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 자아존중감, 공감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motion clarity and Self-esteem and Empathy on Interpersonal competence in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25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인식 명확성, 자아존중감, 공감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대인관계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을 이해하고 도움...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인식 명확성, 자아존중감, 공감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대인관계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을 이해하고 도움을 주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2개 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296명을 연구대상으로 임의표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 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인관계 유능성, 정서인식 명확성, 자아존중감은 남자대학생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공감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공명과 공감적 관심은 여자대학생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정서인식 명확성, 자아존중감, 관점수용, 공감적 관심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유능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별, 자아존중감, 공감에 덧붙여 정서인식 명확성은 대인관계 유능성의 분산을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상담 장면에서 대인관계로 어려움을 겪는 내담자의 대인관계 유능성 계발 및 향상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써 제공되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clarifying what impact emotion clarity, self-esteem and empathy of college students have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here by better understanding and helping the college students that have difficulties due to per...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clarifying what impact emotion clarity, self-esteem and empathy of college students have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here by better understanding and helping the college students that have difficulties due to personal relation at the scene of counseling. The study conducted random sampling with 296 two college students in Seoul area as the subject on order to verify these issues.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by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layout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When apply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nterpersonal competence, emotion clarity and self-esteem were differences by gender and women was the higher than men. emotional resonation and empathic-concern were differences by gender and man was the higher than women. The higher emotion clarity, self-esteem, perspective-talking and empathic-concern has an effect on the higher interpersonal competence. Finally, in addition to gender, self-esteem and empathy, emotion clarity can explain the variance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dditionally. This is provided as a useful resource for the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competenc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improve difficulty with interpersonal relation in scene counseling scene in expected to be helpfu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연구 방법 결과 논의
      • 연구 방법 결과 논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방희정, "한국 성인의 관계적 자아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3 (13): 23-63, 2007

      2 한나리, "한국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갈등 상황에서의 인지 및 행동 반응"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3 한나리, "한국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37-156, 2010

      4 박수인, "친애동기의 수준 및 유형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5 강주영, "초등학생의 공감수준에 따른 또래관계와 담임교사와의 대인관계"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 김송이, "초등학생의 Big Five 성격유형과 정서지능 및 사회적 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서은혜, "초등학교 아동의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조절양식 및 사회성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최지민, "초등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9 정홍란, "청소년의 정서지능과 교우관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2012

      10 박민정,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3

      11 홍기묵, "청소년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2 이경주, "청소년의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3 고은정, "중학생의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공감능력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4 심다혜, "중학생의 아버지 애착과 역기능적분노표현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효능감의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2015

      15 장정주,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이 정서조절과 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147-170, 2012

      16 김영자,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17 최효정,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표현의 양가성, 정서강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문제행동의 관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8 진효정,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표현, 자아존중감이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9 윤상미,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안녕감의관계에서 주도적 대처의 매개효과 : 초기성인기와 중년기 집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0 박혜영, "정서인식명확성 및 정서강도와 공감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1 우다빈,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 정서조절과 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22 이건성, "정서경험이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 능력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23 박경옥, "정서강도와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6

      24 송승희, "유아의 공감능력과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25 김지민, "유머감각, 대인관계능력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2

      26 최제종, "여가스포츠 참여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7 김소연,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 유아의 정서능력,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의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8 전은정, "아동의 공감능력 및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29 박은희,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경일대학교 2014

      30 민경환, "성격심리학" 법문사 2013

      31 Weiten, W., "생활과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9

      32 신경일, "상담자 교육을 위한 공감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4

      33 이지후, "사이코패스 성향과 공감능력 및 공격성의 관계" 서울대학교 2015

      34 朴永愛, "부모의 양육행동 및 형제관계와 아동의 자존감과의 관계"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5

      35 변유정,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3

      36 이지선, "부모-자녀 갈등과 공감이 용서 및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37 김유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38 이한우, "대학생의 정서인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415-433, 2014

      39 김영자,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수용의 매개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21 (21): 395-409, 2016

      40 이민선,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방략의 매개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41 김민영,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성의식 및외모만족도의 상관관계"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4

      42 김혜수,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적응 매개효과"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4

      43 문새롬,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44 배순원,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2015

      45 조영주, "대학생의 애착, 자동적 사고 및 사회적 지지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14

      46 허유리,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낙관성의 조절효과" 성신여자대학교 2015

      47 박미수, "대학생의 성별과 종교의 유무에 따른 용서와 공감능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48 박선영, "대학생의 부모화 돌봄 경험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불공정성과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19

      49 송근혜, "대학생의 도덕적 자아, 자기통제력, 공감 및 도덕적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50 경기웅,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5

      51 임정하,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인지적 유연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27): 93-120, 2016

      52 김미혜, "대학생의 가족체계,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간의 관계"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4

      53 오광수,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이 공감과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초당대학교 2015

      54 한현주, "놀이치료자의 공감능력과 내담아동이 지각한 치료자와의 정서적 유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55 배미정, "내현적 자기애 성향, 자존감,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 그리고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련성 연구" 한국상담학회 15 (15): 2417-2435, 2014

      56 김우정, "기혼자들의 자기애성향, 공감, 자존감 및 갈등대처방식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1

      57 신경일, "공감의 인지적, 정서적 요소 및 표현적 요소간의 관계" 29 (29): 1-37, 1994

      58 배성경, "공감능력 및 자기통제력과 아동의 스트레스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9 박성희, "공감과 친사회행동" 문음사 1997

      60 정인경, "고등학생의 심리적 변인 및 가족 변인과 공감능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61 박진선, "고등학생의 불안, 공감, 자아탄력성이 분노표현양식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62 김종임, "간호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 공감능력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286-295, 2020

      63 정 민, "간호대학생의 이고그램 성격특성, 자존감, 공감 및 대인관계에 관한 연구" 10 : 320-, 2012

      64 정명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강화를 위한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 및 대인관계 간 상관관계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332-339, 2014

      65 한순미, "가정환경의 건강성이 청소년의 정서지능, 사회지능 및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66 이수정, "Trait Meta-Mood Scale 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에대한 탐색" 11 : 95-116, 1997

      67 Smith, A., "Theory of moral sentiments"

      68 Weissman, M. M., "The social role performance of depressed women : Comparisions with a normal group" 41 : 390-405, 1971

      69 Helgeson, V. S., "The psychology of gender" Prentice Hall 2002

      70 Rogers, C. R.,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21 (21): 95-103, 1957

      71 Leiberg, S., "The multiple facets of empathy : A survey of theory and evidence" 156 : 419-440, 2006

      72 Sullivan, H. S.,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W. W. Horton 1953

      73 Giuliano, T. A.,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ood awareness scale" 1992

      74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75 Wierzbicki, M., "Social skills deficits and subsequent depressed mood in students" 10 : 605-610, 1984

      76 Asher, S. R., "Social competence and peer status: Recent advances and future directions" 54 : 1427-1434, 1983

      77 Lewinsohn, P. M., "Social competence and depression : The role of illusory self-perceptions" 89 (89): 203-212, 1980

      78 Burns, G. L., "Social competence and adjustment" 1 : 99-113, 1984

      79 Bolognini, M.,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in early adolescence :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s" 19 (19): 233-245, 1996

      80 Hansson, R. O., "Relational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5 : 265-284, 1984

      81 McFarland, C., "Negative affective states and the motivated retrieval of positive life events : The role of effect acknowledgement" 73 : 200-214, 1997

      82 Mead, G. H., "Mind, Self and Socie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4

      83 Kohut, H., "Introspection, empathy, and the semi-circle of mental health" 63 : 395-407, 1982

      84 Borke, A., "Interpersonal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 Egocentrism or empathy" 5 : 262-269, 1971

      85 Throndike, R. L., "Intelligence and its uses" 140 : 227-235, 1920

      86 Twentyman, C., "Heterosocial avoidance in college males four studies" 5 (5): 523-552, 1981

      87 John, O. P., "Health and unhelthy emotion regulation : Personality process, individual differences, and life span development" 37 : 306-312, 2004

      88 Leaper, F., "Handbook of socialization" Guilford Press 2002

      89 Spitzberg, B. H.,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petence research" Springer-Verlag 1989

      90 Asher, M.,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anxiety disorder : A review" 56 : 1-12, 2017

      91 Lawrence, J., "Gender differences in coping strateg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ir impact on self-esteem and attainment" 7 (7): 273-281, 2006

      92 Buhrmester, D.,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55 (55): 991-, 1988

      93 Yalom, I. D., "Existential Psychotherapy" Basic Book 1980

      94 Eisenberg, N., "Empathy and ist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95 Barnett, M. A., "Empathy and Its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6-162, 1987

      96 Deutsch, F., "Empathy : Historic and current conceptualizations, measurement and a cognitive theoretical perspective" 18 : 267-287, 1975

      97 Mayer, J. D., "Emotional intelligence : Theory, findings, and implications" 15 (15): 197-215, 2004

      98 Salovey, P., "Emotional intelligence" 9 : 185-211, 1990

      99 Salovey, P., "Emotion attention, calrity and repair :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7 : 125-154, 1995

      100 Allen, R. R., "Developing communication competence in children" National Textbook 1976

      101 Cooley, R. E., "Competence in communication: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Sage 11-32, 1984

      102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1963

      103 Rubin, R. B., "Assessing speaking and listening competence at the college level :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Assessment Instrument" 31 : 19-32, 1982

      104 Larsen, C. E., "Assessing functional communication"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1978

      105 Eisenberg, N., "Altruism and the assessment of empathy in the preschool years" 2 : 155-, 1984

      106 Rogers, C. R., "A way of being" Mariner Books 1980

      107 McFall, R. M., "A review and reformulation of the concept of social skills" 4 (4): 1-33, 1982

      108 Davis, M. 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10 : 85-, 1980

      109 Miller, A.,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 in empathy" 10 : 85-, 1980

      110 Mehrabin, A., "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 40 : 523-543, 1972

      111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인간관계 심리학" 학지사 1997

      112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인간관계 심리학" 학지사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