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사립유치원 교사의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식 비교

        황해익,오경녀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혁신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수업컨설팅에 대한 공?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식 이 설립유형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봄으로써 수업컨설팅의 주 대상인 공?사립유치원 교사들 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업컨설팅에 참여하는 것을 돕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점들에 대해 알아보는 것 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공?사립유치원 교사 209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수업컨설 팅에 대한 일반적 인식, 수업컨설팅의 절차 및 방법에 대한 인식, 수업컨설팅을 위한 여건 조성 및 결과의 활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공?사립유치원 교사들 간에는 입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들의 설립유형별 수업컨설팅에 대한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수업컨설팅에 보다 효율적으로 유치원 교사들이 참여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s awareness and needs for Kindergarten Teaching Consulting and to present basic data to prepare the effective ways of Kindergarten Teaching Consult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9 kindergarten teachers in Daegu with questionnaire. The study investigated overall level of awareness about teaching consulting and the process and method, making use of result of teaching consulting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generational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ing Consulting and Teaching Consultant, procedures and methods and prerequisites on practice of Kindergarten Teaching Consulting.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have higher awareness on Kindergarten Teaching Consulting tha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Finding out the differences on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ccording to kindergarten type, it can suggest plan to involve the Kindergarten Teachers effectively in Teaching Consulting

      • KCI등재

        유치원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황해익,손원경,손유진 한국유아교육학회 2002 유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수준별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바람직한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력 1년 이상인 396명의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와 30명의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교사들은 유치원 수준별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었으나 유아의 발달수준을 구분하거나 많은 수의 개별유아에게 적용하는 문제 등에서 어려움이 갖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eal conditions and desirable ways to implement a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In this study, 396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30 kindergarten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and significant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implementation of a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kindergarteners requires: First, clear criteria to differentiate children's level (activity level or developmental level) Seco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mixed-class of kindergarteners. Third, minimal educational content to assist kindergarten teachers. Fourth, an implementation model and instructional methods for a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Fifth, a supply of various materials for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황해익,탁정화,홍성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happiness, resilienc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It's basically meant to determin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happiness promo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step up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4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indergartens located in Busan, Ul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Four different inventories were utilized. One was a happiness inventory that consisted of three domains and 21 items, and another was a resilience inventory that consisted of three domains and 53 items. The third was a teacher efficacy inventory composed of two domains and 25 items, and the fourth was a job satisfaction inventory composed of six domains and 40 item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idered the level of their own happiness, resilienc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o be above averag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ir total scores of happiness, resilienc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these variables and their total scores as well. Third, the independent variable that made the largest prediction of happiness was resilience, followed by teacher efficacy. As for the predictability of the subfactors, the happi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most affected by positiveness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and teacher efficacy respectively. In terms of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at was under the largest influence of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job performance as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행복감과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각 변인에 대한 관계와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유치원 교사의 행복감 증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행복감,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의 행복감,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행복감,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총합과 각각의 하위요인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독립변수의 상대적인 설명력은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 설명력을 살펴보면,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에서는 긍정성, 교사효능감에서는 개인적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에서는 동료교사와의 관계, 부모-교사와의 관계, 유치원 교사로서의 직무수행이 행복감에 상대적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치원 교사의 행복감 증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교사 프로그램의 내용, 방법 등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이론적 기초자료를 마련함과 동시에 유아교육현장의 질적 향상의 도모 및 행복을 추구하는 교육환경을 구축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수몰입, 조직몰입, 행복플로리시 간의 관계 분석

        황해익,이강훈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수몰입, 조직몰입, 행복플로리시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서번트 리더십과 행복플로리시 간의 관계에서 교수몰입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및 경상남도의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담임교사 178명의 설문자료를 최종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해 SPSS & AMOS 21.0을 활용하여 Holmbeck(1997)이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4단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행복플로리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행복플로리시 간의 관계에서 교수몰입과 조직몰입이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 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증진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유치원 교사의 행복한 교직생활을 위한 방안마련에도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유치원 과학 활동과 평가의 실태 및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

        황해익,정명숙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ality of science activities and evaluation and teachers' recognition of desirable direction of science activities and evaluation in a bid to seek ways of boosting kindergarten science activities and evalu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science activities were mostly conducted once or three times a month and were conducted about a few science education cont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purpose of kindergarten science activities was to raise the scientific attitude of children. Second, a larger number of teachers answered science activities weren't evaluated nor considered it necessary to do that because of their ignorance of evaluation method. And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evaluation of science activities had to be conducted once a semester in observation method and portfolio method with children and teacher. So in order to bolster kindergarten science activities and evaluation, a supply of scientific materials, various applications of contents of Educational Curriculum, practice of science activities to forster scientific attitude of kindergarten children and educational training about the evaluation of science activities are needed.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과학 활동과 평가의 실태 및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과학 활동 및 평가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첫째, 유아 과학 활동은 월 1회~3회 실시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과정의 과학적 탐구의 내용 중 일부내용 위주로 과학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유아 과학 활동의 주된 목적은 과학적 태도의 함양이며 과학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과학 활동용 자료의 보급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과학 활동에 대한 평가를 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더 많았고 그 이유로는 평가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넷째, 유아 과학 활동에 대한 평가는 1학기 1번 정도 관찰을 통한 방법과 활동 결과물을 활용한 방법으로 유아와 교사가 함께 하는 평가가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과학 활동과 평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의 보급, 현장 반영률이 높은 연수 기회의 확대, 과학적 탐구 내용의 다양한 적용, 과학적 태도 함양을 위한 과학 활동의 실시, 평가의 필요성과 평가 방법에 대한 이해 확대, 관찰과 결과물을 활용한 평가 지향 등이 필요하다고 봐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