had a much larger increase in sales price than apartments after 2km. In the pharmaceutical potential growth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tance between apartments and high-speed railway stations, and the rate of increase in apartment sales prices as the aging period after construction increase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regions. 2.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opening of the high-speed railwa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anges in the prices of nearby apartments.

      • KCI등재

        고속철도사업 활성화 및 건설업체의 해외사업참여 확대방향 연구

        박희대(Park Heedae),박형근(Park Hyung Keun),장현석(Jang Hyeon Seok),한승헌(Han Seung Heon)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1 No.1D

        지구온난화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세계 각국이 환경친화적인 녹색성장 방안을 제시하는 가운데, 고속철도사업은 환경친화적인 글로벌 패러다임에 적합한 상품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리는 지난 40여 년간 도로 위주의 건설정책으로 철도분야 투자는 도로의 40~50%에 불과하며, 미국발 금융위기의 영향과 민간투자사업과 관련한 제도적 지원 미흡으로 인해 SOC 투자의 민간 비중 역시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제한된 예산으로 효율적인 고속철도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민간투자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전략의 발굴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고속철도 건설사업은 향후 해외건설시장의 큰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2010년 600억 달러 이상의 비약적인 해외건설수주에도 불구, 철도 분야 수주실적은 매우 미비하여 우리 건설업체들이 해외건설시장에서 구축한 브랜드이미지와 독자적인 고속철도기술의 결합을 통한 시너지 창출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해외 고속철도 시장동향 및 우리업체의 역량수준 분석을 통한 건설업체 관점의 해외 고속철도사업 진출전략의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고속철도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민간투자자의 참여유도 방안을 수립하고, 해외고속철도사업 진출을 위한 컨소시엄 모델 정립 및 제도적 · 정책적 국내 · 국외시장 지원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고속철도사업의 영역을 국내와 해외로 나누어 자료수집 및 동향 분석 등을 개별적으로 수행하였으며, 고속철도 분야에 대한 건설업체의 인식수준 및 니즈, 활성화 전략의 실효성 검토를 위한 설문조사 및 업계 전문가 심층 면담을 함께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활성화 및 참여확대 방안은 1) BTL방식의 철도사업 추진 및 민간의 참여 유도를 위한 부대사업 관련 법률 개정, 2) 민간선투자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업체의 신용도에 따른 팩토링 금리 수준의 인센티브 수준 상향 조정, 3) 호남~제주 해저고속철도사업의 추진, 4) Total Service제공을 위한 신흥시장 진출 컨소시엄 모델의 정립, 5) 고속철도 기술의 해외진출 및 우리 업체들의 해외참여 확대를 지원하기 위한 한국철도협회의 역량 제고, 6) 글로벌 인프라펀드 규모의 확대이며, 이와 같은 전략추진을 통해 국내 고속철도시장의 활성화 및 우리 업체들의 해외사업 참여확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High-speed railway raises global interests with the growing concerns on the green development and the green energy. However, since most of the infrastructure investment of Korea was focused on the highway projects for last forty years, the investment on the railway has been limited around 40~50% of that of the highway projects. In addition, due to the world economy crisis and unsatisfactory support of existing policy for the private investment project, the private investment is given a small deal of weight on the social overhead capital investment. Meanwhile, despite the world high-speed railway market is growing rapidly and the Korean contractors have won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contracts over 70 billion USD, past records of railway projects are very rar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strategies for encouraging private investment in the domestic market to achieve efficient high-speed railway development and for advancing into foreign high-speed railway market. This study carried out data collection and market analysis for both domestic and foreign market respectively.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and expert interviews, contractors' perceptions on the high-speed railway market and needs for the government support are collected. Summary of strategie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arrying out BTL high-speed railway projects and revising related policies; 2) upwarding incentive level for the private pre-investment projects considering the contractors' credit rating; 3) carrying out Honam-Jeju submarine railway project; 4) establishing a efficient consortium model for foreign market; 5) improving the capacity of the Korea Railway Association that support Korean contractors' foreign advancement; and 6) expand the budget for Global Infra-fund.

      • KCI등재

        수량할인을 고려한 수익경영의 좌석배분 문제: 고속철도로의 확장

        윤문길 ( Moon Gil Yoon ),이휘영 ( Hwi Yong Lee ) 한국항공경영학회 2021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9 No.2

        고속열차의 수익경영 문제는 철도교통이 중요한 교통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는 유럽과 중국을 중심으로 활발한 여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의 고속철도 수익경영에 대한 연구는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항공산업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수익경영 개념과 모형을 철도산업으로 확장한 연구이다. 특히, 각 여정의 운임에 대한 좌석배분과 좌석을 지정하는 좌석배정 문제를 함께 다루었다. 또한, 국내 철도산업에서는 아직 도입되지 않았지만 이용조건의 차이에 따른 운임차별화 뿐만 아니라, 소규모 단체에 대한 수량할인을 고려하는 좌석배분 및 좌석배정 문제를 다루었다. 즉, 수량할인을 포함하는 복수 운임에 대하여 여정-운임별 좌석배분을 위한 최적화 모형을 제시하였고, 예제를 통하여 현실적인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여정의 운임별 수요가 불확실하게 발생하는 것을 확률변수로 고려하여 확률계획 모형으로 정식화하였고, 선형근사기법을 적용하여 확정적 정수계획모형으로 변환하였다. 변환된 모형은 현실적인 고속철도 운영 상황에서도 별도의 알고리즘 없이 기존 상용 최적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좌석배분 및 좌석배정 결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을 통하여 기대수익을 최대화하는 각 여정의 운임별 좌석배분을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여정-운임에 대하여 좌석연속 배정제약을 만족하는 좌석배정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고속철도의 좌석배분과 좌석배정 문제를 다루었지만, 철도 수익경영 문제에서 다루는 연구주제의 하나로 다양한 연구주제로의 확장에 활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출발지와 종착지를 갖는 열차운행의 경우, 열차 정차역의 차이에 따른 환승 경우 등에 대한 좌석배분 및 좌석지정 문제로 확장될 수 있고, 예약과정에서의 네스팅 문제, 복수운임에서의 동적 가격결정 문제 등 다양한 주제로 확장될 수 있다. 본 연구가 항공사의 수익경영 개념을 철도산업에 적용한 연구지만, 국내의 고속철도 수익경영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로 확대 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evenue management problem of high-speed trains have been studied actively in Europe and China, where the railway systems are used as an important transportation system. This study deals with the seat allocation problem that is the traditional one in the revenue management problem of high-speed trains. Traditional railway operators have provided different fares depending on cabin types. The seats of the train have been recognized as a perishable asset, which can not generate any value from the remaining after a certain time. In service industries with perishable assets including airlines and hotels, it is common to offer different fares depending on the usage restrictions for maximizing revenue from the maximum use of their asse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multiple fares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usage restrictions in the high-speed railway systems. In this paper, we are focused on the problem of seat allocation with multiple fares including quantity discount fares for each itinerary in high-speed railway systems. We will develope an optimization model for our problem. Due to the demand uncertainty, the model can be formulated as a non-linear stochastic programming model for maximizing the expected revenue from the operation of the single high-speed train. With some assumption on the demand distribution and applying the linear approximation techniques developed by Szwac, the model can be transformed to the integer programming model which can be solved easily with commercial solvers such as CLPEX and LINDO. In order to explore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our model, a simple example for the seat assignment in the train operation is tested. From the simple test, we can find that our model can effectively obtain the seat allocation results by the optimal solution using the existing commercial optimization software without any special algorithm even in the real world high-speed rail operations. In the domestic railway system, the rail operators offer only a price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 schedule. However, it is proved that the multiple fares depending on the usage restriction increase the possibility of customer choice as well as the profitability of the rail opera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mploy the multiple fare system in the domestic rail operators for the profitability as well as the customer benefit. This study has dealt with the seat allocation problem of high-speed rail, but it is only one of the research issues addressed in the railway revenue management problem. There are still many research issues on railway revenue management issues such as multiple trains, customer transits during the journey, and stopping station of trains. We hop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xpanding various research issues on high-speed railway revenue management issues.

      • KCI등재

        고속철도 이용객수와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 분석 : 울산역과 부산역 이용객수를 중심으로

        김용래 한국교통연구원 2022 交通硏究 Vol.29 No.2

        This study conducted a Granger causality test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high-speed railway users (KTX, SRT) and the main factors. First, the total number of users on the high-speed railway and the number of SRT users had a causal relationship with gross domestic product, but there was no causal relationship in the opposite case.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KTX users did not have a correlation with gross domestic product. Second, the total number of users and KTX users of high-speed railways had a correlation with disposable income per household. However, the number of SRT users was found to be causal only to disposable income per household, and there was no causal relationship in the opposite case. Third, the number of high-speed railway users, KTX users, and SRT users were all correlated with seat supply. Fourth, the weighted average oil price had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total number of users on the high-speed railway between the total number of users and the weighted average oil price. Meanwhile, this study will be a valuable reference for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for high-speed railway operators by analyzing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high-speed railway users dynamically 본 연구는 고속철도 이용객수(KTX, SRT)와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속철도 전체 이용객수와 SRT 이용객수는 국내총생산과 인과관계가 있었으나, 그 반대의 경우에는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반면 KTX 이용객수는 국내총생산과 상호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속철도 전체 이용객수와 KTX 이용객수는 가구당 처분가능소득과 상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RT 이용객수는 가구당 처분가능소득에만 인과관계가 있고 반대의 경우에는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속철도 전체 이용객수, KTX 이용객수, SRT 이용객수 모두 좌석공급량과는 상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속철도 전체 이용객수와 가중평균 유류가격 간에는 가중평균 유류가격이 고속철도 전체 이용객수에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는 고속철도 이용객수에 미치는 주요 요인에 대하여 동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고속철도 운영사의 향후 마케팅 전략 수립에 귀중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고속철도 산업의 선발국 추월에 관한 연구

        주강강(Zhou Ganggang),박재찬(JaeChan Park)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8 중국과 중국학 Vol.- No.35

        2008년에 고속철도를 개통한 중국은 고속철도 선발국인 일본, 프랑스, 독일과 동시에 합작을 추진하여 고속전철을 개통하였고, 2011년에는 독자모델 CRH380을 개발하여 운행을 시작하였다. 일본, 프랑스, 독일이 지배하고 있던 세계 고속철도 시장은 후발국 중국의 등장으로 인해 기존 구도가 완전히 바뀌었다. 즉, 중국은 선발국 모두를 뛰어 넘어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모로코, 헝가리-세르비아, 라오스, 이란, 인도네시아, 태국에 고속철도를 수출하였고, 고속철도 세계 시장점유율은 철도차량 기준으로 69%로 세계 1위를 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이 고속철도 선발국들을 제치고 세계 1위가 될 수 있었던 원인을 제품경쟁력, 수출금융, 중국정부의 대외정책의 3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해보았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효과적으로 결합된 성과가 수출로 나타났다고 판단하였다. 아울러, 중국의 글로벌 추월 성공요인을 한국의 고속철도 수출경쟁력분석에 활용하여, 한국의 문제점과 미래 대응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속철도 후발국 중 유일하게 선발국 추격과 추월에 성공한 중국의 글로벌 전략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고, 한국과 같은 다른 후발국의 고속철도가 해외에 진출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2008, the first high-speed railway of China was opened between Beijing and Tianjin. As a late mover in the world high-speed railway industry, China mad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first movers of Japan’s Kawasaki heavy industries, France’s Alstom, and Germany’s Siemens Group at the same time. In 2011, China introduced the first independent model of CRH380 series and went global. China joined the top rank of the world high-speed railway market in 2017, and exported its own model to 8 countries - Turkey, Saudi Arabia, Morocco, Hungary-Serbia, Laos, Iran, Indonesia, and Thailand.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China could stand in the first rank in the world high-speed railway market. This study founded three factors of China’s success. The first is competitive advantages of China’s HSR products, Second is export financing that were very helpful to export to undeveloped countries. Third is Chinese government’s foreign policies such as “One Belt and One Road” policy took a promotive role in entering foreign HSR market. In addition, we used the success factors of China’s global overtaking to analyze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the high - speed railway in Korea, and found out the problems and future countermeasures in Korea.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global strategy of China which succeeded in pursuing and overtaking the first country of the high-speed railway, and suggests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the high-speed railway of other late countries such as Korea to go abroad.

      • KCI등재

        An Analysis of Mode Selection in China’s High-speed Railway Express Operation: Based on the GRA Method

        주판(Zhou, Pan),진문걸(Chen, Wen-Jie),배기형(Bae, Ki-Hyung) 한국물류학회 2021 물류학회지 Vol.31 No.1

        중국은 2010년 이후 인터넷쇼핑, 전자상거래 등 인터넷 경제가 급성장하고 있다. 또 신속한 화물운송과 고부가가치 운송수요가 급증해 고속철도 관련 산업을 일으켰다. 소비자들은 고속철 운행을 선택할 수 있고, 고속철 업체들은 택배를 통해 수익을 올릴 수 있다. 하지만 아직은 걸음마 단계인 고속철택배산업은 기술격차 부족과 운영서비스망 부재로 경쟁 우위가 뚜렷하지 않다. 따라서 고속철 택배 운영 모델을 연구하는 것은 철도업체들의 다중접속 서비스 체인 구축과 고속철 속행 시장의 경쟁력 향상에 중요한 현실적 의미를 갖는다. 이 논문은 권중 속성과 기업 운영 수요를 결합해 개선된 회색연관분석법을 적용, 중국 철도발전의 고속철 택배 운영 모델을 연구분석한다. 본 연구는 고속철도 화물운송 산업이 발전 초기에 직면한 운영 모델 선택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Since 2010, China’s online shopping, e-commerce and other Internet economy has developed rapidly. At the same time, the demand for fast freight and high value-added transportation has increased sharply, which has promoted the development of high-speed railway related industries. On the one hand, consumers can take high-speed rail express delivery as a multiple choice; at the other, high-speed rail companies can provide express delivery service to promote profit growth. At present, however, the high-speed express industry is still in its infancy. Its technical links are not matched perfectly and the operation service network is not mature, which leads to the lack of competitive advantage. Therefore, it is of great practical significance to study the operation mode of high-speed rail express for railway enterprises to establish multi-channel service chains and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high-speed rail express market. Based on the weighting property and enterprise operating needs, this paper studies and analyzes the operation mode of high-speed express in China by adopting the improved gray correlation analysis method. It will help to solve the problem of mode selection that the high-speed express industry faces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 KCI등재

        PSC-box 철도교량의 KTX 및 EMU 고속열차에 대한 동적 응답 특성 분석

        한만석,송민규,신수봉,이종한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4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8 No.2

        국내 경부선 및 호남선의 고속철도교량은 대부분 PSC-box 형식으로 설계되어 있고, 경간장35~40m인 경우 약 4~5Hz 정도의 1차휨 고유진동수를 가지고 있다. 이때 KTX 고속열차가 290~310km/h 속도로 주행할 경우, 열차에 의한 가진 진동수가 교량의 1차 휨 고유진동수에 근접하면서 공진 유사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KTX와 함께 향후 운행예정인 EMU-320 고속열차의 증속에 대해서도 철도교량의 동적 응답을 통한 안전성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철도교량에서 계측된 응답을 기반으로 구조해석모델 개선 기법을 통해 대상 철도교량과 거동이 유사한 해석모델을 구현하였다. 개선된 구조해석모델은 고속철도교량에 KTX가 주행할 때 계측된 응답과 비교하여 검증하고, 이를 통해 KTX와 EMU-320 고속열차가 증속할 경우 동적 응답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결과적으로, 교량 중앙부의 최대 수직변위와 가속도의 변화는 철도설계기준과 비교하여 주행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The majority of high-speed railway bridges along the domestic Gyeongbu and Honam lines feature a PSC-box type structure with a span length ranging from 35 to 40m, which typically exhibits a first bending natural frequency of approximately 4 to 5Hz. When KTX high-speed trains transverse these bridges at speeds ranging from 290 to 310km/h, the vibration induced by the trains approaches the first bending natural frequency of the bridge. Furthermore, with the upcoming operation of a EMU-320 high-speed train and the anticipated increase in the speeds of these high-speed trains, there is a need to analyze the dynamic response of high-speed railway bridges. For this, based on measured responses from actual railway bridges, a numerical model was constructed using a numerical model updating technique. The dynamic response of the updated numerical model exhibited a strong agreement with the measured response from the actual railway bridges. Subsequently, this updated model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ynamic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bridges when KTX and EMU-320 trains operate at increased speeds. The maximum vertical displacement and acceleration at the mid-span of the bridges were also compared to those specified in the railway design standard with the increasing speed of KTX and EMU-3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