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분포의 공간적 불균형과 그 대책에 대한 고찰

        설선미(Seol, Seonmi),이태수(Lee, Taesoo),심미승(Shim, Miseung),장건춘(Jang, Guhn-Cho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4

        우리나라는 저출산이라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어린이집 설립 및 운영에 대한 재정지원을 확충하고 있지만 지역의 어린이집 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의 도시지역과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어린이집의 분포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어린이집 분포의 공간적 불균형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어린이집 정책의 문제점을 전라남도의 도시지역(5개 시)과 농어촌지역(17개 군) 간의 차이를 중 심으로 분석한 결과, 영유아 1,000명당 어린이집 수는 도시지역은 10.9개소인 반면 농어촌지역은 6.2개소로 큰 차이를 보였다. 각 시・군별 평균 어린이집 수 또한 도시지역(147.8개소)과 농어촌지역(15.4개소)의 격차가 매우 컸다. 어린이 집의 사각지대라 볼 수 있는 보육시설이 전혀 없는 동이나 면은 총 78곳으로 이 중 도시지역은 8개 면이며 이곳에 거주하는 영유아는 560명으로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전체 영유아의 0.7%로 나타났다. 반면 농어촌지역에서 보육시설 이 전혀 없는 면은 70개로 이곳에 거주하는 영유아는 5,269명이며 이는 전체 농어촌지역 거주 영유아의 11%에 이르 는 수치이다. 상대적으로 부모들이 선호하는 국・공립 어린이집의 수도 도시지역(87개소)과 농어촌지역(28개소)간의 격차가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향후 보육정책은 이러한 도・농간의 차별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보육수요조사와 수요자의 지역별 특성을 파악하여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확대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The location and distribution of daycare centers do not reflect local daycare demand enough although government has increased facilities and financial supports to solve the low birthrate as a social problem. This study tried to examine spatial inequality of daycare center distribution by comparing the number of daycare facilities between city and rural communities in Jeollanam-Do.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city (5 Cities) and rural area (17 Guns) in Jeollanam-Do,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were larg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available facilities per 1,000 children between Cities (10.9 facilities) and Guns as rural area (6.2 facilities). The average number of facilities in each City and Gun also showed a large discrepancy as a City has 147.8 facilities and a Gun has 15.4 facilities, respectively. There were total 78 Dong or Myeon with no facility at all as a dead zone of daycare, and 8 of them were Myeons in cities with 560 children, which accounted for 0.7% of total population of children in cities. On the other hand, 70 Myeons in Guns with 5,269 children have no facilities at all, which accounted for 11% of total population of children in Guns. Public facilities that parents prefer were more in cities (87) than Guns (28).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childcare policies with minimizing discrepancies between city and rural area and investigating more accurate local demands and characteristics.

      • KCI등재

        국공립어린이집 전환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경험 탐색

        최이수 ( Choi Yi-soo ),권경숙 ( Kwon Kyung-soo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 국공립어린이집 전환원장을 대상으로 민간과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국공립어린이집 전환을 결정하게 된 동기는 무엇이며 국공립어린이집 전환과정과 이후 어린이집을 운영하면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하는 국공립전환 경험이 있는 어린이집 원장 10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에서 2020년 2월까지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국공립어린이집 전환을 결정하게 된 원장의 전환 동기는 기존 민간ㆍ가정어린이집 운영유지의 어려움, 국공립어린이집에 대한 사회적 기대로 나타났다. 둘째, 국공립어린이집 전환 전ㆍ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어려움은 초임 국공립 원장의 운영관리에 대한 어려움, 국공립어린이집 체계에 대한 적응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질 높은 국공립어린이집 운영과 국공립전환 정책의 바람직한 정착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tivation behind the decision of the director of th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regarding th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conversion from private. The process of the transition to th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was observed, and also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running the daycare centers afterward.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October 2019 and February 2020 with 10 headmasters of daycare centers with experience in national and public conversion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ifficulty of maintaining existing private and family daycare centers, anxiety about changing childcare policies, and expectations for the status of state-run daycare centers were the motivation of the director in deciding for the conversion. Seco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concerning the transition to a national or public childcare center were expressed as the difficulty of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as the first director of a national or public childcare center, and the difficulty of adjustment to the national or public childcare center system.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higher-quality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and the desirable settlement of national and public transition policies, by examining the motive behind the decision of the headmasters of daycare centers to convert to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and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operating daycare centers afterward.

      •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의 장애전담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조귀희(Cho, Kwi-Hee) 한국부모교육학회 2020 부모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의 장애전담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차이를 비교하여 장애통합어린이집의 통합교육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서울, 경기도 소재 장애통합어린이집의 장애전담교사 204명과 일반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통합교육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 통합교육에 관한 관심과 필요성,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어린이집 준비도, 통합교육의 효과성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고 일반교사들의 경우 개선방안,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어린이집 준비도, 통합교육에 관한 관심과 필요성, 통합교육의 효과성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장애통합 어린이집에서의 장애전담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장애전담교사가 일반교사보다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 효과성, 개선방안에 높게 인식하였다. 그렇지만, 통합교육을 위한 어린이집 준비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thods for the integration education of Disability integration childcare centers by comparing between the handicapped childcare teacher and un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and differences for integration education. This targets were used to final analyze with 204 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and 184 un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among disability integration childcare centers running the handicapped child classroom located in Gangnam, seoul. The collected survey analyzed by using The SPSS 23.0 program. To sum up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nalyze the results of all around awareness of 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at the disability integration childcare centers, it is highly recognized in this order the improvement plan for developing the integration education, attention and necessity for the integration education, preparation of education center running the integration education,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ion education. Second, according to analyze the results of all around awareness of un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at the disability integration childcare centers, it is highly recognized in this order the improvement plan, preparation of education center running the integration education, attention and necessity for the integration education,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ion education. Third, according to analyze the results of all around the meaningful differences to integration education between 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and un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at the disability integration childcare centers, the 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recognize higher than the unhandicapped childcare teachers to the attention and necessity, effectiveness, improvement plan to the integration education. But it comes the results tha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preparation of childcare centers for the integration education.

      • KCI등재

        공공형어린이집 제도 개선을 위한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및운영에 대한 원장 인식 연구

        강경아(Kang, Kyun-A),박영선(Park, Young-Sun),정은주(Jung, Eun-Joo)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형어린이집 공인인증을 받은 기관의 원장들을 대상으로 공공형어린이집 선정과 운영, 활성화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및 운영에 대한 제도 개선을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대전과 충남지역에서 공공형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는 원장 101명이다. 연구도구는 공공형어린이집 업무메뉴얼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공공형어린이집 공인인증 제도 인식은 보육서비스의 질적인 수준향상을 위해 필요하며 공인인증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해 많은 노력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공형어린이집 선정기준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어린이집의 정원 충족률 유지에 대한 항목에서는 부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공형어린이집 운영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평일 운영시간 및 원스트라이크 아웃 제도에 대해서는 부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공공형어린이집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은 제도적으로 운영비지원의 현실화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위한 정부의 보육정책이 개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공형어린이집의 선정 및 운영 기준이좀 더 현실을 반영한 기준들로 개선되고 재정지원의 현실화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study was to survey the designation and operation as Accredited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and the perception of the accreditation program activities against the principals of the Accredited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and to provide the basic reference research and data required to improve the program policies for designating and operating Accredited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The child care centers included in the research were 101 principals operating and managing Accredited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in the Daejun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regions.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developed based on the work manuals of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results first confirmed that the proper recogni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s of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are important for qualitatively improving the level of childcare services and that continuous efforts to maintain and manage the accreditation status were conducted. Second, while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were mostly positive perceptions regarding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Accreditation Systems, for the maintenance rate of the total number students needing to be enrolled at the institution, there were perceptions that viewed these criteria as inappropriate. Third, while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were mostly positive perceptions regarding the management of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for the weekday operating hour guidelines and the one-strike out policy, there were perceptions that viewed these policies as inappropriate. Fourth,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considered realistic support and subsidies for management and operation needed to be implemented at a policy level, and that also there was a need for the childcare policies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needed to be improved.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for discovering that realistically improving the selection and operation standards of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ing the policy for realistic support and subsidies for the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is necessary.

      • KCI등재

        Marketing mix 7P가 어린이집에 대한 만족도, 충성도 및 재선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혜경(Jeon, Hei-Kyeo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어린이집 경영효율화를 위하여 Marketing mix 7P가 어린이집에 대한 만족도, 충성도 및 재선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그리고 강원도 C시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SPSS Statistics Program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 및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만족도는 의사소통, 보육환경, 건강·안전의 3개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충성도는 1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어 내적타당도를 확보하여 신뢰성이 검정되었다. 둘째, Marketing mix 7P는 만족도, 충성도 및 재선택 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에 대한 만족도, 충성도 및 재선택 의도는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민간어린이집과 직장어린이집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민간어린이집의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집의 시장중심 경영효율화를 위하여 Marketing mix의 적용이 유의미함을 시사한다. 아울러 민간어린이집의 존립을 위하여 마케팅전략을 통해 만족도, 충성도를 향상시켜 어린이집을 재선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원활한 원아모집과 이로 인한 경제적인 안정으로 원장과 교사들이 보육에만 집중하여 보육의 질이 보장되도록 운영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에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is to conform what Marketing-Mix(7p) influence on re-choice, loyalty and Satisfaction of Child Care Center for streamlining of management. In order to proceed,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Child Care teachers who attend centers in city of C in Kangwon-do, Kyeongki-do, and Seoul. Then it was examined by several methods which ar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 program 21.0. In consequence of research, first of all, satisfaction of center shown to be having 3 factors which are communication, nursery environment, and heath · safety, loyalty has 1 factor. Considering these, the research is internally valid therefore it is proven to be reliable. Second, Marketing-Mix(7p) is effect to satisfaction, loyalty, and re-choice of center. Third, there is difference of intention between satisfaction, loyalty and re-choice of center depends on kinds of Child Care Center. Specially, reasonable difference is in between private center and center in workplaces. This result shows that applying of Marketing-Mix(7p) to market-focused streamlining management of center is meaningful.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provide information that for existence of center, improving satisfaction and loyalty to lead re-choice to the center by marketing strategy, smooth recruitment will occur therefore employee to be financially stable so they can focus on providing quality nursery.

      • 정부의 보육기관 지원제도의 실무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형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차미조,성백춘 한국경영실무학회 2015 한국경영실무학회지 Vol.1 No.1

        영유아 보육시설인 어린이집은 현원기준이 아닌 정원기준으로 일률적으로 지원을 할 경우 그 효율 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문제점으로는 현원이 많음에도 현원이 극히 적은 어린이집과 구간이 같다고 하여 동일한 지원을 받는다는 것은 정부의 재정적 낭비와 더불어 현원이 많은 어린이집은 동기부여의 이유가 없어지므로 질적 서비스에 소홀할 수 있다. 이러한 개선방안으로 정원기준이 아닌 현원기준으로 지원금 산정을 한다면 재정적 낭비를 해소하고 현원이 많 은 어린이집에 지원금이 많음으로서 향후 더 적극적인 서비스의 개선이 예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 다. 향후 연구계획으로는 보다 실질적인 공공형어린이집 지원을 위해서는 국공립어린이집에 준하는 교 사인건비 지원방안 또는 교사 수에 비례하여 정부지원금을 산정하는 방안 등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Daycare centers, one of the child-care institutions, the author raised a ques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such policy if the government uniformly gives financial supports based on prescribed number of people instead of the actual number of people, and thus presented an improvement scheme. The problem is that if the government gives equal supports for daycare centers that have a large number of people, for they are in the same group with centers that have a small number of people, it would be a financial waste and would make daycare centers with lots of people lack motivation, which could make those centers negligent in quality services. To address this issue, it would solve problems of financial waste if the government estimates financial supports based on the actual number of people, rather than prescribed number of people, which would lead to more financial supports for centers with lots of people. In order to give more substantive supports for public daycare centers, further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draw up measures to support labor costs of daycare centers second to public daycare centers or to estimate government support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eachers.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실태 조사 연구

        황해익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들의 어린이집 장학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어린이집 장학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과 필요성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어린이집 현장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내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 230명을 임의표집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어린이집 장학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교사용 설문지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어린이집 장학에 대한 인식은 ‘어느 정도 알고 있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장학과 관련된 연수 및 보수교육의 실태를 살펴본 결과 ‘받은 적 없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문제점 인식을 살펴본 결과 ‘현장의 목소리 미반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필요성의 차이를 제변인에 따라 알아본 결과 학급규모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차이가 나타났으나, 기관유형, 학력 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장학을 담당하기에 적합한 기관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보육지원센터·보육정보센터’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린이집의 장학을 담당하는 장학사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연수받은 교사’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열린어린이집 교사의 열린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인식과 직무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김연아,김경은 한국인간발달학회 2018 人間發達硏究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사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열린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인식(운영실태 및 운영효과),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고, 열린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인식과 직무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위치한 열린어린이집 중 보건복지부에서 선정된 열린어린이집 보육교사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열린어린이집 교사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열린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인식,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학력과 담당연령에 따라 열린어린이집에 대한 인식,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열린어린이집 운영실태 및 운영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직무만족도와 부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귀분석결과 열린어린이집에서의 의사소통, 부모효과, 의사결정참여, 교육의 다양성 요인 등이 교사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열린어린이집 운영실태 및 운영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직무스트레스와 부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귀분석 결과, 열린어린이집에서의 의사소통 요인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어린이집 평가인증 여부에 따른 교실환경, 교수효능감,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의 차이: 한국아동패널 3개년도(2012~2014) 자료를 중심으로

        이원선,서영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3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평가인증 여부가 어린이집의 교실환경, 교육 효과,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 5년차도(2012년)~7년차도(2014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린이집 평가인증 여부에 따른 교실환경, 교수효능감,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의 차이를 분석했다. 이 시기의 데이터가 유아기에 해당하며, 어린이집 정보를 포함하고있어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이 연구의 결과, 첫째 2012년부터 2014년까지 평가인증을 받은 어린이집이 미인증 어린이집보다 교실환경의 질이 의미 있게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인증을 받은 어린이집과 미인증 어린이집의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은 2012년과 2013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2014년에는 인증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인증을 받은 어린이집과 미인증 어린이집의 보육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은 2012년과 2013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2014년에는 인증어린이집의 보육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는 종단적 자료 분석을 통해 어린이집 평가인증이 어린이집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어린이집 질 향상과 평가제 발전을 위해 실질적 자료의 축적과 이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황해익,김병만,김미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1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needs of childcare center principals and teachers for the development of supervision programs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childcare center supervision programs and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0 principals and 230 teachers who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from the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and the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ir awareness of supervision and its current state, the majority of principals and teachers replied that they were aware of childcare center supervision to some extent(62.0%). Regarding supervision-related training and supplementary education experiences, the largest group of principals and teachers never took training courses nor received supplementary education on that subject(30.6%). Concerning the reason why supervision wasn't conducted, the largest group of principals cited poor understanding of supervision as the reason(31.1%), whereas the biggest group of teachers pointed out the lack of a childcare center supervision system(48.2%). Second, as a result of checking any possible differences between the principals and teachers in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supervision program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group gaps in opinions on the necessity of childcare center supervision programs, methods of supervision, planning/operator, supervisors and efforts by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nd childcare centers for the development of supervision programs. However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ir views of the content and cycle of supervisi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childcare center supervision programs was discussed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principals and teachers and their needs. 본 연구는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어린이집 현장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내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원장 200명과 교사 230명을 임의표집하여 선정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장학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장학에 대한 인식은 원장과 교사 모두 ‘어느 정도 알고 있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62.0%), 장학 관련 연수 및 보수 경험 여부는 원장과 교사 모두 ‘받은 적 없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58.1%), 어린이집의 장학 실시 방법은 원장과 교사 모두 ‘약식장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30.6%). 또한 어린이집 장학을 실시하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원장은 ‘장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를 가장 높게 인식했지만(31.1%), 교사는 ‘어린이집 장학에 대한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48.2). 둘째,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장학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의 필요 정도, 실시 방법, 계획 및 운영자, 장학 담당자 및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국가, 지방자치단체, 어린이집 차원의 노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장학의 내용, 실시 주기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과 요구도를 중심으로 중요성과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