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교사의 자기유능감과 성격이 학급풍토 및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 상업 및 경영정보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배성현 영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1 社會科學硏究 Vol.21 No.1
어떻게 하면 조직구성원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가는 조직연구의 주요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의 개인특성 변수인 자기유능감과 내, 외재적 성격이 성과와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를 상업 및 경영정보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이들 개인특성이 학급의 풍토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도 함께 연구하였다. 최근 Bandura의 개념인 자기유능감은 조직구성원의 성과에 대단히 중요한 요인임이 여러 직종을 대상으로 여러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다. 내, 외재적 성격은 책잉의 귀속을 자기 또는 외부 어디에 두는가에 따른 Hotter의 성격구분이나 조직구성원 행동 설명에 많이 적용된다. 연구결과 담임교사의 자기유능감은 교육성과 변인 중 학급의 평균출석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담임교사의 내, 외재적 성격에 따른 교육성과의 차이는 없었다. 성격과 조직구성원 성과와의 관계는 기존연구에서도 생각보다 크지 않다는 일부 회의론적 시각도 있다. 본 연구에서도 교육성과와 전혀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지 못했다. 이들 개인특성 변인들과 학급풍토와의 관계는 자기유능길이 높은 교사와 낮은 교사간에 차이가 일부 나타났다. 또한 내, 외재적 성격의 교사집단간에도 일부 유의한 풍토지각 차이가 나타났다. 관계가 높지는 않았지만 일관된 결과로는 자기유능감이 높고 본인의 노력 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재적 성격의 교사들은 교사지원을 적게 해주고 친밀감이 적고 스스로 결정하고 자율적으로 행동하게 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개인특성 변수인 자기유능감과 내, 외재적 성격이 교육성과인 학업성적에서 의미 있는 관계를 보여주지 못한 것은 취업을 중성으로 하는 실업계를 대상으로 하여 학교 특성이 많이 반영된 결과로 보여진다.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이 교사 간 협력태도와 장애유아의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배성현,이병인 한국특수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학연구 Vol.5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teacher support programs related to team learning behavior on teacher’s attitudes on collaboration & engagement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bjects were 3 regular childcare teachers & 3 special childcare teachers at inclusive settings, and their 8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r this study, pre & post test design was used looking for any possible changes in the degree of teachers’ participation, attitudes on collaboration scores among the teachers, & the amount of time engagement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r each routine. The descriptive statistics was used in data analysis. Using progress goals & configuration sheet, feedback among teachers, & the researchers employed degree of teachers’ participation. Friedman test, post-hoc analysis, exploratory data analysis & qualitative analysis were employed regarding teachers’ attitudes on collaboration & amount of time engagement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fidelity of treatment & social validity were measured. In result, the scores of teachers’ positive participating degree increased consistently.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work collaboration & emotional mutual supports among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for each session.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at not only engagement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measured but it also validated the effect of teacher support programs with both regular teachers & special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In addition, by using team learning behavior as part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applying organizational psychology on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shows a significance that it confirmed the suitability of collaborative teacher support programs for voluntary change of the teachers. 이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일반 보육교사와 장애아 보육교사의 교사 간 협력태도와 장애유아 참여행동을 증진하고자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장애아통합어린이집 통합반에 근무하고 있는 일반 보육교사 3명과 장애아 보육교사 3명, 이들이 담당하고 있는 장애유아 8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사전—사후 검사 설계로써, 교사지원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는 교사 참여도 및 교사 간 협력태도 점수와 장애유아 일과별 참여행동 시간의 양 변화 정도를 변인으로 하여 확인하였으며, 교사 참여도 분석은 과정목표 성취 실천 기록표 및 교사 간 상호 피드백, 연구자와의 피드백 평가 결과에서 산출한 점수를 변인으로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교사 간 협력태도와 장애유아 참여행동 총 지속시간의 회차별 변화에 대해서는 프리드만 검정(Friedman test)과 사후 분석(post-hoc analysis), 탐색적 자료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으로 확인하였으며, 이외에 중재 충실도와 사회적 타당도도 확인하였다. 총 9회차로 진행된 교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결과에서, 교사 참여도는 프로그램에 적극적 참여로 평가될 수준의 점수가 회차 동안 꾸준히 산출되었다. 양적 분석 결과에서, 교사 간 업무 협력과 정서적 상호지원은 회차 간에 차이를 보이는 유의한 증진을 보였고, 사후 분석 결과에서도 교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국내에서 미비했던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 구성과 효과 검증을 일반 보육교사와 장애아 보육교사가 함께 참여하여 실시하였다는 점이며, 아울러 특수교육에 팀 학습행동 개념을 활용함으로써,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그에 대한 적합성을 확인한 연구라는 점에 있다.
배성현,손동욱,이수헌,이준석,이상원,송근성 대한신경손상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Neurotrauma Vol.16 No.2
Objective: Recently,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cervical alignment is related to clinicaloutcomes. However, poor visibility of anatomical structures during X-ray (XR) imaging limitsaccurate measurements. In supine magnetic resonance (MR) imaging, the boundary of theanatomical structure is clear, but the correlation to XR images taken in a standing positionis problematic.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greement of sagittal alignment parametersbetween MR and XR measurem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268 patients. Cervical sagittal parameters weremeasured using XR and MR images, and their relationships were evaluated using Pearson'scorrelation, paired t-tests, and 2-way random, single score intraclass correlation coefcient(ICCs) (2,1). Using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MR results were converted to theexpected value (MR-E). The subsequent comparison of MR-Es with XRs was used to examinewhether MR-Es could replace XRs when the measurement difference was less than 2 mm or 2°.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R and XR measurements was high, but ICCs showedlow reliability. All parameters were signifcantly different between XR and MR measurementsin paired t-tests. Converting the MR values eliminated the t-test differences between MR-Esand XRs, but did not affect correlations and ICCs. The replacement ratio included the Cobbangle: 20.3%, T1: 27.1%, the sagittal vertical axis: 17.6%, C1–2: 29.7%, and C2: 16.0%.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ine MR measurements could not replace uprightXR measurements
개별화교육계획 운영 실제와 지원요구에 대한 개별화교육지원팀 구성원의 경험과 인식
배성현,박찬우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학연구 Vol.5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EP) they are experiencing, focusing on the parents,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related service personnel who operate the IEP.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practical IEP. For this purpose, 12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ents,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related service personn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three main themes, with 17 sub-themes and 57 contents: 1) Experience in implementing IEP, 2) Difficulty of collaboration in implementing IEP, and 3) Improvement of IEP. Parents demanded the improvement of the perception of the administrators and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wanted a flexible attitude and practical and continuous information system from the relevant experts for the reorganization and collaboration for securing the justification of the IEP in the education field. The related service personnel also emphasized the need for a wide range of support from specialists who can apply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to special education services. 이 연구의 목적은 개별화교육계획의 운영 주체인 학부모, 유아특수교사, 관련서비스 종사자에 초점을 두고 그들이 경험하고 있는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중심의 실제적인 개별화교육계획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부모, 유아특수교사, 관련서비스 종사자 12명과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자료는 연속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개별화교육계획 실행 경험, 2) 개별화교육계획 실행 시 협력의 어려움, 3)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개선방안이라는 3개의 주제와 17개의 하위주제, 57개의 주요내용을 도출하였다. 학부모들은 팀 협력을 위한 학교와 병원, 치료기관 간의 효율적인 지원을 요구하였고, 유아특수교사들은 교육현장에서 개별화교육계획의 당위성 확보를 위한 위상 재정립과 협력을 위한 관련전문가들의 유연한 태도 및 실제적이고 지속적인 정보체계를 희망하였다. 관련서비스 종사자 역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지원방법을 특수교육 관련서비스에 접목할 수 있는 전문가의 다양한 지원이 구축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배성현,이강일 한국경영교육학회 2008 경영교육연구 Vol.49 No.-
This study adopts an evaluation mode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and analyzes through an experimental research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via BizCool at vocational high schools in Korea. Adopted as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research which can influe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re entrepreneurial education content, instructional materials, teaching techniques, feedback,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teachers' role, and students' self-efficacy. 'Future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effectiveness' are adopted as the outcome variable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545 students from 8 commercial and comprehensive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teachers' role and students' self-efficacy are found to be important variables which affect students' future entrepreneurial intention. It is also confirmed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needs students' attention and interest as well as the role of teachers who lead entrepreneurship education. Self-efficacy, which has been maintained as an important variable of education drill effect in the literature, is found to be a variable that gives a good explanation of future entrepreneurial intention. However, education content, instructional materials, teaching techniques, and feedback are found not to have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meaning of which this study tries to suggest. Another outcome variable, entrepreneurial education effectiveness, has as its important variables education content, interest in education, and teachers' ro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why it is necessary to have an early entrepreneurship education. It also finds that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teachers' role and students' self-efficacy are important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실업계 고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BizCool을 통한 창업교육의 효과를 교육훈련 평가모형을 도입하여 실증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창업교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 즉 창업교육 내용, 교육자료, 교육방법, 피드백, 교육흥미도와 교육의 주체인 교사의 역할과 학생의 자기유능감이 변수로 채택되었다. 그리고 ‘미래의 창업의사’와 ‘창업교육 학습효과’를 각각 창업교육의 결과변수로 채택하였다. 조사 대상은 상업계 및 종합고교 8개교 545명이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학생들의 미래의 창업의사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창업교육 흥미도와 교사의 역할 그리고 학생의 자기유능감이 중요한 설명변수로 나타났다. 창업교육은 관심과 흥미가 있어야 하고 창업교육을 지도하는 교사 역할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존의 교육훈련 연구에서 교육훈련 성과에 중요한 변수라고 주장되고 있는 자기유능감도 미래의 창업의사를 잘 설명하는 변수로 나타났다. 그러나 창업교육 자체와 관련된 교육내용, 교육자료, 교육방법, 피드백 등은 미래의 창업의사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이에 관한 의미를 제시하였다.또 하나의 창업교육 결과변수인 창업교육 학습효과에는 학습내용, 교육의 흥미도, 교사의 역할 등이 주요한 영향 변수로 나타났다. 그 외 창업교육 참가 교사수와 부모의 소득도 학습효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이 왜 일찍부터 필요한가를 보여주는 중요한 의미를 찾을 수 있었고, 창업교육에서 교육흥미도와 교사의 역할 그리고 학생의 자기유능감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창업교육의 이론적 실무적 그리고 정책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