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mpact of HBeAg Seroclearance on the Risk of HCC Development in HBeAg-Positive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Treated with Entecavir or Tenofovir

        ( Jonggi Choi ),( Seungbong Han ),( Gi-ae Kim ),( Young-suk Lim ) 대한간학회 2018 춘·추계 학술대회 (KASL) Vol.2018 No.1

        Aims: HBeAg seroclearance is one of surrogate markers by current guidelines to predict the long-term outcomes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CHB). However, whether HBeAg seroclearance in HBeAg-positive CHB patients under antiviral treatment can reflect the long-term outcomes remains unanswered in the era of high potency antiviral agents. Methods: A historical cohort of 2,829 treatment-naïve HBeAg-positive CHB patients who initiated treatment with entecavir or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at a tertiary referral hospital in Korea from 2007 through 2016 were included. The risk of HCC was analyzed by multivariabl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and time-dependent Cox model. Results: The mean age was 45.0 years and 1,832 (64.8%) were male. Cirrhosis was present in 1,077 (38.1%) of patients. With the median follow-up of 56.8 months, HBeAg seroclearance was observed in 905 (32.0%) patients. HBeAg seroconversion and virologic response (HBV-DNA <60 IU/mL) were achieved in 694 (24.5%) and 2249 (79.5%) patients, respectively. During 13,526 person-years of follow-up, 238 patients developed HCC, with an annual incidence rate of 1.75/100PYs. The unadjusted cumulative incidence of HCC of patients experiencing HBeAg seroclearance during the first 2-year of antiviral treat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that of patients who persisted HBeAg-positivity (P=0.15), regardless of presence of cirrhosis. By time-dependent Cox model, HBeAg seroclearance during overall treatment period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for predicting HCC development (adjusted hazard ratio: 0.92, 95% confidence interval: 0.58-1.44, P=0.70). In multivariable analysis, older age, male sex, lower ALT level, lower albumin, lower platelet count, and cirrhosis at baseline were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s for HCC development. Conclusions: In a large historical cohort of HBeAg-positive CHB patients, HBeAg seroclearance during antiviral treatment was not a significant surrogate marker for predicting HCC.

      • HbeAg 음성인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라미부딘 투여중 Viral Breakthrough의 발생 빈도

        장윤정,임정윤,조남영,최창원,백수정,안수현,최도원,권용대,김선숙,권오상,김주현,연종은,송진원,변관수,이창홍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4

        목적: 라미부딘 치료는 HBeAg 양성 만성 B형 간 염환자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장기간의 치료효과와 BT의 발생률은 아직 확실치 않다. 이에 HBeAg 존재유무에 따른 BT의 발생률을 비교하고 BT의 발생과 YMDD 변이종의 출현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최소한 9개월이상 라미부딘을 투여받은 만성 B형 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HBeAg 양성군은 205명, HBeAg 음성군은 49명이었다. 라미부딘 치료기간은 HBeAg 양성군 176개월, HBeAg 음성군은 155개월으로 양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YMDD 변이종은 RFLP 분석과 직접 염기서열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 군의 임상적 특성은 HBeAg 음성군이 양성군에 비해 나이는 더 많았고(43±9세 vs. 39±10세; p<0.05) 치료전 HBV DNA 역가가 낮았다(670±1499 vs. 1877±5168 pg/ mL; p<0.01). 치료 12개월, 24개월 의 누적 BT 발생률은 HBeAg 양성군에서는 12%, 39%였으며 음성군에서는 0%, 7%로서 음성군에서의 발생율이 양성군에 비하여 낮았다(p<0.01). 다변량 분석으로 확인한 BT와 관계있는 유일한 인자는 HBeAg의 존재 유무였다(p<0.05). YMDD 변이종은 HBeAg 유무에 관계없이 BT가 발생한 모든 예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나 BT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서 YMDD 변이종의 발생률은 HBeAg 양성군보다 HBeAg 음성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14.3% vs. 50.0%; p<0.01). 결론: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의 라미부딘 치료는 YMDD 변이종이 발생 하여도 BT 발생 빈도가 낮아서 라미부딘의 지속적인 치료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Aims: Long-term efficacy and the rate of viral breakthrough in patients with HBeAg- negative chronic hepatitis B receiving lamivudine therapy is uncertai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ate of viral breakthrough according to the HBeAg status and the relation of viral breakthrough with YMDD mutants. Methods: Two hundred and five patients with HBeAg-positive and 49 patients with HBeAg-negative chronic hepatitis B, who had received lamivudine for at least 9 months, were included. The mean durations of the lamivudine treatment were 176 months and 155 months in HBeAg-positive and negative patients, respectively. Analysis of HBV genome for YMDD mutations was performed by restriction-fragment-length polymorphism assay and direct sequencing. Results: While the cumulative rates of viral breakthrough at 12th and 24th months of the lamivudine therapy were 0% and 7% in the HBeAg-negative group, they were 12% and 39% in the HBeAg-positive group. The cumulative rate of viral breakthrough in the HBeAg-negativ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HBeAg-positive group (p<0.01). In multivariate analysi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related to viral breakthrough was the HBeAg status (p<0.05). The YMDD mutants were detected in all patients with viral breakthrough irrespective of HBeAg status. However, in patients without viral breakthrough, the rate of YMDD mut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BeAg-negative group than in the HBeAg-positive group (13.3% vs 5.1%; p<0.01). Conclusions: Lamivudine is expected to be more persistently effective in HBeAg-negative chronic hepatitis B because of a lower viral breakthrough rate than in HBeAg-positive chronic hepatitis B in spite of the emergence of YMDD mutants.(Korean J Hepatol 2002;8:397-404)

      • SCOPUSKCI등재

        HBe항원 양성 산모에서 출생한 HBe항원 양성인 신생아의 추적관찰

        박은숙,이해경,오창희,김성구,윤혜선,송원근,이영아,Park, Eun Sook,Lee, Hae Kyung,Oh, Chang Hee,Kim, Sung Ku,Yun, Hae Sun,Song, Won Keun,Lee, Young Ah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6

        목 적 : HBsAg 양성이면서 HBeAg 양성인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에서 출생 직후 HBsAg은 음성이면서 HBeAg 양성이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 법: 1996년 12월부터 1999년 3월까지 HBsAg과 HBeAg이 모두 양성인 산모로부터 출생한 신생아 중에서 HBsAg 음성이면서 HBeAg 양성인 신생아 22명을 대상으로 추적 관찰하였다. 결 과 : 1) 분만 산모의 총 수 4,338명 중 HBsAg 양성은 4.9%(213/4338), HBsAg 양성인 산모에서 HBeAg을 검사한 183례 중 HBeAg 양성은 41.5%(76/183)이었다. 2) HBeAg 양성인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에서 HBeAg 검사를 시행 받은 49례에서 HBsAg 음성이고 HBeAg 양성인 신생아는 36례로 73.5%이었다. 이중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22례에서 태반을 통해 전달된 HBeAg이 2개월 내에 소실된 경우가 7례(31.3%)로 가장 많았으며 90%이상이 12개월 내에 소실되었으며 결국 22례 모두에서 소실되는 소견을 보였다. 단 1례에서 HBeAg은 소실되었으나 6개월에 HBsAg이 양성이었다. 결 론: HBeAg이 양성인 간염 보균산모에서 신생아의 HBeAg은 감염이라기 보다는 태반을 통해 전달되는 산모의 HBeAg으로 일시적인 현상이며 임상적인 문제없이 소실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HBeAg positivity in infants born to HBeAg and HBsAg positive mothers. Methods : The HBeAg status of 22 HBeAg positive, HBsAg negative infants born to HBeAg and HBsAg positive mothers from December 1996 to March 1999 were evaluated by enzyme immunoassay. Results : The number of HBsAg positive carrier mothers was 213(4.9%) out of 4,338 pregnant women. HBeAg was positive in 76(41.5%) out of 183 HBsAg positive mothers. Only 49 infants born to 76 HBeAg positive mothers could be evaluated; 36 infants were HBeAg positive and HBsAg negative. Laboratory follow up was possible in 22 infants. HBeAg disappeared in 7 cases within two months and in 20 cases within 12 months(over 90%). Ultimately, twenty-two babies who were HBsAg-negative and HBeAg-positive became negative for HBeAg, however, one showed HBsAg in follow up of 6 months of age. Conclusion : HBeAg positivity in infants born to HBeAg positive mothers may result from the maternofetal transmission and this HBeAg eventually disappeared without clinical significance.

      • 만성 B형 간질환에서 라미부딘 내성의 임상경과 및 예측인자

        박능화,신정우,박종호,방성조,김대현,주광로,김도하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4

        목적: 라미부딘의 투여기간이 길수록 약제내성 변이형 바이러스의 발생률이 증가하게 된다. 변이형의 장기적인 임상적 의의는 논란이 많다. 본 연구는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간질환자에서 변이형이 생긴 뒤의 임상적 경과와 변이형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성 B형 간 질환자로 진단 받은 환자 중 라미부딘 치료도중에 viral breakthrough가 생긴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0세였고 남녀 비는 105:19였다. 치료 전 혈청 평균 ALT치는 223 IU/L, 혈청 평균 AST치는 127 IU/L, 혈청 평균 HBV DNA치 1216 pg/mL, 치료 전 정량적 평균 HBeAg치 259이였다. 라미부딘은 1일 100 ㎎씩 breakthrough가 발생한 124명에게 계속 투여하였으며 1, 2개월 간격으로 간기능 검사, HBeAg, anti HBe, HBV DNA 검사를 시행하였다. 라미부딘 총 평균투여 기간은 30.5개월(범위: 10-59개월)이었으며 breakthrough 후 라미부딘 평균 투여기간은 12.5개월(범위: 1-42개월)이였다. 결과: 라미부딘 투여 환자 519명 중 124명에서 viral breakthrough가 5-41개월 사이에 발생하였으며 누적발생률은 12개월 후 8%, 18개월 후 24%, 24개월 후 36%, 36개월 후 52%였다. Viral breakthrough가 생긴 6개월 이내에 120명에서 혈청 ALT치가 상승하였으나 4명에서는 계속 정상으로 유지되었다. 혈청 ALT치는 대부분 상승한 뒤 5개월 내에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나 6명에서는 12개월 이후에 최고치에 도달하기도 하였다. ALT치는 72명(65%)에서 치료 전 값 이상으로 상승하였으며, 67명(56%)에서 정상치의 5배 이상, 29예(24%)에서 10배 이상 상승하였다. Breakthrough후에 라미부딘 계속투여로 혈청 ALT치가 정상으로 유지된 경우는 22예(18%)에 불과하였으며 98예는 치료전보다 높게 유지되었고 16예에서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Breakthrough후의 혈청 ALT치 및 AST치가 치료 전보다 의미 있게 상승하였으나 혈청 HBV DNA치는 차이가 없었다. Breakthrough후에 10명에서 HBeAg의 음전이 있었으나 5예에서는 음전 후에 HBV DNA가 재양전되고 혈청 ALT치가 상승되는 HBeAg 음성 만성 간염형태로 나타났다. Breakthrough와 관련된 예측자로 치료 중 정량적 HBeAg의 변화양상만이 유일하게 의미가 있어 감소 후 증가군 82.5%에서,. 지속적 유지군 23.7%에서 Breakthrough가 발생하였으나 지속적 감소군에서는 단지 3.5%만이 발생하였다. 또한 감소 후 증가군에서 정량적 HBeAg치의 감소 후 재상승시점은 약물투여후 평균 9개월로 HBV DNA가 재양전되는 평균시점인 16개월보다 의미 있게 짧았다. Breakthrough후에 투약을 중지한 예는 40예(33%)였다. 이 중 11예에서 중단전보다 혈청 ALT치가 상승되었으며 8개월 내에 전예에서 발생하였다. 중단시 혈청 ALT치가 치료 전 수치보다 높은 경우에서 중단한 26예 중 25명은 중단 후에 혈청 ALT치가 중단 시보다 낮았지만 치료 전 수치보다 낮은 경우에서 중단한 14명 중 10예에서 중단 후에 중단 시보다 더 높아졌다. 결론: 만성 B형 간염환자에서 라미부딘 투여 중에 발생한 HBeAg후의 임상양상은 상당수에서 급성악화를 보였다. Breakthrough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는 치료 중 정량적 HBeAg치의 변화양상만이 유일한 인자였으며 HBeAg치가 지속적 감소 후에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 경우에는 HBV DNA의 재양전보다 더 빨리 Breakthrough을 예측할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Long-term treatment with lamivudine causes breakthrough, but the clinical course after lamivudine breakthrough is not well know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linical course in lamivudine after breakthrough, and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of breakthrough. Methods: 124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who represented viral breakthrough during lamivudine therapy, were included. The mean duration of lamivudine therapy and additional lamivudine therapy after breakthrough was 30.5 months and 12.5 months, respectively. Results: The cumulative breakthrough rates at 12, 18, 24 and 36 months were 8, 24, 36 and 52%, respectively. After viral breakthrough, only 4 patients maintained normal ALT levels. 120 patients showed ALT elevatio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LT levels greater than 5 times, and greater than 10 times, the upper normal limit were 67(56%) and 29 (24%), respectively. While still on lamivudine therapy after breakthrough, 98 patients presented ALT elevation. Only 22 had normalized ALT levels. Hepatic decompensation developed in 2 patients. HBeAg seroconversion after breakthrough occurred in 10 patients. The changing pattern of quantitative HBeAg levels during lamivudine therapy was the only predictive factor associated with viral breakthrough. The mean time of turning points in decrescendo-crescendo patterns of HBeAg levels during lamivudine therapy was earlier than viral breakthrough (9 months vs. 17 month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eterioration of hepatic function can usually be observed after breakthrough. The serial monitoring of serum quantitative HBeAg levels may allow an early recognition of viral breakthrough.(Korean J Hepatol 2003;9:293-303)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만성 B형 간염에서 라미부딘의 치료반응 예측 인자로서 치료 전 ALT치와 조직학적 간염 활성도

        권영오,강경희 대한간학회 2004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0 No.1

        목적: 현재 만성 B형 간염의 치료에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라미부딘의 경우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는 뛰어나나 1년 치료시 약 15-30%, 3년 후에는 50%까지의 내성 발현율을 보이고 있어 치료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통해 적절한 치료 대상자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그러한 예측 인자들에 대한 연구 결과들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치료 전 조직학적 소견을 포함하여 어떤 인자들이 라미부딘 치료에 대한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만성 B형 간염이나 간경변증으로 진단되고 HBeAg 양성, anti HBe 음성, HBV DNA 양성이면서 라미부딘 투여 후 52주 이상 추적관찰한 99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조사를 시행하였다. 99예 모두 간조직검사를 시행하였고 만성 간염의 병리학적 등급은 대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의 제안에 따랐다. 라미부딘 치료반응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알아내고자 나이, 성별, 몸무게, 체질량 지수, ALT, HBV DNA, 간경변 유무, 조직학적 활성도 등의 변수들과 라미부딘 치료 52주 동안의 HBeAg 음전(HBe항원과 HBV DNA가 소실되는 경우로 정의)과 HBeAg 혈청전환(HBe항원과 HBV DNA의 소실과 함께 anti HBe항체가 생성되는 경우로 정의)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① HBeAg 음전율이 치료 전 ALT치가 증가할수록 높았는데, 치료 전 ALT치가 정상의 2배 이하인 군은 18.5%, 2.5배인 군은 42.9%, 4배 이상인 군에서 가장 높은 50% 이상(56.8%)의 HBeAg 음전율을 보였다(P=0.013). ② 간염 활성도가 grade 1&2인 군에 비해 grade 3&4인 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HBeAg 음전율을 보였다(28.3% vs 56.5%, P=0.004). ③ HBeAg 혈청전환도 그 비율이 HBeAg 소실률에 비해 낮으나,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④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상 상승된 ALT (P<0.05)와 조직학적 활성도(P<0.05)가 HBeAg 소실/HBeAg 혈청전환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⑤ 치료 전 ALT치가 정상의 2배 이하인 군에 비해 2-5배인 군은 9배 이상(Odds ratio 9.07, P=0.005), 5배 이상인 군은 11배 정도(Odds ratio 10.67, P=0.001)의 HBeAg 음전율을 보였다. ⑥ 간염 활성도가 grade 1&2인 군에 비해 grade 3&4인 군에서 8배 이상(Odds ratio 8.56, P=0.002) 높은 HBeAg 음전율을 보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치료 전 ALT 수치와 조직학적 활성도가 라미부딘 치료시 HBeAg 소실과 HBeAg의 혈청전환의 중요한 예측 인자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B형 간염 바이러스 증식에 대한 지속적인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 있어서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이 중요함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Aims: Lamivudine is a potent inhibitor of hepatitis B virus replication, but an increased incidence of YMDD mutation may be associated with its long term use. Thus, the decision to initiate therapy should be based on variables that are predictive of lamivudine-induced HBeAg loss. The objective of this analysis was to determine patient-dependent or laboratory variables that predict HBeAg los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99 HBeAg-positive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who were treated with lamivudine and followed up for more than 52 weeks. All patients had a liver biopsy before starting lamivudine therapy. HBeAg loss and HBeAg seroconversion after 52 weeks of treatment were defined as endpoints. Results: The overall rates of HBeAg loss and HBeAg seroconversion were 41.4% (41/99) and 37.4% (37/99), respectively. The rates of HBeAg loss increased as pretreatment ALT levels increased (p=0.013) and were highest among patients with pretreatment ALT levels greater than 5 times the upper limit of normal, occurring in 56.8% of those patients. The rate of HBeAg loss was higher in patients with more active histologic disease on pretreatment liver biopsy (Grade 1&2 vs. Grade 3&4, 28.3% vs 56.5%, p=0.004). Similar results were seen with HBeAg seroconversion, though seroconversion occurred less frequently than HBeAg los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elevated baseline ALT levels (p<0.05) and histologic activity (p<0.05) were the best independent predictors of HBeAg loss and seroconversion in response to lamivudine. Conclusions: pretreatment ALT levels and histologic activity were the most important predictors for response to lamivudine.(Korean J Hepatol 2004;10:31-41)

      • HBsAg 양성혈청에서의 HBeAg 및 anti-HBe 양성율과 ALT와의 관계 고찰

        문희주,윤기은,박정오,배형준,최범열 서울보건대학 1996 서울보건대학 부설 한국보건과학연구소 논문집 Vol.3 No.1

        The authors investigated HBeAg and anti-HBe in 1,000 cases(male 941, female 59) of HBsAg positive among the 225,512 blood donors in Seoul Nambu Blood Center in 1994. HBeAg and anti-HBe was detected by the method Enzyme Immunoass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HBeAg and anti-HBe positive rates were detected 498 cases(49.8%) and 445 cases(44.5%) respectively among 1,000 cases HBsAg positive blood donors. 2. In HBsAg positive carriers, HBeAg positive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nti-HBe positive rates, but in sex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BeAg positive rates and anti-HBe positive rates. 3. HBeAg positive 498 cases were analyzed with age and it was found percentages of positive rates were 63.6% in 1st decade, 53.7% in 2nd decade, 20.6% in 3rd decade, 19.6% in 4th decade and 8.3% in over 5th decade, but anti-HBe positive 447 cases were 32.4% in 1st decade, 40.5% in 2nd decade, 69.2% in 3rd decade, 78.3% in 4th decade and 91. 7% in above 5th decade. 4. HBeAg positive rate decreased stepwise with age, while anti-HBe positive rate increased stepwise with age. 5. ALT abnormal cases in the HBeAg positive donors were higher than normal cases, but ALT normal cases in the anit-HBe positive donors were higher than abnormal cases.

      • HBe 항원 음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혈청 HBV DNA와 ALT치

        김경환,나일환,차재문,조용기,박세영,김형필,송철수,허정,조몽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4

        목적: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은 간경변증을 흔히 동반하고 종종 심각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급성악화를 동반하며 사망률과 간암발생률이 높지만 임상 경과가 다양하여 진단과 치료지침을 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간 조직 활성도와 혈청학적 검사, 혈청 HBV DNA의 역동학에 대한 연구와 이들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예민한 정량 PCR 방법을 이용하여 HBeAg 음성인 만성 간염에서 혈청 HBV DNA치와 혈청 ALT치를 조사하고 두 검사치 간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 8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군의 평균 연령은 45세였으며, 남녀 수는 각각 61명, 21명이었다. 만성 간염은 ALT치를 기준으로 정상 상한치의 1∼2배로 상승한 군과 정상 상한치의 2배 이상으로 상승한 군으로 분류하여 혈청 HBV DNA치를 측정하고 HBV DNA치와 ALT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혈청 HBV DNA 정량은 민감도가 200 copies/mL인 Cobas amplicor HBV Monitor^(TM)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HBeAg 음성만성 B형 간염에서 혈청 HBV DNA치의 중앙값은 2.7×10^(5) copies/mL HBV DNA치는 혈청 ALT치가 2배 이상 상승한 경우 중앙값 1.0×10^(6) copies/mL로 혈청 ALT치가 2배 미만으로 상승한 군의 중앙값 5.6×10^(4) copies/m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전체 환자에서 혈청 ALT치와 HBV DNA치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416, p<0.001). 간경변 환자(중앙값 2.0×10^(5) copies/mL)에서 만성 간염 환자(중앙값 4.7×10^(5) copies/mL)보다 HBV DNA치가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6개월 이상 치료 없이 자연경과를 추적 관찰한 환자에서 혈청 HBV DNA치의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 HBe항원 음성 만성 간염에서 혈청 HBV DNA치는 ALT치가 정상 상한치의 2배 이상으로 상승한 군이 정상 상한치의 2배 미만으로 상승한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혈청 HBV DNA치는 혈청 ALT치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Background/Aims: HBeAg-negative chronic hepatitis B (CHB) has a poor long-term prognosis. Since no precise clinically relevant HBV thresholds are known in HBeAg-negative CHB, the decision to treat is difficul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evels of serum HBV DNA and transaminase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these values in patients with HBeAg-negative CHB. Methods: The study analyzed the sera from 82 patients with HBeAg-negative CHB, 61 men and 21 women. The mean age was 45 year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serum ALT levels: the patients with lower ALT level (n=52, UNL<ALT<2×UNL) and higher level (n=30, ALT≥ 2×UNL). The level of serum HBV DNA was determined by the Cobas Amplicor HBV Monitor^(TM) (Roche). Results: The median serum HBV DNA level was 2.7×10^(5) copies/mL in patients with HBeAg-negative CHB. The median serum HBV DNA level of patients with a higher ALT level (1.0×10^(6) copies/m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atients with a lower ALT level (5.6×10^(4) copies/mL)(p<0.001). The serum ALT level was correlated with serum HBV DNA levels in patients with HBeAg-negative CHB (r=0.416, p<0.001). The serum level of HBV DNA in patients with cirrhosis (median 2.0×10^(5) copies/mL) did not differ from patients without cirrhosis (median 4.7×10^(5) copies/mL). Conclusions: The level of serum HBV DNA was higher in patients with higher serum ALT level than it was in patients with lower serum ALT, and it was closely correlated with serum ALT levels in HBeAg-negative CHB.(Korean J Hepatol 2003;9:284-29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