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T세포 수용체 Vβ 유전자 레퍼토리 분석

        정성수 ( Sung Soo Jung ),황관표 ( Kwan Pyo Hong ),김동욱 ( Dong Yook Kim ),김태환 ( Tae Hwan Kim ),이인홍 ( In Hong Lee ),전재범 ( Jae Bum Jun ),배상철 ( Sang Cheol Bae ),유대현 ( Dae Hyun Yoo ),김성윤 ( Seong Yoon Kim ),이은영 ( 대한류마티스학회 1996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3 No.1

        목적: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의 병인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T세포에 관한 연구가 최근에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한국인을 대항으로 시행된 보고는 없다.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관절병변부위에서 T세포 수용체(TCR)의 Vβ유전자 사용의 빈도를 검색하여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사용되는 빈도가 높은 유전자계를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에 저자는 T세포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3명과 정상인 4명을 대상으로 말초 혈액과 활액 T세포로부터 추출한 RN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한뒤 cDNA를 주형을 Vβ family specific oligonucleotide를 시발체(primer)로하여 반정량적 역전사 연쇄중합반응(semiquantative RT-PCR)을 시행하여 T세포 수용체(T cell receptor; TCR) Vβ 레퍼토리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정상인 4명의 말초혈액에서 T세포 수용체 Vβ유전자 평균사용빈도는 Vβ7(8.68±3.20%), Vβ3(7.83±2.03%), Vβ(6.74±1.43%)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으며, HLA-DR4 양성군(3명)에서는 Vβ8(7.39±1.71%), Vβ2(7.31±2.30%), Vβ1(7.22±1.54%)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고, HLA-DR4 음성(1명)에서는 Vβ3(17.79%), Vβ4(11.41%), Vβ24(9.8%)의 순서로 사용빈도가 높았다. 2. 류마티스 관절염환자 3명의 말초 혈액에서는 Vβ16(6.90±1.81%), Vβ18(6.89±0.80%), Vβ14(6.58±0.65%)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다. HLA-DR4 양성 환자군에서는 Vβ16(7.52±2.06%), Vβ14(6.96±0.04%), Vβ22(6.78±0.18%)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다. 각각 환자의 결과를 보면 첫번째 환자(HLA-DR4 양성)는 Vβ16(8.98%), Vβ14(6.99%), Vβ22(6.91%)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고, 두번째 환자(HLA-DR13 양성)는 Vβ18(7.79%), Vβ20(5.98%), Vβ24(5.90%)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다. 이를 종합해 보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Vβ16, Vβ20, Vβ14, Vβ18유전자계가 제한되어 사용되었다. 3. 류마티스 관절염환자의 활액의 T세포에서 Vβ유전자 평균발현빈도는 Vβ20(7.39±1.77%), Vβ18(5.60±1.31%), Vβ12(5.56±1.77%)순으로 높았으며, HLA-DR4양성인 환자군에서는 Vβ12(6.56±0.58%), Vβ20(6.44±0.94%), Vβ4(5.30±0.49%)순으로 빈도가 높았으며, HLA-DR4음성 환자에서는 Vβ20(9.29%), Vβ19(7.57%), Vβ18(7.07%)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다. 각각 환자의 결과를 보면 첫번째 환자(HLA-DR4 양성)는 Vβ12(6.15%), Vβ20(5.77%), Vβ7(5.74%)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고, 두번째 환자(HLA-DR4 양성)는 Vβ20(7.10%), Vβ12(6.98%), Vβ24(5.83%)의 순서이었고, 세번째 환자(HLA-DR13 양성)는 Vβ20(9.29%), Vβ19(7.57%), Vβ18(7.06%)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다. 활액 T세포에서는 Vβ20, Vβ12유전자계가 제한되어 사용되었다. 4. 말초 혈액에 비해 활액 T세포에서 TCR Vβ유전자 사용빈도가 1.5배 이상인 경우는 Vβ5.2, Vβ9, Vβ23 이었으나, 이들 유전자계가 활액 T세포 전체에서 차지하는 사용빈도에 있어서는 각각 Vβ5.2는 1.07±1.26%, Vβ9는 2.17±1.42%, Vβ23는 3.84+1.97%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각각 환자에서 비교했을때에 첫번째 환자(HLA-DR4 양성)는 Vβ23(3.69%:1.12%), Vβ5.1(3.51%:1.40%), Vβ12(6.15%:3.29%), Vβ6(3.35%:2.10%), Vβ2(5.74%:3.73%)의 유전자계에서, 두번째 환자(HLA-DR4 양성)는 Vβ9(3.58%:0.74%), Vβ19(4.67%:1.52%), Vβ5.2(2.52%:0.87%), Vβ10(4.25%:1.75%), Vβ1(5.74%:2.35%)의 유전자계에세, 세번째 환자(HLA-DR13 양성)는 Vβ6(2.68%:0.15%) Vβ9(2.17%:0.73%), Vβ11(2.30%:1.10%), Vβ20(9.29%:5.98%)의 유전자계에서 활액에서 말초혈액보다 1.5배이상 증가되어 사용됨을 볼수 있었다. 즉 활액에서 말초혈액보다 의미 있게 편향되어 사용되는 Vβ 유전자계는 각각 환자마다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5. 류마티스 관절염환자의 말초 혈액과 정상인의 말초 혈액의 T세포의 Vβ 유전자 사용빈도를 비교했을때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말초혈액 T세포에서 Vβ16(6.90±1.81%:3.23±1.21%), Vβ18(6.89±0.80%:2.72±0.70%) 유전자계가 2배 이상으로 빈도가 높았고, HLA-DR4양성군만 비교하였을때도 Vβ16(7.52±2.06%:3.69±1.46%), Vβ18(6.45±0.28%:2.61±0.86%) 유전자계가 2배 이상 사용이 많았다. 결론: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류마티스 관절염 각각 환자마다 다른 Vβ 유전자계의 제한적 사용과 편향됨을 볼 수 있었으나, 공통된 유전자계의 증식은 볼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연구보고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고, 이것은 대상 환자의 질병의 유병기간이 다르고, 또 유전적인 배경, 생존 환경, 적용된 방법의 차이로 기인한다고 하는 기존의 보고와 부합된다고 사료되는데 질병의 진행단계에 따라 주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의 에피토프가 달라짐에 따라 여기에 대항하는 T세포들의 수용체도 이들 에피토프에 반응할 수 있는 수용체를 가진 코론들이 증식하게 된다는 epitope spreading theory에 부합되며, 이는 아주 초기에 질병을 시작하게 유도하는 항원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환자선택이 연구결과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 다른 가능성은 각각 환자마다 다른 Vβ유전자계의 증식된 클론들의 CDR3 연기 서열을 규명하여 비록 유전자 서열이 다를 지라도 항원과 결합하는 같은 성상을 갖는 아미노산 motif를 가질 가능성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Objectives: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echnology was eamine synovial fluid and peripheral T cells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RA) to determine the preferential usage of the T cell receptor(TCR) variable region (V) gene. Methods: Oligonucleotide primers specific for individual TCR Vβ gene families were used to amplify the TCR gene products in a semiquantitative assay of their relative utilization in unselected T cell populations. Results: The result of Vβ utilization was generally heterogenous, similar with previous reports. However, the mean expression of Vβ16 and Vβ18 in RA was more preferentially utilized compared to normal donors. The usage of Vβ in peripheral blood from 3 patients with RA demonstrated restrictions in Vβ16, Vβ20 and Vβ18 genes, respectively. Analyses of synovial fluid resulted in restriction in β12, Vβ20 and Vβ20,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pattern of skewed Vβ gene mean usage when comparing the synovial fluids with the peripheral blood T cells from RA patients, there were significant biased Vβ genes, Vβ12, Vβl and Vβ20, each 3 patients. As the HLA type is a determining factor in shaping TCR repertoire of peripheral T cells, we compared the Vβ utilization in HLA-DR4 expressing groups that have susceptibility and gene dosage effect in disease progression. It was a little different that comparing the pattern of Vβ usage in peripheral blood and synovial fluid from RA patients between HLA-DR4 positive and negative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conclusion that the increased Vβ family T cells infiltrate synovium and are dependent on each patient and may be involved in inducing and maintaining the synovitis that characterizes RA The different outcome of each patient may be due to the difference in disease duration, genetic background and geographic region. A more important factor may be the stage of disease, because epitope induced immune reaction may change over time. Therefore, selecting patients early in the course of disease may be important and may facilitate the need for more in-depth TCR analysis in the future.

      • KCI등재

        논문 : 사용자 컨텍스트(context)를 고려한 쇼핑 어플리케이션 디자인연구 -기내 엔터테인먼트(In-flight entertainment)시스템을 중심으로-

        박인영(주저자) ( In Young Park ),김명지(공동저자) ( Myeong Ji kim ),정이슬(공동저자) ( Yi Seul Jung ),차은수(공동저자) ( Eun Soo Tchah ),이현진(교신저자) ( Hyun Jean Lee ),전수진(교신저자) ( Soo Jin Ju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3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개인화된 관심과 사용자의 개입을 촉진할 수 있는 기내 서비스 개발에 대한 필요성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으나, 기내 미디어와탑승객의 컨텍스트를 고려한 콘텐츠 및 서비스 디자인 방식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내오락(in-flight entertainment)용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하여 여행하는 지역 및 문화와 관련된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쇼핑경험과 컨텍스트에 대한 현상학적 이론 고찰을 통해 여행자의 컨텍스트적 정보에 기반한 탐색적 쇼핑 경험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화적 브라우징이 정보 구조에 반영되어야 함을 확인하였고, 설문조사,관찰, 현장 인터뷰를 통해 쇼핑 경험에서 구현되어야 할 핵심 정보들을 선별하였다. 최종 디자인 프로토타입에서는 여행 목적지의 지도, 문화 스타일이미지, 선호 스타일 퀴즈로 구분된 세 가지 대화 경로를 통해 사용자가 화장품 쇼핑 관련 정보와 선호 스타일을 탐색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결론에서는 기내 탑승객이라는 컨텍스트에 초점을 맞춘 쇼핑 서비스가 사용자의 여행지에 대한 기대감을 높일 수 있고 문화적 탐색 욕구와 연계된 쇼핑활동을 장려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need for in-flight service supporting personalized interest and user engagement is increasing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s provided by in-flight media service and passenger’s context is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proposing the interactive shopping experience, which offers shopping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context. The explorative shopping experience as an interactive activity of tourists’ contexts is selected to be a research topic based on a shopping experience framework and phenomenological theory. In order to select core functions and contents to provide, the study executed survey, observation and interview of Chinese tourists in Seoul. aThe final prototype is designed for users to search contextual shopping information through the next three options: choosing the photos of tourist attractions, selecting preferred shopping style, and solving a quiz. It is discussed that a contextual shopping service might transform the in-flight shopping experience by mediateing the conversational relation between context and users.

      • In-depth considerations for better polyelectrolytes as interfacial materials in polymer solar cells

        Yeo, Jun-Seok,Kang, Minji,Jung, Yen-Sook,Kang, Rira,Lee, Seung-Hoon,Heo, Youn-Jung,Jin, Sung-Ho,Kim, Dong-Yu,Na, Seok-In Elsevier 2016 Nano energy Vol.21 No.-

        <P><B>Abstract</B></P> <P>We perform a comprehensive study to achieve better polyelectrolytes (PEs) as electron-transport layers (ETLs) in polymer solar cells (PSCs). Three well-known PEs – PFN, PEIE, and WPF – are chosen as model systems and investigated with variations in their backbone structures and the state of the amine functionalities on their side chains. Respectively optimized PSCs using the three PEs exhibit different cell-performances, mainly owing to the diode characteristics of built-in potential and recombination strength. To identify how such deviated device-performances correlate with the structural features of PEs, the modulated interfaces of ITO/PEs and PEs/active layer are studied in detail. It is found that conjugated backbones and larger counter-anions on side chains can promote the modulation of ITO work functions (WFs) and that a large amount of protonated amines on PEs is beneficial for junction properties with a subsequent active layer. Additionally, our results indicate that interfacial dipole and electrical doping between the PE and active layer, in addition to WF modulation of the ITO cathode, are important for device efficiency. Accordingly, with the aid of the molecular features of PEIE, PEIE-PSCs exhibit excellent device efficiency and stability compared with PFN- and WPF-PSCs. In the PTB7-th:PC<SUB>71</SUB>BM system, a remarkable power-conversion efficiency of 9.97% is achieved with a single PEIE ETL.</P> <P><B>Highlights</B></P> <P> <UL> <LI> Chemical structure and performance of polyelectrolytes (PEs) in PSCs are correlated. </LI> <LI> Interfacial dipole and doping between PEs and active layer lead to efficient PSCs. </LI> <LI> PEIE-based PSCs have excellent device efficiency and high stability. </LI> <LI> Especially, in the PTB7-th system, encouraging efficiency of 9.97% is achieved. </LI> </UL> </P> <P><B>Graphical abstract</B></P> <P>[DISPLAY OMISSION]</P>

      •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Digital Satellite Communication Channels

        Kim, Jun-Myung,Jung, Chang-Bong,Hwang, In-Kwan 통신위성우주산업연구회 2000 Joint Conference on Satellite Communications Vol.2000 No.-

        In this paper, a new efficient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is suggested and its efficiency is verified in terms of computer simulation time for QPSK satellite channel. Importance Sampling technique aimed for minimizing the overall computational burden is known to be difficult to implement for QPSK channel. However,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the existing Importance Sampling techniques, we adopted the discrete probability mass function in the new method for estimating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received signals from the measured central moments up to $N_th orders. From the discrete probability mass function constructed with the measured central moments with less number of the received signal samples than the one required in the MC technique, continuous cumulative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can be exactly estimated by using interpolation and extrapolation technique. By assuming that the in-phase and quadrature phase received signals are independent and by estimating the channel characteristics of the in-phase and quadrature phase received signals separately,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method could be simplified. With the simplified channel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the overall channel performance evaluation can be done within a drastically reduced time. The simulation results applied to the nonlinear digital satellite QPSK channel showed the great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 in the sense of computer run time, and demonstrated that the existing problems of IS for the QPSK nonlinear satellite channels.

      • KCI등재

        주요 국산수종의 휨가공성 평가

        정인석,이원희,장준복,배현미 한국목재공학회 2002 목재공학 Vol.30 No.2

        본 연구는 고주파 가열에 의한 산벚나무, 소태나무, 서어나무, 굴참나무, 박달나무, 고로쇠나무, 피나무, 소나무, 리기다 소나무, 참오동나무의 휨가공성을 평가해 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휨가공을 위한 곡율반경은 휨틀의 곡율반경에 의해 4 ㎝, 6 ㎝, 10 ㎝으로 구분하고, 대철의 두께는 0.6 ㎜과 0.8 ㎜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결과, 소태나무, 서어나무, 박달나무 고로쇠나무는 모든 곡율반경에서 100% 성공율을 나타내었다. 산벚나무와 굴참나무의 경우 58%와 83%의 성공율을 각각 나타내었다. 피나무와 오동나무의 경우 총 29%와 8%로 매우 불량하게 나타났고, 곡율반경 4 ㎝에서는 모두 실패로 나타났다. 침엽수재인 소나무와 리기다 소나무는 각각 44%와 56%의 성공율을 나타내었다. 대철의 두께는 휨가공성의 쉽고 어려움보다는, 건조시 건조속도에 더 많은 영항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과정에서 대철두께가 얇을수록 휨가공부재의 건조 속도가 빠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bending property on principal domestic species such as sargent cherry(Prunus sargentii), bitter wood(Picrasma quassioides), horn beam(Carpinus laxflora), cork oak(Quercus variabilis), birch(Betula schmidtii), painted maple(Acer mono), basswood(Tilia amurensis), red pine(Pinus densiflora), pitch pine(Pinus rigida), royal pawtonia(Paulownia tomentosa) by microwave heating. In this study, radius of curvature(ROC) for bending process was classified by radius of curvature(ROC) of bending plate such as 4 ㎝, 6 ㎝, and 10 ㎝, and thickness of metal-strap(TMS) was 0.6 ㎜ and 0.8 ㎜. Bending process was successfully operated for 100 percent in bitter wood, horn beam, birch and painted mapl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uccess rate of 58 percent in sargent cherry and 83 percent in cork oak and 29 percent in hasswood and 8 percent in royal pawlonia which is the worst bending property. All specimens of basswood and royal pawlonia were broken at 4 ㎝ of ROC. Success rate of bending property was shown 44 percent in red pine and 56 percent in pitch pine. TMS has an effect on only drying speed in drying process than difficulty and facility of bending property. It was considered that the thinner TMS in drying process is the faster in drying speed of bent wood.

      • SCOPUSKCI등재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Functionalized with PS via Emulsion Polymerization

        Park, In-Cheol,Park, Min,Kim, Jun-Kyung,Lee, Hyun-Jung,Lee, Moo-Sung The Polymer Society of Korea 2007 Macromolecular Research Vol.15 No.6

        This study demonstrated the in-situ functionalization with polymer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NTs) via emulsion polymerization. Polystyrene-functionalized MWNTs were prepar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styrene monomer, non-ionic surfactant and a cationic coupling agent ([2-(methacryloyloxy)ethyl]trime-thylammonium chloride (MATMAC)). This process produced an interesting morphology in which the MWNTs, consisting of bead-string shapes or MWNTs embedded in the beads, when polymer beads were sufficiently large, produced nanohybrid material. This morphology was attribut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ationic coupling agent and the nanotube surface which induced polymerization within the hemimicellar or hemicylindrical structures of surfactant micelles on the surface of the nanotubes. In a solution containing MATMAC alone without surfactant, carbon nanotubes (CNTs) were not well-dispersed, and in a solution containing only surfactant without MATMAC, polymeric beads were synthesized in isolation from CNTs and continued to exist separately. The incorporation of MATMAC and surfactant together enabled large amounts of CNTs (> 0.05 wt%) to be well-dispersed in water and very effectively encapsulated by polymer chains. This method could be applied to other well-dispersed CNT solutions containing amphiphilic molecules, regardless of the type (i.e., anionic, cationic or nonionic). In this way, the solubility and dispersion of nanotubes could be increased in a solvent or polymer matrix. By enhancing the interfacial adhesion, this method might also contribute to the improved dispersion of nanotubes in a polymer matrix and thus the creation of superior polymer nanocomposites.

      • KCI등재

        [18F]FDG PET을 이용한 강박증 환자에서 뇌 포도당 대사의 이상에 관한 연구

        권준수,이동우,이재성,최정임,이동수,정준기,조맹제,이명철,류인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2

        연구목적: 강박증에 대한 기능적 뇌영상 연구들에서 강박증 환자들의 안와전두엽과 미상핵의 대사율 증가 소견이 비교적 일과되게 발표되어 왔으며, 전두-피질하 회로의 이상이라는 이론이 수립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강박증의 유병기간에 따른 구분없이 시행된 연구였고, 영상분석 방법에 있어서도 관심영역 방법을 이용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강박증의 유병기간에 따라 환자군을 구분하여 PET 영상소견을 분석함으로써 유병 기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으며, 둘째, 강바증 환자의 포도당 양전자방출 단층촬영(18-Fluor-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FDG-PET) 영상분석에 통계적 매개변수 지도법(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 SPM)을 이용함으로써 강박증의 병인기전 및 강박증상과 뇌기능 간의 관계를 명확히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구조적 면담도구(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 SCID-IV)를 적용하여 진단된 12명의 강박증 환자들과 10명의 정상 대조군에 대해 FDG-PET을 촬영하여 SPM으로 분석하였다. PET 촬영 전 적어도 4주 동안에는 약물복용을 하지 않은 상태였다. 결과: 1) 환자군과 대조군의 비교 : 강박증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양측 두정 영역의 대사율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으며(P<0.01). 대사증가를 보인 영역은 없었다. 강박증의 유병기간이 10년 이상인 만성강박증 환자 4명은 양측 안와전두엽에서 유의한 대사증가 소견을 보였으며(P<0.01), 양측 두정영역에서 유의한 대사감소 소견을 보였다 (P<0.01), 유병기간이 10년 이하인 환자에서는 전체 환자군의 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대사증가 소견을 보인 영역은 없었으며, 양측 두정엽 부위에서 유 의한 대사 감소 소견을 보였다.(P<0.01). 2) 강박증상의 심각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 우측 두정엽의 대사율은 강박장애 척도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1), 양측 시상 영역의 대사율은 예일-브라운 강박장애 척도의 강박장애척도 점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결과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보고된 안와전두엽의 대사 증가 소견이 강박증의 만성화로 인해 나타나는 2차적 장애이며, 두정엽의 대사 저하가 보다 1차적인 장애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Baxter가 수립한 전두-피질하 회로 이론은 두정엽의 이상을 포함하는 전두-두정엽 복합체 이론으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Functional imaging studies o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subjects have repeatedly reported increased metabolism in orbitofrontal lobes and caudate nucleus, resulting in the "frontal-subcortical" circuit abnormality theory. Limita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to date include little consideration for the duration of illness, and the use of regions of interest methods, as an image analysis method. Our study objectives are 1) to include the duration of illness as an important study variable, and 2) to use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SPM) method in order to tap relations between the brain function and the psychopathology and symptoms of OCD. Methods: The [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FDG-PET) scans of OCD subjects and normal comparison subjects, as diagnosed by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SCID-IV), were analyzed using SPM. Results: 1) Comparison of OCD and control groups : OCD subjects had significantly decreased metabolism in both parietal lobes and didn't have any areas of increased metabolism in comparison to comparison subjects(p.<0.01). four OCD subjects with the illness duration of 10 years or longer, had significantly increased metabolism in both orbitofrontal lobes<p<0.01). OCD subjects whose illness duration is shorter than 10 years didn't have any areas of increased metabolism and had significantly decreased parietal lobe metabolism, as in the analyses of all subjects(p<0.01). 2)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reas and symptom severity : Metabolism of both thalamic srea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Yale-Brown Obsessive-Compulsive Scale(Y-BOCS) scores(p<0.01). Metabolism of right parietal area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 lation with Y-BOCS scores(p<0.01). Conclusions: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increased metabolism in orbitofrontal lobe, previously rported, may be a secondary phenomenon due to the extended illness dur- ation and that decreased metabolism in the parietal lobes are primary abnormality in OCD subjects. Thus Baxter's fronto-subcortical circuit theory should be extended into "fronto-pari-etal" complex theory, which includes the parietal lobes.

      • 저강도 초음파 및 레이저를 이용한 장관골 불유합의 치료

        전인호,오창욱,김성중,경희수,박일형,박병철,인주철,여준영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2

        목 적: 저강도 초음파는 인체 및 동물 실험에서 골조직에 낮은 미세한 물리적 압력을 가하여 골절의 치유에 유리한 영향을 주고, 레이저 (LASER)는 심부 조직에 혈류를 증가시키고, 세포 내 잠재된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임상적으로 확진된 장관골 붕류합의 치료에 있어 펄스형 저강도 초음파와 레이저를 적용하고 그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초음파/레이저의 치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장관골 불유합으로 확진된 16예 중 8예는 연구군으로 골이식술 후 저강도 초음파와 레이저 치료를 추가하였고 대조군 8예에 대해선 일반적인 골이식술만 시행하여 조사하였다. 남자가 11예, 여자가 5예, 평균 연령은 41.7세 (19~62세)였고, 불유합 부위는 대퇴골이 10예, 경골이 6예였다. 첫 수상으로 인한 골절 후 초음파/레이저 치료까지 시간(골절 연력)은 평균 502일이었다. 결 과: 8예의 연구군에서는 완전 골유합이 6예에서 이루어졌으며 유합까지의 시간은 평균 141일 (101~202일)로 나타난 반면, 8례ㅢ 대조군에서는 5예에서 골유합이 이루어졌고, 유합까지의 시간은 평균 240일 (183~283일)이었다. 결 론: 저강도 초음파/레이져 골절 치료기가 반복된 수술로 인한 난치성 장관골 불유합의 치료에 있어 골이식술과 함께 사용될 경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고, 특히 최초 가골 형성에 있어 대조군에 비해 그 시간을 줄일 수 있었따. Purpose: Low-intensity, pulsed ultrasound (LIPUS) has demonstrated a stimulation and acceleration of the normal fracture-repair process in cellular bases as well in animal and human models. In this study, the adjunctive effect of LIPUS and LASER was investigated in established nonunion of the long bones. Materials and Methods: Study group consisted of eight patients to whom conventional bone graft and adjunctive LIPUS and LASER was applied. On the other hands, eight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underwent bone graft only. Eleven men and five wom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41.7 years (range, 19~62 years). Six of the tibias and ten of the femurs met the criteria for established nonunion. The average fracture age, the post-fracture period before the start of LIPUS/LASER treatment, was 502 days. Results: Seven of the ten nonunions who were treated by LIPUS and LASER healed completely in an average treatment time of 141 days (range, 101~202 days) and otherwise, in control group, five of the eight nonunions healed completely, in 240 days (range 183~283 days). Conclusion: This clinical study showed a positive effect of LIPUS and LASER on the rate of osseous repair, especially accelerated time to initial callus cortical bridging compared to that of conventional treatment.

      • KCI등재후보

        학술연구 : 소기업 정보시스템의 성공적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실증 연구

        이정우 ( Jung Woo Lee ),윤정인 ( Jung In Yoon ),박준기 ( Jun Gi Park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1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4 No.2

        정보통산 기술 발달로 다양한 서비스와 솔루션들이 저렴한 가격에 공급되면서 소기업들도 경쟁우위의 한 방법으로 IT솔루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중에서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소기업의 효율적인 정보 시스템 도입과 성공적인 활용을 위한 주요 영향요인을 실증하였다. 태생적으로 내부 적인 자원 한계를 가진 소기업들이 정보시스템을 도입하는 데 있어서는 시간적, 재무적, 전문성의 제약이 영향요인으로 작용한다. 아울러 내적 자원의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외부 자원의 활용을 통해 제약 상황을 극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정보시스템 사용에 관한 대표적인 연구인 Thong(2001)의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한국의 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정보시스템 도입 및 성공을 위한 요소들을 실증하였다. 자원제약 이론을 기반으로 한Thong(2001)의 연구 모형은 한국의 소기업 정보시스템 도입 및 활용에도 유용한 모형으로 밝혀졌다. 다만 기업규모와 업종 차이로 인해 요인들의 개별 영향도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주요 요인 들로 기업 내부의 기술 전문성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서 "외부 전문지식의 활용"과 시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의 도입과 활용에 관한 계획"이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시간적 제약요인인 "대표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과 "사용자참여" 그리고 재무적 제약인 "투자수준"과 사용자의 "IS 지식수준"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Small businesses are under increasing pressure to use information systems(IS) to maintain their competitive positions or simply to survive. But small businesses suf-fer from relative scarcity of resources compared to large corporations. Due to in-herent differences between small and large businesses, research findings from large businesses cannot be generalized towards small businesses. This paper adopts Thong (2001)`s resource-based model of IS implementation for small businesses. Thong has conceptualized three types of resource constraints: time constraints, financial constraints, and expertise constraints in setting up IS implementation success model in small businesses. This model was replicated and tested on a sample of 118 small size retail and service firms in Korea.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Thong`s model is also applicable to small businesses in Korea. However,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factor for IS implementation success in Korea came out differently, Key factors of IS implementation success in Korean small businesses are external technological expertise, and IS planning. while adequate CEO support, user in-volvement, IS investment and users` IS knowledge are found to be not so significant.

      •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 대사 이상 정도에 따른 인슐린 감수성과 인슐린 저항성의 변화

        정인경,김성훈,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유형준,안규정,노정현,김동준,김광원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4

        연구배경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당 대사에 매우 중요한 호르몬으로 내인성 당질 코르티코이드 과다상태인 쿠싱증후군에서는 말초조직에서 인슐린 저항이 증가하고 이를 보상하고자 인슐린 분비의 증가로 고인슐린혈증이 동반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생체 내에서와 달리 시험관내에서는 췌도세포에 당질 코르티코이드를 장시간 처리하면, 인슐린 분비 및 생합성이직접적으로 억제됨이 확인된 바 있어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뇨병의 원인으로는 아마도 말초조직에서 증가된 인슐린 저항성 뿐 아니라 이를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는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 저하가 같이 동반되어있지 않을까 하는 가설을 세우게 되었고, 아직까지 당질코르티코이드가 당대사 이상을 일으키는 기전에 대해 쿠싱증후군을 당대사 정도에 따라 인슐린 감수성과 분비능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기에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삼성서울병원에서 쿠싱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는 쿠싱증후군 환자와 같은 성별 그리고 체질량지수를 갖은 15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비교 하였다 쿠싱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경구당부하 검사를 통해 당대사 정도를 정상군, 내당능장애군, 그리고 당뇨병군으로 나눈 후 정맥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여 각군의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능의 지표를 비교하고, 수술 후 쿠싱증후군이 완치된 상태에서 수술 전후의 당대사 지표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1) 쿠싱증후군 환자 중 정상인은 20%, 내당능 장애는 27%, 그리고 당뇨병은 53%였다. 체질량지수, 나이, 그리고 발병 기간은 세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24시간 소변검사의 코르티솔 농도는 당뇨병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2) 정맥당부하 검사 결과, 인슐린 감수성 지표인 Sl는쿠싱증추린」서 1.58±0.10[×10^(-4)(min^(-1)(μU/mL)^(-1)]로 정상 대조군의 3.37±0.49[×10^(-4)(min^(-1)(μU/mL)^(-1)]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으나(P=0.024), 쿠싱증후군 환자 중 NGT, IGT, DM 군간에 서로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3) SG는 정상 대조군과 쿠싱증후군 환자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쿠싱 증후군에 있어서 당대사가 악화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4) 인슐린 분비능의 지표인 AIRg는 정상인에 비해 전체 쿠싱증후군 환자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쿠싱증후군 환자중에서 당대사 상태에 따라 NGT군은 1299 (1297∼1310)(mu/g/min ×10^(-2))로 정상 대조군(368.9±98.6[mu/g/min ×10^(-2)]) 보다도 의미있게 높았고, DM군{202.2 (91.1~371.4) [mu/g/min ×10^(-2)}은 NGT군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다(P=0.0031). 5) 15명중 현재 완치 상태에 있는 6명에 대해 수술전과 후로 비교하였다. 수술 전 당대사 상태가 1명은정상, 1명은 내당능 장애, 그리고 4명은 당뇨병이었으나 수술 후 시행한 경구 당부하 검사상 모두 정상 당대사 상태를 보였다. 6) 수술 후 완치된 환자 6명에 있어 인슐린 감수성지표인 Sl는 수술전에 중앙값이 1.22[×10^(-4)(min^(-1)(μU/mL)^(-1)]로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감고』어 있었으나(p.0.05), 수술후 10.95 [×10^(-4)(min^(-1)(μU/mL)^(-1)]로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고(P=0.0022), 인슐린 분비능을 나타내는 AIRg [mu/g/min ×10^(-2)] 값도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특히 인슐린 분비능의 회복양상은 혈당농도에 따라 판이하게 나타나서, 정상과 내당능장애 상태에 있던 2명은 수술전에 1201 [mu/g/min ×10^(-2)]로 증가되어 있던 AIRg 값이 수술 후 정상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수술 전에 당뇨병 상태에 있던 4명의 경우 245.9 [mu/g/min ×10^(-2)]로 인슐린 분비능이 감고il어 있었는데 이들은 수술 후 모두 정상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P=0.0286). 결론: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대사 이상은 80%로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모든 쿠싱증후군환자에서 인슐린 감수성은 정상인에 비해 저하되어 있어 말초조직의 인슐린 저항이 선행됨을 시사하며, 인슐린 분비능은 당대사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정상 당대사군에서는 인슐린의 저항성을 극복할 만큼 정상 대조군보다 더 많은 양의 인슐린 분비를 하다가 고코르티솔혈증이 심할수록 인슐린 분비능의 감소로 당뇨병으로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런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장애는 수술 후 다시 회복되는 가역적인변화를 보였다. Background: Glucocorticoi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trol of carbohydrate metabolism.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have been reported to have an increased incidence of carbohydrate intolerance due to peripheral insulin resistance and hyperinsulinemia, although the exact incidence and nature of this disorder have remained unclear. Few results have been published about insulin resistance and insulin secre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glucose concentration, or about the reversibility of such defects in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Methods: To assess the effect of glucocorticoid on the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ion in Cushing's syndrome, 15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normal glucose tolerance: NGT, 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diabetes: DM) according to the degree of glucose tolerance based on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Insulin modified, frequently sampled, intravenous glucose tolerance test (FSIG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curative surgery on these patients and on 15 healthy control subjects. Data were evaluated by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1) Among the 15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3 (20%) were NGT, 4 (27%) IGT, and 8 (53%) DM, based on OGTT. Twenty-four hour urinary free cortisol (UF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M group. 2) Insulin sensitivity index (SI) of Cushing's syndrom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024),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Cushing's syndrome groups of NGT, IGT and DM. 3) Glucose mediated glucose disposal (SG) (Ed- confirm this abbreviation; it does not seem to match the definition) of Cushing's syndro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4) Insulin secretion (AIRg) of Cushing's syndrome tended to be high,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However, according to the level of glucose concentr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lRg among the three Cushing's syndrome groups p=0.0031); AIRg of D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GT. 5) After surgical treatment, parameters of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ion were normalized in 6 cured patients; 1 with NGT, 1 with IGT, and 4 with DM, preoperatively. Median SI of all 6 patien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up to the normal range postoperatively p=0.0022). Median AIRg of these 6 patients was balanced around that of normal control postoperatively p=0.0286). Conclusion: Eighty percent of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had abnormality of carbohydrate metabolism. Insulin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ushing's syndrome. Insulin secre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only in the NGT and IGT groups of Cushing's syndrome. As the hypercortisolemia is exacerbated, insulin secretion i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auses DM, suggesting that glucocorticoid has a direct or indirect toxic effect on the pancreatic beta cell (J Kor SOC Endocrinol 18:392-403, 200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