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장세진,고상백,강동묵,김성아,강명근,이철갑,정진주,조정진,손미아,채창호,김정원,김정일,김형수,노상철,박재범,우종민,김수영,김정연,하미나,박정선,이경용,김형렬,공정옥,김인아,김정수,박준호,현숙정,손동국 大韓産業醫學會 2005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7 No.4

        Background and Purpose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numerous studies performed in Korea have reported that job stress is a determinant risk factor for chronic diseases and work disability. Every society has its own culture and occupational climate particular to their organizations, and hence experiences different occupational stress. An occupational stress measurement tool therefore needs to be developed to estimate it obj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standardize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which is considered to be unique and specific occupational stressors in Korean employees. Subjects and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Study for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Occupational Stress (NSDSOS Project: 2002-2004). A total of 12,631 employees from a nationwide sample proportional to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the Korean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were administered. The KOSS was developed for 2 years (2002-2004). In the first year, we collected 255 items from the most popular job stress measurement tools such as JCQ, ERI, NIOSH and OSI, and 44 items derived from the a qualitative study (depth interview). Forty-three items of KOSS, in the second year, were retained for use in the final version of the KOSS by using Delphi and factor analysis. Items were scored using conventional 1-2-3-4 Likert scores for the response categories. Results: We developed eight subscales by using factor analysis and validation process: physical environment (3 items), job demand (8 items), insufficient job control (5 items), interpersonal conflict (4 items), job insecurity (6 items), organizational system (7 items), lack of reward (6 items), and occupational climate (4 items). Together they explained 50.0% of total variance. Internal consistency alpha scores were ranged from 0.51 to 0.82. Twenty-four items of the short form of the KOSS (KOSS-SF) were also developed to estimate job stress in the work setting. Because the levels of the subscales of occupational stress were gender dependent, gender-specific standard norms for both the 43-item full version and the 24-item short form using a quartile for the subscales of KOSS were present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OSS might be an appropriate measurement scale to estimate occupational stress of Korean employees. Further and more detailed study needs to be conducted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is scale.

      • KCI등재

        Impact of the Peace Regime Building on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Seong-Ryoul Cho(조성렬)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0 국제관계연구 Vol.15 No.1

        이 논문은 한반도 평화체제 개념의 기원과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현실적인 실현방안으로서 2단계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있다. 더 나아가 평화체제의 구축이 유엔사령부와 주한미군의 위상에 미치는 영향도 검토하였다. 한국전쟁이 끝난 지 50여 년이 됐지만 한반도는 법적으로 아직까지 전쟁상태에 있다. 하지만 1953년에 체결된 정전협정은 상당히 훼손된 상태에 있어 평화체제의 구축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불가결한 과제이다.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은 전쟁상태의 종식과 한 · 미-북한 간의 신뢰 · 안보 구축조치(CSBMs)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하지만 한반도 평화체제 프로세스가 가동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험난한 한반도 비핵화의 과정이 수반되지 않으면 안 된다. 남북관계와 주변국정세 등 복잡하게 얽힌 한반도의 현실을 감안할 때 한반도 평화체제의 구축은 단번에 이루기 어려우며 프로세스로서 정상회담 개최를 통한 정치적 신뢰구축(1단계)과 한국전쟁의 실질당사자인 남 · 북 · 미 · 중 4자간의 평화협정 체결(2단계)의 두 단계로 나누어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반도 평화체제의 구축은 유엔사령부, 주한미군 등 한미동맹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유엔사령부는 북한의 남침을 격퇴하도록 유엔의 위임을 받아 구성된 부대이기 때문에 평화체제가 구축된 이후 지위가 불확실한 반면, 주한미군은 한미상호방위조약이라는 별개의 법적 근거에 따라 주둔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국전쟁의 법적 종식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origin and evolution of the concept of the Korean Peninsula Peace Regime (KPPR) and suggests ways to realize it. This further examines KPPR's implications for the United Nations Command and the US forces in Korea (USFK). The establishment of KPPR on the Korean peninsula is closely linked to the ending of the state of war and implementing confidence and security building measures (CSBMs) between North Korea and its foes. Also, the key to moving forward in the KPPR process is the denuclearization of Korea, a persistent and tough problem to crack. For a KPPR process, it proposed a two-step approach, that is, political CBMs through summit meetings and a peace treaty involving the U.S., China, and the two Koreas (the actual parties to the Korean War). This examines the UNC and the USFK in connection with KPPR. This postulates that even after a KPPR is instituted the status of the USFK will not change although the UNC's future will be uncertain. The reasoning is that the UNC was created as part of the UN mandate to repel North Korea's aggression during the Korea War but the USFK was a product of the U.S.-ROK mutual defense treaty which should not be affected by the termination of the legal state of war in Korea.

      • KCI등재

        The ROK-US Alliance and the Future of US Forces in South Korea

        ( Seong Ryoul Cho ) 한국국방연구원 2003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15 No.2

        During the Cold War, it was "convergent interest" that supported the ROK-US alliance. However, in the new circumstances, in which the former USSR collapsed, and with it the major external enemy to challenge US supremacy, the ROK-US alliance formed in the Cold War had to be redefined in accordance with the strategic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After the Cold War, there were largely three directions as to how the alliance should proceed. However, the only realistic format is the "redefinition" scenario, based on maintenance of the ROK-US alliance. There can be three aspects to the scenario redefinition. The first is "strengthening the alliance," the second is "flexibility of the alliance," and the third is "political alliance without US forces." The first scenario is more of "reassurance of the alliance" than of "redefinition of the alliance," in the sense that its purpose is to maintain the Cold War alliance in the post-Cold War era. The second and third scenarios can herald "transformation of the ROK-US alliance," in that it seeks to transform the nature of the existing alliance. Considering the new military strategy being pursued by the United States, it is believed to be not easy to present a clear direction for revising the ROK-US alliance. Whereas the United States is strengthening its alliances worldwide, the new Korean administration is maintaining a policy of moving toward a pliable alliance. So, at some point in time a clash between two opposing streams of thought on this issue is inevitable. But, if advantage is taken of the fact that the new US military strategy is developed into reduction of armed forces in the frontline, it will be possible with better efforts to develop the alliance relationship in a pliable way without damaging the traditional friendly relationship.

      • KCI등재후보

        북한불교의 특징과 성격

        조성렬 ( Seong Ryoul Cho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0 북한학연구 Vol.6 No.2

        북한의 불교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영향을 준 요소들은 첫째, 일제불교의 잔재이다. 둘째, 사회주의 체제의 영향을 강력하게 받았다.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 탄압을 받았고, 개혁·개방 속에서 일정정도의 종교적 자유를 보장받는 과정에서 다시 부활하였다. 셋째, 남북불교 교류의 영향을 받았다. 형식적으로 남북화해의 분위기 속에서 교류협력의 주체를 확립해 가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북한불교는 해방 이후 농지개혁의 과정에서 사찰부지와 농지를 정권에 수탈당했고, 종교 자체의 탄압으로 인해 거의 명맥을 잊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북한 당국의 사회주의적 종교개조작업의 일환으로 국가체제에 강력한 영향을 받았다. 남북한 불교 교류는 북한불교가 일본 불교의 잔재를 남한의 불교와 어떻게 협의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To establish of North Korean Buddhism, the three main factors significant effect on the their identity, Firstly, the vestiges of Japanese Buddhism had a big impact on it, Secondly, North Korea`s socialist system enforced its characteristics during the history, It was fluctuated by government`s religion policy, Thirdly,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proces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fluenced the change of North Korea`s Buddhism, The temple of North Korean was plundered of its assets such as lands and buildings, North Korea government prohibited any kind of religions even Buddhism officially, Moreover, their ideology compelled ``Juche`` and its policy enforced artificial transformation about religions and people`s life style, To overcome the differe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Buddhism,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policy firstly, the vestige of Japanese Buddhism will payoff, secondly, North Korean`s buddhist union will play of their originated function about religion policy, Third, we should know that it will evolve.

      • KCI등재

        북한의 사이버전 능력과 대남 사이버위협 평가: 한국의 사이버안보를 위한 정책적 함의

        조성렬 ( Seong Ryoul Cho ) 북한연구학회 2013 北韓硏究學會報 Vol.17 No.2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컴퓨터의 보급 확대는 사이버공간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만들어 내었다. 사이버공간이 가진 낮은 진입장벽과 익명성, 취약성의 비대칭적인 특징 때문에, 북한은 국제정치의 전통적인 영역에서보다 사이버공간에서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를 행사할 수 있는 능력을 쉽게 가질 수 있게 되었고, 저비용으로 중요한 작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근년 들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북한의 대남 사이버공격은 단순한 해킹과 같은 제1세대 사이버전에서 점차 재래식 군사력과 결합하는 제2, 3세대 사이버전의 형태로 진화해 오고 있다. 하지만 북한의 사이버전 능력에 대한 과대평가는 금물이다. 북한이 사이버전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고 있는 것은 틀림없지만, 그 능력은 장점과 함께 단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의 사이버안보 전략은 북한이 가진 장점인 사이버공격에 대해 소극적 방호를 넘어 적극적 방호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특히 북한의 대남 사이버공격이 주로 제3국에서 이루어지는 점을 감안하여 해당국과의 협력을 통해 공격의 근원지를 발본색원하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북한의 사이버공격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우리도 북한의 사이버능력을 무력화할 수 있는 사이버전 공격능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사이버전에 관한 국제적인 규범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의 일방적인 사이버안보 전략의 추진은 자칫 국제적인 논란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우리 정부의 대북 사이버전 대책은 국제사회의 긴밀한 논의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국제 논의에 발맞춰 이와 관련된 국내 법규범을 제정 내지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he wide-spread of computers have produced the cyberspace as a new domain. Due to the cyberspace`s asymmetric features of a low enter barrier and anonymity, vulnerability, North Korea has easily become one of the cybersuperpower wannabe, though its poverty, minimal Internet access, and paucity of malicious software. The North`s recent cyberattack-and-espionage campaign targeting South Korean banks, news media, telecoms, and military think tanks has revealed North Korean cyber warfare capabilities to be far more potent than previously believed. However, it should be abstained from an over-assessment of the North`s cyber warfare capabilities, which have strength and weakness. Therefore, South Korea`s cyber security strategy should focus on building not only a passive cyber defense but also an active cyber defense. And we must eradicate the root of the North`s cyber attacks in China with getting China government`s cooperations especially. Futhermore, we need to get cyber attack capabilities to incapacitate the North`s cyberwarfare capabilities. While international norms or laws were not yet established, South Korea`s one-sided cyber security strategies may cause international disputes like NATO`s Tallinn Manual on the International Law applicable to Cyberwarfare. Considering that points, We need to make or amend for cyberrelated laws to keep pace with debates around international norms.

      • KCI등재

        동북아 안보레짐의 구축 전망: 냉전기 유럽과 현시기 동북아의 안보레짐의 조건 비교

        조성렬(Cho, Seong-Ryoul)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9 동서연구 Vol.21 No.1

        회담을 계기로 동북아 안보레짐을 형성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유럽과 동북아 두 지역이 안보레짐의 구축조건이 크게 다름에도 불구하고, 세력균형, 이익균형, 국제규범의 세 가지 지표를 비교할 때적지 않은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유사점으로 인해 유럽의 경험은 동북아 평화ㆍ안보체제 논의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동북아 평화ㆍ안보체제 논의에서 참가국들의 행동을 규율하는 지도원칙을 먼저 만든 뒤, 이를 토대로 다자안보대화를 이끌어가려는 아이디어는 유럽의 경험에서 나온 것이다. 하지만 동북아 안보레짐이 성공적으로 구축되기 위해 서는 안보포럼과 6자회담의 분리, 기존 동맹관계의 협의 배제, 한반도비핵화의 명기 등 산적한 과제들이 해결되어야만 한다. Security dialogue at government level in Northeast Asia has started in earnest with 6 party-talks as a momentum. Nevertheless of differences in formative conditions in Europe and Northeast Asia, there are not little similarities in comparison to three characteristics such as balance of power, balance of interest and international norms. Because of these similarities, European experiences are exerting influence on discussions of NEAPSM. The ideas that conduct participants into agreement of guiding principles firstly and then lead the mechanism in the dialogue of NEAPSM comes from the European experiences. However, a lot of difficult issues such like separating security forum with 6 party-talks, ruling out discussion about existing alliances and mentioning the denuclearization of Korea peninsula expressly should be solved for successful formation of NEAPSM.

      • 북한의 단거리발사체와 국가안보

        조성렬 ( Cho Seong-ryoul ) 한국외교협회 2020 외교 Vol.134 No.0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의 결렬 이후 북한군은 잇달아 단거리발사체를 쏘아댔다. 북한의 단거리발사체 시험발사는 중거리ㆍ대륙간 탄도미사일 시험을 중지키로 한 북ㆍ미 정상합의와 휴전선 일대에서 적대행위를 금지한 9.19남북군사 합의서를 위반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군사적 긴장완화를 목표로 한 9.19군사 합의서 정신에는 반하며, 일부 단거리탄도미사일의 경우는 유엔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다. 북한의 신형 단거리발사체 4종은 노후화된 전술무기를 신형으로 교체하면서 사거리를 연장하고 명중률을 높인 것이다. 이를 통해 북한은 남한 내 주요 군사기지 타격, 연합군의 상륙 저지, 보급 차단 등 ‘영토 밖에서’ 저지할 수 있는 반접근ㆍ지역거부 능력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단거리발사체의 실전배치를 통해 전략군의 중거리ㆍ대륙간 탄도미사일과 결합해 재래식-핵 배합 군사전략을 완성하고자 하고 있다. 북한군은 북ㆍ미 비핵화 협상의 전망이 불확실하고 한반도 비핵화가 이루어 지더라도 국방을 위한 적정군사력 보유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북한군의 단거리발사체는 우리를 직접 겨냥하고 있어 국가안보의 위협으로 간주할 수밖에 없다. 우리 군은 한미연합체제를 바탕으로 군사적 대비태세를 갖추는 한편, 남북 군비통제를 통해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관리해 나가야 한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군비통제는 플랜B일 뿐이고 군사적 억제가 플랜A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After the no-deal at the U.S.-DPRK summit in Hanoi, the North Korean armed forces have launched short-range projectiles one after another. The North's test-firing of a short-range projectiles did not violate the U.S.-DPRK summit agreement to stop testing ballistic missiles between medium-range and continents and the Sept. 19 inter-Korean Military Agreement banning hostile acts along the border. However, it is against the spirit of the Sep. 19 Military Agreement aimed at easing military tensions, and a short-range ballistic missiles clearly violated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North Korea's four new short-range projectiles have extended their range and increased their accuracy rate by replacing aging tactical weapons with new ones. By doing so, the North is building the anti-access area denial(A2AD) capability to “stand back outside the territory” such as striking major military bases in the South, blocking the landing of allied forces and blocking the supply. It also aims to complete a conventional-nuclear combined military strategy by combining short-range projectiles with intermediate-range &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The North Korean military recognizes that the prospects of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are uncertain an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optimum military forces’ for national defense even if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akes place. Howeve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no choice but to regard the short-range projectiles of the North Korean military as a threat to national security as they are targeting South Korea directly. The South Korean military should maintain military readiness based on the South Korea-U.S. joint system, while managing military threats from North Korea through inter-Korean arms control. However,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arms control is only Plan B and military deterrence is Plan A.

      •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우리의 대응전략

        조성렬 ( Cho Seong Ryoul ) 한국군사학회 2020 군사논단 Vol.100 No.1

        북한 핵문제가 발생한 지도 20년이 훌쩍 넘었지만 여전히 미해결된 채 표류하고 있다. 북한은 한반도 비핵화 의사를 밝히는 한편, 지속적으로 핵무력 증강에 나서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이러한 북한의 비핵화 태도는 김정은 위원장의 진정성 문제일 수도 있지만, 비핵화를 하지 않고서는 체제유지가 어렵다는 생존을 둘러싼 고민일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은 비핵화 협상의 중단을 선언하지도 않고 북·미 정상이 약속한 한계선을 넘지도 않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북한의 처지가 핵·미사일의 위협까지 해소되었다는 의미는 결코 아니다. 만약 북한이 약속한 한계선을 넘어 전략도발을 감행하고 북·미 비핵화 협상의 중단을 선언할 경우 한반도 안보정세는 또다시 전쟁위기로 내몰릴 수 있다. 2020년 11월 미 대선이 끝나더라도 선거결과에 따라 북·미 비핵화 협상은 요동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북한의 핵무기가 협상용인지 보유용인지 논쟁하기보다, 지금부터라도 한편으로 플랜-A로서 비핵화 협상의 재개를 위해 노력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플랜-B, 플랜-C를 준비해 두지 않으면 안 된다. 이 글에서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잠재한 가운데, 북한군의 핵독트린과 조건부 핵선제불사용 정책에 관해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핵지휘통제체계와 표적설정정책을 분석하였다. 또한 북한의 핵전략을 확증보복 전략으로 규정하고 핵무력의 증강에 따라 비대칭확전 전략으로의 전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제4군종으로서의 전략군에 관한 분석과 함께 전쟁공간의 확대에 따른 새로운 군사전략인 재래식-핵 배합 전략을 분석하고, 핵무기의 사용위협을 앞세운 비대칭 도발 가능성들도 검토해 보았다. 마지막에서는 우리의 대응방안으로 손자병법의 접근법에 따라 중층적인 대응방안으로 포괄적 정치전략, 외교전략, 군사전략인 삼벌(三伐)전략을 제시하였다. It has been well over 20 years sinc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ook place, but it is still drifting unresolved. North Korea has expressed its intention to denuclearize the Korean Peninsula, while continuing to increase its nuclear arsenal. The North's denuclearization attitude may be a matter of Chairman Kim Jongun's sincerity, but it may be a concern over its survival,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intain its regime without denuclearization. That is why the North has neither declared an end to the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nor crossed the redline promised by the leaders of the U.S. and North Korea. However, this situation does not mean that the nuclear and missile threats have been resolved. If the North carries out a strategic provocation beyond the promised redline and declares an end to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the security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could be thrown into a war crisis again. Even if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ends in November 2020, negotiations on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and the U.S. are likely to fluctuate depending on the outcome of the election. Therefore, rather than debating whether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re for negotiation or possession, it must prepare Plan-B and Plan-C on the other hand while striving for the resumption of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as a plan-A. In the midst of the potential nuclear and missile threats from North Korea, the article provided theoretical insight into the North Korean military's policy of Nuclear doctrine and Conditional Nuclear no-first-use policy, and analyzed the Nuclear command & control system and Nuclear targeting policy. It also defined the North's nuclear strategy as a "Assured Retaliation" strategy and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transitioning to an “Asymmetric Escalation” strategy depending on the buildup of its nuclear arsenal. In addition to analyzing the Strategic Forces as a 4th military species, the new military strategy following the expansion of the war space, the conventional-nuclear combination strategy, and the possibility of asymmetric provocations with the threat of the use of nuclear weapons are also reviewed. In the last part, I presents a comprehensive political strategy, diplomatic strategy, and military strategy, as a three-pronged countermeasure in accordance with the approach of Sun-tsu’s the Art of War, a Chinese classic.

      • KCI등재

        북핵문제 외교적 해법의 실패원인과 시사점

        조성렬(Seong-Ryoul Cho)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4 국제관계연구 Vol.19 No.2

        북한 핵문제의 해결을 위한 접근법에는 비외교적 방식과 외교적 방식이 있다. 선제공격에 의한 핵시설 파괴나 정권교체에 의한 정치적 해결과 같은 비외교적 방식도 고려할 수 있지만 자칫 전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적극적으로 추진되지는 않았다. 그 대신에 경제적 보상의 제공이나 안보 우려의 해소를 통해 북한의 핵 포기와 교환하는 외교적 해법이 추진되었다. 그런데 6자회담을 통한 외교적 노력이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막지 못했다는 점에서 실패로 규정할 수 있다. 실패원인은 북한의 핵심적인 안보자산인 핵프로그램을 경제적 보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본 경제-안보 교환론의 한계에 있다. 그런 점에서 북한 핵문제의 진전을 위해서는 안보-안보 교환 접근법이 필요하다. 북한의 합리적 안보 우려를 해소해주기 위한 안보-안보 교환에는 경성균형과 연성균형의 방식이 있다. 6자회담의 최대 성과라고 할 수 있는 ?9.19공동성명?은 안보-안보 교환을 통해 연성균형의 실현을 약속한 것이다. 하지만 김정은 정권이 들어서면서 북한은 연성균형 대신에 독자적인 핵무기 보유를 통한 경성균형을 추구하고 있다. 북한이 핵무기보유국을 선언하고 있기 때문에, 북한의 비핵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6자회담은 재개조차 못하고 있는 것이다. 북한이 병진노선을 견지하면서 경성균형을 추구하는 한, 설사 6자회담이 재개된다 하더라도 소기의 목적을 이루기는 어렵다. 북한이 핵무기 보유국이라고 주장하는 상황에서, 병진노선을 포기시키고 북핵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합리적인 안보 우려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안보-안보교환에 따른 대담한 연성균형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are two approaches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ke issue; non-diplomatic and diplomatic one. Probabilities of success over the destruction of nuke facilities by preemptive strikes, and the political approach to solve North Korea’s nuke issue by regime change may be possible, but it can cause warfare situat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Judging from the course of six-party talks, the strong solution is the diplomatic approach such as trade-off North Korea’s nuke weapons program for economic incentives or guarantee of the North’s security. There are a soft balancing and a hard balancing by the security-security tradeoff for guarantee of the North’s security reducing its reasonable security concerns. At the beginning of the dialogue, the North didn’t make a demand “hard balancing” by nuke deterrence but “soft balancing” such as normalization of the U.S.-North Korea’s relationship and building the Korean peace regime at the cost of its abandonment of all nuke programs in North Korea. However, the North is pursuing “hard balancing” instead of “soft balancing” and declared nuclear-armed state overtly after the advents of Kim Jong-Un’s regime. Because of this the North’s changed attitude, it couldn’t even be able to resume the Six-party talks. As far as the North adheres to the strategic line on carrying out economic construction and building nuclear armed forces simultaneously, the Six-party talks cannot be achieved its aim though it will be resumed. Therefore, a new bold suggestion of ‘soft balancing’ based on security-security trade-off approach should be prepared for making abandonment of the North’s strategic line and its nuke programs diploma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