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이브 커머스 및 쇼호스트 특성이 소비자의 충동구매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시나리오 기반 실험연구

        김나경,양성병,윤상혁 한국경영정보학회 2022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24 No.4

        Live commerce has recently received substantial attention due to the spread of the non-face-to-face consumption culture driven by the COVID-19 pandemic. Live commerce has a higher purchase conversion rate than other forms of commerce. Accordingly, the likelihood of impulse buying in a live commerce environment is expected to be high. However, there is a shortage of research on consumer impulse buying in the live commerce environment. This study designs a scenario-based experiment using the integrated model of consumption impulse formation and enactment. Through this method, this study validates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live commerce (i.e., vicarious experience and real-time interaction) on consumers’ likelihood of impulse buying and further examines the moderating role of a live commerce host feature (i.e., professionalism) in these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both vicarious experience and real-time intera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likelihood of impulse buying and that professionalism strengthens the impact of vicarious experience on the likelihood of impulse buying. This study’s scenario-based experimental design is meaningful because it analyzes the likelihood of impulse buying in the context of live commerce shopping. Additionally, it provides live commerce service and platform providers with practical insights into how to maximize profits and operate services more efficiently. 코로나19로 비대면 소비문화가 확산되면서, 온라인에서 실시간으로 쇼호스트(판매자)와 소통하며쇼핑하는 라이브 커머스(live commerce)가 주목받고 있다. 라이브 커머스는 기존 다른 형태의 상거래유형에 비해 구매전환율이 높아, 충동구매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라이브커머스 사용 환경에서 발생하는 소비자의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소비충동형성 및 실행통합모형을 활용하여 시나리오 기반 실험연구를 설계하였다. 이를통해, 라이브 커머스 특성(대리경험, 실시간 상호작용성)이 소비자의 충동구매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검증하고, 나아가 쇼호스트 특성 중 하나인 전문성이 라이브 커머스 특성과 충동구매가능성 간영향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지를 추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라이브 커머스 특성인 대리경험과 실시간상호작용성 모두 소비자의 충동구매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대리경험이소비자의 충동구매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전문성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실증하였다. 본 연구는라이브 커머스 쇼핑 맥락에서의 충동구매가능성을 분석한 시나리오 기반 실험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및 플랫폼 제공자에게 이윤창출 극대화 및 효율적인서비스 운영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BJ)의 광고모델 속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나경,김예솔란,이세진 한국광고PR실학회 2020 광고PR실학연구 Vol.13 No.4

        One-person media creators play an effective and influential source of information for consumers in modern society who are familiar with video content.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attributes of media creator on the advertising effects, which are measured in terms of attractiveness, trustworthiness, expertise and similarity. Furthermore,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major attributes of the media creator according to the genre of the media cont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ttractiveness, similarity, and trustworthiness of crea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advertising attitude, while expertise had a negative effect. Also,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nly the creator's attractiveness and similarity had a positive effect. While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attribute of the media creator(BJ) on the advertising effect by genre, it was found that similarity has the greatest influence in the game and food genres. On the other hand, the attractiveness of creators in the beauty/cosmetics genre has the greatest influence. Meanwhile, the influence of similarity of media creator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differed according to gen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and a discussion abou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는 기존 매체들이 해결해주지 못했던 갈증을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를 통해 해소해주고 있으며, 실시간 소통과 공유를 통해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영상 콘텐츠에 익숙한 현대 사회의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이고 영향력 있는 정보원의 역할을 하고있다. 이 연구에서는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광고모델 속성이 광고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광고모델의 속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크리에이터의 주요 장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광고태도에 대해서는 크리에이터의 매력성, 유사성, 신뢰성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전문성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는 크리에이터의 매력성과 유사성만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장르별 광고효과에 대한 광고모델 속성의 상대적 영향력은 게임과 먹방 장르에서는 크리에이터의 유사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반면 뷰티/화장품 장르에서는 크리에이터의 매력성이 가장 큰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나타났다. 한편,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유사성이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장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 연구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의 법적 문제

        김나경 대한변호사협회 2011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18

        Rechtliche Vorschriften für die psychisch-Kranken haben einerseits - wie bei den anderen medizinischen Handlungen - die ‘Therapie’ und auch die ‘Heilung’ der psychisch-kranken zum Zweck, die ihr eigenes ‘Leben’ neu bilden. Andererseits hat diese psychiatrische Behandlung aber den Charakterzug der ‘sozialen Kontrolle’ in sich, und das PsychoKG (Psychischkrankengesetz)hat ebenfalls im Sinne der staatlichen Vormundschaft oder der polizeirechtlichen Vorstellung gewissermaßen das die soziale Kontrolle fördernde Wesen inne. Bedenkt man diese Probleme, so hat das PsychoKG ein System auszuarbeiten, die nach dem Urteil der Fähigkeit der Eigenwilligung oder Übereinstimung der psychisch-kranken ihre Autonomie optimal sichern kann. Außerdem hat das PsychoKG die Überlegung zum Verfahren zu beinhalten, das den Willen und Nutzen der psychisch-kranken ausreichend repräsentieren kann. Aber das PsychoKG in Korea, vor allem in Bezug auf die Vorschrift für die ‘Zwangseinweisung’, die den Konflikt zwischen der Philosophie der Heilung und der Ideologie der sozialen Kontrolle am außersten extrem darstellt, ist nicht in der Lage, das auf den optimalen Nutzen der psychisch-Kranken ausgerichtete System der Therapie und der Einweisung zu realisieren. Um die Gerechtigkeit der Vorschrift für die Zwangseinweisung nach dem PsychoKG zu gewinnen, sollen die grundlegenden Prinzipien der Versorgung zu den einzelnen medizinischen Handlungen konkretisiert werden. Desweiteren ist es notwendig, das Verfahren konkret auszuarbeiten, das die Entscheidung zur Theraphie der psychisch-Kranken aus den nicht-therapeutischen Zusammenhängen freiwillig trifft und die therapeutische Beratung für die psychische Krankeiten voraussetzt. 정신질환자에 대한 법적 규제는 한편으로는 - 다른 의료적 행위에서와 마찬가지로 - 정신질환자를 ‘치료’하며 더 나아가 그들이 스스로의 ‘삶’을 새롭게 구성하는 ‘치유’를 목표로 한다. 하지만 다른 한편 정신과적 의료는 그 자체로 이미 ‘사회통제’적인 속성을 지니며 정신보건법 역시 국가적 후견주의나 경찰법적인 사고에 기초하여 일정한 의미에서의 사회 통제를 도모하려는 속성을 지닐 수밖에없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한다면 정신보건법은 정신질환자의 의사결정능력 또는 동의능력을 판단하여그들의 자율성을 최선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정신보건법은 정신질환자의 의사와 이익을 충분히 대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정신보건법은, 특히 치유의 이념과 사회통제 이념간의 대립이 가장 극단적으로 드러나는 ‘강제입원’의규정과 관련하여, 정신질환자의 최선의 이익에 지향된 치료와 입원의 체계를 온전히 실현하지 못하고있다. 현행 정신보건법은 정신질환의 범위를 광범위하게 규정하고 법원은 유권해석을 통해 그 범위를더욱 확대하고 있는 반면, 그러한 확장된 정신질환자의 동의능력을 심사하고 이들의 이익을 확보해줄수 있는 합리적 절차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뿐만 아니라, 강제입원에 있어서 보호의무자에 의한 동의는 당해 정신질환자 또는 정신질환의 의심을 받고 있는 자에 대한 입원이 보호의무자의 사적인 이익에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당해 정신과 전문의의 결정 역시 당해 환자를위한 최선의 치유 방식에 대해 충분한 고려할 수 있는 절차를 통한 것이 아니어서 보호의무자의 견해에 친화적이기 쉽다. 정신보건법상 강제입원 규정이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의료의 기본적인 원칙들을 개별적인 의료행위들 각각에 대해 구체화하고, 정신질환자에 대한 치료적 결정이 비(非)치료적이해관계로부터 자유롭게 내려질 수 있는 절차 그리고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적 상담을 전제하는 절차를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