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대상 시조 교수-학습 모형 연구

        이명애,박소연 한국시조학회 2022 시조학논총 Vol.57 No.-

        This study focuses on Sijo covered in literary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aims to develop and apply their teaching-learning models.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is great, and this has been specifically identified regarding the integration of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eign learners can not only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in the process of encountering literary works, which are refined creations in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grow through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life, thoughts, and feelings, and through literary experiences. Sijo is significant as a current and ongoing form unique to Korea, which originated in Korea among the literary genres and remains widely enjoyed and created to this day. This uniqueness is also the reason why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ticularly considers the recent trend of expanding its sphere of interest to Korean history, literature, culture, etc. Based on the analysis that research has thus far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genre and works of Sijo and that the specific methodology of expression activities is lacking, this study focused on the learner-centered active expression education method. In Chapter 2, we discussed what and what to address in the teaching-learning of Sijo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ow to address is. Regarding teaching-learning contents, the understanding of the Sijo genre, the appreciation of old Sijo and modern Sijo, and the creation of Sijo were suggested.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the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fixed poetry and free poetry, active literary appreciation activities, and writing of Sijo were suggested. Here, a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the creative activities of Sijo was devised. It consists of three lines of writing in the stage of “presentation-development-significance”, setting the subject and material, writing according to the Sijo style, and refining and completing it in the order of completion. Chapter 3 describes the process of applying this model to the classroom. In Chapter 4, this model was shown to be effectively applied in class through learners' writing results and self-evaluation. Based on the discussion and class results, an overall procedural model of Sijo class was presented, which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Sijo teaching-learning along with the Sijo creation model.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학 교육에서 다루어지는 장르 가운데 시조에 집중하여 이의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학을 통한 외국어 교육의 효과는 크며 이는 언어, 문학, 문화의 통합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어교육에서도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로 된 정제되고 세련된 창작물인 문학 작품을 접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 기능의 향상뿐 아니라 한국인의 삶과 생각 및 감정에 대한 이해와 문학적 체험을 통해 성장할 수 있다. 시조는 문학 장르 가운데 한국에서 발생하여 현재까지 널리 향유되고 창작되고 있는 한국 고유의 현재 진행형으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시조의 고유성은 한국어교육이 한국의 역사, 문학, 문화 등으로 관심의 영역을 넓히는 최근의 추세에 특별히 시조를 주목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이제까지 연구가 시조의 장르 및 작품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하였고 표현 활동의 구체적인 방법론이 부족했다는 분석하에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표현 교육 방안에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2장에서 한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시조 교수-학습에서 무엇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를 논의하였다. 교수-학습 내용으로 시조 장르의 이해와 고시조와 현대시조의 감상, 시조의 창작을 제안하였고, 교수-학습 방법으로 다른 나라 정형시 및 자유시 등과 비교, 능동적인 문학 감상 활동, 그리고 시조 쓰기를 제안하였다. 여기서 시조 창작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을 구안하였다. 주제와 소재의 설정, ‘제시-발전-의미화’ 단계로 3줄 쓰기, 시조 형식에 맞춰 쓰기, 퇴고 및 완성의 순서로 구성하였다. 3장에서 이 모형을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시행하는 과정을 기술하였고. 4장에서 수업의 결과를 학습자들의 쓰기 결과물과 자기 평가를 통해 이 모형이 실제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됨을 보였다. 논의와 수업 결과를 바탕으로 시조 수업의 전체 절차 모형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시조 창작 모형과 더불어 시조 교수-학습에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현대시조의 기독교적 상상력 연구

        민병관(Min, Byeong-Kwan) 한국시조학회 2015 시조학논총 Vol.43 No.-

        현대시조에 나타난 기독교적 상상력에 관한 연구는 양적으로 영쇄한 편이다. 이 연구는 기독교 문학의 심도있는 이해와 기독교 시조문학사의 올바른 정립을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이다. 현대의 시조시인 중에서 기독교적 상상력을 드러낸 시조를 가장 많이 쓴 선정주 시조시인과 장순하 시조시인의 시조를 텍스트로 삼고자 한다. 먼저, 선정주 시조시인(1935~2012)의 시조에 드러난 기독교적 상상력을 파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선정주 시인은 목회자로서 생전에 6권의 시조집과 1권의 시조선집을 발간하였다. 그가 발표한 시조의 대부분에는 기독교적 상상력이 침윤되어 있다. 특히 그의 시조에는 기독교 관련 내용들을 역설적 상상력을 활용하여 시적으로 형상화한 작품들이 다수 있다. 역설적인 표현을 통해 목회자로서 가지게 되는 종교적 번뇌와 구도자적 열망을 드러낸 시조가 다수 있다. 아울러 역설적인 표현을 통해 부활신앙에 대한 시인의 확고한 믿음을 표출한 시조도 다수 있다. 다음으로, 장순하 시조시인(1928~)의 시조에 드러난 기독교적 상상력을 파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장순하 시인은 12권의 시조집과 1권의 전집을 발간하였으며, 현재까지 시조 창작을 하고 있는 현대시조계를 대표할만한 원로 시조시인이다. 그는 1996년 기독교에 입문하여 시조집사랑학 입문에 있는 210편을 포함하여 200편이 훨씬 넘는 기독교 관련 시조를 발표하였다. 그의 기독교 관련 시조에는 성경 구절 등을 인용하거나 성경 속의 예화를 차용한 작품들이 대다수이다. 인유적 상상력을 통해 그는 신앙고백을 하고 있으며 종말사상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시조가 다수 있다. 이와 같이 살펴본 결과 두 시조시인의 기독교 시조에 나타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선정주 시조시인의 기독교 시조는 목회자로서의 사명감과 갈급한 심정 및 부활신앙을 역설적 상상력을 통해 형상화하였다. 장순하 시조시인은 성경 구절을 그대로 인용하거나 변용하는 방법인 인유적 상상력을 통해 자신의 신앙을 고백하고 종말사상을 형상화하였다. 두 시조시인의 기독교 시조에 나타난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선정주 시조시인과 장순하 시조시인은 기독교적 상상력을 표출한 시조를 다수발표했으며, 각자 개성적인 기독교 시조의 한 영역을 구축하였다. 두 시조시인의 기독교 시조에는 기독교의 핵심 교리와 기독교에 대한 절실한 신앙심을 표출한 작품이 다수 있다. 두 시인의 기독교 시조는 나름의 시적 성취를 이루었으며 기독교 시조의 양적, 질적 심화에 기여를 했기에 기독교 시조문학사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확보할 만하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앞으로 기독교 관련 시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 보완해야 할 과제와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창작을 한 다른 시조시인의 작품을 대비하여 고찰함으로써 기독교 시조의 정체성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창작을 한 다른 자유시와의 대비 연구를 통해 한국 기독교 문학의 위상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about Christian imagination reflected in modern sij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helpful to deeply understand Christian literature and clarify the history of Christian sijo literature. For this purpose, the study focused on pieces of sijo written by Seon Jeong-ju and Jang Sun-ha both of whom put out lots of sijo based on Christian imagination. The two poets are common in that they were bor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started their career as a poet at an almost same time. First of all, how a sijo writer, Seon Jeong-ju applied Christian imagination to his pieces of sijo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a poet and paster, Seon Jeong-ju wrote and published 6 volumes of sijo collection. His pieces of sijo were all written based on Christian imagination. Many of the pieces contain Christianity-related stories that were poetically represented through paradoxical imagination. Among pieces of sijo written by Seon Jeong-ju, some reveal enthusiasm for seeking after truth that he kept in mind as a clergyman and others, the poet’s strong belief in the Resurrection. Next, Christian imagination that another sijo writer Jang Sun-ha reflected in his works can be briefed as follows. The poet published a sijo collection of his own in 2010. As one of the best representatives of the modern sijo circles, he is a veteran poet who is still creating pieces of sijo. Since he became a Christian in 1996, he has released more than 200 pieces of Christianity-based sijo including those contained in his sijo collection, 『Introduction to Love Studies』. Most of the Christian poets quoted words from the Bible or borrowed episodes described in the Book. In those poets, he uses imagination that is allusive to the confession of his faith and, in some cases implies his own views of eschatology. In conclusion, both Seon Jeong-ju and Jang Sun-ha wrote and published lots of sijo works on the basis of Christianity, and each of them built up his own world of Christian sijo. In many of the two poet’s pieces of sijo, critical doctrines of Christianity and their desperate devotion to that religion are found. Both of them made remarkable poetic achievements, so they deserve being recognized as second to none in the history of Christian sijo literature.

      • KCI등재

        고정옥의 ‘장시조론’과 작품 해석의 한 방향

        김용찬(Kim Yong-chan) 한국시조학회 2005 시조학논총 Vol.22 No.-

        이 논문은 국문학자인 고정옥(高晶玉)의 저서 『고장시조선주』를 검토하여, 그것의 특징과 문학사적 중요성을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동안 고정옥은 한국전쟁의 와중에서 월북했다는 이유로, 오랫동안 한국문학사에서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국문학 연구자들에게도 마찬가지로, 그의 저서들은 아직까지 제대로 소개되지 못한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그러나 이제라도 고정옥과 그의 저서들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국문학 연구사에서도 그의 연구 업적에 걸맞는 평가가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그의 저서인 『고장시조선주』를 통해서 그의 문학적 성과를 다루고자 한다. 고정옥이 ‘장시조(長時調)’라 칭한 사설시조는 조선 후기 문학사를 해명하는데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갈래이다. 그는 이 책에서 사설시조 50수를 뽑아 주석을 붙이고 작품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와 더불어 당시로서는 독창적인 사설시조에 대한 이론을 제출하기도 하였다. 여기에서는 『고장시조선주』와 다른 저서들에 드러난 고전 시가에 대한 그의 인식을 살펴보고, 특히 ‘장시조’에 대한 이론이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가를 검토하기로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그의 문학관이 자연스럽게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주석과 함께 소개되어 있는 작품 분석을 검토함으로써, 구체적인 작품 해석의 연모를 살펴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작업을 통하여, 고전시가에 대한 그의 관점을 보다 정밀하게 검토할 수 있는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article reviewed ‘Gojangsijoseonju(고장시조선주)’ which was written by Gojeong-ok(고정옥), a scholar of Korean literature. and showed the features and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Gojeong-ok was not properly studie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or the time being because he went to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Even for the researcher on Korean literature. the literary works of Gojeong-ok were not introduced properly. However, the systematic studies on Gojeong-ok and his literary works should be done, and should be well appreciate his work in the history of the research for Korean literature by his achievements. This article considered his literary achievement through his book, 'Gojangsijoseonju'. 'Jangsijo(장시조)' that was named by Gojeong-ok for 'Saseolsijo(사설시조)' stood in highly important position to explain the history of literarature in late period of Chosun(조선) Dynasty. He tried the analysis on the fifty (50) selected 'Saseolsijo' and made commentaries on them in his book. And he suggested the original and creative theory on 'Saseolsijo' at the time of the book published. This article considered his understandings on the poems of classical literature, revealed in his literary works, and especially, the features on the theory for the 'Jangsijo'. Through this process, it could be clearly understand his views on literary works in itself. By considering the analysis of literature that was introduced with the commentaries, it could be seen the aspects of the specific analysis on each literature. Through these works, it could be looked forward to getting more detailed investigating clue on the view of Gojeong-ok for the poems of classical literature.

      • KCI등재

        현대시조를 활용한 유학생 글쓰기 - <한국어 작문>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송희(Lee, Song-Hee) 한국시조학회 2021 시조학논총 Vol.55 No.-

        이 글은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시조창작 수업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시조창작 교육이 갖는 의의를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시조에 대한 이해와 창작과정을 통해 한국 고유 시가의 특수성을 경험하게 하고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보편적 인지체계로 전환하며 시조창작 교육의 미래지향적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 시조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첫 번째는 시조 장르에 대한 이해와 기본형을 익히는 것이다. 이 과정을 거친 후 비교적 학습자의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단시조, 연시조, 사설시조 텍스트를 설명한다. 다음으로 모방하는 글쓰기를 통해 표현을 바꿔 써 보면서 시조의 형식을 경험하게 한다. 본격적인 시조 창작에 선행하는 또 하나의 과정은 브레인스토밍을 활용한 산문 쓰기다. 자신의 산문을 자연스럽게 시조의 형식에 담아 보면서 시조를 창작해 보게 한다. 모방하기는 시조의 정형성으로 인한 부담을 불식시킬 수 있는, 비교적 용이한 방법적 전략이라고 판단된다. 진정한 의미의 문학 교육을 위해서는 텍스트에 담긴 어휘와 문법적 요소를 넘어 문학 감상 능력과 문화적 능력 향상을 위한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 이 점에서 시조 창작을 유도하는 글쓰기 사례는 이러한 소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필수 작업이라 할 것이다. 한국문학 작품을 읽고 창작할 수 있는 교육적 기회로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the significance of Sijo creation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sharing its examples for foreign students. It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uniqueness of Korean poetry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creation process of Sijo, to transform it into a universal cognitive system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world, and to explore future-oriented methods of Sijo creation education. The first way to teach and learn writing education using Sijo is to understand the genre of Sijo and learn its basic form. After going through this process, the texts of Dansijo, Yeonsijo, and Private Sijo, which can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relatively, will be explained. Next, we experience the form of sijo by changing expressions through imitative writing. Another process that precedes the creation of a full-fledged sijo is prose writing using brainstorming. Let them try to create a sijo while naturally putting their prose in the form of sijo. It is judged that imitating is a relatively easy method strategy that can dispel the burden caused by the formality of Sijo. For literary education in the true sens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ability to appreciate literature and improve cultural consciousness beyond the vocabulary and grammatical elements in the text. In this regard, writing case that induces the creation of Sijo is an essential work to achieve this intended purpose. It is expected to expand into an educational opportunity to read and create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山水와 時調學, 그리고 性情美學

        이민홍(Lee Min-Hong)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1 No.-

        시조는 한국가곡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장르이다. 시조 창작에 가담한 작자는 각계각층을 망라한 인물들로서 향가나 고려가요 등의 작자층과는 대비가 안 될 정도이다. 시조는 죽은 장르가 아니라 지금도 살아 숨 쉰다. 뿐만 아니라 시조는 다양한 소장르를 포용하여 거대한 작가와 작품군을 창출했다. 시조장르에 참여한 작자층에서 조선조 중기부터 퇴계 율곡을 비롯한 성리학자들이 등장하여 신풍을 불러일으켰다. 다양한 작자층이 참여한 만큼 자칫 통속적인 면으로 흐를 수 있는 경향을 불식하여, 시조가 차원 높은 주제의식과 형상의 식으로 격상되는 계기를 이들 성리학자들이 마련했다. 16세기 이후 시조 작가의 주류가 된 사림파들의 전범적인 작품은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로서, 양대 작품의 주제의식과 형상의식은 시조학의 미학적 기반이 되었다. 사림파 작가들 시조의 소재는 산수가 주류를 이루었고, 그들이 형상한 산수는 일반적인 산수가 아니라, 성리학적 의미가 담긴 자연이었다. 성리학적 산수는 물아일체를 추구했고, 물아일체는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과도 접맥되어 있었다. 16세기 이후 시조의 상당부분은 성정미학(性情美學)에 근거하여 창작되었으며, 이는 주로 사림파 작가들에 의해 진행되었다. 시조와 성정미학의 만남은 시조를 가일층 전아(典雅)한 품격으로 격상시켰다. 한국 가곡사의 여러 장르가 대체로 단단한 울타리를 쳐서, 이질적인 장르들을 완강하게 배척한 것과는 달리, 사조 장르는 중국문학의 악부체(樂府體)까지 수용했다. 시조작품 중 어부가(漁父歌) 계열의 작품들은 악부체의 도가(櫂歌)류와 관계가 있다. 이현보의 「어부가」를 위시하여 윤선도의 「어부사시사」 외 그 밖에 많은 어부가계의 시조들은 악부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것 중의 하나이다. A Korean verse; si-i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enre in history of Korean songs. All sorts of peoples participate in creating shoo In the side of diversity of authors' social standing, Hyang-ga and Goryeofork songs are not a circumstance to Si-jo is not history and it still alive and breath beside us. Also, si-io absorbed small different genres so that it can create numerous authors and literary works.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Sung Confucianism scholars who are represented Toi-ge and Yul-gok appeared on the stage and lead a new trend. Because all sorts of peoples take part in si-jo creating it could go with popularity. However, Sung Confucianism scholars keep its indigenous identities and raise si-jo to a higher status. After 16th centuries, the masterpieces of a sa-rim school are 'Dosansibigok' and 'Kosankugokga' and these two work's main themes became aesthetic basement of so-jo. Mountains and Rivers are main subject matters of sa-rim school's works and these are not ordinary mountains and Rivers but nature of Sung Confucianism. Nature of Sung Confucianism pursue equivalent of the external objects and self and reach to 'Inmulsungdong theory'. After 16th centuries most si-jo are based on sung-jung theory and sa-rim school lead the trend. Intersection of Sungjungmihak raised si-jo to a higher status. In history of Korean songs, many genres exclude other conformation but si-io absorbed Chinese literature conformation; Akbuche. Series of Fisherman's songs in si-jo genre are related with Akbuche s Do-ga type. Lee hyun-bo's 'Fisherman's song', Yoon sun-do's 'Fisherman's four seasons song' and other series of fisherman's songs are seriously influenced by Akbuche.

      • KCI등재

        노산 이은상 시조의 병치 기법 연구

        이순희(Lee, Soon-Hee) 한국시조학회 2016 시조학논총 Vol.45 No.-

        본 연구는 노산시조집에 실린 작품에서 발견되는 병치에 주목하여, 이은상 시조의 주된 창작 태도가 병치 기법에 있으며 이러한 창작 태도는 독자들에게 이해의 수월성을 제공한다는 것을 논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병치기법은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텍스트의 의미를 명료화하고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병치 기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이은상의 창작태도는 독자와의 소통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병치기법으로 인한 의미의 확장은 시조의 정체성이라 할 수 있는 간결미와 정제미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이러한 창작태도는 ‘시조 정체성의 혼란과 난해성으로 독자들에게 외면을 받고 있는, 오늘날 현대시조가 나아갈 방향을 찾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은상이 『노산시조집』을 발간한 시기는 한국 시조가 노래 장르에서 문학 장르로 그 발판을 굳건히 다지는 때였다. 문학 장르의 발판을 굳히기 위한 도구로 영미의 이미지즘을 수입하여 전통시가의 근대화를 꾀했다. 1920년대 창작된 시조 작품에는 이미지즘 시 이론이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있었지만 노산시조집에는 개성적인 면도 있었다. 이은상의 시조에는 병치 기법이 많이 발견된다는 것이다. 이는 이은상 시인이 추구한 시작태도라고 할 수 있다. 로스, 피네간, 유협, 속요에 서술된 병치 이론을 참조하여 『노산시조집』에 나타난 병치 기법의 유형을 의미의 조응과 의미의 대립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의미의 조응에서는 동의적 병치, 종합적 병치, 구체적 병치, 통사적 병치로 나누었으며 의미의 대립은 대립적 병치에서 살펴보았다. 이은상 작품 대부분이 이러한 병치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병치에 의해 나타나는 이미지의 역동성은 영미 이미지즘에서 영향 받은 것이다. 오늘날까지 독자들이 이은상 시조 작품을 널리 애송하고 있는 까닭은 병치 기법과 이미지의 역동성으로 그의 작품이 쉬우면서 감동적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이은상이 추구했던 병치 기법은 독자의 이해를 돕는 수월성을 제공하고 리듬 창출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따라서 오늘날, 현대시조의 정체성 혼란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인들이 시조의 색깔을 드러낼 수 있는 병치 기법이나 역동적 이미지를 잘 살려낸다면 현대시조가 지닌 문제점들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며 시조의 정체성을 획득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the main creative attitude in Lee Eun-sang’s Sijo relies upon the juxtaposition technique, with paying attention to juxtaposition of being found in the works of being put in the Nosan Sijojip(時調集, collection of Sijo poems), and that this creative attitude provides readers with the easiness for understanding. A type in the juxtaposition technique, which was shown in 『Nosan Sijojip』, was divided in the dimension of the anaphora in a meaning and the confrontation in a meaning. The anaphora of a meaning was classified into synonymous juxtaposition, comprehensive juxtaposition, specific juxtaposition and syntactic juxtaposition. The confrontation of a meaning was examined in the contradictory juxtaposition. Most of Lee Eun-sang’s works are applying this juxtaposition technique. Also, the dynamic of image, which is indicated in juxtaposition, is what was influenced by the British and American imagism. This study will be able to solve problems that modern Sijo has to some extent, and will be helpful even for acquiring the identity in Sijo.

      • KCI등재

        현행 가곡의 사설시조 가창 양상

        김영운(Kim, Young-Woon) 한국시조학회 2015 시조학논총 Vol.43 No.-

        시조는 조선 후기 한국의 문학작품 중 단형시가를 대표하는 문학 장르이다. 시조의 기본형식은 3장 6구 12음보의 형식을 갖춘 평시조로, 평시조 한 수의 노랫말은 45자 내외의 길이를 지닌다. 그러나 시조의 한 종류인 사설시조는 노랫말의 글자 수가 많이 늘어나 100여 자를 넘는 작품도 있다. 이 같은 사설시조 중에는 한문 어휘를 많이 사용하고, 심지어는 한시에서 몇몇 구절을 차용한 ‘엄숙하고 우아한 느낌’의 작품도 있으나, ‘외설스럽고 노골적인 내용’의 작품도 많이 있다. 문학작품인 시조는 가곡과 시조창이라는 성악곡의 노랫말로 사용되는데, 동일한 시조시가 가곡과 시조의 노랫말로 활용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 그러나 성악곡인 가곡 중에서 사설시조를 노랫말로 사용하는 악곡 중에는 ‘외설스러운 작품’은 거의 부르지 않고, ‘엄숙한 느낌’의 노래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논문은 현재 전승되는 가곡 중에서 사설시조를 노래하는 악곡은 대부분 ‘엄숙하고 우아한 느낌’의 노랫말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외설적이고 노골적인 내용’의 사설시조를 가곡에서 노랫말로 사용하기 어려운 이유를 살펴보았다. 그러한 이유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불규칙하게 늘어나는 노랫말과, 그에 따르는 반주 때문으로 보인다. 가곡은 악보에 기록되어 전하는 정해진 선율을 다수의 악기가 반주 한다. 따라서 사전에 선택된 노랫말에 따라 일정하게 만들어진 노래선율과 반주선율에 의하지 않으면 연주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문학작품의 감상은 개인적인 독서활동을 통하여 사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가곡은 다수의 인원이 열린 공간에서 공개적인 연주를 통하여 연행하는 것이다. 특히 조선 후기의 사회적 제도와 관습 속에서 신분이 다른 남녀가 함께 모여 외설스럽고 노골적인 노래를 부르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이 글을 통하여 사설시조의 문학적 특성으로 일컬어지던 서민적이고 통속적인 성격은 가곡으로 불려진 사설시조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Shijo (Korean poetic form) is a representative literature genre of a short poem among the literary works of Korea in the late Chosen Dynasty. The format of Sijo is Normal-Shijo in the form of 3 verses, 6 sections and 12 sound, and the lyrics of one Normal-Shijo has within or without 45 words. But Saseol-sijo, a type of Sijo, there is a work that has more than 100 letters due to the number of lyrics were a lot increased. Among those Saseol-sijo there is a work with ‘solemn and elegant feeling’ borrowing some verses even from Chinese poem, using a lot of Chinese vocabulary, but there are a lot of works with ‘salacious and explicit contents’. Literary work, Shijo, is used for lyrics of vocal music as Gagok (a genre of Korean vocal music for mixed female and male voices) and Sijochang,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 same Sijo poem is used as lyrics of Gagok and Shijo. But those music that use Saseol-sijo as lyrics among Gagok, the vocal music, are mainly songs with ‘solemn feeling’ rather than ‘salacious work’. This study looked into the reason why the Saseol-sijo with ‘salacious and explicit contents’ are hard to be used as lyrics in Gagok, confirming the fact that most music singing Saseol-sijo among Gagok that are being handed down till now use lyrics with ‘solemn and elegant feeling’.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those reasons seems to be irregularly increasing lyrics, and in accordance with accompaniment. Gagok accompanys a number of instruments the fixed melody recorded and delivered in score. So it’s almost impossible to play unless it depends on the steadily made song melody and accompaniment melody according to the chosen lyrics in advanced. Also, appreciation of literary works is usually made privately through a private reading activity, but Gagok is conducted through public performance in an open space for many people. Especially, it would have been hard to sing a salacious and explicit song gathered together with men and women of different social status in social system and custom of the late of Chosen Dynasty. This study confirmed the fact that folksy and popular character that was praised for literary characteristic of Saseol-sijo can’t be easily found from Saseol-sijo that was called Gagok.

      • KCI등재

        권구현과 한용운 시조의 문학사적 의의

        여지선(Yeo Ji-Sun) 한국시조학회 2005 시조학논총 Vol.23 No.-

        시조는 우리 민족의 사랑을 꾸준히 받아온 장르이다. 특히 1920년대-1930년대에는 최남선, 주요한, 이병기, 이은상 등의 국민문학파에 의해 시조부홍운동이 형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카프문인 권구현과 非文壇人 한용운 등도 시조에 지극한 관심을 드러내었다. 카프 동인이자 아나키스트였던 권구현은 『흑방의 선물』(1927)을 발간하였는데, 이 시조집은 최남선의 『백팔번뇌』(1926)와 함께 20년대에 발간된 단 2권의 개인 시조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최남선을 비롯한 국민문학파의 시조부흥운동만 주목되고, 권구현의 시조집은 조명 받지 못했다. 이는 해방 이후 한국문단이 반공이데올로기 아래에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나, 도리어 그가 카프동인이자 아나키스트였다는 사실은 “프롤레타리아 시조”(조운, 1927), “시조형의 프로시”(박영희, 1959)를 개척한 성과를 낳았다. 비문단인 한용운은 『님의 침묵』(1926) 시인으로 주목되어 시조시인으로는 부각되지 못했다. 그러나 그의 시조는 독립운동가 한용운, 승려 한용운 등 그의 총체적인 모습을 담아내기에 충분하였다. 한용운의 시조에 대한 애정은 첫 발표작인 〈무궁화를 심고저-獄中詩〉(1922)가 『님의 침묵』보다 4년이나 앞선 것과 자유시 창작이 부진했던 1930년대에 시조창작을 지속한 데에서 알 수 있다. 이같은 한용운의 시조는 ‘전통장르 시조’가 유학자 및 유학의 세계관을 넘어서 승려 및 불교 세계를 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의 있다. 본고는 권구현과 한용운의 시조 연구를 통해서 1920년대-1930년대 시조의 위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통장르 시조는 1920년대-1930년대에 국민문학파 뿐만 아니라 카프문인 권구현과 비문단인 승려 한용운 등 문단의 전반적인 지지를 받았다. 이로써 본고는 당시 시조창작이 카프의 안티세력에 의한 부분적인 운동이 아니라 1920년대-1930년대의 시대정신에 의거한 카프문인, 승려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한 전반적인 운동이었음을 밝혔다. Sip is a genre which has been steadily loved by Korean. Particularly, 1920's through 1930's, the Revival Movement of Sijo is made by the school of Literary for People, including Choi Namseon, Lee Byeonggi and Lee Eunsang. And Kwon Goohyeon, a member of KAPF, and Han Yongwoon, not belonging to any literary group were interested in Sijo. Kwon Goohyeon, both a member of KAPF and an anarchist has published A Present of Black Room(1927), which is one of the two published in 1920's-1920's saw only two volumes of Sijo works be published: Choi Namseon's 108 Agony(1926) and Kwon's. However, Kwon Goohyeon's work has not been illuminated, compared with Choi Namseon's and the Revival Movement of Sijo by the school of Literary for People. It is because Korean literary world has been under the anti-communism ideology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However, it caused to explore proletarianism Sijo (Joh woon) and proletarianism poetry (Park Yeonghee) that Kwon is a memeber of KAPF and an anarchist. Han Yongwoon, not belonging to any literary group, was very famous as the poet of My Belolved One's Silence(1926), not as a Sijo poet. It means that he has not been illuminated as a Sijo poet. However, his Sijo is enough to contain his various features such as a man of Independence Movement, a Buddhist monk, a lyrical poet and so on. His first Sijo is For Planting Mookoonghwa-Poetry Written in Prison(1922), which has been published four years prior to My Beloved One's. And his affection on Sijo is inferred from the fact that he has constantly published Sijo more than free verse.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a position of Sijo 1920's through 1930's from a study on Kwon Geohyeon's and Han Yongwoon's Sip. Sijo, Korean traditional literary genre, was written by most of the poets including not only the school of Literary for People but Kwon Goohyeon and Han Yongwoon 1920's through 1930's. As a result, the writing of Sijo was not a partial movement by the anti-KAPF group, but by a paradigm in 1920's through 1930's.

      • KCI등재

        한국 현대시조에 나타난 종교성 - 이영도를 중심으로

        김남규(Kim, Nam-Kyu) 한국시조학회 2021 시조학논총 Vol.55 No.-

        최근 들어 이영도의 문학세계에 드러난 ‘여성성’을 새롭게 보면서 다양한 양상으로 이영도 시조의 현재성이 논의되었다. 이영도는 현대시조의 생성기와 개척기, 그리고 정립기를 잇는 몇 안 되는 시조시인 중 한 명이었다는 점에서 시조문학사적 의의가 강하게 요청되는데, 특히 이영도의 시조에는 불교, 유교, 기독교라는 3가지 ‘종교성’이 동시에 나타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불교적 소재의 모색, 유교 사상의 발현, 기독교의 구원의식은 현대시조가 어떻게 종교성을 구현하고 있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세 가지 종교는 오래전부터 현재까지 한국인의 대표적인 사상이자 세계관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개별 작가의 작품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시조라는 장르의 존재론을 구성해나가기도 한다. 불교의 경우, 이영도는 현대시조의 대표적인 시적 공간이라 할 수 있는 불교적 공간 ‘사찰’에 주목하였다. 그동안 현대시조는 불교적 공간을 가장 ‘조선적인 공간’으로 보았지만, 이영도는 사찰을 통해 민족성을 지향하기보다는 인간 죽음을 초월할 수 있는 공간이자 그리움의 대상을 향한 서정적 공간을 보여주고 있다. 유교의 경우, 철저히 유교적이고 가부장적인 시대 상황에서 이영도 또한 유교주의 문화와 전통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었다. 그러나 이영도는 죽음의 위기를 극복하면서 조국에 의해 희생당한 젊은이들의 죽음에 보다 직접적으로 반응하여 타자성을 지향하게 되었다. 기독교의 경우, 이영도는 결핵 치료를 받는 가운데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기독교시’를 창작하게 되는데, 점차 이영도의 ‘기독교 시’는 신앙 고백의 차원을 넘어 구원의 문제로 확대되었다. 특히 이영도는 4.19혁명에 따른 희생자들을 추모하면서, 한국사의 비극으로 인해 희생당한 젊은이들의 구원과 애도의 문제로 종교성이 확대되었다. 우리 한국문학사에서 3가지 종교성을 가진 작가는 드물지만, 그의 종교성은 치열한 현실 인식과 심미적 감각을 토대로 발현된 것이기에 현대시조 역시 심원한 사상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In recent years, the presence of Lee Young-do’s progenitor has been discussed in various ways by re-examining the “femininity” revealed in his literary world. It is noteworthy that Lee was one of the few pioneers of modern sijo during the period of its establishment, and that Lee’s sijo manifested characteristics of three religions simultaneously. The search for Buddhist materials, expression of Confucian ideas, and reflections on Christian salvation show howmodern sijo embodies religion. These three religions have long contributed representative ideas and worldviews to Korean culture that not only appear in the works of individual artists but also constitute the ontology of the genre of modern sijo. First, Lee focused on Buddhist space in “Temple,” a representative poetic space of modern sijo. While modern sijo regards Buddhist space as the most “Joseon-style thing,” Lee portrayed a lyrical space for the object of longing, a space that can transcend human death rather than aiming for ethnicity. Second, regarding Confucianism, Lee failed to deviate significantly from Confucian culture and traditions during his strictly Confucian and patriarchal era. However, he overcame the death crisis and became more direct in his response to the deaths of young people killed by his country, aiming for a battering. Third, when Lee converted to Christianity during treatment for tuberculosis, he composed a “Christian poem” that gradually expanded beyond the level of a confession of faith to salvation. In particular, Lee’s religiosity expanded to commemorate and encompass the salvation of the young victims of the April 19 Revolu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re have been few writers displaying qualities of all three of these religions, but Lee’s religiosity was expressed based on an intense awareness of reality and aesthetic sense, allowing modern sijo to attain a profound thoughtfulness.

      • KCI등재

        김상옥 시조의 전통성과 시대정신

        이순희(Lee Soon-Hee) 한국시조학회 2011 시조학논총 Vol.34 No.-

        본고는 초정 김상옥 시인의 시조를 대상으로 작품 속에 내재된 전통성과 초기, 중기, 후기를 거치면서 그의 시조가 보여주었던 시대정신을 규명(糾明)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그는 우리의 민족시(民族詩)인 시조 속에 끊임없이 민족적 전통성을 불어넣었고 시대상황을 반영한 실험을 거듭하면서 그 형태와 내용을 변모시켰다. 그러한 과정을 밝히는 것은 국제화, 세계화 시대인 오늘날 한국시(韓國詩)가 세계무대에서 위상을 높이기 위해 갖추어야 할 자세와 지향점이 무엇인지를 찾을 수 있는 단초(端初)가 된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를 지닌다. 초정 김상옥 시인은 일제강점기와 민족의 비극인 6ㆍ25 사변을 거쳐 경제 부흥기, 민주화운동에 이르기까지 민족의 격동기를 살아오면서 전통적 소재인 한국의 자연물, 한국의 유적ㆍ유물 등을 향토어와 시조의 전통적 율격으로 잘 조탁하여 전통적 서정성과 더불어 선비정신을 불어넣음으로써 우리 민족의 얼인 전통성을 그의 작품 속에서 되살려 내어 민족성을 고양(高揚)시켰다. 초정 김상옥이 일본의 감시 속에서 주로 소재로 선택한 것은 한국의 자연물과 민족의 얼이 담긴 유적과 유물이었는데 특히 애정을 가졌던 것은 자기(磁器)였으며 그 자기(磁器)의 당당함에는 선비정신이 담겨 있다. 초기, 중기, 후기에 걸쳐 전통적 소재와 일체가 되거나 객관적 입장에서 시적 자아의 정서를 표출하는 전통적 서정성을 작품에 담았으며 향토어, 조어(造語)를 사용하여 전통적 서정성을 고조(高調)시켰다. 마지막으로 형식면에서 그는 초기, 중기, 후기에 걸쳐 시조의 형식적 실험을 거듭 했지만 그 구심점은 언제나 전통적 율격에 두었다. 전통성을 고수하면서 열린 시 형식으로 시대정신을 담으면서 변모를 추구했는데 초기 시조집 초적에서 초정 김상옥은 그리움이 대부분인 제한된 소재 선택, 회화적 이미지 기법, 정형화된 율격을 보여주어 민족혼을 일깨우는 방법으로 ‘국권회복운동’이라는 시대정신을 드러냈다. 중기 시조인 삼행시육십오편에서는 소재선택의 확장, 추상적 이미지 선택, 형식 실험을 통한 삼행시라는 넓은 의미의 시조 형식을 제시함으로써 복잡다단한 시대정신을 담았으며 ‘산업화’라는 시대상황의 뒤안길에서 잘못 생성된 전통적 가치의 붕괴는 작품을 통해 바로잡고자 했던 민족애가 그의 시대정신이었다. 후기 시조느티나무의 말에서 초정 김상옥은 관조적 이미지 추구를 위해 탈의미적으로 소재를 인식하고 선택했으며 형식면에서 다양한 형태미학을 추구했다. ‘민주화운동’ 과 ‘무원칙 다변화’의 시대사상을 초월적ㆍ관조적 세계로 바라봄으로써 시대상황에 대한 공감이나 반발을 뛰어넘어 이 두 가지를 한꺼번에 수용하고 녹여내어 한 시대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인식태도를 우회적(迂廻的)으로 제시하여 그의 시대정신을 표출했다. 초정 김상옥은 격동기의 한국 역사를 겪어오면서 그의 작품 세계를 통해 때로는 시대정신에 공감하기도 하고 때로는 반발, 포용하기도 했다. 아무튼 그러한 자세(姿勢) 모두가 그 시대를 살아가가면서 그가 민족애를 위해 취할 수 있는 최선의 시대 반응이었다. 초정 김상옥이 우리의 민족시 시조를 통해 전통성(傳統性)과 시대정신(時代精神)에 따른 현대성(現代性)을 동시에 추구한 것은 시대의 변화 속에서 우리 민족의 정수(精髓)를 지키면서 유연하게 시조를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explore by dividing the national traditionality, and the spirit of the times, which were reflected in line with the changing period, into the early days, the middle years, and the late period, which are buried in the foundation of《Chojeok》,《Samhaengsiyuksipopyeon(三行詩六十五篇)》,《Zelkova's Word》, which are the sijo collection in the poet Chojeong Kim Sang-ok. The poet Chojeong Kim Sang-ok had transfigured with reflecting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e middle of continuously following the national traditionality amid his works in the period that the national traditionality could have been lost at the slightest slip while passing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repeated historical turbulent era since then. As a result, with reaching today that is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sijo established stature available for standing for national poem. Through the repeated experiment in a form and content, it suggested possibility of sijo that modern sijo poets, who proceed with living in modern times and who may appear in the future, can approach in diverse forms. Based on it, the foothold was arranged that can go on the world stage fairly as the national poem that satisfies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at the same time and has universality and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