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방안 고찰

        고민경(Koh Min kyoung),권건일(Kwon Kun IL)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필요성과 유아교육과 보육의 논의점에 따른 통합을 위한 과제와 그에 따른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우선 우리나라 유아교육과 보육의 현황과 변천과정, 유아교육과 보육에 있어 OECD 국가의 동향, 스웨덴의 단일 부처의 통합사례와 일본의 인정어린이원의 통합 사례, 싱가포르의 교사양성제도의 통합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그동안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화 논의 과정에서 제기된 통합구축모형방안과 그 선결과제로 제기된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서비스 기능 조정과 통합, 교사양성 및 자격제도의 통합, 관리감독 및 재정지체계의 통합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은 유아교육과 보육시설의 목적과 기능상의 문제, 유아교육법과 영유아보육법의 중복으로 인한 비효율성 문제, 유아교육과 보육의 재정지원체계의 비형평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과제로 통합을 위한 법률, 행정, 교사자격, 교육조건, 교육과정 통합 분과를 제시하였다. 시대적 요청인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이 진정 유아를 위한 통합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In response to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and discussion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asks and methods for the integration. First, we studied the current state and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n Korea, the tren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n OECD countries, the cases of integration in Sweden and Injeong Childcare Center in Japan, and the case of teacher education system integration in Singapore.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ed the plan of integrated structure model proposed in the course of discussion o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and suggested preconditions such as the adjustment and integration of service functions of kindergartens and childcare facilities, the integration of teacher education and qualification systems, and the integration of supervisory and financial support systems. In conclusions,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can solve problems in the purposes and func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facilities, inefficiency resulting from the redundancy betwee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and the Infant Care Act, inequality in financial support systems f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etc. Thus, we suggested areas to be integrated including law, administration, teacher qualific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urriculum. It is earnestly hoped that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required today is genuinely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선방향

        심의보(Shim, Ui-bo)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2

        보육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본 논문이 시도되었다.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논해야 할 만큼 보육교사의 전문직으로서의 위상은 미약하다. 사회적 측면에서 본다면 보육교사의 역할과 그에 상응하는 처우가 전문직으로서의 위상에 걸맞지 않는 정도로의 열악한 때문이며, 교육적 측면에서 본다면 보육교사의 교육의 전문성이 부족한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논의의 결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방향을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첫째, 보육교사 전문성은 보육적 가치와 태도, 동기, 상상력, 안목 등의 개념을 포괄하는 방향으로 전개해야 한다. 둘째, 보육교사 교육의 내용은 해석적-현상학적으로 사고의 양식, 보육적 관심과 상상력, 보육적 동기와 사기 등을 형성 변화시킬 수 있는가 하는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의 구조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형성을 위한 경험의 논리에 타당하게 선택되고 방법적 원리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교양교육, 보육기초, 보육실제의 아동보호와 아동교육의 영역이 상호 유기적으로 통합되도록 거시적․미시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의 구조적 논의와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근거하여 교육학과 보육학의 보완적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보육관련 대학의 교육과정이 전문성 확보에 적합하게 구조화되기 위하여 학점 수를 상향조정해야 한다. 보육실제의 아동보호와 아동교육, 교육학과 교양을 현재 보다 상향조정하여 보다 높은 수준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만약 현재의 학점수의 한계 내에서는 가능하지 않다면 보육교사 교육은 전면 3, 4년제나 일반 학부 졸업 후 대학원을 통한 교육제도로의 구체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is study had been to consider on the direction of curriculum organization for the consolidating educare teachers’ specialization in college, and to examine on the structure of korean educare system is founded the children’s developmental task and socialization process through ‘Educare’ as a basics.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in our country, the educare suddenly came to be as a major social issue and it has made the emergence of many Educare Centers considerable. Now, the matter of the educare teachers’ education is the core of Child Welfare Policy, and it is required by us to study this with actual and systematic effort. In the final part, the basic direction of curriculum for the educare teachers’ education is to consider the structure of the cultural studies, the educare fundamental studies and the educare practical studies as a college curriculum. These signify to integrate the care of children and child education as a educare curriculum.

      • KCI등재후보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비교 연구

        이석순(Lee Seok-So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국가수준의 유치원 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전반적인 구성체계와 내용을 중심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BR>  우리나라 유아교육과 보육사업은 같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교육함에도 불구하고 시대 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었다. 유아교육과 보육은 관련법령과 주관부처가 다름으로 인해 이원화체제를 유지하면서 각기 다른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보육과정을 적용하여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다.<BR>  연구 결과 유치원 교육과정과 보육과정은 관련법과 행정조직이 다르나 편성운영체제는 비슷하게 구성되었으며, 교육/보육과정의 성격, 추구하는 인간상, 목적과 목표에서도 용어의 표현상 차이는 약간 있으나 매우 유사하게 기술되었다. 또한 영역 및 내용의 구성은 교육과정은 만 3-5세를 대상으로 5개 생활영역과 Ⅰ, Ⅱ, 공통수준으로 구분하였다. 표준보육과정은 6개영역과 만 2세 미만, 만 2세, 만 3~5세로 나누었으며, 내용별 수준을 연령에 따라 1ㆍ2ㆍ3 수준으로 구분하였다.<BR>  또한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측면에서도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비슷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과 보육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으며, 향후 유아교육과정과 보육과정의 통합을 위한 여러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바람직한 유아교육과정과 보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laws,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methods of implementation, goals and objects, areas and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s of national curriculum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BR>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ational curriculum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organization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s are based on national education ideologies and philosophy, guidelines of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laws. Although titles and classifications are somewhat different, the contents are divided 5 or 6 different areas, which are based on developments, experiences, and knowledge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for children. The contents in areas divide in ages and levels of developments.<BR>  In conclusion, this study offer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s.

      • KCI등재후보

        영국 유아교육개혁에 대한 분석적 고찰

        권영임(Kwon Youngihm)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최근 영국 정부가 실시하고 있는 대대적인 유아교육개혁의 내용과 유아교육기관의 평가제도에 관하여 검토하고 개혁내용에 대한 평가와 한국 유아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영국 정부는 유아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유아들의 학습수준을 높이기 위해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을 신설하였고, 교육개혁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기위해 유아교육기관 평가 제도를 도입하였다. 또한, 유아교육기관의 평가의 결과에 따라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연계되어 정책의 효율성을 높였다. 그리고, 그동안 행정 관리와 지원이 두 체제로 분리되었던 유아교육과 보육이 통합관계를 구축하게 되었다. 유아교육기관 평가를 교육부 산하기관이 아닌 독립 운영되는 교육기준청인 Ofsted가 평가를 담당하였다. 또한, 유아교육 기관의 평가결과를 인터넷에 공개함으로써 유아교육기관에게는 보다 책임감 있는 교육을 담당하게하며 학부모에게는 교육기관의 정보를 공유하여 자녀를 위해 교육기관을 선택할 기회를 넓혀주었다. 이러한 영국의 유아교육개혁은 한국의 유아교육과 보육의 이원화 체제에서 발생한 문제와 유아교육기관의 평가 인증제도의 정착 그리고 평가결과의 활용방안 등을 해결하기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formation the British preschool education has undergone for 10 years since 1997.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nationwide preschool education curriculum to achieve the goal of improving the quality of preschool education and raising the standard of education levels. Moreover, the government introduced an inspection system managed by Ofsted in order to promote the educational reform more effectively. Thus, they were able to acquire a national financial assistance system that was connected to inspection results. The fact that Ofsted is in charge of the inspection of preschool education institutes can increase the inspection’s fairness and integrity. Also, because the financial assistance is connected to the Ofsted’s inspection, the policy is highly effective. Making the inspection results open to the public through the internet gives an impetus for the preschool education institutes to provide a more committed provision. It is also an effective channel of sharing information with the parents and the community.

      • KCI등재

        공교육에서 주관하는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 비교

        이현희(Lee, Hyun-Hee),유미현(Yoo, Mi-Hyun),전유영(Jeon, Yoo-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공교육에서 주관하는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을 비교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국 ․공립 병설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108명과 용인지역 국 ․공립 병설유치원에 자녀가 재원중인 학부모 107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대한 전반적 연구 중 유 아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의 정도는 학부모가 교사보다 조금 더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영재가 갖추어야 할 요소에 대해서도 교사집단은 창의성, 자아개념, 과제 집착력 순으로, 학부모 집단에서는 창의성, 자아개념, 호기심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와 학부모 모두 공교육에서 주관하는 유아영재교육 기관의 부재로 인한 문제점을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교육에서 주관하는 유아영재교육 지원체제 및 전망에 대해 교사는 수업여건 보장을 위해서 교원 인사상 혜택을 가장 중요하게 선택하였고, 유아영재담당교사 선발은 교육경력자 중 희망자에 한하여 선발하는 방법을 선호하였다. 학부모는 영재교육관련 부모교육을 실시할 경우 자녀발달과 부모-자녀간 관계에 응용하기 위하여 연수받기를 희망하였다. 교사와 학부모 모두 유아영재 교육 시기는 만 5세가 적절하며, 활동주기는 주당 2회가 적합하고, 초등 저학년까지 연계하여 운영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유아영재교육기관 운영 시 교사 1인당 교육인원에 있어서 교사집단은 3~5명을 선호하였으며, 학부모집단은 3~5명과 6~7명의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공교육에서 주관하는 유아영재교육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견해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높은지지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국가에서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법적제도적 지원을 마련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for ‘basic research on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supervised by public education.’ focusing in public kindergarten. The survey was carried out for 108 teachers working at public kindergartens in Gyeonggi province and 107 parents of the children attending in kindergartens in Yong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overall research on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it turned out that the parents had more interest in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than the teachers did. Teachers and parents had different opinion about the elements that gifted children. Second, in ‘the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gifted children supervised by public education,’ both groups seriously recognized the problems of the absenc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gifted children supervised by public education. Thir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parents’ group, when there was parents’ education related to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they wanted to receive training to apply it to child developmen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most of them responded that they would respect their children’s opinions on the participation of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Both the teachers’ group and the parents’ group responded that the full age of 5 years old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training of gifted children; that twice a week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activity cycle. There were different opinion between 2 groups in the number of students per one teacher, the identification method of candidates, the methods of selecting and operating educational institutions, programs. Lastly, for the opinion that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based on public education should be activated, both groups showed high support. To sum up these findings, it is desirable for the state to pay attention to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and to prepar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 KCI등재후보

        SWOT 분석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평가 전략 도출

        허우정(Hur Woo-Jeong),김영연(Kim Young-Yoe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1

          생태유아교육 평가란 생명사상을 철학적 기초로 하여 유아교육 평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아이 살림, 교사 살림, 교육 살림을 중요한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유아교육평가를 보다 활성화하고 효율적으로 개발 연구하기 위해서 SWOT분석을 하였다. SWOT분석을 통해 생태유아교육평가의 내부의 강ㆍ약점과 외부의 기회ㆍ위협 요인 등을 파악하여 생태유아교육평가의 발생 가능한 요인들을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최적의 전략방안을 도출하여 활용하고자 하였다. 생태유아교육 평가의 전략으로 첫째 새로운 패러다임의 유아교육평가 차별화 달성, 둘째 생태유아교육평가의 현실적 실행 기반 구축, 셋째 지속적인 생태유아교육 평가체제 구축으로 나타났다.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 new paradigm of philosophical basi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resses the importance of practical life basis. Therefore, the evaluation of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make three parts of living ; ‘living of child’, ‘living of teacher’ and ‘living of education’ which they are important point of reference<BR>  This research uses SWOT analysis in order to study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more efficiently. Through SWOT analysis, We were able to grasp both internal strength and weakness and external opportunity and threat factor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In addition, we were able to predict possible factor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To respond to that, we found the optimal strategy plan and wanted to take advantage.<BR>  Using the strategy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we were able to achieve three main points. Firstly, this study could differentiat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from existing evaluations. Secondly, this study created a realistic base for the pratice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Lastly, this study creates ongoing evaluation system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 KCI등재후보

        유아권리와 권리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서영숙(Suh, Young-Sook),서혜정(Suh, Hye-Jeong),김진숙(Kim, Jin-Soo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보육 현장에서 유아권리 인식을 고취시키고 이를 실현시킬 수 있는 일차적 책임을 지닌 보육교사들의 유아권리 및 유아권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보육교사 916명을 대상으로 연구자들이 작성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보육교사들의 유아권리 인식은 교사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어 4년제 대졸 교사로서 국공립이나 법인보육시설에 근무하는 경력이 많은 보육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유아권리교육 필요성 인식은 교사변인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높을수록 유아권리교육 필요성 인식이 높았다. 셋째, 보육교사는 보육현장에서 유아권리교육이 제대로 실시되지 않는 이유로 자료 및 프로그램 부족, 교육방법론 부족으로 보았으며, 지침서와 프로그램, 그리고 다양한 교재 교구를 요구하였다. 넷째, 보육교사는 유아권리교육 연수 참여 의지가 높았으며, 국가기관과 대학이 연수의 주최가 되길 요구하였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유아권리교육 증진 방안에 대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ild care-giving teachers’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and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on respecting children’s rights in early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Questionnaires of 916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were analyze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eachers of public funded centers having 4-years university graduation degree and more teaching experiences were showed to have higher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eachers’s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on children’s right care and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s’ variables. Second, teachers’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appeared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on respecting children’s right in early childhood settings. Third, teachers requested various teaching materials, such as teacher guide book, child activity program for better children’s rights respecting care and education.

      • KCI등재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김정원(Kim Jung won),최소린(Choi So Rin),최은실(Choi Eun Sil)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을 활용하여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한 후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유아인성교육, 유아기 사회적 능력, 유아문학,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 등과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 및 문헌을 검토하고 이를 고려하여 레오 리오니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에 표현된 유아인성교육과 관련된 주제 및 내용을 검토한 후 설정된 목표를 이루기에 적절한 그림책을 선정하여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선정하였고, 유아기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그림책을 활용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선행연구의 제안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구성한 레오 리오니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한 후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레오 리오니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전체와 정서조절, 정서성, 또래관계기술, 그리고 사회적 지식 이해 등의 모든 하위요인과 관련된 사회적 유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성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사회적 관심의 고조에 부응하여 개발한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을 활용하는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기에 반드시 이루어야 할 필요가 있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was developed, applied in a pract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and evaluated. The program was designed using Leo Lionni's picture books with the themes of young children's good character to improve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purpose of the program established on the basis of various theories and researche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social competence, literature education, and picture book writer Leo Lionnei and his picture books.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were developed by analyzing and categorizing Leo Lionni's picture books with the themes of children's character and social competence.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program designed according to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using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And the program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program through survey. Through evaluation it is verified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using Leo Lionni's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was effective in enhancing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KCI등재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이 일반유아교육기관 또는 영어몰입교육기관에 다니는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황근희(Hawng Keun Hee),최나야(Cho Na Y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어머니의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신념 및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고,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이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및 어린이집 총 12곳의 만 5세 유아와 그 어머니 157쌍, 그리고 영어몰입교육을 받는 만 5세 유아와 그 어머니 143쌍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어몰입교육기관의 어머니는 조기영어노출과 영어교수자료 활용을 더 많이 지지하고 영어의 긍정적 영향을 크게 인식하는 반면, 일반유아교육기관의 어머니는 한국어와 영어의 균형 발달, 부모의 직접 지도, 비관습적 지도를 지향하였다. 둘째,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서는 부모의 격려와 기대 인식 요인에서만 집단 차이가 나타나, 영어몰입교육기관의 유아들이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들보다 영어 학습에 대한 부모의 격려와 기대를 더 크게 인식하였다. 셋째,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은 기관 유형과 상관없이 유아의 영어 활동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어머니의 신념은 유아 영어 학습 동기의 하위 요인인 부모의 격려와 기대 인식, 외국에 대한 관심, 불안에 대해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on preschoolers’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Totally 300 five-year-olds were interviewed,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of the English immersion educational institution supported more ‘early English exposure’ and ‘English teaching materials’ and recognized the positive effect of English.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of general institutions tended to pursue ‘balanced development of Korean and English languages’, ‘parents’ teaching’, and ‘unconventional teaching method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attitudes toward learning between two groups. Children of immersion group showed higher level only in the factor of ‘perceptions about care-givers’ encouragement and expectation’. Third,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did not affect the children’s preferences of English activities, regardless of groups. Fourth,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fluenced ‘recognition of parents’ encouragement and expectation’, ‘interests about foreign countries’, and ‘anxiety for learning English’, which were sub-factors of children’s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 KCI등재

        유아인성교육의 교육적 접근 경험에 대한 교사의 담론

        조연경(Cho, Yeon-Kyoung),조미영(Cho, Mi-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아인성교육의 의미와 실행경 험과 어려움 그리고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실행하고 있는 유아인성교육에 대하여 효율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영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은 인성은 ‘사람 됨됨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유아인성교육의 의미는 교육과정을 토대로 한 관계 중심의 인성교육이라고 하였다. 둘째,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실행에 있어서 주로 하루일과 속에서 자연스럽게 기본생활습관지도와 함께 동화를 통한 극놀이, 이야기나누기 등 관계 중심의 대화를 통한 인성교육 방법을 실행하고 있었 다. 이와 같은 인성교육의 방법은 유아들로 하여금 인성덕목을 쉽게 이해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며 실천적 교육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효율적인 교수방법이라고 하였다. 또한 부모-자녀 체험활동, 교사의 모델링을 통한 인성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하면서 유아인성교육에 있어서 성인의 역할이 중요하며, 부모와 교사가 함께 할 때 긍정적인 교육의 효과가 일어난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인성교육에 대한 부모-자 녀체험활동의 연간계획을 수립하여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개선방향을 모색해야 함을 알 수 있었 다. 셋째, 유아인성교육을 실행하는데 어려움으로는 가정과 연계되지 않는 인성교육 실행의 어려움, 장기 적이고 반복적인 인성교육 실행에서 오는 소진의 어려움, 관계 중심의 인성교육 내용을 실행하는데 어려 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하였다. 넷째, 유아인성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로는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개선의 요구와 꾸준히 실천하는 유아인성교육의 요구, 연령별 특성과 개인차를 고려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anings, practical experience, difficultie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for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ffectiv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 carried out separately with 20 teachers who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o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meaning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in practi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ome teachers perceived that it was not easy for children to understand and access educationally because character education had a comprehensive meaning or frequently associated with creativity, so ambiguous or abstract in educational approach. On the other hand, most teachers said that character education was important in terms of making basic life habits and personality formation, and educated about the significance of relational character education such as consideration, empathy, cooperation and respect. Second, as for the practical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most teachers instructed to mainly form the basic lifestyle habits naturally in the course of the day, and focused on the relational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standard childcare and Nuri Curriculum. As for the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the educational approach using story telling and story sharing w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hat helped children to understand the virtues of humanity and provided opportunity for practical education experience. In addition,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eacher modeling and parent-child experiential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 on both parents and children. However, it was more effective when approaching periodically than one-time education. Third, as for the difficultie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in practi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Difficulty of burnout from running long-term and repetitive personality education, and communicating the contents of the relational character education had difficulties of performing character education. Fourth, as for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in practi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ost teachers hoped that much support would be ongoing with the expans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 and opportunities for an effective educational approach to carry out character educ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family, and medium suitable for the child s age, and to find teacher s self charac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