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단지 아파트가 주거지 분리에 미치는 영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박영민(Park, Young Min),김종구(Kim, Jong Gu)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4

        근린주구론을 근거로 아파트 단지는 상가 및 학교를 중심으로 내향적으로 구성되었으며, 하나의 가구(block)를 완결된 하나의 근린주구 단위로 다루었다. 그리고 1,000세대 이상의 대단지 아파트가 확산하면서 하나의 필지가 완결된 하나의 근린주구 단위로 확장하고 있다. 근린주구론에 대해 폐쇄적인 도시공간 구조의 조성 및 인종ㆍ계층에 따른 주거지 분리를 촉발한다는 비판이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대단지 아파트가 주거지 분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상이지수와 주거지 분리지수를 활용하여 주거지 분리를 진단하였다. 그 결과, 가장 임대료가 높은 5분위와 가장 낮은 1분위 그리고 2분위에서 주거지 분리가 관측되었다. 주거지 분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공간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공통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 변수는 ‘제2종일반주거지역’, ‘제3종일반주거지역’, ‘대단지 아파트’, ‘구시가지’이다. ‘제2종일반주거지역’ 및 ‘제3종일반주거지역’, 그리고 ‘구시가지’는 주거지 분리를 경감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대단지 아파트’는 주거지 분리를 가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짐작할 수 있는 바는 특정 소득수준에만 초점을 맞춘 단순 대규모 공급보다, 각 지역에서 다양한 주거 선택의 기회가 열어주는 것이 주거지 분리와 주거 계층화, 주거 양극화 개선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점이다. Based on the ‘neighborhood unit’ theory, the apartment complex was composed internally around shops and schools, and was treated as a single neighborhood unit with one household. With the spread of large apartment complex, one lot is treated as a single neighborhood unit. Considering the criticism the ‘neighborhood unit’ created a closed urban space structure and triggered the residential segregation by race and class,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ether large apartment complex caused the residential segregation. This study diagnosed residential segregation in Busan and identified the cause of residential segregation in a regression analysis. The total number of groups was divided into five according to housing rents that explained economic conditions. To diagnose the residential segregation, the dissimilarity index and the segregation index was used. Residential segregation was observed in the 5th quintile(paid the highest housing rent) and in the 1st quintle(paid the lowest housing rent), and in the 2nd quintile.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egregation ar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d spatial regression analysis. Common variables which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are “2nd Class Residential District”, “3rd Class Residential District”, “large apartment complex” and “old town”. The “2nd Class Residential District”, “3rd Class Residential District”, and “old town” served as factors to reduce the residential segregation, while “large apartment complexes” served as factors to increase the residential segregation.

      • KCI우수등재

        대규모 재개발에 따른 소득계층별 주거 분포의 변화에 관한 연구 - 대단지아파트 조성에 따른 수도권의 주거지 분리 -

        한승혜 ( Seunghye Han ),배현회 ( Hyunhoe Bae ) 한국정책학회 2021 韓國政策學會報 Vol.30 No.2

        본 연구는 소득계층별로 주거지가 분리되는 문제에 대해 대규모 재개발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서울ㆍ인천ㆍ경기의 수도권 지역 64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각 지역의 주거지 분리 수준을 파악하고, 대규모 재개발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요인들이 주거지 분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우선 수도권의 주거지 분리는 저소득층의 분리와 고소득층의 분리로 구분하여, Wong(2005)이 제안한 일반화 상이지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지역의 도시개발현황을 반영할 수 있도록 직전 5년간 신축된 대단지아파트 건수와 다양한 주거유형(단독, 연립ㆍ다세대, 아파트)의 혼합 정도를 변수화하여 사용하였다. 주거지 분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한 결과, 대단지아파트의 신축이 많이 이루어질수록 저소득층의 분리가 심화되었으며, 주거유형 다양성이 높아지면 저소득과 고소득 모두의 분리 수준이 완화되었다. 국내의 도시정비 및 주택공급을 위한 정책들은 수급 불균형을 해소한다는 명목으로 아파트단지의 대량 공급 자체에 치중되어 있으나, 계층별 사회적 배제를 완화하고 다양성을 높이는 더 다양한 정책적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Regarding the issue of the residential segregation by income level,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impact of large-scale re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vel of residential segregation in 64 cities and coun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Incheon, and Gyeonggi,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large-scale redevelopment on the residential segregation. First, the residential segregation in the target area was divided into the segregation of the low-income families and the high-income families. These were measured using Generalized Dissimilarity Index by Wong (2005). In order to reflect the current state of urban development in each province, the number of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newly built in the previous 5 years and the degree of mixing of various types of housing were used as variable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sidential segregation, the more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were newly built, the more low-income families were segregated. The more diverse housing types existed, the more the segregation of each income level was eased. Housing policies in Korea are focused on the mass supply of apartment complexes in order to resolve the supply-demand imbalance. In the future, various policy alternatives should be suggested to ease social exclusion and increase diversity.

      • KCI등재

        교육적 수요에 따른 계층 간 주거분리 분석

        홍성효(Sung Hyo Hong),장수명(Soomyung Ja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3 No.2

        계층 간 주거분리는 해당 지역 내에서의 계층 간 통합을 저해하고 때로는 대립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긍정적 이웃효과를 제한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서구 사회에서는 계층 간 주거분리가 오래전부터 주요한 정책대상이었던 것에 반해, 우리나라의 경우 자녀의 교육으로 인한 계층 간 주거분리가 최근에서야 사회적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연구는 자녀의 교육으로 인해 야기된 계층 간 주거분리 현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가구주 학력에 의해 정의된 계층 간 주거분리의 정도를 측정하는 비유사성 지수에 의하면, 학령기 자녀를 두고 있는 가구의 경우 계층 간 주거분리가 대체로 심화됨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주로 서울, 대전, 그리고 경기에서 상대적으로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주택가격함수 추정결과 역시 초등학교에 재학하는 자녀를 두고 있는 가구의 경우 가구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주택에 대한 지불용의가 증가함을 제시한다. 이는 학교 질의 주택가격으로의 자본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소득에 의해 계층이 정의되는 경우에도 자녀의 교육이 계층 간 주거분리를 야기함을 의미한다. Residential segregation of social classes is not desirable in the sense that it restricts the positive neighborhood effect as well as it hampers integration of social classes and sometimes causes contrast among the classes. While, in the Western societies, it has been a major policy target, residential segregation of social classes due to child's education started to attract social concerns theses days in Korea.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residential segregation of social classes caused by child's education needs. According to the dissimilarity index for the social classes defined by the household head's educational attainments, the degree to which different social classes geographically segregate seems to be deepened relatively more for the households with school kids. Moreover, this phenomenon is quite remarkable in Seoul, Daejeon, and Gyunggi. In addition, the estimation results on the housing price function also suggest that, as the household income goes up, the willingness to pay for housing increases relatively more when there is a child enrolled in elementary schools. It indicates the capitalization of school quality into housing price, and implies that younger child's education brings about residential segregation of social classes even when the social classes are defined by the household income.

      • KCI등재

        소득계층간 주거지 분리의 거주지역 특성이 저소득빈곤층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상록(Lee, Sang Rok)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4

        지역사회는 사회구성원의 제반 생활상태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체계의 하나임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도시 저소득빈곤층 거주지역의 주요 특성인 소득계층간 주거지 분리가 저소득빈곤층의 정신건강 곧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전북지역 3개 도시(전주, 익산, 군산)의 소득계층간 주거분리지역(영구임대아파트 단지)및 일반 주거지역에 거주하는 저소득빈곤층을 대상으로 수집한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거주지역에 따라 저소득층의 개인 및 가구 특성에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우울감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에서는 계층간 주거지 분리는 저소득빈곤층의 우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Oaxaca와 Ransome(1994)의 분해방법을 적용하여 거주지역간 우울감 격차를 분해한 결과 두 지역의 저소득빈곤층 우울감 격차의 90.45%는 계수효과에 의거한 것으로, 곧 소득계층간 주거지 분리의 거주지역 효과 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는 저소득빈곤층의 정신건강에는 개인 및 가구 특성 뿐 아니라 계층간 주거지 분리의 거주지역 환경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바로, 저소득빈곤층의 정신건강 및 심리사회적 역량의 강화를 위해서는 거주지역의 열악성(disadvantages)해소를 위한 지역사회의 환경 개선 및 지역사회의 역량 강화를 위한 대책이 적극 필요함을 시사하여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come residential segregation on the low income classes" mental health in Korea. Recently, there is an increase in the academic interest to the neighborhood"s effects in Korea. But, they are little known to the relation between the residential segregation and the mental health. Using the survey data from the low-income classes who reside in the segregation and non-segregation areas, I analyzed the effects of the income residential segregation on the depres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epression scores differences between segregation and non-segregation low-income classes. From results of the OLS regression model analysis, I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effects of the income residential segregation on the depression.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applying the Oaxaca & Ransome"s decomposition method(1994), I found that the most of the depression score differentials between segregation and non-segregation areas are due to the neighborhood effects; the effects of the income residential segregation.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neighborhood disadvantages for the mental health and well-being of the low-income classes who reside in the public housing of the income residential segregation areas.

      • KCI우수등재

        국내 대도시의 주거지 분리 추이와 대규모 아파트단지와의 상관분석

        박영민,김종구 대한토목학회 202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0 No.6

        Residential complexes offer a sense of community and convenience, but making closed and privated space have been criticized.Closed urban spaces have issues encouraging residential segregation.large apartment complexes over 1,000 households,the most poular housing type in Korea, seems to make urban space more closed and privated than ever before. Our study puts forward and tests the hypothesis that large apartment complexes with over 1,000 households are linked to residential segregation. First of all, we examined the degree of residential segregation of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over a nine-year period (2011-2019). The issimilarity index and the delta index were used for determining the extent of residential segregation. Next, we tested our hypothesis by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alysis.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residential segregation index per administrative division (“dong”) and the number of large apartment complexes per administrative division (“dong”). 단지형 주거지 개발은 공동체 의식 촉진과 편의성 확보 등의 장점이 있지만, 폐쇄성이란 단점이 있다. 특히 1,000세대 이상의 대규모 아파트단지는 출입구에 입주민 전용 출입 시스템을 설치하는 등 물리적으로 단절된 형태들이 도시 공간을 더욱 폐쇄적으로 만들고 있다. 그러나 폐쇄적인도시 공간은 소득·인종 등의 사회적 계층의 분화와 주거지 분리를 야기한다. 따라서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주거지 분리와 관련 있다는 연구 가설을 제시한다. 가설 검정을 위해 먼저, 상이지수와 델타지수로 국내 광역시 주거지 격리의 추이를 살펴본다. 그 후, 주거지 분리와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의 상관관계는 스피어만 상관분석으로 진행한다.

      • KCI등재

        교육수준별 거주지 분리와 근린주거환경 격차: 서울시를 사례로

        정수열 ( Su-yeul Chung ),이정현 ( Jung-hyun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4

        최근 세계화와 산업구조조정으로 인해 가속되는 사회경제적 양극화는 학력자본의 세대 간 대물림으로 고착될 위험에 처해 있다. 본 연구는 학력자본의 대물림은 거주지 분리를 매개로 이루어진다는 인식 하에 중년층의 교육수준별 거주지 분리에 따른 근린주거환경의 격차를 서울시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국지적 거주지 분리 측도를 통해 근린별거주지 분리를 측정하고 자연, 주택, 지역인구, 생활·편의·교통, 교육, 복지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근린주거환경을 가늠하는 변수들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학력층별 집중-집적지 간에는 뚜렷한 근린주거환경의 격차가 나타났다. 특히 저학력층과 고학력층 집중-집적지 사이에는 주택환경과 교육환경 측면에서 정반대의 성격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도시의 계층별 거주지 분리의 원인에 대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되기도 한다. Socio-economic polarization in Korea partly due to recent globalization and industrial restructuring could reduce social mobility significantly through passing down educational achievement to one`s children. Under the notion that residential segregation is geographical frame for the reproduction of educational inequality, this research investigates residential segregation by educational attainment and neighborhood disparity with a case study of Seoul. The statistical analyses employed local segregation measures such as Location Quotient and Local Moran`s I and a variety of variables that reflect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found that there are sharp and clear contracts between low- and high-educational group concentrations/clusters particularly in terms of housing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facilities. This results provide some evidences that support the arguments about the causes of residential segregation by class in Korean Cities.

      • KCI등재

        부산지역 아파트 가격 및 거래량에 따른 주거선호지역 특성에 관한 연구

        오윤경,강정규 한국주거환경학회 2019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가격과 거래량을 기반으로 부산 지역내 주택시장을 세분화하고 2010년과 2015년의 시·공간적인 변동성에 따른 주거선호지역의 양상과 지역간 주택가격의 차이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요인들을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부산시 전역으로 16개 구·군의 205개 행정동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2010년과 2015년으로 행정동의 공간단위로 제공되고 있는 인구주택총조사의 조사기간과 일치되게 설정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주택가격 및 거래량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변수 가운데 행정동 중심으로 자료의 구축이 가능한 변수를 본 연구를 위한 분석 데이터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18개의 변수로 구성되었으며 크게 인구특성, 가구특성, 주택특성, 거래특성으로 나눠진다. 부산의 중대형 아파트(전용면적 101~135㎡)의 거래량과 거래금액을 기반으로 한 거래분포는 국지적으로 차별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산의 주택하위시장 가운데 고가 밀집지역일수록 청소년인구의 비율이 높고, 전체 주택 가운데 아파트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과 2015년의 주택거래를 기반으로 한 거래분포는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고가 밀집지역의 고착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영향력이 주변으로 차츰 확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monstrated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the pattern of residential preferred areas and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 in housing prices between regions based on the spatial-temporal variability in 2010 and 2015. The spatial range of the analysis was set based on 205 administrative areas of 16 districts throughout Busan. The variables tha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ousing prices and transaction volume were review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among them, variables that could be built based on administrative areas were determined as analysis data. Variables consist of population characteristics, household characteristics, housing characteristics, and transaction characteristics, all set at 18. The Temporal range was set in 2010 and 2015 in line with the survey period of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Korea provided data by the spatial units of the administrative areas. The distribution of large and medium-sized apartments(exclusive area 101~135㎡) in Busan has been confirmed to be discriminatory locally based on prices and trading volume.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transactions based on housing transactions in 2010 and 2015 was able to confirm that high-priced houses were concentrated and anchored in particular areas, and that its influence was gradually spreading around.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거주 분포와 민족적 배경에 관한 소고

        류주현(Ju Hyun Ryu)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8 No.1

        결혼이주자는 외국인 근로자나 유학생보다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그 영향은 결혼이주자들의 자녀로 인해 계속 증가하게 될 것이므로 중요한 지역연구 대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결혼이주자들의 차별적인 거주지 형 성을 가져오는 근본적인 원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외국인 근로자나 유학생의 경우 처음에는 주거지 선택과정이 외생 적 비자발적으로 이루어졌을지라도 점차 이주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생적 자발적으로 거주지 선택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반면에, 결혼이주자들의 주거지 분리과정은 자발적인 선택이 거의 어려운 상황에서 이주할 뿐만 아니라 이 주 후에도 주거지 변동 혹은 선택이 자유롭지 못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결혼이주자들의 차별적 주거지 분리패턴 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지역사회가 선택한 결혼이주자들의 민족적 배경과 관련지어 설명하고자 한다. 국적별 결혼 이주자의 주거지 분포 경향과 분리정도를 고찰한 후 베트남계와 필리핀계 결혼이주여성의 분포패턴을 중심으로 그 민 족적 배경과 집중 분포지역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Marriage Immigrants have greater impact on local communities than migrant workers and foreign students, all the more because their children are relatively more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the fundamental cause on the choice of residential location of marriage immigrants. Residential segregation is often considered to be one of the social problems that intensify locality of residential district. Although migrant workers and foreign students cannot freely decide their residential location at the outset, they could change their residence later on. However marriage immigrants are not free from the residential location choice continuously. The intentional (involuntary) residential segregation brings differential residence of marriage immigrants. The residential segregation of marriage immigrants is concerned with the close relationship of their ethnic background and the community characteristic with focus on Vietnamese and Filipino.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basic guideline for community development policy for marriage immigra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