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조관리 소프트웨어 선정을 위한 집단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Compromise Programming Approach

        정상윤,이동형 大田工業大學 1992 한밭대학교 논문집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optimal selection for evaluating alternative manufacturing control softwares. We describe an approach to group decision making involving multiple criteria. In this paper, an illustrative example of a manufacturing control software selection is concretely analyzed by a Compromise Programming Method as a viable tool for group decision making.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유동성 복합레진의 마모저항성에 관한 연구

        윤연희,김정욱,이상훈,한세현 大韓小兒齒科學會 200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9 No.2

        시술시간을 줄이는데 유리한 재료인 유동성 복합레진을 유구치부에 사용하려고 고려할 때 중요한 물성 중 하나는 마모저항성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동성 복합레진의 마모저항성을 일반복합레진의 마모저항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실험에 사용된 유동성 복합레진으로 1군에서는 Arabesk flow (VOCO, Germany), 2군에서는 Tetric flow (Vivadent, Liechtenstein), 3군에서는 Aeliteflow (Bisco, U.S.A), 4군에서는 Filtek flow (3M Dental Co, U.S.A)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사용한 5군의 복합레진은 Z100 (3M Dental Co, U.S.A)이었다. 시편들(n=10)은 두께 2mm, 지름 5mm의 원통모양으로 제작하여 마모시험 전 37℃의 증류수에서 7일 동안 담가 놓았다. 제1소구치와 레진시편을 MTS 시스템에서 2Hz로 50,000회 접촉, 마모시켰다. 마모시험시 lateral excursion은 0.4mm, 교합력은 2-100N의 조건이었다. 마모시험후 마모된 부피, 최대마모깊이, 재료자체의 표면경도를 측정하였고 마모되지 않은 표면과 마모가 일어난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마모된 부피는 3군에서 가장 적었고 4군에서 가장 많았으며 3군<1군<2군<5군<4군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2. 3군, 1군, 2군, 5군이나 4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마모부피가 적었다(P<0.05). 그러나, 3군, 1군, 2군 사이에서와 5군, 4군 사이에서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최대마모깊이는 1군에서 가장 낮았고, 4군에서 가장 깊었으며 1군<3군<5군<2군<4군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4. 5군의 표면경도는 다른 유동성 복합레진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마모부피나 최대마모깊이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5. 마모되지 않은 표면과 마모가 일어난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유동성 복합레진군과 5군 사이에 마모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When we use the flowable resin on the primary molars for quick handl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perty is the wear resistanc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wear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four flowable composite resins [Arabesk flow (group 1), Tetric flow (group 2), Aeliteflow (group 3), Filtek flow (group 4)] to that of one control composite resin [Z100 (group 5)]. Specimen discs(n=10), 10mm wide and 2mm thick,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at 37℃ for 7 days prior to testing. The specimens were subjected to 50,000 strokes at 2Hz on the MTS system. During the test,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maintained: the ;atera; excursion at 0.4mm, occlusal force at 2-100N with a force profile in the form of a half sine wave. The measurements of volume loss, depth of wear, and Vicker's hardness number of composite resins, and SEM obserbations of the polished and abraded surfaces were established. One-way ANOVA and Scheffe's multi-ple comparison test were employed to detec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lowable composite resin group and the control composite group at P<.05.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Group 3 showed the least volume loss, while group 4 showed the greatest. The mean volume loss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group 3<group 1<group 2<group 5<group 4. 2. Group 3, group 1, and group 2 showed significantly lesser volume loss compared to group 5 and group 4(p<0.05).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 3, group 1 and group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5 and group 4. 3. Group 1 showed the shallowest depth of wear, while group 4 showed the deepest. The mean depth of wear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group 1<group 3<group 5<group 2<group 4. 4. Group 5 showed significantly highest hardness value compared to the flowable composite resin groups(p<0.05),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wear resistance and Vickers hardness number. 5. SEM observation of the unworn and worn surfaces revealed the differences in the wear appearance between the flowable composite resin groups and the control.

      • 地中送電관의 최적 되메움재 선정을 위한 열특성 硏究

        윤성중,류권일,고영헌,김팔규 忠南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3 산업기술연구논문집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development of the most suitable backfill material which increases thermal stability and decreases thermal resistances for increasing capacity of the transmission of electricity. In order to proceed this study, the sand which recently was used as backfill material and the stone dust as single material for most suitable backfill material was chosen and experiments on thermal character and basic soil properties were proceeded for appreciating st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As a result of this study, natural moisture content of stone dust was higher than that of sand and porosity of stone dust and thermal resistance of stone dust was lower than that of sand. Then the stone dust are expected to increase capacity of the transmission of electricity. In point of stability, because total strain of pipe was within allowed strain, two materials are expected to ensure against risks. Stone dust is considered as useful backfill materials by contributing great economical efficiency, because a price of stone dust is half to the sand.

      • 압저항형 스마트 실리콘 압력 센서의 설계

        정후민,신윤권,조상복,이종화 울산대학교 2001 공학연구논문집 Vol.32 No.2

        압저항형 스마트 실리콘 압력 센서를 0.6 ㎛ 이중 폴리 실리콘 이중 금속 CMOS 공정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설계하였다. 이 스마트 실리콘 압력 센서는 압저항형 저항기들로 된 휘스톤 브리지를 갖는 다이아프램과 op-amp, A/D 변환기, 및 UART 회로 등의 주변회로 들로 구성되어 있다. 브리지 회로의 출력 전압과 압력에 의한 기계적 응력 사이의 관계를 COSMOS-M 상용프로그램으로 다이아프램의 응력 분포를 모의실험하여, 압저항기의 최적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CMOS op-amp 회로는 규정된 출력 특성을 얻기 위하여 크기가 다른 트랜지스터들로 설계하여 HSPICE로 모의실험하여 최적화 시켰다. A/D 변화기 회로는 가능한 칩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서브 레인징 기법과 신경 MOSFET 구조를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UART회로는 VHDL 소스 코드와 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고 Synopsys로 합성하여 설계하였다. 회로의 물리적 레이아우트 설계는 Mentor 틀로 설계하였다. 그러나 온도보상회로와 출력오프셋 문제는 아직 해결하지 못하고 다음에 연구할 예정이다. A piezoresistive smart silicon pressure sensor is designed to implement with 0.6 ㎛ double-polysilicon double-metal CMOS precess. This smart pressure sensor is composed of a diaphragm with piezoresistive resistors' Wheatstone bridge and the peripheral circuitry of op-amp, A/D converter and UAR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voltage of the bridge circuit and the mechanical stress by applied pressure was studied by simulating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diaphragm with COSMOS-M package program to optimize the size and position of piezoresistors. The CMOS op-amp circuit was designed with different CMOS transistor sizes to obtain the defined op-amp output characteristics and simulated with HSPICE. The A/D converter was designed using neuron MOSFET structure and sub-ranging method to minimize the chip area. The UART circuit was designed by using VHDL source code and cell library and by synthesizing with Synopses and the physical layout of the circuit was designed with Mentor tools. The problems for temperature compensation and the output voltage offset were not yet considered.

      • 國民學校 兒童의 姿勢計測에 對한 硏究

        尹南植,韓成一,成丁順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77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18 No.-

        국민학교 어린이들의 자세의 諸特性을 分析하여 學校現場에서의 자세교육의 지도자료를 구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서울, 경기지방의 남녀 어린이 240명에 대하여 척주 만곡도, 下肢의 상태 등을 계측하여 分析檢討한 結果를 다음과 같이 要約할 수 있다. (1) 연구대상자의 신체 형태의 특징은 細長型인데, 약 28%의 어린이는 전에 병을 앓은 경험이 있고, 50∼60%의 영양 불량아가 있다. (2) 자세에 미치는 환경 요인은 不實한 傾向이 있지만 자세 지도나 자세에 대한 관심도는 비교적 높다. (3) 立位자세의 표준 前傾度는 남자 4˚∼+5˚, 여자 -3˚∼+3˚이다. (4) 흉추부의 표준 만곡도는 남자 3˚∼12˚, 여자 4˚∼12˚이다. (5) 표준 상배 후만각은 남자 155˚∼168˚, 여자 152˚∼166˚이고, 표준 요부전막각은 남녀 모두 152˚∼168˚이다. (6) o脚은 전체 어린이의 7%이고 x脚은 3%를 차지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materials on the posture education at school. The subjects chosen for this study were 240 children from the first to the sixth grades at th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The children were interviewed each to examine the posture structure, were measured the degrees of vertebrae curvatures and the structure of the lower limbs by the Cureton's conformatuer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sture. The results were: (1) The children were near to the type of ectomorph posture. About 28% of the children had previously suffered the serious diseases. The children of unbalanced diet were from 50% to 60% of the total number. (2) 45% of the children used the desks and chairs when they study, and 70% of them had their desks and chairs unfit to their body structures. (3) Under these unfavorable circumstances, the children showed, however, the higher enthusiasm for the posture education which is encouraging. (4) The average Angle ∠α of forward curvature in standing position was about -4˚∼+5˚ among boys and -3˚∼43˚ among girls. (5) The average angle ∠a' of verabrae curvature of the thoracic was 3˚∼12˚ among sboy and 4˚∼12˚ among girls. (6) The male with Kyphosis (hunch back) was about 155˚∼168˚, the female was 152˚∼166˚. The male and female with lordossis of lumber curvature was 152˚∼168˚. (7) The children of bowlegs (O type) and those of knock knees (x type) were 3% of the whole.

      • 師範大學 科學科 實驗實習敎育의 模型硏究

        尹世重,李聖瑞,徐廷穆,崔鎬亨,蘇鮮燮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84 과학교육연구 Vol.16 No.1

        師範大學의 生物 實驗 敎育의 改善 方向을 강구하기 위하여 전국 15개 師範大學의 生物敎育科에서 敎育하고 있는 실험 실습을 학점을 중심으로 조사하였고 아울러 20개 非師範系 대학의 생물 실험실습 학점도 조사하여 비교하고, 분석 하므로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과를 얻게 되었다. 1) 師範系 生物 敎育科의 전공 학과중 實驗 實習 배정시간 및 학점수를 늘려 나가야 하겠다. 2) 探究學習 지도 能力을 保有할 수 있도록 實驗 實習 指導 改善 方法을 강구해야겠다. 3) 基礎 共通科目은 3과목 모두를 최소한 1학기는 이수토록 해야 하고 반드시 실험 실습을 竝行 하여야 하겠다. A study for the model of the laboratory experiment curriculum in teacher's college seience was done. Becaus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each field in department sc-ience education, the model was not necessarily unique. However, the common elements of frame in this model were suggested as follows : 1. The ratio of laboratory experiment's credits and total major credits. 2. The ratio of basic common laboratory experiment's credits (basic physics, basic chemistry, basic biology, and basic earth science) and total laboratory experiment's credits. 3. Credits and course name of laboratory experiments charactoristic for the science education in teacher's college. 4. Suggestion of the experimental guide for an inquiry learning.

      • KCI등재

        임플란트의 collar design이 변연골과 연조직에 미치는 영향

        유현상,강선녀,정창모,윤미정,허중보,전영찬 대한치과보철학회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1

        연구 목적: 임플란트 경부가 잘 설계된 경우 양호한 연조직 반응을 통해 변연골을 보존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실험에서는 연, 경조직 경계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임플란트의 collar design이 변연골 변화와 연조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동물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마리의 건강한 Beagle dog에 임플란트 collar design만 다른 두 종류의 임플란트(Neobiotech Co. Seoul, Korea)를 식립하였다. Collar에 bevel 을 부여한 군(Bevel 군)과 "S"자 형태를 부여한 군(Bioseal 군)으로 나누어 마리 당 7개, 군당 7개, 총 14개의 임플란트를 무작위로 식립한 후 Healing abutment를 즉시 체결하였다. 디지털 표준구내 방사선사진을 이용해 4주 간격으로 총 12주간 근원심 변연골 변화를 관찰하였고, 12주에 희생하여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협설 변연골 흡수 및 임플란트 주변 연조직 반응을 평가하였다. Mann-Whitney test를 통해 동일한 방사선 사진 촬영 시점에서 근원심 변연골 변화량 및 조직계측치를 군 간 비교하였고, Kruskal-Wallis test를 통해 방사선 사진상 근원심 변연골 변화량이 시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군 내 분석 한 후 Duncan test를 통해 사후 검증하였다(α=.05). 결과: 방사선학적 분석 결과 각 촬영 시점에서 두 군간 근원심 변연골 변화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군 내에서 시간에 따른 근원심 변연골의 흡수량을 분석한 결과 Bevel 군에서는 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05), Bioseal 군에서는 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4주및8주와 비교했을 때 12주에서 변연골의 증가를 보였다(P<.05). 조직학적 분석 결과 협설측 변연골 흡수량에서 두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05), Bevel 군에 비해 Bioseal 군에서 더 견고한 결합조직부착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생물학적 폭경의 값은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P>.05), 접합상피부착은 Bevel 군에서 유의하게 길었고, 결합조직부착은 Bioseal 군에서 더 길게 나타났다(P<.05). 결론: Bevel 군에 비해 Bioseal 군에서 결합조직부착은 길게 형성된 반면에 접합상피부착은 더 짧게 나타났으며, 생물학적 폭경과 초기 변연골 흡수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연조직 반응의 차이가 실제 기능하중 하에서 변연골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mplant collar design on marginal bone change and soft tissue response by an animal test. MATERIALS AND METHODS. Two types of Implant (Neobiotech Co. Seoul, Korea) that only differs in collar design were planted on two healthy Beagle dogs. The impl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with a beveled collar (Bevel Group) and the second group with "S" shaped collar (Bioseal group). Standardized intraoral radiograph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mesio-distal change of the marginal bone. Histological analysis was done to evaluate the bucco-lingual marginal bone resorption and the soft tissue response adjacent to the implant. Mann-Whitney test was done to compare the mesio-distal marginal bone change at equivalent time for taking the radiographs and the tissue measurements between the groups. RESULTS. Radiographic and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rginal bone change between the two groups (P>.05).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Bioseal group had more rigid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than the Beve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biological width (P>.05). Bevel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nger junctional epithelium attachment and Bioseal group showed longer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P<.05). CONCLUSION. For three month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arginal bone change between the Bevel group and the Bioseal group. As for the soft tissue adjacent to the implant, Bioseal group showed longer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while showing shorter junctional epithelium attachmen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iologic wid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