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슬관절 외상 후 자기 공명 영상에서 관찰되는 잠재성 골 병변과 동반 손상과의 관계

        경희수,인주철,김풍택,오창욱,여준영,Kyung Hee-Soo,Ihn Joo-Chul,Kim Poong-Taek,Oh Chang-Wug,Yeo Jun-You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2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 No.1

        목적 : 슬관절의외상후자기공명영상에서관찰되는잠재성골병변과동반손상과의관계를손상에너지의정도에따라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 슬관절의외상을받은50예의환자들을대상으로2군으로나누었으며교통사고등고에너지손상을받은제I군은13예, 스포츠손상등저에너지손상을받은제II군은37예였다. 골병변은Costa-Paz의분류상제1,2,3형으로구분하였으며, 위치에따라대퇴골/경골, 내과/외과, 전/중/후로나누어동반손상과의관계를분석하였다. 결과 : 제 I군에서는슬관절내의병변의위치분포는호발부위없이고른분포를보였고전방십자인대손상과골병변만이존재하는경우가각각38$\%$씩으로나타났고, 제1형(52.6$\%$)이가장흔한형태였다. 제 II군에서는대퇴골외과의중간부위와경골외과의후방부위에호발하였으며, 전방십자인대손상이56.8$\%$, 다음으로는내측반월상연골이24.3$\%$로나타나차이를보였으며, 제2형(48$\%$), 제1형( 42$\%$)의순으로나타났다. 결론 : 고 에너지 손상에서는 골 병변의 위치는슬관절에 가해진 손상 방향에 따라분포가 다양하였고, 저 에너지 손상에서는 특정 부위에호발되는경향을보여 스포츠손상등 저 에너지손상에서는손상기전에따른동반손상과 골병변의위치가관련이있음을짐작케하나좀더많은증례로분석이필요할것으로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bruise in MRI and associated injuries after the knee joint trauma. Materials and Methods : Total 50 cases were reviewed,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initial trauma energy. High-energy group (group I), such as traffic accident was 13 cases, low-energy group (group II), such as sports trauma was 37 cases. The type of the lesion was used the classification by Costa-Paz. The site of les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femoral/tibial, medial/lateral and anterior/middle/posterior site respectively. Associated injuries were confirmed by physical examination, radiograph, MRI and arthroscopy. Results : In group I there was a various distribution of the bone bruise in the knee joint according to mechanism of injury. The bone bruise with ACL injury was 38$\%$ only and the most frequent type was Costa-Paz type I (52.6 $\%$). In group II more frequent locations were the middle portion of the lateral femoral condyle and the posterior portion of the lateral tibial condyle. Bone bruise associated with ACL injury, was upto 56.8 $\%$ and the frequent type were Costa-Paz type II (48 $\%$), in order type I (42 $\%$). As a result, in the high-energy injury the bone bruise had a various location in both condyle and less frequently associated injury, but in the low-energy injury there was particularly frequent location of bone bruise, associated injury and type. Conclusions : We could assess the associated injury by analysis of the location and type of bone bruise, especially in the low-energy injury, e.g. sports injury. But further study will be necessary with more case analysis.

      • 성인의 화농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경희수,인주철,오창욱,김성중,김준우,Kyung Hee-Soo,Ihn Joo-Chul,Oh Chang-Wug,Kim Sung-Jung,Kim Joon-Woo 대한관절경학회 200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6 No.1

        목적 : 전신 합병증이 있는 성인 환자의 화농성 슬관절염을 관절경적 치료를 시도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총 14예의 급성 화농성 슬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5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4.6개월이었다. 기존 질환으로 당뇨병이 있는 환자가 4예였으며, 슬관절에 침을 맞은 병력이 있는 환자가 4예, 나머지 6예는 특별한 원인을 알 수 없었다. 관절염의 임상적 병기는 관절경적 소견을 기준으로 한 $C\ddot{a}chter$의 분류를 사용하였고 관절경적 세척술 및 변연 절제술 후 추시한 검사실 결과 및 임상 증상의 호전을 통해 그 치료 효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 원인균의 동정이 가능했던 예는 7예였으며 나머지 7예에서는 원인균이 밝혀지지 않았다. $C\ddot{a}chter$의 분류상 제 1기가 1예, 2기가 8예, 3기가 4예, 4기가 1예였다. 1회의 수술로 증상 완화 및 치료가 가능했던 예가 11예 였으며 제 3기의 2예에서 증상 악화로 관절경적 처치를 1회 더 실시하였고, 제 4기의 1예는 관절경적 처치 후 증상의 호전이 없어 관절 절개술로 전환하여 치료하였으며 3기, 4기에서 좋지 않은 결과를 얻었다. 혈청 적혈구 침강 속도 및 C-반응성 단백이 정상화 되기까지는 각각 평균 29.3일 및 20.8일이 소요되었고, 관절의 국소 종창 및 열감, 통증은 평균 술후 2일만에 소실되었다. 결론 : 급성 화농성 슬관절염에 있어 관절경적 관절 세척술 및 변연 절제술은 수술로 인한 통증 및 합병증을 최소화 하면서도 쉽게 반복적인 처치가 가능한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동통의 소실과 Tegner 활동도는 수술 전 평균 3.3점에서 수술 후 5.5점으로, Lysholm score는 수술 전 평균 68.5점에서 수술 후 93.4점으로 향상되었다 평균 18개월(3개월$\~$36개월) 추시 상 낭종이 재발된 경우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반월상 연골 낭종의 12례$(64\%)$가 외측에 발생하여 내측에 비해 많았으며 17례$(89.5\%)$에서 반월상연골 파열이 동반되었고 파열의 형태는 수평 파열이 15례$(79\%)$로 가장 많았다. 때, 이 두 집단 사이의 진단당시의 임상양상의 차이를 보면 고혈압, 단백뇨 및 부종의 빈도가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으며, 임상병리검사 소견에서는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creatinine 청소율이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고, BUN, creatinine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 론 : Alport 증후군 환아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예후와 관련된 위험요인으로는 진단시의 고혈압, 부종, 단백뇨 유무 여부와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BUN, creatinine, 사구체 여과율이 중요하며, 이런 가능한 위험요인의 분석과 관찰이 Alport 증후군 환아의 치료와 예후 인지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상승은 주로 간에서 생성의 증가의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단백중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전의 HDL cholesterol, apoB, apoB/HDL cholesterol등은 관해 유도기간과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서 신증후군 환아의 재발을 예측 할 Purpose : The purpose was to assess the result of arthroscopic management of the septic arthritis on the knee in compromised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Fourteen patients with septic knee were analyzed. The mean age was 55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4.6 months. Underlying diseases included 4 cases of diabetes, and history of direct acupuncture in 4 cases. Clinical stage of septic arthritis was judged by $G\ddot{a}chter's$ classification, which was determined by arthroscopic findings. After arthroscopic irrigation and debridement, we observed the results of laboratory data and improvement of clinical findings. Results : Causative organism was identified in 7 cases and no organism was detected in the remaining 7 cases. Stage I was 1, stage II 8, stage III 4, and stage IV 1, respectively. Eleven of 14 cases were improved by one stage operation. Two cases of stage III were recurred and additional arthroscopic management was done. In 1 case of stage IV, symptom was not improved and needed arthrotomy. The result was unsatisfactory in patients with stage III and IV. Serum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were normalized after 29.3 and 20.8 days following the operation, respectively. Clinical symptoms disappeared average 2 days following the operation. Conclusion : Arthroscopic management of acute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would be an effective and satisfactory treatment modality in that its postoperative pain and complications are minimal, and it can be done with ease repeatedly.

      • 반월상 연골의 관절경적 봉합시 관절안정성에 따른 결과

        경희수,인주철,백승훈,Kyung Hee-Soo,Ihn Joo-Chul,Baek Seung-Hoon 대한관절경학회 200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6 No.1

        목적 : 관절경적 반월상 연골 봉합술시 인대 손상 동반 여부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59.7개월이었다. 환자의 연령은 평균 32.3세였다. 동반 인대 손상이 없는 경우와 동반 손상인대를 치료한 17례를 안정 관절군으로, 동반 손상을 치료하지 않은 3례를 불안정 관절군으로 비교하였다. 안정 관절군은 급성기와 만성기로 분류하였다. 결과는 Lysholm 및 IKDC 평가법으로 판정하였다. 정상 및 아정상군은 만족으로, 비정상 및 장애군은 불만족으로 구분하였다. 통계적인 방법은 Wilcoxon rank sum test, fisher's exact test(p<0.05)를 이용하였다. 결과 : 동반 손상인대를 동시에 치료한 8례는 만족 $87.5\%$, Lysholm score는 평균 90.9을 보였고, 동반 손상을 치료하지 않은 3례는 만족 $66.7\%$, Lysholm score는 평균 77.7을 보였다 동반 인대 손상이 없는 9례는 만족 $88.9\%$, Lysholm score는 평균 91.4을 보였다. 급성기에 치료한 12례는 만족 $91.7\%$, Lysholm score는 평균 92.5를 보인 반면, 만성기의 5례는 만족 $80\%$, Lysholm score는 평균 88.6을 보였다. 결론 : 수상 후 급성기에 파열된 반월상 연골 및 동반 손상인대의 관절경적 복원술을 동시에 시행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arthroscopic meniscal repair according to joint 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 cases were reviewed, which had underwent arthroscopic meniscal repair. The mean age was 32.3 years ol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59.7 months. Menisci that had underwent complete repair of associated ligament injuries (8cases, Sa) and menisci that had no associated ligament injury (9 cases, Sb) were classified as stable group (S), and the others (3 cases) as unstable group (U). Also stable group was divided into acute and chronic group. The result was evaluated with Lysholm score and IKDC metho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Wilcoxon rank sum test and Fisher's exact test (p<0.05). Results : Group Sa had $87.5\%$ satisfactory and Lysholm score was 90.9. Group U had $66.7\%$ satisfactory, and Lysholm score was 77.7. Group Sb had $89.9\%$, satisfactory and Lysholm store was 91.4. In acute group $91.7\%$ was satisfactory, Lysholm score 92.5, in chronic group $80\%$ was satisfactory, Lysholm score 88.6. Conclusion : Joint stability was important factor for the outcome of meniscal repairs. So, it is desirable to repair meniscus injury early and the repair of associated ligament injuries should be performed together.

      • 장경대 구축에 의한 탄발성 고관절의 치료

        경희수,김신윤,정호성,김용구,Kyung Hee-Soo,Kim Shin-Yoon,Jung Ho-Sung,Kim Yong-G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3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atment results of snapping hip caused by a tight iliotibial tract using Z-plasty . Materials 8nd Methods: Five patients (seven hips) were treated by Z-plasty using Brignall and Stainsby's method from March, 1995 to May,2002 There were three males and two females and their average age at operation was 24.4 years. All patients complained of snapping, pain, and difficulty of squatting with attaching both knees . The average of follow-up was one year and four months. The local anesthesia was done in three patients (3 hips) and epidural anesthesia in two patients (4 hips). Results: Snapping was absent, squatting with attaching both knees was possible, and pain relief was excellent in all patients. One patient (one hip) experienced occasional aching associated with exercise but it is not serious. Conclusion: This Z-plasty of iliotibial band was an excellent surgical technique for the symptomatic snapping hip. 목적: 장경대 구축에 의한 탄발성 고관절에서 Z-성형술을 이용한 치료 결과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3월부터 2002년 5월까지 탄발성 고관절에 대하여 장경대 Z-성형술을 받은 5명 7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남자는 3명, 여자는 2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4.4세, 평균 추시 기간은 1년 4개월이었다. 수술방법은 Brignall 및 Stainsby의 방법을 이용해 장경대를 Z-성형하여 길이를 연장 시켰으며, 마취는 국소마취 3예, 경막외 마취 4예(2명)를 이용하였다. 평가는 탄발 정도 및 동통을 조사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탄발음은 소실되었고, 기능적으로 만족하였으며 양쪽 슬관절을 붙인 상태로 조그려 앉기가 가능하였다. 1예에서 가끔씩 약간의 동통을 호소하였으나 재수술을 할 정도의 심각한 정도는 아니었다. 근력 약화를 호소하는 경우는 없었다. 결론: 장경대의 비대 및 구축에 의한 탄발성 고관절은 Z-성형술을 이 용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 슬관절 내측 원판형 연골 - 1례 보고 -

        경희수,김경훈,오창욱,Kyung, Hee-Soo,Kim, Kyung-Hoon,Oh, Chang-Wug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1

        슬관절의 내측 원판형 연골의 빈도는 상대적으로 드문데, 저자들은 최근 내측 원판형 연골로 진단된 환자를 치료한 경험이 있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남자 20세로서 특별한 외상력 없이 수년간의 슬관절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내측 원판형 연골로 잠정 진단되었다. 관절경 검사상 완전형으로 확인되었으며 수평파열이 동반되어 있었다. 이에 관절경하 연골판 부분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술후 증상의 완전한 소실을 보였다. A discoid medial meniscus is a relatively rare pathology of the knee joint, and we recently encountered a patient with discoid medial meniscus, and this report is a case of therapeutic experience in this patient. The patient was twenty years old man who had a persistent dull pain for several years without specific trauma history. He was presumptively diagnosed as discoid medial meniscus by MRI, and arthroscopic examination confirmed the presence of the complete type of discoid medial meniscus with horizontal tear. We performed arthroscopic partial meniscectomy, and the patient could get free from symptom.

      • 스포츠와 관련된 과사용 증후군 - 슬관절 -

        경희수,Kyung, H.S.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7 No.2

        과사용 증후군은 정상적인 조직에 최대하 부하(submaximal stress)가 지속되어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연부조직의 접합부(junction)에서 주로 일어나며 힘의 전달이 집중되는 곳, 조직의 역학적 성질이 변화되는 곳, 그리고 성장시 빨리 변화하는 성질이 있는 곳에 주로 생긴다. 근육의 불균형이 과사용 증후군의 가장 많은 원인이다. 과거의 부상 이후 부적절한 재활치료 및 각형성 또는 회전 부정정렬(angular and rotational malalignment) 등이 과사용 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스포츠 훈련 방법의 실수로도 과사용 증후군이 생길 수 있다. 전방 슬관절 동통시 감별해야 할 질환들은 jumper's knee, 슬개건염 혹은 대퇴 사두건염, Osgood-Schlatter 병, Sinding-Larsen-Johansson 병, 슬개골 연골 연화증, 슬개골 전(prepatellar) 혹은 슬개골 하(infrapatellar) 점액낭염, Hoffa's fat pad의 염증, 그리고 특발성 전방 슬관절 동통 증후군(idiopathic anterior knee pain syndrome)등이 있다. 후방 슬관절 통증의 원인 질환으로는 만성 슬와근 염좌, 슬괵건 점액낭염, 경골 골간단의 피로 골절 등이 포함되며 외측 슬관절 통증의 원인으로는 장경대 충돌 증후군(iliotibial band friction syndrome)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외 과사용 증후군과 관련된 슬관절 통증의 원인으로 다분 슬개골(multipartite patella), 내측 경골 스트레스 증후군(medial tibial stress syndrome), 박리성 골연골염, 반월상 연골의 퇴행성 변화 등이 있을 수 있다. 과사용 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의 일반적인 접근법은 다섯가지 단계의 프로그램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원인 요소를 확인하고, 둘째, 요소를 변경시키고, 셋째, 통증을 조절하고, 넷째, 능동적 재활을 시키고, 그리고 다섯째, 유지시키는 것이다.

      • KCI등재

        슬개골 골절 후 속발한 슬관절 강직에 대한 대퇴 사두고근 성형술 및 관절 유리술

        경희수,인주철,이상국 대한슬관절학회 1995 대한슬관절학회지 Vol.7 No.1

        Quadricepsplasty and arthrolysis are techniques devised to release extra-articular adhesions or contractures which are caused by injuries around the knees leading to fibrosis and scarring of all or part of the quadriceps. Since the earliest description of lengthening of the quadriceps tendon by Bennet(1992), several reports have been made by Thompson(1994), Judet(1959), van Nes(1962). Nicoll(1963), Hesketh(1963) and Daoud(1982). The author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Judet's quardricepsplasty and arthrolysis which were done from June 1990 to October 1993 in stiff knees following patellar fractures. Among 11 cases, 9 cases of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verage 22.6 mont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9 cases, 7 cases were men and 2 cases were women. 2. Age ranged from 20 to 54 average being 38 years old. 3.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22.6 months ranging from l2 months to 48 months. 4. The initial injuries were femoral fractures with patellar fractures in 7 cases and patellar fractures in 2 cases. 5. The mean preoperative range of motion was from 8.9 degrees of tlexion contracture to 46.1 degrees of further flexion and at the most recent follow up, the mean range of motion was from 5.5 degrees to 104.4 degrees. So flexion gain was 58.3 degrees and extension gain was 3.4 degrecs on the average. 6. By Judet's criteria of evaluation 6 cases(67%) showed excellent result and 3 cases(33%) showed fair. 7. The patellar fracture seems to he one of the causes of stiff knee and the result was less favorable in the stiff knees with comminuted patellar fractures. And it is difficult to treat stiff knee, if intra-articular adhesions cannot be released by arthrolysis.

      • KCI등재

        견봉쇄골관절 완전탈구의 치료

        경희수,인주철 대한골절학회 1995 대한골절학회지 Vol.8 No.3

        There are many procedures described for the treatment of comple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n but there are still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best management of these injuries, Surgical treatment modalities for comple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are variable and usually successfuL The fiftheen cases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0 to July 1993. And they had been followed for average 22 month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ccording to classification by Rockwood and Green, Grade g were 7 cases and Grade V 8 cases. 2. Of the 15 cases, 2 cases were treated by conservative method, and 13 cases by operative methods. 3. The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Weitzman's criteria were excellent in 9 cases(60%), good in 4 cases(26.7%) and fair in w cases(13.3%). 4. The complications were pin migration, breakage, loosening, calcification of coraco-clavicular joint in 1 case respectively and recurrent dislocation after pin removal in 2 cases. 5. We thought that the operative procedures are indicated in the treatment of type III & V complete dislocation of acromio-clavicular j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