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HP 기법을 활용한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김병만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scale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echnique to identify importance and prior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participating in the AHP method comprised 20 panelists and the research tool consisted of the relative importance survey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2017b). The Parents'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Scale consisted of 4 evaluation categories, 8 evaluation criteria, and 24 evaluation indicator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Expert Choice 11.5 program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the AHP technique to analyze relative importance. It was shown that the evaluation category had weight in the order of collinearity, democracy, correspondence, and effectiveness. In the evaluation criteria, there was a high degree of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in the order of public interest, true women, and timeliness. In the case of evaluation index, the degree to which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benefits all the people, the degree to which parents participate democratically in the formulation of educational policies, and the degree of re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in current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indicators belonging to the evaluation category of collectivism, democracy, and responsiveness are highly important in evaluat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Thes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as a sign that it is suggested that these evaluation categories are considered more carefully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AHP 기법을 활용하여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전문가 패널 20인으로 선정하였고, 연구도구는 김병만(2017)이 개발한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를 상대적 중요도 조사 설문지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는 평가범주 4개, 평가준거 8개, 평가지표 24개로 구성되었으며,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해 AHP 기법의 절차에 따라 Expert Choice 11.5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평가범주는 ‘공선성’, ‘민주성’, ‘대응성’, ‘효과성’의 순으로 중요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준거는 ‘공익성’, ‘참여성’, ‘적시성’의 순으로 높은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지표의 경우 ‘유아교육정책이 국민 전체에게 이익을 주는 정도’, ‘유아교육정책 입안 시 학부모가 민주적으로 참여하는 정도’, ‘유아교육정책이 현재의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실현가능한 정도’의 순으로 높은 상대적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유아교육정책을 평가함에 있어 공선성, 민주성, 대응성의 평가범주에 속하는 평가준거와 평가지표의 중요성이 높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이후 유아교육정책을 개발함에 있어 이들 영역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에 대한 유아교육 전문가의 요구 분석-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김병만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유아교육 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에 대한 요구도를 수렴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정책·평가 전문가, 유아교육행정 전문가, 유아교육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본 연구는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의 프레임 구성을 위하여 개방형, 폐쇄형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육 전문가를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내용 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평가범주와 평가준거 기준을 선정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선행연구를 수렴한 결과, 김병만(2014), 강영욱(2004), 정강희(2003) 기준의 순으로 높은 요구도가 도출되었고, Suchman(1967), Nakamura & Smallwood(1980), Dunn(1981), 정일환(2000) 및 김종철(1996)의 연구에 대한 요구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평가 범주와 평가 준거의 중요도 및 필요도에 대한 요구도는 공공성, 실현가능성, 공익성, 민주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개발방향 및 기타 의견에 대한 요구도를 수렴한 결과, 평가의 범주, 준거, 요소는 철학적, 논리적, 이론적 용어로 정리하되, 학부모들이 직접 평정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쉬운 용어로 풀어서 제시하도록 요구하였고, 가능한 최소의 문항에 핵심 내용을 포함한 콘텐츠 구성 등의 요구도가 있었다. 본 연구는 학부모를 유아교육정책의 수혜자로 규정하여 대상화, 타자화 시키는 현실에서 벗어나 이들이 정책 수립과 실행 및 평가의 주체로 위치함에 당위성을 확보하였고, 이에 대한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

        김병만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aluation sca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using Delphi survey. Method: This study selected 20 panelists as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evaluation, specialis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specialis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parents with children. Afterward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to develop an evaluation sca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for parents.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third phase of study to anlyze the opinion from the expert panel through content classification,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of mean, standard deviation, probabilities, and quartiles descriptive statistics. In addition, the content validity, consensus, and degree of convergence were confirmed in order to modify and delete the contents of the evaluation scale based on the expert panel’s responses. Result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final evaluation scale for parents'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scale consisting of 4 evaluation categories, 8 evaluation criteria, and 24 evaluation indexes in response analysis of expert panels. The assessment criteria included 'co-prosperity', 'democracy', 'responsiveness' and 'effectiveness', and the evaluation criteria of 'co-operative' included 'public interest', 'accountability', 'democracy' The evaluation category of 'women', 'diversity' and 'correspondence' included 'timeliness', 'suitability', 'effectiveness' as 'rationality' and 'efficiency' as categories of evaluation. Conclusion: This study made it possible to visually compare the evaluation results so tha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policy can be easily grasped. Therefore, we think that it will be used as an evaluation tool which can cope with short-term as well as mid-and long-term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ppropriately. 연구목적: 본 연구는 델파이 조사를 활용하여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유아교육정책과 평가 분야 전문가, 유아교육행정 분야 전문가, 유아교육현장 분야 전문가 및 유아를 둔 학부모 20인을 전문가 패널로 선정하였다. 이후 델파이 조사를 3차례 동안 실시하여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3차 동안 이루어진 델파이 조사는 내용 분류와 빈도분석 및 평균, 표준편차, 왜도, 사분위수의 기술통계를 통해 전문가 패널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또한 전문가 패널의 응답을 통해 평가척도의 내용을 수정 및 삭제하기 위하여 내용타당도, 합의도, 수렴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전문가 패널들의 응답 분석에 토대하여 4개의 평가범주, 8개의 평가준거, 24개의 평가지표로 구성된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평가범주에는 ‘공선성’, ‘민주성’, ‘대응성’, ‘효과성’이 포함되었고, ‘공선성’의 평가준거에는 ‘공익성’, ‘책무성’, ‘민주성’의 평가준거에는 ‘참여성’, ‘다양성’, ‘대응성’의 평가범주에는 ‘적시성’, ‘적합성’, ‘효과성’의 평가범주에는 ‘합리성’, ‘능률성’이 포함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평가결과를 가시적으로 비교할 수 있게 하여 각 정책의 강점과 약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향후 유아교육정책에 대한 단기 또는 중·장기 평가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는 평가척도로 활용되리라 판단한다.

      • KCI등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 방향 탐색

        김병만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al evaluation criteri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which can evaluat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s a desirable standard based on opin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evaluation experts,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expert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experts.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Opinions of the experts were presented through SWOT analysis and SWOT Matrix strategy analysis. SWOT analysis analyze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scales as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and analyzes S-O strategy, S-T strategy, W-O strategy, and W-T strategy through SWOT Matrix strategy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proposed evaluation sca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may be meaningful for the direction and value to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sca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and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sca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for parents. 본 연구는 유아교육정책·평가 전문가, 유아교육행정 전문가, 유아교육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유아교육정책을 바람직한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는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개진된 전문가들의 의견은 SWOT 분석과 SWOT Matrix 전략 분석을 통해 제시되었다. SWOT 분석을 통해 정리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개발 방향 내용은 강점, 약점, 기회, 위협의 4가지 내용으로 분석하였으며, SWOT Matrix 전략 분석을 통해 S-O 전략, S-T 전략, W-O 전략, W-T 전략의 개발 방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개발 방향 탐색은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 시 고려해야 할 방향과 가치를 모색하는 데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개발 방향을 구상하고 실천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정책적으로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보육교사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Q-방법론적 접근

        김병만,김미진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s of image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bout nursery teachers in detail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build an ideal image of a nursery teacher. Another goal was to determine the right directions for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subjective opin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has not been covered in earlier studies. The Q-methodology was utilized to determine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types of the images of nursery teachers and each type's characteristics. A Q-population was constituted by 310 types of images based on the results of earlier studies about the images of nursery teachers, and 48 Q-sampl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frequency. And then 20 nursery teachers and 20 kindergarten teachers were asked to classify the images of nursery teachers in nine stages by using the Q-sort,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PASW 18.0. As a result, four different types of images appeare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bout nursery teachers, and the images were respectively named ‘a practical-teaching-oriented type of teacher’, ‘a negative-system critical type of teacher’, ‘a positive-humanistic type of teacher’ and ‘a neutral-emotionally type of teach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