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입양부모교육에 관한 방안 고찰

        김외선 한국부모교육학회 2016 부모교육연구 Vol.13 No.1

        본 소고의 목적은 국내입양부모교육에 대한 바람직한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한국에서 입양부모 는 사회적 지지기반이 약한 상태에서 입양이란 독특한 주제를 안고 아동의 적응 및 성장·발달을 돕는 쉽지 않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입양부모는 입양배치 이후, 아동의 복리를 지켜줄 수 있는 일차적인 수호자로서, 입양부모교육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현재 국내입양부모교육은 개정입양특례법 취지에 따른 입양가족사후관리 일환으로 활발히 진행 중 이다. 그러나 입양이슈를 다룰 수 있는 입양부모만의 부모역량을 갖추게 하는 효과적인 부모교육이 이 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교육대상인 입양부모만이 갖는 필요·욕구에 대한 연구부족, 입양전문성 을 갖춘 교육인력의 부재 그리고 입양특성화 된 교육교재 부족을 원인으로 들수 있다. 본 소고는 국내입양부모교육의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생성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으로는 국내입양관련 문헌, 논문, 인터넷 자료 그리고 입양부모들의 진술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 교육대상인 국내입양부모들의 특징적 속성과 입양부모만이 갖는 특별한 부모역할과업을 도출 하였으며, 현재 시행 중인 국내입양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한 후 향후 바람직한 입양부모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 외국의 부모교육명령제도가 한국의 부모교육명령제도에 주는 시사점

        김은주 한국부모교육학회 2009 부모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과 우리나라의 부모교육명령제도를 비교해서 살펴봄으로써 외국의 제도가 우리나라 부모교육명령제도에 대해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우리나라 부모교육명령제도가 나아갈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외국과 우리나라의 부모교육명령제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에는 부모책임법제 자체는 없지만, 부모교육명령제도의 근본이념에는 부모책임이 전제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외국과 우리나라의 부모교육명령제도는 공통적으로 아동의 행위에 대해서 부모의 역할부실 책임도 있음을 인정하여 아동범죄자의 부모들이 부모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해야 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었다. 특히 외국의 경우는 부모교육에 참가하면 처벌을 면제해 주는 조항이 있는 것을 볼 때, 처벌보다는 부모교육의 참여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외국과 우리나라의 문화적인 차이의 관점에서 볼 때, 외국의 부모교육명령제도보다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부모교육명령제도가 더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교육명령제도 시행의 결과가 성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실은 부모교육을 일반아동을 가진 부모에게도 확대 적용할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기초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최근 도입된 우리나라의 부모교육명령제도가 아동범죄의 재범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기제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도들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최근 도입된 우리나라의 부모교육명령제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제도나 방향을외국의 제도를 살펴봄으로써 구체적으로 도출해 본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인공지능 알파고 시대의 부모교육

        전희일 한국부모교육학회 2016 부모교육연구 Vol.13 No.1

        1920년대부터 시작한 부모교육은 시대에 따라 문화가 발전되면서 그 내용과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 지금은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능가하고 있는 시대 즉, 알파고 시대이다. 알파고 시대에는 알파고 시대에 걸맞는 부모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부모교육은 아동발달 뿐만 아니라 부모 자신의 발달, 그리 고 나아가 사회와 국가의 발전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것이다. 아이를 낳아 자연스럽게 얻어진 부모라 는 이름뿐 만이 아닌 내 아이의 적절하고 바람직한 발달을 위해 부모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려 면 부모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문제는 아직도 구태의연한 부모교육이나, 불확실한 부모역할로 자녀 를 교육하고 있다면 이는 부모교육의 심각한 질적 문제이다. 대부분의 부모들이 자녀를 유아교육 기관 이나 학교 등에 맡기는 것으로 부모의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는 것으로 착각하고 있을 수 있기 때문 이다. 지금은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합한 새로운 부모교육, 부모역할이 필요하다. 인공지능 알파고 시대에 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부모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그동안 주로 많이 해왔던 의사소통교육 이외에도 생애주기에 따른 부모역할 교육, 어릴 때부터 시작할 수 있는 토론교육, 자녀의 욕구를 존중해 주는 부모역할 교육과 창의성, 인성, 감성, 책임성, 목표성 있는 부모역할교육(5성 교육), 자존감 있는 자녀 로 키울 수 있도록 하는 적극적 부모역할 교육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자녀로 양육되도록 지 도해야 하는 부모역할 교육 등을 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부모교육이 지속가능한 발전적 부모교육으 로 시행되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부모교육! 아이들이 살고, 가족이 살며, 국가가 살 수 있는 최 고의 교육이며, 우리 부모들이 반드시 해야 할 과제이다. 미래를 여는 열쇠는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부모역할교육이다.

      • 지역 육아종합지원센터 부모교육 현황과 발전 방향

        마미정,박초아,김동례,정경진 한국부모교육학회 2015 부모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영유아기 가정의 육아지원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육아종합지원센터의 부모교육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육아종합지원센터의 부모교육 사업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 다. 이와 함께 부모교육 내용 중 인성 관련 부모교육 현황도 함께 분석하여 부모인성교육의 핵 심적 역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발간한 2013년과 2014 년 전국 육아종합지원센터 사업결과보고서, 전국 육아종합지원센터 부모 인성교육 현황 내부자 료, 육아종합지원센터 직원 대상 설문지 등을 단순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육아종합지원센터로의 명칭 변경에 따라 2013년에 비해 2014년에 부모교육 횟수가 5배 이상, 대상 인원수는 2배 이상 증가하였다. 둘째, 부모 인성교육은 대집단과 소집단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진행하고, 주로 양육방법이나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인성을 다루고 있었 다. 셋째, 육아종합지원센터 직원들은 영유아기 부모교육 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부모교육 참여율 저조 등의 문제를 언급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첫째, 부모 교육의 제도화를 위한 시범적 운영 모델 개발, 둘째, 인성 주제를 포함한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콘텐츠 개발 및 전문 강사진 양성을 위한 시스템 구축, 셋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브랜드화’ 및 대상별·주제별 구성, 넷째, 부모교육의 내용과 방법 등의 다양화를 통한 발전적 부모교육 지 향 등을 제안하였다.

      • MBTI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분석

        정은미 한국부모교육학회 2016 부모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우리사회에서 부모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효과 적인 부모교육의 활성화와 보급을 위하여 현재까지 국내에서 개발된 MBTI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 그램들을 정리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문헌을 분석하는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국내 석·박사논문 및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총 9건의 논문을 연구대상 문헌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목적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부모교육프로그램에서는 부모의 자기이해나 양육태도 변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비행청소년 부모들을 대상으로 부모자녀문제를 해결하는 치료목적의 프 로그램도 1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살펴보면, 요구도나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토대 로 프로그램을 개발한 연구는 2편뿐이었고, 나머지 7편은 선행연구나 기존의 프로그램을 연구 목적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여 개발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구성내용은 MBTI 검사를 통한 자녀와 부모자신의 성격유형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양육태도나 스트레스 대처방안, 갈등 해결 방안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넷째, 프로그램 진행절차를 살펴보면, 실시 대상은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4편, 어머니만 대상 으로 한 연구가 5편이었다. 실시시간은 총 9시간에서 30시간으로 나타났으며, 1회 평균 90분에서 3시 간까지 운영되었다. 회기수는 3회기에서 12회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한 논문은 총 9편의 중에서 7편이었으며, 자아존중감, 자아수용도, 양 육태도, 양육효능감, 의사소통, 가족이해도 등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었다.

      •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정은미(Eun-Mi Jung) 한국부모교육학회 2017 부모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최근 우리사회에서 부모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동향을 살피고 그 내용과 효과를 탐색함으로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예비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문헌을 분석하는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총 12건의 논문이 연구대상 문헌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시기별 동향을 살펴보면, 2008년에는 1편, 2009년에는 3편, 2010년부터 2012년은 각 1편, 2013년 2편, 2016년 3편으로 꾸준히 논문들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목적을 분석한 결과,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에서는 자아존중감 향상, 예비부모로서의 자질, 지식, 태도 함양, 의사소통 능력증진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프로그램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한 연구가 3편이었고, 나머지 9편은 선행연구나 기존에 개발된 프로그램을 수정 또는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넷째, 프로그램 구성내용은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내용으로 자신과 부모님과의 관계를 돌아봄으로서 자기자신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부모됨이나 부모역할을 인식하는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효과적인 의사소통방법을 습득하게 함으로서 예비부모로서의 자질과 기술을 습득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섯째, 프로그램 진행절차를 살펴보면, 실시 대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5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4편, 시설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3편으로 나타났다. 실시시간은 총 1시간에서 40시간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1회평균 1시간에서 3시간까지 운영되었다. 회기수는 1회에서 12회기로 나타나 일회성 프로그램에서 다회성 프로그램까지 다양하게 실시되었다. 여섯째, 프로그램 효과로는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부모됨에 대한 인식, 양육태도 등에서 긍적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rends of preliminary parent education programs over the last 10 year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reliminary parent education program by exploring its contents and effects and to provide basic data of preliminary parent education. A total of 12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were selected as the literatu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rogram trends, it has been reported that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steadily until now, 1 in 2008, 3 in 2009, 1 in 2010, 2 in 2013, and 3 in 2016.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urpose of the program showed that preliminary parent education programs aimed to improve self-esteem, qualities , their knowledge, attitude and communication skills, as preliminary parents. Third, in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there are three studies developed programs to reflect the needs of the program, and the remaining nine studies were modified or reconstructed from previous researches or existing programs. Fourth, the programs were consisted of contents that are commonly included, that is, to understand oneself by looking at the relation between oneself and parents, and to recognize the parenting and the role of the parent. And also they constructed to acquire their qualifications and skills as prospective parents through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Fifth, the process of the program was as follows: 5 subjects for university students, 4 subject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3 subjects for facility students. Execution time varied from 1 hour to 40 hours, and operated from 1 hour to 3 hours on average. The number of sessions ranged from 1 to 12 sessions, ranging from one-time programs to multifaceted programs. Sixth, program effec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self-esteem, communication ability, perception of parenting, and attitude toward fostering.

      • KCI등재

        유아의 게임 이용 및 게임 리터러시에 대한 부모의 인식 연구

        김상옥,김응자 한국부모교육학회 2023 부모교육연구 Vol.20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s of their children's game use and game literacy. For this study, 523 parents of children aged 3 to 6 were surveyed. The survey consisted of parents' perception of game use, children's game use status, and perception of game literacy, and the collected data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parents' awareness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perceived their children's game use as having a negative impact on their children's development and emotions and appeared to control and guide their children's game use. Second, regarding the child's game use pattern, the child was using games in a healthy way and the level of game over-immersion was low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game use. Third, regarding game literacy, game education for children and parent education to guide children were necessary, and education on healthy game us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games, and discernment about games was needed. Game education was also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game literacy, there was recognition that information about useful games and education for children and parents about games at the daycare/kindergarten level were necess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upport for game literacy education for parents, to supply game content suitable for children, and to resolve negativ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game use in the educational fiel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applying children's correct game use and game literacy to education by grasping the status of children's game use and game literacy recognized by parents in the reality that children's game use is increasing. 본 연구는 유아의 게임 이용 및 게임 리터러시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으로 만3세에서 만6세 자녀를 둔 부모 52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은 게임 이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 자녀의 게임 이용 실태, 게임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부모의 인식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녀의 게임 이용에 대하여 부모는 자녀의 발달과 정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으며 자녀의 게임 이용을 통제하고 지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게임 이용 형태에 대하여 자녀가 건전한 방식으로 게임을 이용하고 있으며 적절하게 게임 이용을 조절하여 게임 과몰입의 수준이 낮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게임 리터러시에 대하여 자녀를 위한 게임교육과 자녀를 지도하기 위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건전한 게임 이용, 게임의 긍정적․부정적 효과 및 게임에 대한 분별력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고, 게임 교육을 위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게임 리터러시에 대하여 유익한 게임에 대한 정보 및 어린이집․유치원 차원의 게임에 대한 자녀 및 부모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 현장에서 부모 대상의 게임 리터러시 교육과 유아에게 적합한 게임콘텐츠 공급, 유아 게임 이용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해소를 위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유아의 게임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부모가 인식한 자녀의 게임 이용과 게임 리터러시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유아의 올바른 게임 이용과 게임 리터러시를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시설보호청소년을 위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강기정,배은숙 한국부모교육학회 2008 부모교육연구 Vol.5 No.1

        최근 우리 사회의 다양하고 복잡한 가족 문제와 함께, 가족이 해체되어 보호시설에 입소되는 청소년의 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시설보호청소년들이 가족 해체에 따른 낮은 자존감 형성과 부모역할 부재에서 오는 부정적 부모상을 극복하고 부모역할을 정립할 수 있는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시설보호청소년들에게 있어 우선 자아존중감 향상과 부모역할에 대한 명료한 개념화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시설보호청소년들의 요구와 선행연구를 근거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3단계 9회기로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1단계(나의 이해단계)는 라포를 형성하고, 청소년기의 발달 과업 및 생명 사랑에 대한 통합적인 활동을 통해 자아개념 및 자신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2단계(가족 이해단계)는 건강한 이성교제와 배우자관, 성의식 함양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의사소통 기술과 가상가족을 형성하여 기능적인 부모역할을 체험하고 가족요리체험을 통해 자신감, 행복감을 느껴보도록 하였다. 3단계(부모역할 이해단계)는 다양한 가정 탐색과 가족화를 통해 부모역할을 이해하고, 가족영화 감상활동으로 미래 부모역할을 설정해 보도록 구안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시설보호청소년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실천을 위해 정부와 민간이 파트너가 되어서 민간기업의 참여를 유도하는 정책적, 재정적 지원활동을 제안한다. 둘째, 각 시설의 특성과 구성원들의 교육 요구를 고려한 맞춤형의 프로그램 기획이 필요하며, 연령별ㆍ단계별로 실시되어야 한다. 앞으로 시설의 특수성을 고려한 많은 후속연구가 나와서 시설보호청소년의 복지에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 부모교육실천을 위한 부모코칭 모형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박수선,강기정 한국부모교육학회 2008 부모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부모교육 실천을 위한 새로운 부모교육 방법을 창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과정을 실행하였다. 우선 부모역할 개념과 부모교육 프로그램, 부모코칭의 실천 동향 등을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이론적인 배경을 탐색하고, 다음으로 2000년 이후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주제로 발표한 국내 학술지 발표 논문들을 프로그램 개발 분석틀을 기준으로 조사ㆍ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부모교육 접근 시 필요한 보완점들을 토대로 부모코칭모형 시안을 개발하였으며, 델파이 분석을 통해 부모코칭 모형을 수정ㆍ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기존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분석결과 부모교육의 주제가 문제를 가진 특수한 아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용자 역시 아동기에 집중되어 있었다. 프로그램 제공자 역시 연구자가 조사를 목적으로 단발적으로 실시하는 경우가 많아 전문성을 확인하기 어려웠으며, 다수가 강의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코칭모형 시안을 개발하여 전문가들에게 피드백을 받은 결과 다양한 코칭 기술이 포함된 부모코칭 프로세스를 기본으로 투입, 산출, 진단과정, 평가방법의 틀을 가진 새로운 부모코칭 모형이 제시되었다. 이 모형은 완전한 것이 아니라 계속적인 수정ㆍ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앞으로 실제적인 부모코칭 과정이 증가함에 따라 검증되고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다문화가족의 부모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강기정 한국부모교육학회 2015 부모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부모의 부모역량강화를 위해, ‘해피-해피 부모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 고 효과를 분석하였다. 다문화가족 중 베트남 국적의 이주여성 6명을 대상으로 2014년 7월부터 8월까지 주 1회, 매회 180시간씩 총 6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내용은 부모역량강화를 위해 부모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개인별 및 집단별 변화를 사전·사후 자기존중감 및 부모효능감에 대한 분석과 매회기 직적 참여 관찰 분석에 대한 사례조사 방법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프로그램 실시 후 자기존중감과 부모효능감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 자의 행동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활동과정에 대한 관찰기록지를 분석한 결과 부모됨에 대한 이해와 자신감, 부모기술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피-해피 부모코칭 프 로그램은 다문화가족 부모역량강화에 효과가 있는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