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세경본풀이>, <차사본풀이>에 나타나는 노현자(老賢者)의 역할과 의미
구태운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5
본고는 국내 문학작품의 인물 분석에서 본격적으로 주목되지 않았던 노현자(老賢者) 이미지의 양상을 제주 무속신화 <세경본풀이> <차사본풀이>의 서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세경본풀이>와 <차사본풀이>는 모두 제주 큰 굿에서 구연된다. 농경의 풍요와 망자의 천도를 위해 불리는 이 제의적 서사들은 신들의 근본과 좌정담(坐定談)을 푸는 본풀이 형태의 서사무가(敍事巫歌)이다. 본풀이의 주인공은 각각 농경신 ‘자청비’와 저승차사 ‘강림’이다. 이들의 신격(神格) 획득과 이계(異界)의 체험에 앞서 등장하는 조력자는 늙고 성스러운 존재들이라 할 수 있다. 작품 내 늙은 현자의 존재는 입사의례를 앞둔 주인공들의 입문(入門) 안내자로서 중요한 서사적 기능을 수행한다. 이들은 안내자이자 매개자로서 주인공을 임시 양육하거나 문제해결의 단서를 제시한다. <세경본풀이>의 조력자 ‘주모할망’은 장인적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주인공 자청비를 수양딸 삼아 가르치는 두 번째 어머니(이중부모)이다. <차사본풀이>의 조력자 ‘문전할으방’과 ‘조왕할망’은 본래 강림 부부와 같은 생활 공간을 공유하는 가택신들이 현현한 형태로 미성숙한 강림이 나아갈 길을 제공하는 길잡이 역할을 수행한다. 노현자의 상은 융(Carl Gustav Jung)의 원형이론을 기반으로 형성된 대표적 이미지이기도 하다. 융의 분석심리학(分析心理學)은 그 보편성이 인정되어 여러 연구 분야의 학제적 연구 기준이자 분석의 틀이 되어오기도 했다. 늙은 현자는 신비하고 지혜로운 조력자로서 주인공의 성장을 보조하면서도 이면의 파괴적인 속성을 지니며 대가를 요구하는 모습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우리 문학에 늙고 지혜로운 조력자 캐릭터들이 어떻게 묘사되며, 어떤 이미지와 속성을 갖고 서사를 이끌어가는 힘을 가졌는지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반응 중심 문학교육 방법을 활용한 고전시가 감상 교육 방안: 제주지역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윤선숙,조유영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10
현재 한국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들 중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결혼이민자들이다. 이들은 단기 체류 외국인들과 달리 한국에서 정주하며 가족공동체의 일원으로 살아가야 하는 이들이기에 기본적인 한국어 능력뿐만 아니라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또한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이들에 대한 한국어교육은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한 수업만이 다수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교육에서 문학 작품이 가질 수 있는 교육적 가치를 생각해 볼 때, 고전문학을 포함한 다양한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을 이제는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제주지역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반응 중심 문학교육 방법을 활용한 고전시가 감상 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구안해 보고자 하였다. 반응 중심 문학교육 방법은 결혼이민자들이 작품 감상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반응을 형성하고 심화시킬 수 있는 문학 감상 교육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반응 중심 문학교육 이론 및 수업 모형을 살피고, 결혼이민자 대상 문학교육 방안으로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이에 ‘반응 준비-반응 형성-반응 명료화-반응 심화’의 단계로 수업 모형을 구성하였고, 단순히 작품 이해를 넘어 ‘말하기’, ‘듣기’, ‘쓰기’가 통합된 한국어교육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본고에서는 제주지역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고전시가 <가시리>를 활용한 반응 중심 문학 감상 교육 교수・학습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특히 제주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대중가요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자 하였고, 이별의 정한이라는 인간의 보편적 감성을 작품을 통해 확인하고 일반화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Many of the foreigners currently residing in Korea are marriage immigrants. Unlike short-term foreign residents, these individuals must live as members of family communities in Korea. Therefore, not only basic Korean language skills but also an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re essential. However,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age immigrants is primarily focused on improving basic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it is now necessary to consider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various literary works, includ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this paper, a detailed plan was developed for using a response-based literary education method to teach classical poetry appreciation to marriage immigrants in the Jeju area. The response-based literary education method allows marriage immigra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ppreciation of works, enabling them to form and deepen their responses, thereby constituting an effective literary appreciation education. This paper examines response-based literary education theories and teaching models, and aims to reconfigure them as a method of literary education tailored for marriage immigrants. In this paper, a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response-based literary appreciation using the classical poem <Gasiri> was presented, targeting marriage immigrants in the Jeju area.
류도향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10
본 연구는 초개인화시대의 커뮤니티 담론을 선도할 수 있는 아젠다로 ‘인문커뮤니티’(Humanity-Community)를 제안하며, 나아가 미시적 생활세계에서 인문커뮤니티의 감성과 문화를 디자인하고 공동주체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인문커뮤니티역량지도사Competency Coach for Humanity-Community> 양성 방안의 개괄적인 밑그림을 그리는 데 목적이 있다. 인문커뮤니티는 필요충족이나 문제해결에 초점을 맞춘 기능주의적 접근 이전에, 사람 사이의 관계성을 기본 가치로 삼는 사람 중심 커뮤니티를 뜻한다. 여기서 사람(人, 인)은 개별자의 확실한 테두리를 가진 개인이 아니라, 서로 기대고 돌보는 상호관계성에 의해 정의되는 존재 방식을 가리킨다. 따라서 사람을 중심에 놓는다는 것은, 인간관계만이 아니라 살아 있는 모든 관계, 서로가 서로의 구성요소가 되는 모든 관계의 차원을 아우르는 열린 커뮤니티의 비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인문커뮤니티역량지도사는 나노화된 개인들의 잠재된 공동체 욕망을 촉발하고 열린 관계망을 형성할 수 있게 조력하며, 나아가 개개인이 인문학적 지식과 가치를 활용하여 다양한 커뮤니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전문가이다. 이 전문가의 양성은 궁극적으로 더 나은 사회적 유대와 연결 관계를 새롭게 감각하고 상상하고 서사화할 수 있는 문화자원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인문커뮤니티를 구성하는 역량은 ‘주체’, ‘관계’, ‘시공간’의 3차원 원리와 ‘인식’, ‘공감’, ‘실천’의 3개 범주 하에 ‘자기발견’, ‘자기배려’, ‘자율과 창조’, ‘타자존중’, ‘타자돌봄’, ‘소통과 갈등전환’, ‘상호의존성 인식’, ‘역사와 장소만들기’, ‘네트워크적 연대’로 요약될 수 있다. This study proposes the ‘Humanity-Community’ as an agenda that can lead community discourse in the hyper-personalization era. Furthermore, it advocates for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Competency Coach of Humanity-Community> to design the sensibility and culture of humanity-communities in microscopic lifeworlds and t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collective subjects. The humanity- community refers to a people-centered community that prioritiz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an end in themselves or as fundamental values, rather than focusing on functionalist approaches aimed at meeting needs or solving problems. Here, ‘human’ (人, in) does not denote individuals with distinct boundaries but rather refers to beings defined by mutual relationships of reliance and care. Thus, centering on humans should be understood as a vision of an open community that encompasses all dimensions of relationships, where each is a constituent of the other. A Competency Coach of Humanity-Community must stimulate and connect the diverse communal needs and desires for relationships latent in the lifeworld. They must also foster communities democratically through humanistic communication based on empathy and hospitality, while developing the ability to resolve various community issues by leveraging humanistic knowledge and values. Ultimately, this endeavor involves recognizing our vulnerabilities and interdependencies as common conditions of life and developing cultural resources that enable us to re-sensitize, re-imagine, and narrate better social bonds and connec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humanity-community agenda in the hyper-personalization era (Section 2), explains the necessity of humanity- community competency education, review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such education (Section 3), and summarizes similar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Section 4).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will propose practical measures to institutionalize a system for training Competency Coaches of Humanity- Community in Korea (Section 5).
정천구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10
<진정사효선쌍미>는 『삼국유사』에서 「효선」편에 실려 있으며, 제목에서도 ‘효선쌍미’를 내세우고 있다. 이는 <진정사효선쌍미>가 「효선」편 전체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실마리가 됨을 의미한다. 이 글에서는 서사적 맥락 속에서 인물들의 행위를 분석해 효와 선이 여러 의미를 가지며 효선쌍미의 의미도 효와 선의 관계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밝힌다. 서사는 진정의 마음이나 행동의 변화에 따라 두 차례 전환되므로 크게 세 단락으로 나뉜다. 첫째 서사는 어머니의 보시를 통해 진정의 효를 보여준다. 둘째 서사에서는 출가를 미루겠다는 진정과 당장 출가해서 문도(聞道, 불도를 배움)해야 한다는 어머니가 옥신각신한다. 셋째 서사에서는 출가한 진정의 입정(入定, 선정에 듦), 의상과 그 제자들의『화엄경』강설, 어머니의 생천(生天, 하늘에 다시 태어남) 등이 차례로 서술된다. 진정의 효와 선은 첫째 서사와 셋째 서사에 잘 드러나 있다. 첫째 서사에서 진정은 어머니의 뜻을 살피는 효를 다했고, 셋째 서사에서는 출가해서 선정에 드는 경지에 이르렀다. 출가 전에는 효를, 출가 뒤에는 선을 각각 온전하게 실천했다는 것, 이것이 ‘효선쌍미’의 첫 번째 의미다. 그리고 진정이 출가해서 불도를 수행한 일은 선이면서 곧 효다. 진정이 입정이라는 득도(得道, 불도를 깨달음)의 경지에 이른 일은 선의 과보이면서 효의 완성이다. 이것이 ‘효선쌍미’의 두 번째 의미다. 그런데 진정의 어머니는 아들보다 먼저 선을 실천한 여인이다. 첫째 서사에서는 무주상보시를 보여주더니, 둘째 서사에서는 지혜를 갖추고 있으면서 자식에 대한 애착도 끊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나아가 셋째 서사에서 의상과 그 문도들이 90일 동안『화엄경』강설을 한 것도 어머니가 화엄교학을 어느 정도 이해하는 수준에 이르렀음을 말해준다. 이렇게 서사의 이면에서는 어머니의 자력 수행이 강조되고 있으므로 그 생천은 자신의 선업으로 얻은 과보라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하여 진정의 효와 그 어머니의 선이 함께 아름답게 빛난다는 것이 효선쌍미의 세 번째 의미가 된다. <Jinjeongsa Hyoseon Ssangmi(眞定師孝善雙美)> is included in the “Hyoseon(孝善, filial peity and good deed)” section of Samguk Yusa(三國遺事), and the title also suggests ‘Hyoseon Ssangmi(孝善雙美)’. This means that <Jinjeongsa Hyoseon Ssangmi> serves as a clue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 of the entire Hyoseon section. In this article, by analyzing the actions of the characters in the narrative context, it is revealed that filial piety and good deed have multiple meanings, and that the meaning of filial piety and good deed changes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lial piety and good deed. The narrative switches twice depending on changes in the person’s mind or behavior, so it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agraphs. The first narrative shows Jinjeong’s filial piety through his mother’s almsgiving. In the second narrative, there is an argument between Jinjeong who wants to delay becoming a monk and his mother who urges him to become a monk immediately and hear Buddha dharma. In the third narrative, Jinjeong’s entrance into samadhi after becoming a monk, Uisang and his disciples' lecture on the Avatamsaka Sutra, and his mother’s rebirth in heaven are sequentially described. Jinjeong’s filial piety and good deed are well revealed in the first and third narratives. In the first narrative, Jinjeong fulfilled his filial piety by observing his mother’s will, and in the third narrative, he became a monk and reached the state of entering samadhi. This is the first meaning of ‘Hyoseon Ssangmi’: practicing filial piety before becoming a monk and practicing good deeds after becoming a monk. And the act of becoming a monk and practicing Buddhism is both good deed and filial piety. Reaching the state of enlightenment called entering samadhi is the result of good deed and the completion of filial piety. This is the second meaning of ‘Hyoseon Ssangmi’. Jinjeong’s mother is a woman who practiced good deeds long before her son’s practice. In the first narrative, she showed that she gaved alms without even thinking about giving, and in the second narrative, she showed that not only was she equipped with wisdom, but she also broke her attachment to her son. Furthermore, in the third narrative, the fact that Uisang and his disciples gave lectures on the Avatamsaka Sutra for 90 days shows that the mother had reached a certain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Avatamsaka doctrine. Since the mother’s self-discipline is emphasized behind the narrative,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her rebirth in heaven as a result of her own good deeds. Thus, the third meaning of Hyoseon Ssangmi is that Jinjeong’s filial piety and his mother’s good deeds shine beautifully together.
노인 돌봄의 특징과 현실, 정책의 전환: 지역공동체 디지털 돌봄을 위하여
정숙경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10
이 논문의 목적은 노인 돌봄의 구조적 특징과 현실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정책적 검토와 대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한국은 2050년 인구의 25%가 고령 인구가 되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것이며, 디지털 헬스의 도입과 확대가 이루어질 것이다. 이에 높은 노인 사망률과 노인 부양 문제와 직결되는 ‘노인 돌봄’에 대하여 근본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노인 돌봄은 장기요양 보험 제도를 기반으로 가족 돌봄과 시설 돌봄 형태가 있다. 전자는 장자 돌봄을 원칙하에 비용과 돌봄에 대한 부담이 가족관계의 갈등 요인이 되더라도 가족이 돌보는 것이고, 후자는 가족 내에서 돌봐줄 사람이 없거나 몸 상태가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운 경우에 재정 상태에 따라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에서 돌보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노인 돌봄은 몇 가지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 첫째 가족 돌봄을 받는 노인에게 심리적 부담을 주고 둘째, 장기간 시설에서 돌봄 생활을 하는 노인의 경우 우울감을 높이고, 셋째 건강보험재정 악화를 초래하는 것이다. 이런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커뮤니테 케어’를 고려했으나, 기대했던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유는 커뮤니티 개념과 영역에 대한 혼선과 모호성에 기인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노인 돌봄의 새로운 지역공동체 디지털 돌봄 모델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이 모델은 공동체 정서를 기반으로 한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돌봄의 주체를 분명하게 하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헬스의 스마트 돌봄으로, 청년과 여성, 건강한 노인이 함께 하여 Ai 돌봄 일자리 체계를 통해 돌봄을 실행함으로써 노인 돌봄이 세대통합적인 효과도 가져올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ope a alternative policy for new elderly caring model after that is understand and diagnosing a structural features and reality of elderly caring. Korea society is going to be supper aging society which 25% of populations of that will be aging population. And it will come digital health introduction and diffusion of it. So it is to be needed that a basic and radical reflections aginst elderly caring in relations to higher death rate of old man and elderly care problems directly connected. Elderly caring consist of family caring and facilities caring based o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he former is family are caring their parents even though the cost and burden of it can be conflict factors within family relations with the principle of care of eldest son.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is to care at nursing hospital and nursing home depending on their financial situation in case of that they no one to take care of family or their body conditions are inconvenient for everyday life. Practically elderly care have a structural problems such as. first it will be provide a psychological burden to elderly people receiving family care. the second it will be increase depression to elderly people whose are living at a caring facility in a long time. the thirdly it will be deteriorates health insurance finances. So it was raised community care. as a alternative that this problem is to be resolve it as much as possible. But it was revealed that community care did not achieved effects that has been expected. The reasons are the conceptual confusion of community care and ambiguity of domains of it. Therefore this paper is suggested that policy review and policy shift about elderly care which should be to consider changed social environment and to enforce ethics and publicity and accountability of caring newly is needed. And it suggested that new community digital care model has to be developed. New community digital care model for elderly care that is focus on a special area within community emotion should be make clear the subject of caring and is to be smart caring that is to digital health should be use digital technology. Also this model that is to be participate with youth and woman and work together for old man. So this model will bring to generational care effect by implementing caring though ai caring jobs.
레비나스에게 가족의 의미:『전체성과 무한』4부 C “번식성” 및 D “에로스 속의 주체성”에 대한 한 가지 해석
김동규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10
이 글은 레비나스의 『전체성과 무한』4부의 C, “번식성”과 4부 D “에로스 속의 주체성”에 대한 독해와 해석을 통해 그가 암시한 가족의 의미를 살펴본 다음, 그 의의와 한계를 논한다. 이를 위해 우선 우리는 레비나스에게 가족 탄생의 발단 역할을 하는『전체성과 무한』에서의 에로스론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다음으로, 이어지는 레비나스의 논증에서 부모와 아이의 관계가 어떻게 기술되고 있으며, 각 존재가 가족 구성원이라는 차원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끝으로, 이러한 탐구를 기반으로 삼아『전체성과 무한』에서 레비나스가 그려낸 가족 이해의 의의와 한계를 짚는다. 한편으로 그의 가족 이해는 책임을 기반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단순히 혈연관계로 이해되는 전통적인 가족 이해를 넘어선다. 다른 한편으로 레비나스에게 아버지, 어머니, 아이의 역할은 다분히 (가족) 정상성의 범주 안에 고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적어도『전체성과 무한』에서의 그의 가족 이해가 다소간 전통적인 정상 가족의 한계 안에 고정되어 있음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family that Levinas alludes to through my own close reading and interpretation of Totality and Infinity, Part 4, C, “Fecundity,” and Part 4, D, “Subjectivity in Eros,” and then discusses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To achieve this, I first briefly elucidate Levinas' theory of eros in Totality and Infinity, which serves as the trigger for the birth of the family. Next, this essay examine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 is described in the text and how each being is understood in terms of family membership. Finally, building on this exploration, the article points ou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Levinas' understanding of the family in Totality and Infinity. On the one hand, his understanding of family transcends the traditional view of family as simply kinship, as it is based on responsibility. On the other hand, because Levinas sees the roles of father, mother, and child as more or less fixed within the category of (family) normality, the article concludes that his understanding of family, at least in Totality and Infinity, is largely confined within the limits of the traditional notion of the normal family.
게이 남성 관계・돌봄 실천의 조건: 첫 세대 비(이성애)혼 게이커뮤니티의 명암
김대현,이유나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10
1990년대 들어 이성애 결혼하지 않은 한국의 첫 세대 게이커뮤니티가 나타났다. 이는 동성애가 ‘변태’가 아니라 자긍심일 수 있다는 발상의 전환과, 그것을 가능케 한 이성애 결혼하지 않는 동료 게이들, 그리고 그들이 모이는 업소 및 단체의 부상 등 문화적 조건의 확립 덕택에 가능했다. 이러한 조건을 바탕으로 게이 남성은, 이성애 사회로부터 비가시성이 강제된 게이커뮤니티와 자신의 성적 지향을 밝히기 어려운 원가족과의 관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협상해나갔다. 이로부터 형성된 게이커뮤니티의 분절적 사회성은, 어떤 게이 남성에게는 그것을 자신의 삶의 형태로 차용하여 그 속에서 관계와 돌봄을 실천하는 전략으로 전개되기도 하였고, 어떤 경우는 그러한 제약 속에서도 게이업소와 게이인권단체, 게이 취미모임 사이의 경계를 적극적으로 흐리는 난잡한 실천을 통해 돌봄의 관계망을 한층 의미 있게 만드는 시도로 확장되기도 했다. 한편 게이커뮤니티의 성적 활력은 강제적 이성애 사회로부터 낙인찍힌 저항이면서, 동시에 게이커뮤니티의 구성원들에게 강제적 성애 문화의 한계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이는 성적 활력 및 매력 자본과 연계되어, 청년, 비환자, 준수한 외모를 가진 성적 활력의 소유자, 업소에서 일정 구매력을 갖춘 유산자 등 게이커뮤니티의 구성원과 그 속에서 관계・돌봄을 수행하는 사람의 표준을 형성했다. 이는 이성애 결혼하지 않은 첫 세대 게이커뮤니티로서 관계 및 돌봄의 성취와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는 커뮤니티의 조건이면서, 동시에 향후 게이커뮤니티 내의 관계와 돌봄이 위계와 차별 없이 실천될 수 있을 퀴어가족정치의 과제를 요청하고 있다. The 1990s saw the emergence of the first generation of gay communities outside of heterosexual marriage in Korea. This was made possible by the creation of socio-cultural conditions, including a shift in the idea that homosexuality could be a source of pride rather than a “perversion,” and the emergence of fellow gay men outside of heterosexual marriage and the organizations that made it possible. Based on these conditions, gay men have negotiated different ways of relating to the gay community, where invisibility is enforced by heterosexual society, and to their families of origin, where their sexual orientation is often difficult to disclose. The segmented sociality of the gay community has evolved for some gay men into a strategy of adopting it as a way of life and practicing relationships and care within it, while for others it has expanded into an attempt to make their care networks more meaningful through promiscuous practices that actively blur the boundaries between gay entertainment businesses, gay rights organizations, and gay hobby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sexual vigor of the gay community was both a resistance to the stigmatization of coercive heterosexual society and a limitation of compulsory sexuality imposed on members of the gay community. This, coupled with sexual vigor and erotic capital, shaped the norms of who could be a member of the gay community and who could engage in relationships and care within it, including young men, non-patients, sexually virile people with good looks, and affluent people with some purchasing power in gay bars or clubs. These are preconditions that show both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relationships and care as a first generation gay community outside of heterosexual marriage, but also call for the task of queer family politics so that relationships and care within the gay community can be practiced without hierarchy and discrimination in the future.
자기조직화 전략으로서 ‘커뮤니티 오거나이징’: 알린스키의 커뮤니티 오거나이징 구상의 출현 배경과 의미
최대희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10
본 연구는 ‘커뮤니티 오거나이징’의 역사적 뿌리와 이념을 분석하면서, 일종의 자기 조직화(self-organizing) 전략으로서 커뮤니티 오거나이징의 의미와 특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커뮤니티 오거나이징은 1930년대 미국에서 주민 참여를 활성화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울 알린스키(Saul D. Alinsky, 1909-1972)가 개발한 일종의 주민교육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무엇보다 그가 성장한 유대인 공동체의 자기조직화 전통에 주목하면서, 커뮤니티 오거나이징에 대한 알린스키의 접근법은 자선단체 형태의 사회복지적 접근법과는 결을 달리하는 다른 형태의 사회운동이라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알린스키는 자선단체 활동을 ‘복지 식민주의’라고 평가함으로써, 자신의 커뮤니티 오거나이징 활동을 당시 일반적이었던 ‘배려와 긍정’ 중심의 사회사업적 실천과 뚜렷하게 차별화했다. 알린스키가 백 오브 더 야드 지역에서 자신의 커뮤니티 오거나이징 구상을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었던 것에는 루이스라는 노동운동 지도자와의 만남이 결정적이었다. 알린스키의 커뮤니티 오거나이징 작업은 그로부터 학습한 ‘조직들의 조직’ 원칙을 커뮤니티라는 재생산 현장으로 옮기려는 시도였다. 알린스키는 노동운동가들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지만, 노동운동의 이념을 수용하지는 않았다. 그는 노동운동이 주민들을 정치적으로 도구화할 위험이 있다고 생각하면서, 자기 결정의 원칙을 모든 오거나이징 활동에서 준수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원칙으로 꼽았다. 본 연구는 알린스키가 성장한 시카고의 유대인 공동체의 전통 그리고 노동운동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기조직화 전략으로서 커뮤니티 오거나이징의 특성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organizing” as a strategy of self-organizing, by analyzing the historical roots and ideas of the community organizing. Saul D. Alinsky(1909-1972) developed the community organizing as a resident education program in the 1930s in USA, for the purpose of activating the resident participation and solving the problem of the community based on it. Above all, focusing on the Jewish tradition of self-organizing, in which he was embedded, this study emphasizes Alinsky’s approach to the community organizing is a different type of social movement from the welfare approach of the charity organization. Evaluating the activity of charity organization as the “welfare colonialism,” Alinsky clearly differentiated his own community organizing activity from the usual “consideration and positiveness (fürsorglich-affirmativen)” oriented practice of social work. Alinsky succeeded in applying his idea of community organizing to the back-of-the-yard area, mainly thanks to encountering with Lewis, a labor leader. Alinsky’s work on community organizing was a try to apply to the reproduction site the principle of “Organization of Organizations,” which he learned from the labor leader. Alinsky learned a lot from the labor leader, but he did not accept the ideology of labor movement. He warned of the danger of political instrumentalisation of residents by the labor movement, while he picked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a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in all of the organizing activities. This study emphasizes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organizing as a self-organizing strategy, by analyzing the tradition of the Jewish community in Chicago, where Alinsky was grown up, and its relationship with labor movement.
<부여노정기>에 나타난 연안 이씨의 다층적 공간 인식과 여행 인식
김동연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10
이 연구는 <부여노정기>의 작가 연안 이씨가 작품 내의 공간들을 다층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자신의 여정을 다양하게 인식하였음을 구명함으로써 작가의식의 실제에 근접하고자 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연안 이씨는 아들의 지방관 부임 당시 내행으로 동반했다. 공적인 목적에 따라 이동하게 된 것이다. 지방관 부임 행차는 정해진 여로가 있었기에 일정이 촉박했다. 그런 가운데에서도 연안 이씨는 두 번에 걸쳐 개인적인 일정을 소화한다. 그리고 그 일정은 모두 결혼으로 인해 단절된 자신의 옛 유대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었다. 공적 여행과 사적 여행에 관한 서술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연안 이씨의 공간 인식이 다층적이었기에 여행에 대한 인식이 변화했기 때문이다. 즉, 과거 여성들의 공간 인식은 사대부 남성들과 달리 특정한 관념이나 이데올로기에 따라 단일한 방식에 의해 구조화되지 않았다. 규방이라는 공간은 여성의 주된 생활 공간이기에 각종 사회적 제약과 구속이 가해지는 곳이다. 동시에 살아가면서 인생의 희노애락을 경험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그래서 규방은 양가성을 가진다. 자신의 생활 공간이 지닌 양가성을 인식한 여성들이 다른 공간을 다층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그리 이상한 일이 아니다. 아울러 당대의 사회문화적 측면을 고려하여 ‘유교 이데올로기의 적극적 수행자가 갖는 문화패권의 실현태로서의 규방’이라는 공간적 의미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러한 접근은 자신을 구속하는 공간과 이데올로기가 자신에게 사회적 지위와 문화패권을 가져다주는 모순적 상황에 놓여 있는 작가의 인식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게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approach the reality of the author's consciousness by asserting that Yeonan Lee, the author of <Buyeonojeonggi>, recognized the spaces within the work in a multilayered manner and accordingly perceived her journey in various ways. As is known, Yeonan Lee accompanied her son when he was appointed as a local official. She moved for a public purpose. The itinerary for the appointment of a local official was tight because there was a predetermined route. Nevertheless, Yeonan Lee managed to handle personal schedules twice. And all those schedules were to recover her old ties that had been severed due to marriage.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public travel and private travel. This difference seems to be due to the change in perception of travel because Yeonan Lee's spatial perception was multilayered. And this means that the spatial perception of women in the past was not structured in a single way according to certain concepts or ideologies, unlike patriarchal men. The space called ‘gyubang’ is the main living space for women, so it is a place where various social restrictions and constraints are impose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space where one experiences the joys and sorrows of life while living. So, ‘gyubang’ has a dual nature. It is not strange that women who recognize the dual nature of their living space perceive other spaces in a multilayered way. In addition, considering the socio-cultural aspects of the time, we also looked at the spatial meaning of ‘gyubang’ as ‘the realization of cultural hegemony possessed by the active performer of Confucian ideology’. This approach will allow us to correctly understand the author's perception, who is in a contradictory situation where the space and ideology that constrain her bring her social status and cultural hegemony.
퀴어생존의 생태계를 구축하는 실천으로서의 돌봄: 게이 남성을 중심으로
김순남,나영정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10
이성애규범적인 가족중심 사회와 불화하는 존재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시민되기, 관계맺기, 존재하기를 가시화했다.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문란하고’, ‘근본없는’ 존재들로 규정되는 게이남성의 경험을 통해 가족제도, 질병, 빈곤, 나이듦의 여러 조건과 교차하면서 수행되는 퀴어친족만들기와 돌봄 실천의 양상에 천착하고자 하였다. 게이남성의 돌봄 실천과 이를 통해 생성된 퀴어한 유대를 연구하기 위해서 부모와 파트너, 친구가 질병 등으로 단기, 장기적 돌봄이 필요할 때 이를 수행한 게이남성 11명의 경험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구나 태어나면서부터 관계 맺게 되는 원가족이 있듯이 게이 남성 역시 마찬가지이며 원가족은 게이 남성의 정체성과 성적 실천을 둘러싼 내적, 외적 갈등에도 불구하고 쉽게 분리될 수 없는 관계로 이어진다. 참여자들 중에서 원가족 돌봄을 수행하는 이유는 남자로서, 아들로서 기대받은 책임감뿐만 아니라 결혼을 통한 헤게모닉한 남성성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게이로서의 ‘죄책감’, ‘미안함’의 정서가 주요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시스헤테로비혼남성이 가지는 자발적 비혼 선택으로 인해 가지는 죄책감이나 비자발적 비혼 상황에 놓임으로써 가지는 능력없음 혹은 억울함과는 다른 정서라는 점에서 이번 연구에서 주목할 필요성이 크다. 둘째, 참여자 중에서 파트너의 간병을 전적으로 전담하는 경우에는 HIV/에이즈와 암투병이 이유였으며, 원가족으로부터의 간병에 대한 지원은 전무하였다. 주 돌봄 전담자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인 낙인으로 인해 돌봄의 어려움을 소통할 수 없는 고립이 주는 힘겨움을 보여준다. 모두 다 “세끼를 차리면 하루가 간다”라고 언급하면서 돌봄 노동의 어려움을 강조하지만, 파트너를 돌보는 이 ‘선택’을 ‘퇴로없는 삶’에 대한 ‘급진적인 수용하기’로 받아들이고 있었고, 자신들이 받았던 사랑, 돌봄을 되돌려주는 시간으로 맥락화하고 있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우정적인 유대에 기반을 둔 상호적인 돌봄이나, 게이 사우나나 원나잇을 통해서 우연히 수행되는 ‘문란한 돌봄’ 등을 통해서 원가족 돌봄, 파트너 돌봄뿐만 아니라 ‘퀴어한 사회적 돌봄’의 장을 실천하고 있다. 또한, 경제적인 자원, 외모, 나이, HIV/에이즈 질병에 따라서 게이들 내부에서 사회적으로 만날 수 있는 대상이 달라지면서 돌봄과 친밀성의 지도가 지속적이지 않고 분절적인 ‘퀴어사회’를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queer kinship and caregiving practices as they intersect with the family system, illness, poverty, and the conditions of aging through interviews with gay men who are often characterized as ‘messy’ and ‘rootless’. To study gay men’s caregiving practices and the queer bonds created through them, I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f 11 gay men who provided short- and long-term care for their parents, partners, and friends when they were ill.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First, just as everyone has a birth family, so do gay men, and these relationships are inseparable, despite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surrounding gay men’s identities and sexual practices. The reasons for performing kinship care among the participants reveal that the responsibilities expected of them as men and sons, as well as feelings of ‘guilt’ and ‘remorse’ as gay men slipping away from hegemonic masculinity through marriage, are at play. Second, for those participants who were solely responsible for their partner’s care, the reason was HIV/AIDS and cancer, and there was no support for caregiving from the original family. Despite being the primary caregiver, the isolation of not being able to communicate the difficulties of caregiving due to social stigmatization shows the power of isolation. While they all highlighted the difficulty of care work by stating that “making three meals makes the day,” they radically embraced this “choice” to care for their partner and contextualized it as a time to give back the love and care they had received. Third, participants are practicing not only kinship care and partner care, but also queer social care through reciprocal care based on friendship ties, or casual care performed through gay saunas and one-night stands. In addition, the map of care and intimacy is not continuous, but fragmented, as who can be socialized within the gay community varies according to economic resources, physical appearance, age resources, and HIV/AIDS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