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학자금 대출 채무가 대학졸업자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여성 대학졸업자를 중심으로

        김성훈,우명숙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9 한국사회 Vol.20 No.2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udent loan deb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graduate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ing on female college graduates, examined whether, during four years after graduation, female graduates who had student loan debt would report lower happiness score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using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Survey data from the 8th to 12th waves. For this aim, the study conducted panel analyses of the effects of remaining student loan debt on happi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andom-effects model, for 4 years after graduation, female borrowers with remaining student loan debt reported lower happiness score compared to non-borrowers (or those who had no remaining debt). This study, limited to the analyses of female college graduates, suggests a further analysis to look at the difference by gender if the proper data is available. Finally, the findings of negative effects of student loan debt on happiness imply a need to attempt various ways of strengthening the public role in higher education to minimize college students' financial burden. 이 연구는 학자금 대출 채무가 대학졸업자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교육고용패널’ 조사의 8-12차 연도 자료를 활용한 패널분석을 하여, 여성 대학졸업자를 대상으로, 졸업 후 4년의 기간 동안, 학자금 대출 채 무가 있는 여성들이 그렇지 않은 여성들에 비해서 행복감이 낮은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남은 대출액이 대졸 여성들의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패널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패널분석의 확률효과모형에서 남은 대출액이 크든 작든 남은 대출액은 졸업 후 4년간 여성 대학졸업자의 행복감을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여성 대학졸업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졌기 때문에, 적합한 다른 자료를 통해 학자금 대출 채무와 행복감의 관계가 남성 대학졸업자들에게는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결국 학자금 대출 채무가 행복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만큼, 학비 부담을 줄여나가는 고등교육의 공공성 강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사회 한국의 사회통합과 다문화주의 정책

        김영란 ( Young Lan Kim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3 한국사회 Vol.14 No.1

        한국은 이주민의 증가와 함께 그동안 경험하지 않았던 다인종·다민족과 공존해야 하는 사회가 되었다. 어떻게 한국사회가 그간의 동질성을 기반으로 한 사회에서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는 사회로 변화해야 하는가 하는 현실적이고도 당면한 문제에 맞닥뜨린 것이다. 다문화주의 정책은, 모든 민족과 문화가 평등하고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정책을 말하며, 관련법과 제도를 비롯하여 프로그램 등 실천까지 포함한다. 정부는 국민과 이주민 간의 사회통합과 관련하여 다양한 법과 제도를 마련해오고 있는데, 특히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과 다문화가족지원법은 다문화의 이해증진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 다문화사회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국가적 수준에서 법, 제도 등 다문화주의 정책이 운용되어야 한다. 또한 개별적 수준에서는 다문화적 시민이 지녀야 할 지식·신념·미덕이 필요한데, 즉 다른 민족의 신념과 차이 그 자체를 인정하는 시민정신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정책 및 한국인과 이주민 상호간의 인식을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 다문화주의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첫째, 국가적 수준에서 다문화주의 정책으로서의 법과 제도의 성격을 고찰하고 둘째, 개별적 수준에서 다문화시민의 공존과 관련하여 한국인의 이주민에 대한 인식, 이주민의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을 분석했다. 그 결과 다문화주의 정책과 관련한 법의 제한성과 함께 한국인은 이주민에 대한 서열화된 차별적 태도를 지니고 있으며, 이주민도 한국사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주의 정책은 법과 제도의 운용과 함께 한국인의 이주민에 대한 인식변화, 다문화주의에 대한 담론 확산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했다. As the number of immigrants are increasing, Korea should co-exist with various races and nations, even though it has never experienced such a situation before. The multiculturalism policy is the policy which supports the equal coexistence and reconciliation of all races and cultures, and it includes laws, institutes, programs and practices etc. The government has set up the law and the system for the integration between Koreans and immigrants, especially Framework Act on Treatment of Foreigners Residing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show that its major objective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multi-culture. The study, therefore, aims to examine Korean multiculturalism policies and mutual awareness between Koreans and immigrants as well. On its basis, it tries to grope for the direction of the multiculturalism policy. The study, above all, grasps the character of the laws and institutes as the multiculturalism policy on the national level. It also analyzes Korean`s recognition of immigrants and immigrant`s recognition of Korean society regarding multicultural citizen`s coexistence on the individual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ulticulturalism policy-related law is quite limited, in addition, Koreans have their segregated attitude toward the immigrants and this leads for the immigrants to have a negative associations related to Korean society. The study, accordingly, suggests that the multiculturalism policy should adequately be involved in both a law and a system, Korean`s recognition of the immigrants should change, and the public discourse of the multiculturalism should spread extensively.

      • KCI등재

        한국의 노인인식: 주요 사서에 나타난환과고독 개념과 구휼을 중심으로

        안호용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8 한국사회 Vol.19 No.2

        Hwan’gwakotok is a collective term that refers to old widowers[hwan 鰥], old widows[kwa 寡], orphans[ko 孤], and the aged without children[tok 獨]. Since the age of the Three Kingdoms, hwan’gwakotok has consistently attracted attention in various relief works. This study examines the usage of the term hwan’gwakotok and other related terms including sakung, samin, and hwan’gwatok in three major Korean historical records: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the History of Koryŏ, and the Annals of the Dynasty of Chosŏn. Using the Korean History Database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the old reflected in Korea’s traditional welfare policies for the old. The perception that hwan’gwakotok is the group that the royal regime should take priority in giving relief has been prevalent throughout the Korean history. In reality, welfare policies did not only over hwan’gwakotok, but also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sick people; Old age was always considered, but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was the level of poverty and the inability to support one’s life. The term sagung which is often thought of as another name for hwan’gwakotok was not widely used in historical records. Around the 15th year of King Yŏngjo (1747), transition of defini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concept of hwan’gwakotok took place, which is a noteworthy social phenomenon. The term samin had meant ordinary people, but after this time it was used to mean hwan’gwakotok. And a new term hwan’gwatok was used as an independent category from this time. From then on, the use of both hwan’gwakotok and hwan’gwatok dramatically decreased and both terms have now become obsolete. Hwan’gwakotok was a category of people in need of special treatment and attention; it has been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most miserable subject’ and the ‘priority of the royal regime.’ However, it is insufficient to view the emphasis on hwan’gwakotok and relief to helpless old in the Korean history as the evidence of the Korean society to be a ‘kyŏngno-sahoe,’ a society that respects the elderly. Society’s protection and respect did not automatically accompany one’s old age. ‘환과고독’은 삼국시대 이래 각종 구휼 시책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받아온 대상이다. 본고는 한국 전통사회에서 사용한 ‘환과(고)독’과 이에 관련된 사궁, 사민, 환과독 등의 표현을 중심으로 그 주요 개념이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등 한국의 역사서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상기 3종의 사서에 사용된 주요 용례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노인 구휼에 나타난 노인인식의 일면을 알아보고자 했다. 환과고독이 ‘왕정이 우선적으로 구휼할 빈곤한 백성’이라는 인식은 한국사 전반에 걸쳐 지속되었다. 실제적인 구휼 사례들의 대상은 환과고독뿐만 아니라 노인, 병자, 장애인 등을 포괄하는 것이었고 언제나 노인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구휼의 가장 중요한 기준은 ‘빈곤’이었으며, ‘무고’, ‘무의’ 등 그들이 혼자서는 살 수 없는 ‘빈핍불능자존자’임이 강조되었다. 환과고독의 별칭인 ‘사궁’은 한국의 사서에서 흔히 사용되지 않았다. 사농공상의 백성 일반을 의미하는 ‘사민’은 영조 15년(1747) 이후 환과고독의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 시기를 전후하여 기존의 환과고독으로부터 ‘환과독’이 독립적인 범주로 사용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의미의 전환과 개념의 분화는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이후 환과고독이나 환과독 모두 사용례가 급격히 줄어들게 되고, 현재에는 사용하지 않는 사어가 되었다. ‘환과고독’이란 일정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의 범주였고 이에 따라 특별한 관심과 우대를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 역사서 텍스트의 맥락에서는 고전이 말하는 바 ‘왕정소선’의 대상이며 ‘가장 불쌍한 백성’의 대명사적 역할을 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 역사에서 지속적으로 관찰되는 ‘환과고독’에 대한 강조와 다양한 사은 및 구휼 사례들을 ‘경로 사회’의 증거로 읽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노인이 단순히 ‘고령’만으로 사회적인 보호 또는 존경을 획득했던 것은 아니다.

      • KCI등재

        A New Path for the Study of the Koryŏ Dynasty: Exploring the Future of Online Historical Source Archives

        Soochan Park(박수찬)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4 No.2

        미래의 고려시대 사료 서비스가 추구해야할 첫 번째 길은 바로 ‘개방성’이다. 이미 사료들은 온라인 상에서 수없이 제공되고 있다. 이들을 하나로 묶어 정리하고, 이들에 대한 수많은 공여자를 확보할 수 있다면 고려시대 사료의 개방성이 확보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공여자들은 단순히 사료를 활용할 뿐만 아니라 OCR 등의 작업에서 이루어진 기계적 한계를 잡아내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처럼 개방성이 확보된다면 연구자들 뿐만 아니라 고려시대에 관심있는 수많은 일반 대중들 역시 다양한 사료를 더 쉽게 접하고 비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비단 연구의 영역 뿐만 아니라 고려시대 역사 그 자체가 개방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 되는 작업이다. 그러나 지나친 개방성은 오히려 역사 연구의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 역시 명확히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고려시대 사료 서비스가 추구해야할 두 번째 길은 ‘전문성’이다. 텍스트화한 자료에 대한 수정 편년 작업, 태깅 작업 역시 연구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꼭 갖추어야할 요소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수정편년이나 태깅작업의 경우 전문화된 연구원 중심으로 기본적인 정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는 고려시대 전체에 대한 이해와 사료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 않았다면 정확한 선택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필요한 것이 바로 ‘전문성’이다. 전문적인 교육을 통해 역사 연구를 할 수 있는 기본 소양을 갖춘 전문화된 연구원이 필요한 영역인 것이다. The first objective that a future platform for historical sources from the Koryŏ dynasty should pursue is openness. A vast number of sources are already available online. If we can gather these sources together on a single platform and secure numerous contributors, we would be able to say that openness has been achieved for Koryŏ dynasty sources. Contributors will be more than just users, as they will make improvements to current technological limitations in OCR output. Once openness is secured, not only scholars but also the general public will be able to easily access various historical sources and compare them. This will not only bring openness to research on the Koryŏ history but also lead to the Koryŏ history itself.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at too much openness can disrupt and hinder historical research. Therefore the second objective that a future platform for historical sources from the Koryŏ dynasty should pursue is expertise. If a historical resource platform is open to all, anyone can have access to historical sources. The platform, however, should not stop at simply providing access to texts. Instead, it should take a step further to work on establishing a revised chronology using the given sources and engage in metadata tagging, as these are essential elements for a future-oriented organizational method for historical sources.

      • KCI등재

        한국의 여성노동연구의 여성주의적 함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과 「경제와 사회」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김경희 ( Kyoung Hee Kim ),강은애 ( Eun Ae Kang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4 한국사회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30년 간 주요 사회학지인 「한국사회학」과 「경제와 사회」에게재된 여성노동연구의 동향과 특징을 주제, 연구관점, 방법론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것의 여성주의적 함의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회지 모두에서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여성노동연구들이 소수에불과하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급증하였다. 두 학회지에서 여성노동연구는 생산체제나 노사관계에 관한 것은 극히 소수이며, 대부분 노동시장 지위의 성별격차를다루고 있다. 둘째, 여성 노동연구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양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성(sex 혹은 gender)을 개인수준의 변수로 설정하고 노동세계에서 남성과 여성의 평균적인 차이를 드러내는 것이다. 이 연구들은 노동시장에서의 남성과 여성의 다른경험과 특성들을 밝혀냈다는 중요한 의미를 갖지만, ‘젠더’를 분석범주 보다는 보편적 설명으로 사용하는 것을 경계해야 할 필요도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노동연구들은 연구방법의 선택에 있어서 사회학 방법론에서 과학적 지식의 생산을 둘러싸고논쟁의 대척점을 이루었던 객관성과 주관성의 경계를 넘나드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여전히 여성의 경험을 어떻게 알 수 있으며, 어떻게 지식으로 구성할 것인가라는 인식론적 물음에 더 엄격해야 한다는 과제를 제기한다. This study conducts a feminist analysis on articles about women``s laborpublished in two major sociological journals, the Korean Journal ofSociology and Economy and Society over the 30 years, in terms of theirtopics, methodologies, and perspectives.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follows: First, in two journals, the volume of research on women``s laborhas increased since 2000, while there were few in the 1980s and 1990s. Most of the research have focused its topics on gender differences of labormarket status, while production regime and labor relations were minortopics in the journals. Second, one of trends in women``s labor research isthe use of quantitative research tools setting gender variable at individuallevel and revealing gender differences. In spite of their contribution to makegender differences in labor market visible, we need to be cautious to usegender as a general explanation rather than as an analytical category. Finally,research on women``s labor tends to have used inclusive methodologies acrossthe line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which have been controversialin selecting a research methodology. Still we need to think deliberately offeminist epistemological questions such as how we know women``s experience and construct a knowledge about it.

      • KCI등재

        맞벌이 부부의 역할분담이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최유정 ( Yu Jung Choi ),최미라 ( Meera Choi ),최샛별 ( Setbyol Choi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8 한국사회 Vol.19 No.1

        본 연구는 맞벌이 상태의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부부간의 역할분담이 그들의 삶에서 의미하는 바를 다각적으로 규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역할분담의 ‘객관적’, ‘주관적’ 차원이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후, ‘우울’을 최종적인 종속 변인으로 삼아 부부간의 ‘역할분담’과 ‘일가정갈등’, ‘가정생활만족도’와 우울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는 우울에 예측력을 갖는 변인들 간의 인과 경로를 파악하도록 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을 통제 변수로, 맞벌이 부부의 역할분담이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일가정 갈등’은 가정 내 역할을 ‘내가 해야 할 일보다 더 많이 한다’고 느낄수록, 본인 근로시간이 길수록, 동거 미취학 자녀 수가 많을수록, 중학교 졸업 미만의 학력자보다는 고졸 학력자가, 일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본인의 가사 및 돌봄 시간이 길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커졌다. ‘가정생활만족도’는 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고졸에 비해 전문대 및 4년제 대학 졸업자가, 본인의 근로시간이 길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배우자의 가사 및 돌봄 노동시간이 길고, 자신의 가사 및 돌봄 시간이 짧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를 고려해 부부의 역할분담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자,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는 우울에 있어 부부간의 역할분담 관련 변인들을 압도하는 영향력을 보였다. 일가정 갈등이 클수록, 가정생활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감이 증가했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동거 미취학 자녀 수’ 같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의 영향도 컸다. 스스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평가할수록, 미취학 자녀 수가 많을수록 우울도 커졌다. ‘배우자의 가사 및 돌봄 시간’은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를 고려했을 때도 우울에 유의미한 변수로, 우울과 부적 관계를 보였다. ‘가정 내 역할을 자신이 해야 할 일보다 더 적게 하고 있다는 주관적 평가’나 ‘본인의 근로시간’, ‘일에 대한 만족도’는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 중 어떤 변인을 분석에 포함하느냐에 따라 그 영향력이 달라졌다. 셋째,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를 각각 매개 변인으로 설정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우울에 대한 강력한 예측 변인인 ‘주관적 건강상태’는 우울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를 매개로 동시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반면 ‘동거 미취학 자녀 수’는 우울에 직접 작용하거나, ‘일가정 갈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효과를 미쳤다. 역할분담 관련 변수 중 ‘배우자의 가사 및 돌봄 시간’은 ‘일가정 갈등’이나 ‘가정생활만족도’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우울을 감소시켰으며 ‘일에 대한 만족도’는 ‘일가정 양립’과 ‘가정생활만족도’를 통한 간접적 방식으로만 우울에 영향을 주었다. ‘본인의 근로시간’은 ‘가정생활만족도’가 매개 변인으로 포함된 모형에서만 우울에 대한 직접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본인의 근로시간이나 일에 대한 만족도 같은 고용시장 관련 조건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부정적 효과를 사회적으로 해결하는 한편, 가정 내에서는 부부가 합의 하에 서로의 적절한 역할 수행 목표를 설정하고 협력해나가야만 맞벌이 상황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불균형이 최소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dual earner couple’s role assignment affect their lives multi-dimensionally. Using a sample of 342 dual earner men/women from 2012 KGSS data, this research examined 1) the effect of ‘objective’ and ‘subjective’ role assignment on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2) the effect of aforementioned variables on depression, and finally 3) the causal path among variables that predict depression.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ey’s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subjective health, and respondent’s work hour was significant factor on both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whereas other variables had different effects respectively. Overburden evaluation, longer work hour, higher number of cohabiting preschooler, lower job satisfaction, lower subjective health, and longer care labor time was responsible for severer work-family conflict. On the other hand, higher job satisfaction, longer work hour, higher subjective health, spouse’s longer care labor time, and respondent’s shorter care labor time had significant effect on greater family life satisfaction. Second,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had outstanding effect on depression compared to role assignment related variables; that is severer work-family conflict and lower family life satisfaction had to do with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more negative evaluation of their health, the greater number of cohabiting preschooler the greater the depression. Moreover, spouse’s housework and care labor time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with depression even when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were included in the model. Third, ‘subjective health’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depression with both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as mediators. ‘number of cohabiting preschooler’ directly influenced depression and indirectly through ‘family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had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only through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as mediators. Spouse’s care labor time only had direct effect on depression, and respondent’s work hour had effect on depression with family life satisfaction as mediator. This result suggests that employment conditions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Moreover, it implies that marital adjustment such as setting appropriate role assignment and cooperating can minimize various imbalance and strain of dual-earner couple.

      • KCI등재

        한국사회 갈등의 원인 및 관리에 대한 연구: 갈등유형별 특성을 중심으로

        유희정 ( Hijeong Yu ),이숙종 ( Sookjong Lee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6 한국사회 Vol.17 No.1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갈등수준을 측정하고, 갈등유형 별로 원인 및 관리에 대한인식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다수의 시민들이 사회갈등 수준을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구체적인 유형별로는 계층ㆍ계급갈등과 이념갈등을 공공 및 지역갈등 보다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둘째, 연령, 거주 지역, 직업상의 이유로 갈등쟁점에 노출될 확률이 높을수록 사회갈등 수준을 높게 인식하는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셋째, 한국사회의 전반적 갈등수준을 심각하게 인식할수록 갈등의 내ㆍ외부적 원인에 동의하는 수준이 높고, 갈등기능 및 해결의 관리방식에 대한 인식차이가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계층ㆍ계급갈등 수준을 높게 인식하는 집단에서 사회갈등의 외부적 원인과 순기능에 대해 동의하는 수준이 높고, 갈등해결의 관리방식 중에서 법원판결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공 및 지역갈등 유형의 경우 갈등수준에 따라 사회갈등의 내부적 원인과 갈등의 역기능 정도를 다르게 인식하는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념갈등 수준별로는 사회갈등의 내ㆍ외부적 원인과 갈등기능의 인식차이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사회갈등유형별 원인이 당사자들 간의 상호작용과 사회구조적 접근을 통해 명확히 규명되고, 사회갈등의 건설적 전개를 위한 관리 방식이 다양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measures Koreans’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s and analyzes the differences in causes and managements of conflict types. On average, the level of social conflicts citizens perceive is above 3 on the 5-point Likert scale and the levels of public and regional conflicts are lower than other types. Citizens are often exposed to conflict issues regarding socioeconomic status consider social conflicts as much more serious problems. The research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uses and managements in terms of social stratification, public, regional, and ideological conflict. These results show, to understand causes of conflict, it is helpful to consider interaction attributes among stakeholders based on the socioeconomic structure. In addition, our findings imply that Korean government needs to focus on the strategic managements by conflict types.

      • KCI등재

        사회적 주변화 인식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 한국 거주 이주배경 청년을 중심으로

        백경민 ( Baek Kyungmin ),연규진 ( Yon Kyujin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2 한국사회 Vol.23 No.1

        최근 한국 사회의 인구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최근 한국 사회에 진입하는 이민자들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민자들의 사회적응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주배경 청년들의 한국사회에서 겪는 사회적 주변화 정도를 통계적인 척도를 통해 살펴보고, 이들의 사회적 주변화 정도가 어떻게 사회적 자본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을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연결망의 차원으로 나누어 각각의 차원이 사회적 주변화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자본 중 사회적 연결망의 차원이 사회적 주변화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정보의 획득이 이들의 사회적 주변화 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는 정서적 안녕감보다, 구직을 위한 또는 생활을 위한 다양한 정보가 이들의 한국사회 적응과 정착에 더 중요한 요소이며, 이러한 정보망에서 배제될 때, 자신들이 주변화되어 있다고 평가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migrant young adults’ perceived social marginalization in Korea and how social capital affects it. Using a national survey of migrant young adults aged 25 to 34 living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ocial network has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migrant young adults’ perceived social marginalization in Korea, which indicates that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has an important role on the decrease of their perceived social margin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