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고등학생의 자존심과 방어기제

        구본권 한국인간발달학회 1995 人間發達硏究 Vol.- No.2

        본 연구는 영재 고등학생의 자존심과 방어기제 특성을 밝히는 연구였다. 연구 대상은 과학 고등학교 102명 과 일반 고등학교 100명을 대상으로 자존심 과 방어기제 도구를 사용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 학생이 평재 학생 보다 개인, 사회 자존심에서 각각 높았다. 이들의 남녀 비교에서도 영재 집단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성에 따른 자존심에서는 평재 여학생 보다 남학생이 개인 자존심이 높고, 영재학생은 반대로 여학생이 높다. 사회 자존심은 영재와 평재 모두에서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학교 성적에 따른 자존심에서 영재 학생의 성적 상 집단이 평재 상 집단에 비해 사회 자존심이 높고 특히 개인 자존심에서 더 높았다. 성적 하 집단에서는 평재 학생이 영재 학생 보다 개인 자존심이 높았다. 그러나 사회 자존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영재와 평재의 10개의 하위 방어기제에서 고립기제 만이 평재 보다 영재 학생에서 높았다. 억압, 퇴행에서 남학생 보다 여학생이 높다. 따라서 고립, 퇴행은 여학생이 더 빈번히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존심 수준에 따른 방어기제의 비교에서 자존심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승화를 제외하고 모두 낮다. 따라서 방어기제는 자존심이 낮은 집단에서 많이 사용하고 높은 집단은 승화를 많이 사용한다.

      • KCI등재

        한국인의 자존심 개념과 특성에 대한 연구

        한민,서신화,이수현,한성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9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jajonshim’ which is different from self-esteem in its social representation and concept in Korean society. In order to refine the notion of ‘jajonshim’, we first referred to literature and short essay on jajonshim and analyzed its cultural meaning and social representation in Korea. As a result, jajonshim was considered necessary condition for human beings in Korean culture. Although jajonshim was not well recognized normally, it became critical when it was threatened by others and considered to be what one must save as well. Furthermore, the ground theory designed by Strauss and Corbin was utilized in order to analyze Korean interviewees’ experience of jajonshim. Koreans believed that their jajonshim was injured when others disrespected their values, which consequently produced negative emotions. When their jajonshim was damaged, people also used 3 coping strategies to recover it. Based on the results, jajonshim was distinguished from self-esteem. First, jajonshim is a type of self-awareness people experience when they are disrespected; thus, it is different from self-esteem which is maintained stable regardless of any events or situations. Second, unlike self-esteem which is solely evaluated by oneself, jajonshim is evaluated by other people’s point of view. This study shows that jajonshim exists i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and has significance in clarifying the cognitive structure and experience process of jajonshim. 본 연구는 한국인의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자존심의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존 논문들에서 자존심은 자존감(self-esteem)과 혼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본 연구 결과 자존심에 대한 한국인의 표상 및 개념, 자존감과 구분되는 차이점들을 발견하였다. 일상적 문헌과 글짓기 분석을 통해 자존심의 문화적 의미와 사회적 표상을 알아본 결과 한국인에게 있어 자존심이란 인간이라면 반드시 가져야 하는 필요조건이자 평소에는 흠이 없고 반듯하게 유지되어 잘 인식되지 않는 개념으로, 자존심이 유지되지 못할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야 비로소 자신의 자존심을 인식하며 자존심은 상하는 것, 지켜야 하는 것, 버릴 수 있는 것이라는 표상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자존심 경험에 대한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개방형 설문과 반구조화 면접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근거이론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존심은 자기 가치를 손상 받았을 때 발생하며 특히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상대방과의 관계가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자존심 경험은 부정적인 감정이라는 현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존심을 경험하면 사람들은 이로 인한 부정적인 감정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적인 전략을 사용하며 자존심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그 결과 세 가지의 자존심 상함에 대한 대처 유형이 발견되었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존심과 자존감의 차이를 규명하였는데, 자존심은 평소에 인지하고 있는 자기개념이 아니라, 사건이나 계기에 의해 경험하게 되는 자기인식으로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자존감과 구별되는 개념이라 할 수 있고, 자신의 가치를 스스로 평가하는 자존감과 달리 자존심은 타인의 관점에서 평가되는 자신의 가치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존심이 한국인이 살아가는 삶의 맥락 속에 존재하며 그 만의 독특한 인식 체계 및 경험구조를 갖는 문화적 개념임을 밝혀낸 것에 그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루소의 자존심amour-propre에 대한 새로운 해석들 - 덴트와 롤즈, 그리고 노이하우저 -

        김주휘 대한철학회 2020 哲學硏究 Vol.156 No.-

        Rousseau’s amour-propre has long been thought to be vanity and considered as a moral evil in itself. According to this understanding, Rousseau’s works as a whole suffer a fundamental contradiction. If human social life necessarily begets amour-propre, and it is a moral evil in itself, the morally justified form of human life must be found, if any, at the pre-social stage of human history. Many interpreters of Rousseau followed this path. However, in this case, we cannot explain the project of Social Contract, i.e., Rousseau’s project of giving an idea of legitimate social and political order, which has exerted great influence on the modern era. Thus arises ‘the problem of Rousseau,’ as Cassirer called it. In this work we introduce and examine some representative works on Rousseau’s amour-propre, which questio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reading of it. At first we introduce the work of Dent, who paved the way for a new interpretation of amour-propre and showed how we can understand Rousseau’s works as composing a coherent system. He showed persuasively that we cannot identify amour-propre simply with vanity and that amour-propre coul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n equal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After Dent’s groundbreaking work, many researchers began to give notice to the more positive roles of amour-propre in human social life. Here especially we deal with Neuhouser’s bold claim that amour-propre contributes to the constitution of a rational subject, not only in the cognitive but also in the conative aspect. In consideration of some of the arguments in the direction of this new understanding, we feel the necessity of seeing Rousseau in his era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he fighting for and against with his idea of amour-propre?’ 루소에 대한 연구에서 자존심은 매우 오랫동안 허영심과 같은 것으로서 그 자체로 만악의 근원으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이해에 따르면 루소의 저작 전체는 하나의 커다란 모순을 품게 된다. 자존심은 사회적 삶에 필연적으로 뒤따르는 것이며, 그러한 자존심이 만악의 근원이라면 도덕적으로 정당한 삶은 사회적 삶 이전의 단계, 즉 인간의 삶의 전사회적 단계에 있을 수밖에 없다. 많은 해석자들은 루소의 이상적 삶을 그렇게 이해해왔다. 그런데 이 경우 우리는 루소의 『사회계약론』의 기획, 즉 정당한 사회적・정치적 질서에 대한 적극적인 구상을 전혀 이해할 수가 없게 된다. 이로부터 카시러가 지적한 유명한 ‘루소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 글에서 우리는 루소의 자존심에 대한 위와 같은 해석의 자명성에 문제제기를 한 대표적인 연구들을 소개하고 그 논변들을 검토할 것이다. 가장 먼저 루소의 자존심에 대한 관례적인 해석을 거부하고 새로운 이해를 제시한 이는 덴트Dent인데, 그의 문제제기가 힘을 얻으면서 루소 연구의 장에서는 가히 혁명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커다란 변화가 생겼다. 덴트는 루소에게서 자존심을 도덕적 악으로서의 허영심과 단순하게 동일시할 수 없음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자존심을 다른 각도에서 볼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덴트 이후 여러 연구자들이 루소의 사유에서 자존심이 갖는 긍정적인 역할들에 주목하게 되었고, 덴트가 제안한 것보다 더 광범위한 자존심의 역할을 주장하는 입장도 나왔다. 우리는 이 글에서 덴트의 새로운 해석 및 그와 유사한 취지를 갖는 롤즈의 해석, 그리고 덴트 및 롤즈의 새로운 해석 방향에 동의하면서 그로부터 한 걸음 더 나아간 주장을 전개하는 노이하우저의 해석까지, 루소의 자존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시도들을 소개하고 간략하게 평가할 것이다.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自己灣入에 관한 예비 연구

        박성봉,김영미,전성일,이기철,김영훈,정영조,이영렬,이정호,최영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6

        목 적 : 정 신분열병 환자의 자기만입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변인들 및 질병연관 변인들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환자들의 자기만입과 병식 사이의 연관성. 자기만입과 자존심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신과 의사가 병록지와 면담을 통하여 대상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인구학적 변인들 및 질병연관 변인들에 관한 자료를 얻고 환자들의 병식 정도를 평가한 후, 환자들로 하여금 자기보고형의 자기만입 척도와 자존심 척도를 시행하게 하였다. 총 111명의 환자가 연구대상으로 선택되었다. 결과: . 1)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은 자기만입 척도 점수를 나타내었다 2) 질병연관 변인들 중 하위집단 사이에 자기만입 척도 점수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은 없었다. 3) 자기만입 척도 점수와 병식 점수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4) 자기만입 척도 점수와 자존심 척도 점수 사이에 유의한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 론 : 본 예비 연구의 결과로 보아 정신분열 병 환자의 병식이 부족한 상태에서도 자기만입이 진행될 수 있으며. 자기만입이 심할수록 환자의 자존심이 저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여자 환자들이 남자 환자들보다 자기만입에 더 취약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정신분열 병 환자의 이해와 치료를 위하여 자기만입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emographic variables and illness related variables which may affect the severity of self-engulfment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e also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ngulfment and insigh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ngulfment and self-esteem. Methods : Data on demographic variables and illness related variables for the subjects were gathered from hospital records and clinical interviews by the psychiatrists. Degree of insight for the subjects was assessed through clinical interviews by the psychiatrists. Degree of self-engulfment and self-esteem for the subjects was assessed from the self-engulfment scale and the self-esteem scale respectively. A total of 111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ere sele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1) The female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males on the self-engulfment scale. 2) There was no illness related variable, which exhibit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ubgroups on the self-engulfment scale. 3)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ngulfment scores and the insight 4) There was a significantly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ngulfment scores and the self-esteem score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preliminary study suggest that self-engulfment may develop despite lack of insight and that there was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self-engulfment and self-esteem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t also suggests that females are more subject to self-engulfment than males. So, authors suggest that it is valuable to do further studies of self-engulfment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KCI등재

        A Study on Heroic Words in Old English Poetry

        Dong-ill Lee(이동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2 외국문학연구 Vol.- No.10

        영웅주의를 표방한 고대영웅시의 이해는 독특한 행동철학의 특성상 philology에 입각한 고증학적 어휘연구가 선행되어야한다. 한 군주를 둘러싼 일단의 선택된 무사 집단에서는 독특한 행동철학이 존재한다. 군주는 평화시에 신하들에게 보물을 하사하며 경제적, 법적 안위를 약속하며 대신 신하들은 국가의 비상시에 군주와 국가의 안전을 위해 목숨을 바칠 것을 맹세한다. 이러한 상호계약 속에서 comitatus라는 집단은 존속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comitatus의 구성원들은 명예를 종교적 차원의 불멸성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이의 축적을 위해 목숨을 불사한다. 이러한 독특한 행동철학이 존재하는 영웅주의 사회에는 용사들 간의 명예와 자존심을 둘러싼 심리적 갈등이 증폭하게 된다. 더욱이 구성원들의 인적요소와 역사적 배경이 다른 두 집단 사이에서의 갈등은 매우 복잡한 양상을 갖게 된다. 『베오울프』에서 전개되는 주인공 베오울프와 운페르드 사이의 설전장면(499-529행)은 이러한 용사들 사이의 심리적 갈등 구조를 잘 보여주고 있다. 자신들이 격퇴하지 못한 괴물 그렌델을 외지인 베오울프가 출현하게 되자 덴마크 왕국에는 베오울프에 대한 시기와 함께 긴장감이 감돌게 된다. 운페르드의 대시를 놓고 그 진의(眞意)에 대한 논의가 세계학계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philology에 입각하지 않고 문맥의 내용과 대사가 풍기는 정서적 면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웅주의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일련의 어휘를 분석하여 운페르드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for wlence, for dolgilpe, nep don, belean, swuncon 등은 영웅주의 행동철학을 반영하는 어휘들로써 상황에 따라 부정적 의미는 물론 긍정적 의미를 내포한다. 한 예로써 wlenco는 종교시에서는 부정적 의미의 ‘자만, 긍지’를 뜻하나 영웅시에서는 용사 자신의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어휘로 간주되며 또한 영웅적 기개를 토로하는 용사의 자질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운페르드의 베오울프를 겨냥한 대사는 자신은 물론 베오울프의 당당한 기세로 위축된 덴마크의 자존심을 회복시킬려는 의도로 간주된다. 영웅주의를 표방한 고대영웅시의 이해는 독특한 행동철학의 특성상 philology에 입각한 고증학적 어휘연구가 선행되어야한다. 한 군주를 둘러싼 일단의 선택된 무사 집단에서는 독특한 행동철학이 존재한다. 군주는 평화시에 신하들에게 보물을 하사하며 경제적, 법적 안위를 약속하며 대신 신하들은 국가의 비상시에 군주와 국가의 안전을 위해 목숨을 바칠 것을 맹세한다. 이러한 상호계약 속에서 comitatus라는 집단은 존속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comitatus의 구성원들은 명예를 종교적 차원의 불멸성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이의 축적을 위해 목숨을 불사한다. 이러한 독특한 행동철학이 존재하는 영웅주의 사회에는 용사들 간의 명예와 자존심을 둘러싼 심리적 갈등이 증폭하게 된다. 더욱이 구성원들의 인적요소와 역사적 배경이 다른 두 집단 사이에서의 갈등은 매우 복잡한 양상을 갖게 된다. 『베오울프』에서 전개되는 주인공 베오울프와 운페르드 사이의 설전장면(499-529행)은 이러한 용사들 사이의 심리적 갈등 구조를 잘 보여주고 있다. 자신들이 격퇴하지 못한 괴물 그렌델을 외지인 베오울프가 출현하게 되자 덴마크 왕국에는 베오울프에 대한 시기와 함께 긴장감이 감돌게 된다. 운페르드의 대시를 놓고 그 진의(眞意)에 대한 논의가 세계학계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philology에 입각하지 않고 문맥의 내용과 대사가 풍기는 정서적 면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웅주의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일련의 어휘를 분석하여 운페르드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for wlence, for dolgilpe, nep don, belean, swuncon 등은 영웅주의 행동철학을 반영하는 어휘들로써 상황에 따라 부정적 의미는 물론 긍정적 의미를 내포한다. 한 예로써 wlenco는 종교시에서는 부정적 의미의 ‘자만, 긍지’를 뜻하나 영웅시에서는 용사 자신의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어휘로 간주되며 또한 영웅적 기개를 토로하는 용사의 자질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운페르드의 베오울프를 겨냥한 대사는 자신은 물론 베오울프의 당당한 기세로 위축된 덴마크의 자존심을 회복시킬려는 의도로 간주된다.

      • KCI등재

        <紅白花塼>의 갈등의 실체와 소설사적 의미

        최윤희 동양고전학회 2007 東洋古典硏究 Vol.28 No.-

        본고는 <紅白花傳>의 주요 갈등인 혼사지연과 관련된 면모에 중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계일지와 순직소의 혼사를 지연시키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계동영과 순경화의 성격과 자존심 대결에서 비롯한다. 계동영은 자신보다 열등했던 순경화를 상황이 바뀌었음에도 인정하려 들지 않았다. 이로 인해 빈천한 계동영은 순경화를 속물적 인간으로 천시하였고, 부귀한 순경화는 계동영의 거만함을 꺼려하였다. 그러므로 계동영은 스스로 상처받았다고 여기는 자존심 회복을 위하여 아들의 출세와 혼인에 집착하였으며, 순경화는 자신의 자존심에 토대가 되는 부귀에 더욱 집착한 것이다. <紅白花傳>에서 이러한 갈등이 전개될 수 있었던 것은 출세와 부귀를 부정하지 않는 등장인물의 배치에 있다. 또 다른 하나는 탁월한 심리묘사를 통해 인물 내면의 면면을 지적해내고 있다는 점에 있다. 아울러 계동영의 상처받은 자존심의 실상을 구체적이고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있지만, 그 인물 형상과 행동 그리고 둘러서 말하는 화자의 표현을 통해서 계동영의 열등감과 그 회복 노력을 읽을 수 있다. 이같은 점이 <紅白花傳> 갈등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갈등을 중심으로 본 <紅白花傳>은 애정전기의 모습을 띠면서도 재자가인소설의 면모를 여실히 지니고 있는 작품임 동시에 초기 장편소설로 이어지는 소설사의 맥을 잇고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delayed marriage and other related aspects, the major discord in the novel <Hong-Baek-Wha-Chon>. One of the most fundamental causes for the marriage delay between Gyeilji and Sunjikso is the confrontation of characteristics and self-respect between Gyedongyeong and Sungyeonghwa. Gyedongyeong refuses to acknowledge Sungyeonghwa, who was inferior to him in the past, despite the changed situation. Therefore, the lowborn Gyedongyeong despised Sungyeonghwa as a snob, while Sungyeonghwa hated the arrogance of Gyedongyeong. Consequently, Gyedongyeong stuck to the success and marriage of his son for the restoration of his self-esteem, while Sungyeonghwa adhered to a further wealth and fame, which are the foundation of her own pride. It was the arrangement of characters who do not deny the success and riches that made possible the development of discord in the novel <Hong-Baek- Wha-Chon>. In addition, the excellent description of psychological states of the characters is successfully reveals the internal side of each character. Hurts in the pride of Gyedongyeong are not presented clearly and concretely. But Gyedongyeong’s inferiority complex and his efforts to overcome it could be found through the roundabout discourse as well as the configuration and behavior of the characters. Such aspects of discord, therefore, could be cited as the main features of the novel <Hong-Baek-Wha-Chon>. Such aspects also reveal the features of <Hong-Baek-Wha-Chon> as a “wit-and-beauty” novel, which is at the same time a love story.

      • KCI등재

        授权型领导力对中国8090后职场员工的创新行为的影响: 有调节的中介效应研究

        양미림,왕지성,강동위 한국동북아학회 2017 한국동북아논총 Vol.22 No.3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comprised 237 Chinese post-80, 90s generation employees in different industries. We use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o test the variables of the proposed model simultaneously and also explored the mediation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Results showed that empowering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intrinsic motiv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intrinsic motiv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Moreover, self-esteem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trinsic motivation. However, Self-esteem moderates the strength of the mediated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via intrinsic motivation, such that the mediated relationship is weaker when self-esteem is high. Perhaps, due to the culture of Confucianism and collectivism, and the character weaknesses and personality, Chinese post-80,90s generation employees who are high self-esteem may should be managed by rules or regulations than the supposed freedom or autonomy. 중국에서 빠링허우, 지우링허우(8090후: 80년대에서 90년대에 출생한 세대)는 줄곧 하나의 특수한 집단으로 여겨져 왔다. 이들은 성장과정 중 중국의 개혁개방정책의 성과를 누렸으며, 때문에 상대적으로 선명한 시대적 색채를 띠게 되었다. 오늘날, 그들 대부분은 사회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경력을 쌓아 각 분야의 주력으로 성장하였고 기업과 사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며, 이와 동시에 경제의 글로벌화 추세 속에서 나날이 증가하는 경쟁에 직면하고 있다. 기업과 사회는 모두 끊임없는 혁신을 통하여 그 경쟁력을 키워나가는데, 이 때 기업의 관리계층이 어떻게 '80~90년대생'이라는 특수한 집단을 이끌어 나갈 것인지가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중국 8090후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37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가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내재적 동기부여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개인혁신행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동기부여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개인혁신행위 간의 관계에 대하여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자존심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내재적 동기부여 간의 관계에 대하여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자존심이 높을수록 내재적 동기부여와 임파워링 리더십과 내재적 동기부여 간의 정의 관계를 약화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마지막으로, 임파워링 리더십은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하여 개인혁신행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 때 자존심은 그 중 동기부여 과정에 관여하여 그 최종적 효과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간접효과는 자존심이 높을 때 약하다. 연구결과에 의하여 기업 관리자는 임의로 임파워링 리더십 방식을 취하기보다는 각 구성원의 개성에 따라 그에 적절한 리더십을 발휘해야만 기업과 구성원의 더 나은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다.

      • KCI등재

        소년보호지도에서 자존심의 의미

        홍성열 한국소년정책학회 2003 少年保護硏究 Vol.- No.5

        Self-esteem is one of the most import factors in juveline guidance because it manipulates to our thinkings and behaviors. Such self-esteem is shown to and evaluated by others in social interaction. And we reform it perceiving our image evaluated through others. James, Mead, and Cooley stressed it is formed in social interaction but the big issues among the current researchers are dimemsionality and variability in self-esteem. If we accept unidimensionality and stability of it, we don't expect more the psychic growth of juvenile guidance. However we get multidimensionality and variability, we can take always apportunities which the self-esteem of juvenlie be changed. Although the general self-esteem of a certain juvenile is low, one of several sub-dimensionalities might be higher compared to others. Eemphasizing it especially, the juvenile guiders can help in order that juveniles placed in bad conditions can reform their self-esteem.

      • KCI등재

        時調를 통한 松伊와 黃眞伊의 同異性 비교 고찰

        이화형(Lee, Hwa-Hyung) 한국시조학회 2011 시조학논총 Vol.35 No.-

        기생들의 문학은 사대부들의 문학과 더불어 우리 문화사에 소중한 발자취로 남아 있다. 기생들이 읊은 시조 역시 사대부들의 것과 함께 우리 시가사에서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심도 있는 연구의 결과 기생들의 문화사적 역할과 성과에 따른 상당한 평가가 내려지고 있다. 특히 기생 松伊는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기고 일찍이 名妓로 평가받은 바 있으며, 역시 명기로 예술적 재능을 인정받은 黃眞伊도 6수나 되는 시조를 남기면서 현재 고교 문학교과서 수록 1위에 오를 만큼 모두가 보물처럼 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기생으로서 전문적 문인의 위상을 보이며 어느 누구보다 자존심이 강했던 조선중기의 이 두 여성이 공통점과 더불어 사뭇 성향을 달리함에도 불구하고 비교 논의되지 않았던 점은 아쉬움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詩妓들은 물론 여성이자 기생으로서의 삶과 의식에 있어 한계도 드러낼 수밖에 없었지만 재능과 교양을 갖춘 인간으로서 근원적 자존심을 숨길 수 없었다. 다만 그들은 신분적 갈등을 느끼면서도 사회적 규범을 벗어나기에는 역부족이었고 자연히 그들의 시적 대상은 정치적 현실과 거리를 둔 근원적 인간 내면의 문제로 기울어졌을 것이다. 다시 말해 詩妓들은 주로 애정관계를 시적 모티브로 삼아 인간의 총체적인 삶의 지향성에 대해 고민했다고 볼 수 있다. 송이와 황진이의 시세계도 존재론적인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무엇보다 두 시인이 자존심을 바탕으로 순수와 진실을 추구함에 있어서는 동질적이라 할 만하며, 신분적 한계로서의 정념에 시달렸던 것도 마찬가지로 동일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황진이는 늘 자신감에 차 있고 주체적 입장에서 의지적으로 인간과 세상을 보고자 했다면, 송이는 자신감과 달리 비교적 감성적이며 소극적인 성격의 자조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하겠다. 자신들의 고유한 체험이 보다 진솔하게 구현된 시조작품을 통해 조선중기에 활동했던 대표적인 두 기생을 비교해 봄으로써 기생들 작품세계의 전반적 특성과 아울러 다채로움을 이해하는 단초가 될 수 있었다고 본다. The literature of kisaeng is so important in Korean literature. The kisaeng's sijos are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history of poetry. They are set a high value on kisaeng's art abilities and literary works by the lots of studies. Especially, Songi was evaluated as an outstanding gisaeng and poet. And the most famous woman artist, Hwangjini handed down 6 sijos also. But they are not compared though they are the representative kisaeng artists in Choseon dynasty. It is so inconvenient not to study on two women and their works. They had some limits as women and kisaeng in life and thinking. But they had some kind of prides as talented human beings. It was hard to escape from social rules though they had conflicts in status. It was right to have concern on the nature and write about ultimate matters on human beings. They are concerned about the ultimate purpose of life and they made poetic motive as love affair. The poetic directivity of Songi and Hwangjini stood on essentiality of ontology. They had similarity in the point of that they pursued purity and fidelity on pride and suffered by the limits on status. Hwangjini had confidence in herself and tried to see the human and the world as strong subject. But Songi showed sentimental, passive and self ridicule inclination. It is so important to compare two representative women poets and their poetry in Choseon dynasty in this study. Because it make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versity of kisaeng's literature.

      • KCI등재후보

        A Study of Research Trends in Korea o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Imjin War)

        Han Myung-Gi(한명기)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8 No.2

        임진왜란은 한국인들의 對日認識이 굳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15세기까지는 조선 지식인들의 일본 이미지는 양면적이었다. 한편으로는 倭寇의 피해 때문에 그들을 부정적으로 보면서도 다른 한편에서는 그들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었다. 16세기 이후 조선에서는 尊明意識이 높아가는 경향과 맞물려 일본을 문화적으로 下視하는 경향이 높아져 갔다. 그 같은 와중에 임진왜란을 겪게 되자 조선 지식인들은 일본을 ‘영원히 함께 할 수 없는 원수’로 여겼다. 하지만 임진왜란 이후 조선은 일본과 ‘내키지 않는’ 和解를 할 수밖에 없었다. 滿洲의 위협이 높아졌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1627년과 1636년 잇따라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일본의 존재감은 더 커진다. 만주(-淸)의 압박에 시달리던 조선은 일본에 더 유화적인 자세를 취해야만 했다. 일본을 ‘友邦’으로 삼아 청에 맞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윽고 19세기에 이르러 일본의 위협이 다시 높아지면서 임진왜란의 원한과 적개심 또한 다시 부상하는 양상을 보인다. 식민지 시대 한국인 연구자들은 국권을 회복하고 민족적 자존심을 고양하기 위해 임진왜란을 연구했다.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을 물리친 李舜臣을 ‘영웅’으로 부각시켜 민족적 자존심의 회복을 꾀하는 한편, 이순신 같은 영웅이 다시 나타나기를 열망했다. 1945년 이후 임진왜란 연구의 중요한 코드 또한 ‘자존심’이었다. 1960년대 이후 본격화된 임진왜란 연구에서는 義兵과 이순신을 비롯한 다양한 주제들이 탐구되었다. 무엇보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이 힘껏 저항했다는 것’, ‘임진왜란은 결코 조선이 패한 전쟁’ 아니라는 것을 밝히기 위해 노력했다. 1970년대에는 군사정권의 ‘민족의식 고양’ 노력과 맞물려 이순신 등에 대한 강조는 더욱 심화되었다. 임진왜란 연구가 ‘영웅사관’과 ‘국난극복사’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가게되었다. 비록 다루는 주제가 다양해지고, 이용하는 사료가 확대되는 등의 발전이 있었지만 1980년대의 연구 경향도 70년대까지의 연구 경향과 유사한 측면이 많다. 1990년대 이후 임진왜란 연구는 양적으로 확대되고 질적으로 심화되었다. 특히 임진왜란을 一國史의 시각이 아니라 동아시아, 나아가 세계사적 시각에서 보려는 경향이 확산되었다. 새롭고 다양한 주제들이 대거 발굴되었다. 전쟁의 원인, 전개, 결과 등 구체적인 측면 뿐 아니라 전쟁을 겪은 다양한 신분과 계층사람들의 전쟁 체험과 기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 또한 새로운 연구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Following the Imjin War, the way Koreans viewed the Japanese came to be fixed. Prior to the war, Koreans held a mixed view of Japan and its people. Some Koreans held a negative view of Japan due to the damages inflicted by Japanese pirates, while there were others who held a positive view of Japan. In the 16th century and thereafter, Koreans tended to look down on Japan as being a culturally inferior country in tandem with their respect for Ming China as being the No.1 civilized country. The war cemented their view and Korean intellectuals came to regard the Japanese as being an enemy that they could not share the sky with. As it happened, the threat from the Manchurians made Korea mend fences with Japan. Following attacks by the Manchurians in 1627 and 1636, Japan’s presence loomed larger than before. Korea had to take a conciliatory attitude toward Japan. A leading scholar went so far as to insist that Korea should establish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Japan and depend on its power to fight the Qing. By the 19th century, Koreans’ animosity towards Japan, particularly their hatred for them, which was caused by the Disturbance of Imjin, re-surfac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Korean historians studied the Imjin War out of the desire to recover the country’s sovereignty and sense of national pride. They wanted to inspire Koreans’ national consciousness by having them remember how their ancestors got over national crises and to get out of the humiliating situation of the colonial rule under the leadership of national heroes like, Admiral Yi Sunsin. A sense of pride was the core factor in Korean researchers’ study of the Imjin War following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In the 1960s, Korean researchers carried out their studies of the Imjin War in earnest. They explored diverse subjects, such as militias and Yi Sunsin. They focused on events that would point to Koreans’ diehard resistance during the war and on the Imjin War not becoming a lost war for Korea. In the 1970s, the social atmosphere was about upholding past war heroes like, Yi Sunsin, under the encouragement of the military regime. Studies on the Imjin War were moving in the direction of praising war heroes who got the country out of hardships. In the 1980s, the subjects that were dealt with became more diverse and researchers used more historical materials, but the overall trend of research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1970s. In the 1990s and thereafter, studies on the Imjin War deepened and widened. The new prevailing view was that the Imjin War should be reviewed from a perspective of East Asian history and, for that matter, world history rather than that of a specific country. Active studies were made on details of the said event with a focus on facts that had remained unknown. There was also a new research trend where there was a heightened interest in the stories about those from diverse walks of life who experienced the war and their memories about the war as, well as a focus being placed on concrete aspects of the war, such as the cause, development, and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