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조선족·고려인의 사회적 이슈 분석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언론 보도기사를 중심으로 -
김나경 재외한인학회 2022 在外韓人硏究 Vol.58 No.-
This study analyzed social issues focusing on the news articles of Joseonjok and Koryeoin from February 25, 1993 to May 9, 202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opic modeling based on LDA, 10 topics were derived from Joseonjok, and 12 topics were derived from Koryeoin. Topics mean social issues and showed different aspects by object and period. The main findings of Joseonjok was the 'Joseonjok’s crime pattern and legal battle', and the topic related to crime and incidents was continuously raised. The formation of such social issues is expected to be a factor that negatively recognizes Joseonjok in the future unless the tendency of news has changed. In case of Koryeoin, ‘group activities for the settlement support of Koryeoin’ were the highest, but the more recent reports about ‘Koryeoin’s incident in Korean society’ are increasing. The formation of such social issues can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Koryeoin from a warm-hearted perspective to a negative on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ethod of delivery that can minimize negative and stimulating vocabulary use and prejudice against specific objects in the new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exchanges between Koreans, Joseonjok and Koryeoin, and to seek educational and public relations measures to promote understanding. Third, a policy design is needed for the returning overseas Koreans 본 연구는 1993년 2월 25일부터 2022년 5월 9일까지 조선족과 고려인 관련 언론 보도기사를 중심으로 사회적 이슈를 분석하였다. LDA를 기반한 토픽모델링을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조선족은 3,957개의 보도기사를 중심으로 10개의 토픽이도출되었고, 고려인은 1,259개의 보도기사를 중심으로 12개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토픽은 사회적 이슈를 의미하며, 시기별·대상별 다른 양상을 보였다. 주요특징으로는 조선족의 경우 ‘국내 조선족 범죄 양상과 법적공방’과 같이 범죄 및 사건사고와 관련된 토픽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이슈의 형성은 언론 보도기사의 경향이 바뀌지 않은 한 앞으로도 조선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고려인의 경우에는 ‘고려인의 국내 정착지원단체활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최근에 올수록 ‘국내 고려인의 사건사고’에 대한 보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이슈의 형성은 고려인을 지원이 필요한 온정적 시각에서 부정적인 시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언론 보도기사에서 특정 대상에 대한 부정적이고 자극적인 어휘 사용 자제 및 편견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달 방식이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조선족과 고려인의 교류 활성화를 위한 소통체계 마련 및이해 증진을 위한 교육·홍보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모국 귀환 동포에 대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
김나경,이지은 대한검안학회 2024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23 No.2
Purpose: To present a case of oculomotor nerve atrophy complicated by herpes zoster ophthalmicus (HZO). Case summary: A 68-year-old man with a history of type 2 diabetes and dyslipidemia complained of diplopia and deviation in left eye. On examination, visual acuity was 20/25 in right eye and 20/20 in left eye. Prism and alternate cover tests revealed right exotropia and hypertropia in the primary position. Examination of ductions and versions showed limitation of adduction and depression in the right eye. On detailed history taking, we found that his symptoms started after suffering HZO on right side about 2 years ago. He was prescribed antiviral agents from a dermatology clinic and was told that all symptoms would improve after medication so he didn't undergo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at that time.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nfirmed that diffuse atrophy of oculomotor nerve in cistern along with atrophic changes of medial rectus and inferior rectus muscles in right eye. A diagnosis of strabismus complicated by HZO-induced oculomotor nerve atrophy was done. Conclusions: Ophthalmoplegia secondary to HZO may not be self-limiting and have a poor prognosis resulting in cranial nerve atrophy. A detailed imaging investigation of extraocular muscle and cranial nerves along with thorough history taking are required for proper diagnosis and better prognosis.
‘업무상 자살 지원(조력)’에 대한 형법 개입의 정당성 - (구)독일형법 제217조에 대한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 분석을 중심으로 -
김나경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23 형사정책연구 Vol.135 No.-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and analyze the legislative debate on Article 217 of the (former) German Penal Code, which prohibits ‘professional assistance in suicide ’, as well as the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s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and subsequent debate, in order to provide a normative perspective on the issue of assisted suicide. The legitimacy of this regulation was debated even before the legislation, which was enacted in 2015, but was declared unconstitutional and invalid by the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in 2020, about five years later.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s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first clarified that death is a matter of human existence and tha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death is a fundamental right guaranteed by Article 1 (1) and Article 2 (1) of the German Basic Law, and that this right includes the right to commit suicide with the assistance of a third party. While the legislative objectives of the Act, namely to secure the autonomy of self-determination over death and to protect life, are legitimate, the Court considers that the Act is not an appropriate means of achieving them, as it would mean that a person who wished to carry out a suicide with the assistance of an assisted suicide professional would not be able to do so at all. Furthermore, the decision made it clear that the legitimacy of the criminal law's intervention in assisted suicide must be based on the autonomy of the individual and not on socio-ethical conventions, and the legislative proposals that followed the decision set out various conditions for securing the autonomy of self-determination. In light of these German discussions, it is hoped that a more mature discussion can be achieved in Korea's discussions on end-of-life care and assisted suicide i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death is dealt with in more depth and the discussion on the various condition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that can realize the autonomy of self-determination based on this is more specific.
김나경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migrant workers in Jeollanam-do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ir life satisfaction.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liv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 and l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 of 271 E-9 visa holders and equivalent migrant workers. The life satisfaction of migrant workers was above average and generally positive. Living satisfaction, working satisfaction, enterprise size, nationality, and visa affected the life satisfaction of migrant workers.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services for the convenience of migrant workers,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small size of enterprises, and provide living support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migrant workers by nationality and visas.
안병무가 꿈꾼 산실(産室), 품 공동체 ― 여성민중신학을 중심으로
김나경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2 신학사상 Vol.- No.199
이 논문은 안병무의 여성민중신학에 대한 연구이다. 그의 민중신학은 대부분 성서적-사회학적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안병무의 신학 사상은 삶의 여정과 함께 점진적으로 발전하면서 그 깊이와 넓이가 확대되었다. 안병무는 초기에 매우 가부장적 사고를 가지고 있었지만 급진적으로 여성민중신학적 사고로 전환하고, 말기에는 여성, 생태와 생명에 관심을 가지며 ‘품의 신학’으로서의 여성민중신학에 집중했다. 그것은어린 시절에 성 프란체스코의 영향, 루이제 린저와의 만남과 교류, 서구적 사고에서 동양적 사고로의 전환, 마가복음보다 요한복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무엇보다 어머니 정원숙의 영향 때문이었다. 그리고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이러한 안병무의 여성민중신학의 저변에는 켈트-게르만 신앙과 영성이 도도히 흐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이 글은 안병무 신학 사상의 변화에 주목하면서 기존의 안병무의 민중신학에 대한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여성민중신학의 성격을 밝히고, 그 신학적 특징과 성격을 켈트-게르만 신앙과의 연관성 속에서 분석한 것이다.
김나경 한국의료법학회 2007 한국의료법학회지 Vol.15 No.1
The Korean Medical Law regulating the system of medicine is now being on the process of the amendment. One of the most delicate theme in this discussion is about the new section which demonstrates the necessity of the informed consent of the doctors. The informed consent is to understand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variation of paradigm in the medical law: the focus of the medical law has been moved from the professional priority of the doctors to the autonomy of the patients. But the emphasis of the patient autonomy does not always bring benefit to the patients because the medical activity is something interactive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For attaining the ideal in the medical law, the informed consent has to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The abstract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the informed cons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general criterion are possible, but in the judgement of the scope of the doctoral duty the speciality of each situation is always to be considered. The new section of the informed consent is in itself not unacceptable, but because of the abstract formation it cannot be diverted onto the punishing section. Additionally, inserting this new section, the whole
포토보이스 활동을 통한 고려인 아동의 일상생활 경험과 의미: 가정・학교・지역사회 생활을 중심으로
김나경,김경학,강영신,김수정,선봉규,정종민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9
This study, carried out through photovoice activities, explores the everyday experiences of Koryeoin children in their homes, schools, and communities. By investigating the contexts of places, relationships, and activities, the research aims to pinpoint implications for the healthy growth and social adaptation of Koryeoin children in Gwangju. Six Koryeoin children residing in the Koryeoin-town area of Gwangsan-gu, Gwangju Metropolitan Cit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Speaking through Photos> initiative. They captured and shared images portraying their preferred places, people, activities, and objects. The analysis revealed three key themes for each context. In the context of home life, the identified themes include ‘special family moments,’ ‘my own place and activity,’ and ‘goal-oriented challenges.’ In the context of school life, the themes comprise ‘creating remarkable school experiences,’ ‘interaction with teachers and peer,’ and ‘a day I feel excited about going to school.’ Finally, the themes associated with community life encompass ‘a joyous neighborhood,’ ‘heartwarming gatherings with smiles,’ and ‘new and exciting experience.’ Based on these findings, recommendations for the healthy growth and stable adaptation of Koryeoin children include fostering a sense of place across homes, schools, and communities for identity discovery and overall well-being. Promoting diverse communication methods and mutual interests is suggested to expand and strengthen social relationships.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systematic, ongoing attention, and support to acquire and utilize educational resources for Koryeoin children.
의료행위의 규범적 통제 방식에 대한 소고(小考) - 독일의 의료보험체계에 비추어 본 임의비급여 통제의 정당성 -
김나경 대한변호사협회 200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92
Im Vergleich mit dem koreanischen Krankenvericherungssystem, kann das deutsche System dadurch bezeichnet werden, dass nicht alle Deutscher auf die gesetzliche Krankvesicherung verpflichtet sind und dass es mehrere gesetzliche Krankenversicherungsfirmen existieren. In Korea wird insbesondere die Art und Weise der gesundheitlichen Versorgung vom Gesundheitsministeriums kontrolliert. Im Gegensatz dazu ist der private Vertrag zwischen Arzt und Patient erlaubt oder gegebenenfalls sogar geboten in Deutschland. Dies zeigt sich deutlich vor allem in § 3 und § 18 VIII BMV-A. Fur die Erlaubnis des privaten Bereichs in Medizin soll die Regelung fur den privaten Vertrag vorausgesetzt werden und deutsche Regelung konnte ein gutes Beispiel sein fur die Veranderung der Regelung in Korea. In Deutschland spielt erstens die Musterberufsordnung fur die deutschen Arztinnen und Arzten die Rolle des allgemeinen Kriteriums der Regelung: § 3 I und § 11 I MBO sind allgemeine Bestimmungen, nach der die Notwendigkeit und Geeignetheit der Krankenbehandlung geboten sind. Des Weteren spielt die Gebuhrenordnung fur Arzte eine wichtige Rolle. Diese Ordnung beinhaltet die Art und Weise der Bewertung der individuellen Gesundheitsleistungen. 의료행위의 목표는 ‘치료’이다. 그리고 치료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는 의사와 환자 간의 상호협력과 신뢰에 기초한 최선의 진료가 필요하다. 사회체계의 분화에 따라 의료영역이 기능화된 현실 속에서, 최선의 진료는 계약의 자유 그리고 이를 기초로 하는 반대급부가 전제되는 경우 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처럼 보건복지가족부가 의료행위의 방식을 관료적으로 통제하면서 임의비급여 진료행위를 하고 이에 기초해 환자에게 그 대가를 직접 지급하는 행위를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경우에는 의료행위가 최선 진료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기 쉬우며, 이러한 규제는 다원성이라는 의료의 본질에 어긋나는 것일 수 있다. 임의비급여와 관련한 법원의 판결이나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기초가 된 사안들을 보면, 특히 국민의 수진권과 의사의 진료권 혹은 전문가적 재량성에 많은 제한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독일의 의료보험체계는 무엇보다 사적 계약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의료보험체계와 차별화된다. 독일에서는 공보험인 법정 의료보험 가입자의 경우에도 사적 계약을 통해 의료행위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일원화된 1종의 공보험(국민건강보험)만이 존재하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법정 의료보험에도 다양한 공보험 사업자들 간의 경쟁 원리가 도입되어 있고 민간의료보험 역시 발달되어 있다. 법정 의료보험의 보험급여행위에 대해서는, 한편으로는 연방조합의사 연합과 보험조합들의 중앙연합이 마련하는 ‘가치평가위원회’의 ‘통일적 가치평가기준’이 가치평가를 위해 의료행위들을 열거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 의사들과 보험조합 대표자들 그리고 그 외의 중립적 인사들에 의해 구성되는 연방공동위원회(GBA)가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정함으로써 환자들의 보험급여청구권의 범위가 통제되고 있다고 할 수 있고, 사회법 제5편에서는 의료행위의 일반적.보편적 기준을 제공하고 있다. 사적 계약에 따른 의료행위에 대해서는 의사의 직업윤리에 기초한 의사 직무규정의 규율이 일반적 지침이 되고 있으며, 무엇보다 ‘의료비용규정’이 사적 계약에서 의료비용 산정의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과잉진료 등 사적 계약의 허용에 따른 부작용을 통제한다. 이러한 독일의 규정들을 보면, 무엇보다 법률에서 각종 명령들에 이르는 다양한 층위의 세부적 규율들이 마련되어 있고 이들이 서로 긴밀한 유기적 연관 속에서 독일의 의료보험체계 그리고 의료사회의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그러한 규정과 지침들은 단지 행정관료에 의해서가 아니라 의료기관의 참여를 통해 제정되며 의료사회의 주체들이 직접 참여하는 위원회들의 구성과 활동에 관해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 있다는 점은, 의료행위를 둘러싼 다양한 법정책들을 해결하는 의료사회의 역량이 성장해나가는 발판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들은 우리나라의 의료보험정책과 관련하여, 사적 의료계약의 허용을 위해서는 적어도 이와 같은 사전 통제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임의비급여 행위와 이에 대한 대가의 교환 역시 이러한 정책적 고려의 현실화를 전제할 때에 점진적으로 허용가능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해주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