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캐나다 외교정책과 인도적 안보 : New Era, New Opportunity
액스월드, 로이드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캐나다 연구센터 1998 캐나다 연구 Vol.9 No.-
인도적 안보'와 관련하여 한국과 캐나다간 협력의 여지가 가장 큰 분야를 열거한다면 그것은 아마도 인권분야일 것입니다. 이미 연설 모두에 김대중 대통령 및 그분께서 국내외적으로 인권개선을 위해 취한 주요 조치들에 대한 본인의 존경심에 관하여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인권이 그 자체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경제발전을 지속할 수 있는 필수조건이라는데 대해 김대통령과 인식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경제·사회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민주주의와 권리, 정의에 굳건히 뿌리박힌 정책과 제도가 필요합니다. 본인은 변화하는 세계속에서 '인도적 안보'와 인권을 보존하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제도와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전술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양국의 협력 기회가 증대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저는 김대통령께서 최근 인권법을 시행하고 인권헌장의 제정 계획을 발표하신데 대해 아낌없는 찬사를 보냅니다. 캐나다는 이러한 주요 조치들에 긴밀히 협조할 것입니다. 방한 직전 저는 로마에 체류하고 있었고 아시다시피 그 곳에서 국제형사재판소 설치에 관한 오랜 협상을 성공적으로 타결하였습니다. 국제형사재판소는 최후의 심판기구로서 기능할 것이며, 인종학살, 전쟁범죄, 그리고 반인류적 범죄 등 최악의 인권유린 행위를 자행한 범죄자들이 반드시 정의의 심판을 받도록 할 것입니다. 이에 대해 인식을 함께 하는 국가의 일원인 한국과 캐나다 양국은 국제형사재판소가 실질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오랫동안 긴밀히 협력해 왔습니다. 한국과 캐나다 양국은 우리가 핵심적인 국제기구의 신설에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다른 문제해결에도 도움이 될 창의적인 새로운 수단을 개발했다는 사실에 긍지를 가져야 합니다. 국제형사재판소의 설립과 대인지뢰 금지협약의 조인은 우리가 대담하게 새로운 방식의 외교정책을 채택한다면 인도적 안보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진전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제 국제사회는 최근의 아동들에 대한 성적 학대 혹은 소화기 및 불법마약 거래에 관한 국제회의에서 볼 수 있듯이 다른 시급한 인도적 안보문제에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는 전통적 의미의 '안보' 문제가 이제 사라졌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이러한 안보문제의 존재는 단지 비무장지대 이북이나 혹은 인도·파키스탄 핵실험 경쟁만 보아도 절실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핵실험 문제는 한국과 캐나다 양국에게 적지 않은 걱정과 우려를 자아내는 문제이며, 다음 주에 개최될 예정인 ASEAN 지역포럼에서도 분명히 다루어져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인도의 핵실험 활동으로 인해 지난 30여년간 핵무기 확산방지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은 물거품으로 돌아갔으며, 핵실험 활동은 국제·지역안보에도 큰 위험요소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와 같은 핵실험 활동이 아시아에서 신무기 경쟁의 출발점이라고 인정할 수 없습니다. 한국과 캐나다는 그동안 전통적 안보문제에 관하여 원만한 협력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본인은 그러한 관계가 지속되기를 기원합니다. 양국은 평화유지에 관해 동일한 목표와 해결책을 견지하고 있으며, 사실상 L. B 피어슨 평화유지센터 최초의 외국인은 바로 한국인이었습니다. 우리는 한국인이 유엔의 평화유지담당 사무총장보로 선임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1990년대 초 이래, 우리는 지역안보를 증진하기 위한 양국의 활동을 확대해 왔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지난 달 캐나다-KIDA(Korean Institute of Defence Analysis) 군축토론회가 개최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전통적 의미의 안보문제는 양국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이며, 이는 인권문제에 대한 관심사와 연계되어 있습니다. 캐나다는 한반도의 안보상황이 개선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하며, 또한 북한의 개탄스러운 인권상황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더욱이 북한 정부가 계속해서 인권 및 정치적 권리에 대한 국제협약을 공식적으로 거부함에 따라 더욱 깊은 우려를 갖지 않을 수 없습니다. 물론 다른 어려움들이 앞날에 놓여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본인은 우리가 그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합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배워온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교훈을 적용함으로써 난관을 헤쳐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 국제평화와 안전보장에 있어서 인도적 필요성 강조 - 국가와 시민사회가 공개적으로 대화할 수 있는 투명한 문제해결 방식 - 지역적 혹은 인식을 같이 하는 국가들 사이에 있어서 새로운 연합체의 중요성 - 필요한 경우 강력한 새로운 규범 및 제도를 설립할 용의 본인의 견해로는 이들은 변화하는 이 시대의 인도적 안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외교의 핵심적 요소입니다. 신외교는 한국과 캐나다간 국제협력을 종전보다 더욱 증진할 폭넓은 가능성을 제공해 줄 것으로 믿고 있습니다. 국제형사재판소의 설립은 양국이 서로 같이 혹은 인식을 같이 하는 다른 국가들과 동반자 관계를 통해 새로운 세기로 나아가며 이룩할 수 있는 많은 성과의 한 예에 불과할 것입니다.
북ㆍ미 미사일회담 : 협상과정, 쟁점 및 해결전망 Process, Agenda, and Prospects
윤태영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0 東西硏究 JOURNAL OF EAST AND WEST STUDIES Vol.12 No.2
1994년 10월 제네바 합의이후 전개된 북 · 미 협상은 핵, 미사일, 테러지원국 해제 등의 문제들을 다루어 왔다. 그 동안 난항을 거듭하던 북 ·미간의 주요현안은 2000년 10월 12일 북미공동성명 및 10월 23-25일 올브라이트 장관의 방북으로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핵 및 테러지원국 해제문제는 해결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현재 북 · 미관계에서 최대의 현안은 미사일 문제로 집약되고 있다. 미국은 제네바 핵 합의 이후 북한의 미사일 문제를 최대 현안으로 설정하여 1996년부터 북 · 미 미사일회담을 개최하였고, 2000년 10월 9-12일 조명록 차수의 방미 및 10월 23-25일 올브라이트 장관의 방북시 주요 현안이었다. 최근 11월 1-3일 쿠알라룸프르에서 열린 미사일 전문가회담에서 논의된 쟁점에 대한 북 ·미의 입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거리미사일 개발 ·시험 발사포기문제에 대해 북한은 인공위성 대리발사를 요구하였고, 미국은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하였다. 둘째, 노동 1호 및 스커드미사일을 포함하는 중 ·단거리 미사일 수출포기문제에 대해 북한은 매년 10억 달러씩 3년간 현금보상을 계속 요구하였고, 미국은 현금보상은 곤란하고 북한이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의 준수 또는 가입하고, 국제경제기구 등을 통한 차관도입이나 투자유치 등과 같은 간접지원방식으로 보상문제를 해결하려는 입장을 취하였다. 셋째, 배치된 노동 1호 등 중거리미사일 철수문제에 대해 북한은 자주권 문제이기에 협상대상이 아님을 고수하였고, 미국은 동북아를 위협하는 미사일 철수를 요구하였다. 향후 북 미사일 문제는 추후 격상된 참가대표로 진행되는 미사일 전문가회담을 통한 협상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북한은 식량, 물, 약품, 전력, 비료 등의 필수품의 부족으로 곤란을 겪고 있기에 대외개방정책의 동기는 강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상호주의에 입각해 '긍적적 유인과 보상'을 수단으로 한 미국의 대북 포용전략은 북 미사일 문제해결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그러나 미사일문제에 대한 양국의 이견이 좁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향후 미국의 대통령선거 결과에 따른 공화당 부시 또는 민주당 고어의 대통령 당선 여부 및 이들의 대북 정책기조와 이에 대한 북한의 전략적 평가가 북 미사일문제 해결의 시점을 결정지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기영,배성주,박세범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3 동서연구 Vol.25 No.2
Innovation becomes a pivotal tool to survive in today’s business world. Creativity is the fuel that leads to innovation. Our study analyzed previous studied factors such as intrinsic motivation, group support to facilitate creativity based on four problem solving stages : problem search, problem selection, solution search, solution selection. This, in turn, will help to distinguish our study from previous studies focused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other factors. Our study is based on survey results of students in department of management at Yonsei Univ. Also, we examined whether time pressure moderated the link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The empirical results found that intrinsic motivation facilitated creativity during four problems solving stages, and group supports affected positively during the stages of problem search and solution search. Lastly, we also found that time pressure negatively affected the interaction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during the stages of problem selection and solution selection. This implies time pressure increases performance to meet a deadline but deceases creativity. In conclusion, our results will contribute to find a way to motivate group members’creativity in organization. Also other managerial implantations are also provided. 혁신의 관점에서 기존의 생각을 뒤엎는데 창의성이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발현을 위한 동기부여, 그룹지지 등 기존 요인들이 문제탐색, 문제채택, 해결탐색, 해결채택의 문제해결 4 단계과정별 영향을 미치는지에대한 상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조직 내 개인단위의 업무가 아닌 그룹단위의 업무상에서 창의성의 발현하여 문제해결하기 위한 과정별 요인에 대해 제시하여, 조직내 창의성이 발휘되기 위한 조직 환경조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2011년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의 마케팅원론, 생산 및 운영관리, 제품 및 서비스 혁신수업의 학생을 대상으로 문제해결 4단계의 과정별 내적동기부여, 그룹지지와 창의성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내적동기부여가 창의성에 발현되게 하는데 시간압박에따른 조절효과를 제고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내적동기가 문제해결의 전 과정별 긍정적 영향을 미쳐, 창의성이 발현되었다. 그리고 그룹지지는 문제해결의 과정 중 문제탐색, 해결탐색의 과정에서만 긍정적 영향을 미쳐 창의성이 발현되게 하는 반면, 문제채택, 해결채택의 과정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간압박은 문제채택과 해결채택의 단계에서 내적동기와 상호작용을 통해 조절효과를 가지고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 내 창의성을 요구하는 업무와 관련된 신제품 개발 등을 위한 조직 내 환경 구성에 큰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비정부사회운동단체(NGO)의 역사와 사회적 역할 : 시민운동과 정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유팔무 延世大學校 東西問題硏究院 1998 東西硏究 JOURNAL OF EAST AND WEST STUDIES Vol.10 No.2
비정부 사회운동단체의 역사와 사회적 역할을 탐구하고 이해함에 있어서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은 사회운동이 어떤 조건 속에서 생겨나고 변화하는가 하는 점일 것이다. 사회운동이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사회구성원들이 의식적, 집단적, 지속적으로 활동하는 것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어떤 것들이 문제가 되느냐, 또 어떤 사람들이 그러한 문제의식을 강하게 가지느냐 그리고 그러한 집단적인 활동이 사회에 대해 어떤 영향을 미치느냐 하는 점들이 결국은 어떤 시기, 어떤 사회의 사회운동을 형성시키고 변화시키는 주요한 조건들이 된다. 한국사회가 오랜 세월동안 독재와 권위주의 정치체제 하에 놓여 있었던 점, 그리고 그러한 정치체제가 많은 이들에게 문제로 인식된 것은 '군부독재 타도'와 '민주화'를 목표로 한 사회운동을 야기시키고 오래 지속시킨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한국에 자본주의적 산업화가 진행되고 고도화되어 감에 따라 발생하게 된 노동문제와 환경문제 같은 것 역시 그에 상응하는 사회운동을 야기시킨 기본적인 조건이었다. 사회운동은 또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이기 때문에 사회에 일정한 변화를 일으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래서 사회운동을 통해 사회가 변화하고, 그와 함께 사회문제가 해소되거나 문제의식이 약화되면, 사회운동도 약화된다. 사회운동 아닌 다른 조건들에 의해 사회가 변화하거나 사회문제와 그에 상응하는 문제의식이 해소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신분제도가 없어진 사회에서는 신분제도를 철폐하려는 운동 또한 없어지게 된다. 사회운동은 또 집단적인 활동이고 변화를 추구하는 활동이기 때문에 그것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집단들이나 사회구성원들에게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키기 마련이다. 사회의 공공질서를 유지하고 변화시키는 공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정부 역시 그러한 사회운동들에 대해 일반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한다. 그리고 사회운동에 대해 통제 혹은 장려하는 방향에서 대응하며, 정부의 이러한 활동은 다시 사회운동의 성장이나 쇠퇴를 초래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새로운 사회문제를 연쇄반응적으로 야기시키기도 한다. 이와 같이 사회운동은 여러 가지 사회적인 조건과 상호작용의 과정 속에서 일어나며, 사회를 변화시키고, 변화된 사회에 의해 영향을 받고, 스스로도 변화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운동과 사회운동 단체들의 역사를 파악하고 그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의 환경이 되는 사회구조적인 조건의 변화를 주목해야 하며, 특히 정부의 성격과 그 변화, 사회운동과 사회운동 단체들에 대한 정부의 태도나 대응방식을 주목해야 한다. 정부와의 관계가 중요한 만큼, 특정한 사회운동과 운동단체들의 성격을 정부와의 관계 측면에서 규정하고 구분하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우선은 친정부적인 성격의 운동이나 단체와 비정부적인 성격의 것, 그리고 반정부적인 성격의 것 등의 구분이 기능하다. 첫 번째 유형의 친정부적인 사회운동과 단체는 정부와의 친화적인 관계 속에서 정부를 위해 활동하는 운동이나 단체로서 대개는 정부로부터 재정적, 법적으로 육성, 지원, 보호된다. 이러한 단체들 가운데에는 물론 새마을운동단체 등과 길이 정부가 주도해서 만들어낸 민간운동단체들도 있고, 그 반대인 경우도 있다. 두 번째 유형의 비정부적인 운동과 단체는 정부의 주도에 의한 것도, 정부를 위한 것도 아닌, 따라서 자생적으로 생겨나, 자율적으로 활동하는 사회운동단체들을 모두 포괄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정부에 대해 적대적인, 즉 반정부적인 입장에서 활동하는 단체들도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이들은 따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유형의 반정부적인 운동과 단체는 정부를 비판하고 반대하는 운동과 단체들로서 상당히 많은 경우, 정부로부터 정치적, 사법적으로 억압을 받고, 통제, 금지된다. 그 중에 일부는 불법으로 규정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반정부적인 운동과 단체의 범위는 정부의 성격과 태도에따라 변화한다. 한국사회에서 이러한 운동과 단체는 민주화운동 혹은 민족민주운동 혹은 민중운동이라 불리어 왔고, 전국연합이나 전교조, 민주노동, 한총련 같은 단체들의 예가 거기에 속하다. 반면 이러한 유형을 제외한 두 번째 유형의 운동과 단체는 대개 '시민운동'이라 불리어 왔다. 세 가지 유형들 가운데 첫 번째 유형은 대부분 법적, 재정적으로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을 받고 감독을 받는 단체들이고 자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준정부기구의 성격을 띠고 순수한 비정부 사회운동단체라고 보기 어렵고 나머지 두 가지 유형만이 순수한 의미의 비정부 사회운동단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가운데서도 특히 두 번째 유형의 운동과 운동단체들에 집중하고자 한다. 그것은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활기를 띠며 새롭게 주목받는 두 번째 유형의 운동(이하 시민운동)과 단체에 초점을 두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한국에서 사회운동과 운동단체의 역사와 사회적 역할을 논함에 있어서 세 번째 유형의 것을 제쳐놓고 논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고 또 효과적이지 못하다. 이 운동들은 현실적으로도, 역사적으로도 깊은 상호연관성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우리 나라에서 사회운동의 역사는 매우 길지만, 시민운동과 단체들의 역사가 본격화되는 것은 1987년 6월항쟁을 겪은 직후부터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고는 시민운동 단체의 역사와 사회적 역할을 고찰함에 있어서 87년부터 오늘날에까지 이르는 대략 10년의 기간을 다루려고 한다. 논의의 주요내용과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87년과 그후의 정치상황과 사회운동의 판도변화. 둘째, 시민운동 단체들의 조직적 특성과 그 변화 셋째, 시민운동 단체들의 활동목표와 방법 넷째, 정부와 비정부 사회운동단체들 사이의 관계 다섯째, 시민운동단체들의 사회적 위상과 역할에 대한 평가.
김의곤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1 東西硏究 JOURNAL OF EAST AND WEST STUDIES Vol.13 No.1
국제환경문제는 발생원인에 대한 체계적 연구와 논의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에 관련된 각 국가들의 책임 범위 및 비용분담에 대한 국가간 현격한 의견 불일치를 보이고 있다. 국제환경문제는 국가간 협력과 갈등의 소지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환경문제는 냉전이 종식된 후 국제 정치경제에서 보이는 국가간 협력과 갈등의 대표적인 사례가 되고 있으며, 21세기 세계평화와 국가안보를 마련하기 위한 시금석이 되고 있다. 따라서 21세기 국가들은 국제환경문제에 관련된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공동으로 해결하기 위한 국제기구를 수립하고, 이와 더불어 비용분담에 대한 논의와 협상을 충분히 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론적 측면에서 볼 때, 국제환경문제는 냉전종식 후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현실주의와 자유주의간의 "이론적 유용성"(Theoretical validity) 논쟁을 가시화 할 것으로 보인다. 환경문제에 대하여 현실주의자들은 기본적으로 가치의 획득(부정적가치의 획득)을 위한 무정부 상태로 규정 하고 있으며, 따라서 현실주의가 국제환경 문제를 설명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신자유주의자들은 환경은 집단재 혹은 공동재이며, 이것의 생산과 소비는 국가간 협력을 필요로 하는 사항이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제기구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결국 국제환경문제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는 현실주의와 신자유제도주의간의 이론적 갈등을 해소하고, 두 이론을 동시에 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의 모색을 시작하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시베리아 지역주의의 역사적 고찰 : 제정말기를 중심으로 Focussing on the Closing Period of Imperial Russia
김성진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1 유라시아연구 Vol.1 No.2
1990년대 이후 러시아의 지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의 문제는 단순히 민족문제 혹은 민주화 이후 나타나는 일반적인 이해분출 현상으로 보기에는 깊은 역사적인 연원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히 중앙-지방관계에만 그치지 않고 정치·경제 개혁 전반에 영향을 주는 문제이다. 러시아에서의 지역주의의 문제는 이미 제정말기에 이르러 표면화되었으며, 특히 시베리아 지역의 경우, 1860년대에 이미 우랄산맥 이동지역과의 경제격차, 유형제도 등 중앙의 대시베리아 정책에 대한 반발 등으로 지역주의가 형성되었다. 이 글에서는 제정 말기 시베리아 지역주의의 배경과 전개를 고찰함으로써 러시아에서의 개혁 이후 활성화되고 있는 지역주의가 가지는 지속성을 부각해 보고자 한다. 지역주의가 가지는 지속성은 중앙에 의한 일방적인 관계설정만으로 연방관계의 안정화를 이룰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이는 옐친 이후에 러시아에서 시도되고 있는 연방관계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부시의 대중정책 변화와 미-중관계 : 전략적 경쟁관계를 중심으로
한석희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1 東西硏究 JOURNAL OF EAST AND WEST STUDIES Vol.13 No.1
부시대통령의 취임 과 함께 미국은 현실적(realistic)이고 일발적(unilateral)인 외교노선을 중심으로 미-중관계를 전략적 경쟁관계로 규정하고 있으며, 부시의 전략적 경쟁관계는 클린턴 시대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와는 달리 현실세계에서 신냉전을 우려할 정도로 양국간의 갈등과 경쟁을 심화시키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미사일 방어계획(MD: Missile Defense Plan)과 ABM조약 폐기의 추진, 미국의 군사개혁과 군사전략의 수정, 미국의 대만에 대한 첨단무기 판매 문제, 대만총통 천수이볜과 티벳의 지도자 달라이 라마의 미국 방문 허용, 그리고 과거의 "전략적 모호성(strategic ambiguity)" 정책에서 벗어나 중국이 대만에 무력을 사용하는 경우, 미국도 무력으로 대응하겠다는 새로운 대만 정책 등 부시가 취임 초기에 추진하였던 정책들은 중국과의 갈등을 증폭시켜 갔으며, 2001년 4월 1일 미-중간의 항공기 충돌사건은 미-중관계가 상호 신뢰와 협력 보다는 상호불신과 불안에서 비롯된 불안정한 상태로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미-중관계는 새로운 세기의 국제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축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양국간의 협력과 조화는 세계-특히 동북아-안보질서 구축에 핵심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미-중관계에 대한 전망과 평가는 상당한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1989년 이후의 미-중관계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향후 미-중관계의 방향을 분석해 보았다. 냉전의 종식으로 미-중관계에는 양국간의 구조적인 갈등과 경쟁이 표출되었으며, 이러한 갈등과 경쟁은 1990년대에서 보여지듯이 경제 논리를 중심으로 한 협력의 요소에 의해 진정되어 왔다. 또한 돌발적인 사건에 의하여 급격하게 관계가 악화된 경우에도 협력의 논리와 타협에 의하여 관계가 회복되어 왔다. 따라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중-미간의 경쟁 · 갈등구도도 제한적 · 일시적 현상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일정 기간의 조정기를 거쳐 협력의 국면으로 회복 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논지는 최근 미국 정찰기 충돌사건의 해결과 함께 미-중간의 군사접촉을 제한적이나마 재개하고, 중국의 WTO가입문제에 대하여 미 · 중 양국이 의견일치에 도달한 점 등을 살펴 볼 때, 상당히 설득력을 가진다. 또한 중국의 올림픽 유치 결정도 양국간의 협력관계 형성에 상당히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의 對中정책의 목표가 중국을 정치, 경제, 외교적으로 성숙한 국가로 전환시키고, 국제사회에서 평화와 안정을 존중하는 책임감 있는 국가로 발전시키는데 있다는 측면을 고려해 볼 때, 미국의 부시행정부는 대중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현재와 같은 경쟁 · 갈등요소에 대한 강조 보다는 협력과 신뢰구축을 위한 거시적인 대중전략이 필요하며, 조속한 시일 내에 좀 더 균형있는 대중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회고적 투표와 전망적 투표의 한일 비교 연구: 17대·18대 대통령선거와 44회·45회 중의원선거를 중심으로
경제희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4 동서연구 Vol.26 No.1
This article empirically analyzes the retrospective voting and prospective voting of the Korean 17th and 18th Presidential Elections and the Japanese 44th and 45th General Elections, and compare the Korean and Japanese voting behavior. Especially the main point is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trospective·prospective voting and the change of government. The retrospective voting and prospective voting show in both countries’ elections. The retrospective voting of Korean voters appears in the 17th and 18th Presidential Elections which government changed and stayed. There is no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retro- spective voting and the change of government in Korea. The retrospective voting of Japan, however, appear only in 45th General Election which the government changed and the prospective voting is significant only in the 44th General Election. The Korean retrospective voting is not based on economic appraisal but governmental performance's evaluation. In Japan, however, the direct evaluation of economy makes difference the choice of voters. In conclusion, the Korean retrospective voting does not effect whether change the government and economic issue is not a creation to decide the retrospective voting. The Japanese retrospective voting is, however, the one of the main factor to lead the change of the government, and economic issue effect the retrospective voting directly. 본 연구는 한국의 17대·18대 대통령선거와 일본의 44회·45회 중의원선거를 대상으로 회고적 투표와 전망적 투표 성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특히 17대 대통령선거와 45회 중의원선거에서는 정권이 교체되었고 18대 대통령선거와 44회 중의원선거에서는 기존 정권이 유지되어 회고적·전망적 투표와 정권 교체 및 유지와의 관계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한국과 일본 선거에서 회고적 투표와 전망적 투표가 나타났지만 한국의 회고적 투표는 17대와 18대 모두에서 행해져 정권 교체와 특별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반해 일본의 회고적 투표는 정권 교체가 이루어진 45회 중의원선거에서만 유의하게 작용하였고 정권이 유지된 44회 중의원선거에서는 전망적 투표만 유의하였다. 또한 한국의 회고적 투표는 직접적인 경제 문제 중심이 아닌 전반적인 정부 평가에 기준하는 반면, 일본의 회고적 투표는 경제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회고적 투표는 정권교체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작용하지 않고 경제 문제가 회고적 투표의 직접적 기준이 되지 않으나 일본의 회고적 투표는 정권 교체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경제 문제가 회고적 투표에 직접적 원인으로 작용하는 차이점이 있다.
신흥민주국가의 민주적 거버넌스 확립: 정치부패와 선거폭력의 개선 방안 연구
정사랑,김영완,최아진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5 동서연구 Vol.27 No.3
Although newly democratized states have democratic institutions, most of them have experienced political instability and turbulence. This study examines how newly democratized states can be politically stabilized and democratically consolidated by focusing on the role of democratic governance. Using four cases, Bangladesh, Columbia, Ukraine, and Sierra Leone, this study shows that newly democratized states with democratic governance are less likely to experience political corruption and electoral violence whereas those states without democratic governance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political corruption and electoral violence. Furthermore, newly democratized states without democratic governance are more likely to lead the public to political indifference by concentrating power on the government and infringing the rule of law and the freedom of speech.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policy alternatives to cultivate democratic governance in these newly democratized states. 신흥민주국가는 제도적으로 선거민주주의를 이룩하더라도 민주주의의 질적 발전과 공고화를 달성하는 데 있어 다양한 정치·사회적 한계에 직면한다. 무엇보다 정치부패 및 선거폭력의 문제는 그 수준과 양상에 따라 국가별로 민주적 거버넌스 확립과 밀접히 연관되어 발생한다. 민주적 거버넌스의 부재에서 파생되는 여러 문제점들, 특히 행정부로의 과도한 권력집중으로 인한 후견관계의 형성, 법치의 훼손, 정당정치 제도화의 미비, 언론의 독립성 저해 등은 시민의 정치적 무관심을 낳고, 이는 정치부패 및 폭력의 기반을 존속시키는 역순환을 가져온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왜 상당 기간 동안 실시된 선거민주주의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신흥민주국가에서는 민주주의의 질적 심화에 한계가 존재하는지를 질문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신흥민주국가의 민주주의 성숙에 있어 민주적 거버넌스의 확립이 갖는 중요성을 정치부패 및 선거폭력의 문제와 연관시켜 고찰한다. 구체적으로 방글라데시, 콜롬비아, 우크라이나, 시에라리온 등 4개국의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신흥민주국의 민주적 거버넌스 현황을 검토하고, 정치문화, 정부운영, 정치참여 등의 영역에서 세부적인 개선 방안을 알아본다.
정윤수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0 東西硏究 JOURNAL OF EAST AND WEST STUDIES Vol.12 No.1
우리 나라는 1991년에 기초자치단체와 광역자치단체에 지방의회를 구성하고 1995년에는 자치단체장 선거를 실시하여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였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의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주민참여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본 논문은 현재 우리 나라 주민참여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주민들의 낮은 참여율, 주민참여의 대표성 확보의 어려움, 참여과정상의 비효율과 혼란, 그리고 공무원의 잘못된 인식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틀 정비, 주민조직을 통한 참여기회의 확대, 자생적 주민조직의 재정 문제 해결, 행정공개의 확대 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