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4-교육정책,부모 유아 다문화교육 정책 및 실제에 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정책, 교육청, 현장교사를 중심으로

        이연선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

        Since the late 1990s, demographic diversity has increased in South Korea because of marriage-immigrants and migrant-workers, and discours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arisen.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presented multicultural educational policies as a major task since the late 2000s. However, discourses have focused on having children with diverse linguistic backgrounds adapt to Korean language and customs. This tendency might relate to how national institutions produce an ideology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at are the national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for young children? Which ideology is transmitted by local offices? How do teachers interpret them?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promoted values and hidden ideologies in various written and spoken texts and identified the potential space between ideology and implementation. Findings demonstrate that, by selecting favorite words from Western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s or theories, policymakers reframed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o assimilate ethnic minorities in Korea.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functioned as the dominant form of controlling the notion of multicultural family and education. School inspectors were active disseminators of national ideologies within centralized and bureaucratic structures. Policies underwent transformations and met resistance by teachers interacting with local factors, including the top-down imposition of the new curriculum, their busy schedule, and their experiences with individual children. Teachers were neither assimilationists nor active multicultural educators. It is recommended that policy makers consider experiences of teachers and voices of parents and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backgrounds in develop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local offices of education, a comprehensive effort to change the delivery system is strongly recommended. Crea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o share diverse ideas with colleagues, parents, and professionals within, between, and across schools could be key to improving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ies.

      • LCTV를 이용한 광연결용 다위상 격자의 구현

        이연선,김남,박성균,임종태,Lee, Yeon-Seon,Kim, Nam,Park, Seong-Gyoon,Ihm, Jong-Tae 대한전자공학회 1996 전자공학회논문지-A Vol.33 No.3

        Diffraction gratings were designed to generate multiple beams for the real-time optical interconnection in free-space using a liquid crsytal television. Multi-level phase gratings consisted of stepped phase value, 0 to 2$\pi$, and generate a 5$\times$5 spot array, and V-shaped spot patterns which have a maximum diffraction efficiency of 78.84%. Simulated annealing technique was used to determine phase states of each pixel having uniform intensity and high diffraction efficiency. Through the optical interconnection experiments, we compared the diffraction characteristics of beam paterns obtained by binary-level, four-level, and eight-level phase gratings.

      • KCI등재

        Teacher Students Interaction in a Kindergarten Classroom in Korea According to Three types of Activities: Free Play, Small Group Activity, and Whole Group Discussion

        이연선,손유진 한국유아교육학회 2008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4 No.1

        Within a sociocultural framework, we have attempted to show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lassroom teacher and students facilitates the children’s learning within a shared understanding. It draws on non participatory observational data from a kindergarten classroom in Korea for twelve weeks. To investigate this, at first, assuming that a whole group discussion unfolds through the IRE/F exchanges, we analyzed whether the interaction under the IRE/F is instructional or conversational. The study reveals that the IRE/F pattern helps classroom interaction to be more instructional. Secondly, it investigate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according to three activities: free play, small group activity, and whole group discussion. According to them, interactions take on different aspects: instructional, conversational or none of them. One interesting point is that, the interaction during the small group activity seems neither instructional nor conversational. It seems this is because the task given during this activity is not toward unfolding a small group discussion but toward completing a task in a given time. Finally, we do not argue that most interactions should be completely free from the IRE/F pattern. Nevertheless, this article suggests that teachers need to understand what students have in mind and should improve the ability to move back and forth between conversation and instruction (Hawkins, 2007) beyond the prevalent IRE/F pattern.

      • KCI등재

        유아교사와 희망유아교육사의 다문화적 경험에 따른 다문화교육의 의미탐색

        이연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2

        What is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in the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ntext? By listening to the discourses of the individual teachers who actually engage with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analysis displays the heterogeneity of voices in teachers' interpretations abou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diverse multicultural experiences seemed to construct teachers'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different way. Home-visiting teachers seem to classify multicultural education as education onl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y are sent to each child's home with the purpose of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ir experience with the individual family seemed to affect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role and responsibility. Teachers with no experiences of having children with diverse backgrounds showed the strong conceptualiz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culture understanding activity. Due to the huge effect of top-down Imposition of the Nuri curriculum, there was little room for incorporating multicultural components in classroom routines. The most important finding of the analysis of teachers' discourse was that teachers with diverse multicultural experiences in the classroom responded to multiple cultural backgrounds and identities of diverse children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ongoing reflection on each experience. For them, specific moments rather than the written lesson plan scripts became a textbook for understanding these children and their cultures. 본 연구는 1)가정에 직접 방문하여 이주여성과 아이들을 만나는 희망유아교육사, 2)다문화적 경험이 없는 유아교사, 3)이태원 지역의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써 유아다문화교육의 실제적 의미와 교육적 방향을 찾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첫째, 희망유아교육사들의 경험으로부터 이주여성과 아이들은 한국어 교육과 문화적응교육을 넘어 자신들의 삶의 양식을 이해하주고, 이민자로서의 삶의 어려움을 나누고 소통할 수 있도록 사회문화적 배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다문화가정이 아이들은 이중적 문화정체성을 자연스럽게 갖게 되는데 이에 대한 교육적 논의가 부족하다. 다문화교육의 구성요소에 다양성과 문화이해만큼 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포함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다문화적 경험이 없는 유아교사들에게 다문화교육은 관광식 접근을 통한 문화이해교육으로 이해되고 있었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협소한 실행지식을 갖고 있거나 무관심한 태도를 보였다. 이는 Souto-Manning(2011)의 연구에서 언급했듯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누리과정 시행과 다문화교육과정의 실행적 상충성에서 오는 것으로 일부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다양한 형태의 다문화적 경험을 갖고 있는 이태원 지역의 유아교사들에게 다문화교육이란 하나의 개념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았고 문화를 배우고 이해하는 과정 속에서 그들만의 다문화적 지식이 담긴 교과서를 만들어 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바는 진정한 의미의 다문화교육이란 교사 개인의 경험과 그에 대한 주체적 해석과 반성과정을 통해 발전할 수 있으며 다문화교육은 교육과정적 성격을 띠기보다는 실천적 교수행위에 가깝다는 점이다. 교사들이 자신들의 다문화적 경험을 확대하고자 노력할 때, 문화적 갈등 상황을 그냥 지나치지 않고 이를 변화할 수 있는 순간으로 자각할 때, 다문화성에 대한 이해가 넓어질 것이다. 끝으로 교사들의 자서전적 경험연구, 실행연구, 다문화가정 유아와 부모의 삶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가 확대되어 실천경험이자 과정으로써의 다문화교육 연구가 확대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한 초등교사의 혁신학교 교육경험에 관한 내러티브탐구

        이연선,연희정,한안나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7 교육혁신연구 Vol.27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혁신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한 한 초등교사의 9년간의 생생한 경험 이야기를 통해 교사의 시각에서 혁신학교의 의미를 탐구하고 유아교육에의 시사점을 찾고자 연구방법: 내러티브 탐 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문제의식과 교육에 대한 회의감을 갖고 있었던 한교사는 같은 마음을 가 진 교사들을 만나 폐교대상학교에 혁신학교를 시작하게 되었다. 작은 학교 성공사례들에 힘을 얻어 동료교 사들과 교육철학에 합의하고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문화, 예술, 생태 기반 생명 중심 교육과정을 만들게 되 었다. 9년의 시간을 통해 내부 교직문화의 변화, 외부 행정과 정책의 변화를 일으키며 공교육의 정상화를 도모하였다. 교사 자율성과 민주성이 아이·학교·가정·마을이 상생하는 교육공동체를 운영할 수 있게 하는 계 기가 되었다. 결론: 추후연구를 통해 이와 같은 교사중심의 혁신학교 운영의 사례들이 많이 연구되어 유아 교육의 혁신의 방향을 수립하는데 있어 실천적 사유의 장이 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