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사회와 자본주의 세계의 공존 : 이론과 가능성

        김진환 ( Kim Jin Hwan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8 북한학연구 Vol.14 No.1

        현존 국가사회주의 체제 중 자본주의 세계와 공존하는 중국·쿠바·베트남사회는 안팎에 여러 가지 요소를 공통적으로 갖추고 있다. 대내적으로는 시장화가 진전되고, 시장화 진전에 따라 생산수단의 사유화, 경제적 의사결정의 자율화 등이 이루어져 있다. 대외적으로는 국가사회주의 체제 당국이 먼저 적극적으로 경제를 개방하고, 국가사회주의 체제와 관계를 맺은 자본주의 체제 당국은 국가사회주의 체제의 자본주의 체제로의 전환을 인위적으로 시도하지 않으면서 상호경제발전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북한사회에서도 1980년대 초반부터 위로부터의 시장화가 추진되면서 이러한 공존 요소가 갖춰지기 시작했다. 1990년대 경제난은 아래로부터의 시장화를 촉진했고, 2003년 종합시장 제도화 이후에는 시장화 진전이 불가역적 현상이 됐다. 이러한 시장화 진전에 따라 북한사회에서도 ‘사실상의 사유화’ 현상이 나타났고, 상인, 국영기업, 협동농장 등 경제주체의 자율적 의사결정도 증가하고 있다. 밖으로는 1991년 자유경제무역지대 설치를 시작으로 꾸준히 경제개방을 시도했고, 개성공업지구에서는 2004년부터 10년 이상 북한 당국·주민이 자본주의 기업과의 공존 경험을 축적했다. 북한 당국은 2013년부터 기존 경제특구 외에 ‘경제개발구’라는 새로운 개방지대를 설치하며 경제개방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북한사회는 자본주의 세계와의 공존을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공존을 위해 필수적인 체제안전을 보장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북한당국은 미국 당국과의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미국 당국으로부터 체제안전을 보장받기 위한 수단으로 핵무기 개발에 매진해왔다. 북한 당국은 마침내 2017년 11월 핵무력 완성을 대외적으로 선언했고, 2018년부터는 미국 당국과 핵무기와 안보를 맞바꾸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앞으로 북·미 당국이 핵무기와 안보를 맞바꾸는 거래에 성공한다면 북한사회는 자본주의 세계와 공존을 시작할 수 있다. 특히 북한사회가 미국·일본·남한사회 등과 본격적으로 접촉하고 협력할 경우, 시장화, 사유화, 자율화 같은 북한사회 안의 공존 요소들은 점점 더 안정적으로 자리 잡고 확대되어 나갈 것이다. Among the existing national socialist system, the Chinese, Cuban, and Vietnamese communities that coexist with the capitalist world have many elements in common both inside and outside. In the domestic market, the marketization has progressed, an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marketization, the privatization of the means of production and the autonomy of economic decision making have been taking place. On the external side, the authorities of the state socialist system first actively open the economy, and the capitalist regimes that have relations with the national socialist system cooperate for mutual economic development without artificially attempting to convert the national socialist system into the capitalist system have. In the North Korean society, since the beginning of the 1980s, marketization has been promoted, and these coexistence factors have begun to be equipped. The economic crisis in the 1990s promoted marketization from the bottom up. After the comprehensive market institutionalization in 2003, the progress of marketization became irreversible phenomenon. As a result of this marketization, North Korean society has become “de facto privatization” and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of economic entities such as merchants, state enterprises and cooperative farms is increasing. In 1991, the Free Economic and Trade Zone was established and the economic opening was continued. In the Kaesong Industrial Zone,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nd residents accumulated experience of coexistence with capitalist corporations for more than 10 years since 2004. Since 2013,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established a new open area called “Economic Development Zon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special economic zones, maintaining the economic opening trend. Nonetheless, North Korean society has yet to begin coexistence with the capitalist world. It is because it did not secure system security. North Korea has been committed to the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as a means to liquidate hostile relations with US authorities and to ensure system security from US authorities. North Korea finally declared the completion of its nuclear arsenal in November 2017, and in 2018 it began negotiations with the US authorities to change security and nuclear weapons. If the North and US authorities succeed in the trade of exchanging nuclear weapons and security in the future, North Korean society can start to coexist with the capitalist world. Particularly, if North Korean society contacts and cooperates with the US, Japan, and South Korean society in earnest, the coexistence factors in North Korean society such as marketization, privatization, and autonomy will gradually become more stable.

      • KCI등재후보

        이명박 정부 후반기 대북통일 정책의 과제와 전망

        서보혁 ( Bo Hyuk Suh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0 북한학연구 Vol.6 No.2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은 남한의 안보 불안을 바탕으로 한미동맹관계와 경제력을 이용한 일종의 체제전환 전략이라 할 수 있다. 북핵 문제에 있어서도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인권 및 인도적 지원 분야에 대한 정책적 비중을 높여, 이전 정부와는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명박 정부 후반기에는 대내외적인 정책 환경이 변화되었다. 북한 측 요인으로는 적극적인 대화 의사를 밝히고 있고 동시에 핵무장 능력을 증강시키고 있다. 남한 측 요인은 북한에 대한 강경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이명박 정부의 후반기 대북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정책적 선택의 여지를 좁혀주고 있다. 집권 후반기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은 대북 압박 지속, 일시적 대화 추진, 전면적 관계 개선의 세 가지로 예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예상 속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려면, 북한을 동등한 대화상대로 인정하고, 기존의 남북대화에서 합의한 사항들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하고, 민간 차원의 교류협력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MB government`s North Korea policy considered the kind of state transformation policy as it based on the insecurity in South Korea by using the USA - Korea alliance and economy power, It shows that North Korea`s nuclear crisis is not control, however they focused on the North Korea`s human rights and humanitarian aid and it is far different from former government, Even though, ME government did not get the tangible result about North Korea Policy, Internal-External policy environment changed in ME government`s the second half of the term, North Korea`s factors, they showed enthusiastically talk with South Korea and America, at the same time there has been a noticeable increase of nuclear power, South Korea`s factors, public opinion is going against North Korea as North Korea`s aggressive policy toward South Korea, Under the situation, ME government is not widely available of toward North Korean Policy, ME government policy will predict three ways; maintain of pressure, temporally talk with North Korea and comprehensive improve of diplomatic relations, MB government should admit conversation partner about North Korea, if they will get good result, and South Korea will review about summit consensus such as 6.15 and 10.4 treaty, Moreover, ME government will perform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t the level of private.

      • KCI등재

        특집 : DMZ평화생태포럼 ; DMZ 일원 평화생태공원 조성방안

        박은진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07 북한학연구 Vol.3 No.2

        비무장지대와 주변지역에 대한 보전과 활용에 대한 기존 논의는 보전의 당위성과 원칙 수준에 머물러 있고 남북관계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구체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남북합의에 따라 비무장지대와 민통선지역의 우수한 생태자원을 핵심지역으로 보호하는 접경생물권보전지역의 지정이나 세계유산 등재는 장기 실현과제로서 국제기구 및 단체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면서 추진하고, 우선적으로는 민통선지역 중심의 생태조사와 우수한 생태계의 보호, 생태관광 기반 조성을 현실화시킬 필요가 있다. DMZ일원 평화생태공원은 단기적으로는 민통선지역, 장기적으로는 비무장지대 내부로의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거점으로서 기존의 안보관광 중심의 DMZ관광을 비무장 지대 생태계의 가치발견과 보전필요성을 인식시키는 생태관광중심으로 한 단계 높이기 위한 것이다. DMZ일원 평화생태공원 조성의 기본방향은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개념에 따라 생태계보호를 위한 국내법적 보호조치와 용도지역 설정, DMZ생태연구 및 교육, 생태관광을 통한 지역주민의 참여와 협력체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보전을 필요로 하는 주요 생태계와 멸종위기 종 서식처를 파악하여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복원을 필요로 하는 훼손지역의 파악과 복원방안,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교육을 위한 기반과 프로그램 계획,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한 관광요소의 도입과 구체화를 포함하여야 하며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수준에서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특집 : 북한의 핵실험 배경과 의도 -신고전적 현실주의의 시점에서-

        나카토사치오 ( Nakato Sachio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09 북한학연구 Vol.5 No.2

        UN안보리의장성명이라는 체계 압력은 북한의 인식을 통해 국제상황에 따라서는 핵실험을 하겠다는 북한의 내재적 논리와 결합했다. 먼저 북한은 ``핵보유국`` 으로 필요가 있으면 핵실험을 한다는 전제가 있었다. 또한 UN안보리 의장성명에 의해 북한은 비핵화를 더 이상 진전시킬 필요성을 인식하지 않게 된 바람에 언제나 핵실험을 하는 상황이 되었다. 그리고 군사적 관점에서 봐도 보다 정밀도 높은 핵탄두를 만들기 위해 여러 번의 핵실험이 필요했다. 특히 2006년 10월의 핵실험에 대해서 그 성과가 불충분한 점이 있어 두 번째 핵실험은 군사적으로는 불가피했다. 따라서 UN안보리의 의장성명은 이러한 북한의 필요성을 현재화시키고 핵실험을 실현화시키는 계기로 기능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북한의 두 번째 핵실험이 실시된 요인을 신고전적 현실주의의 시점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The 2009 North Korean nuclear test was the underground detonation of a nuclear device conducted on 25 May 2009. This was its second nuclear test, the first test having taken place in October 2006. Following the nuclear test, North Korea also conducted several missile tests. Even though nuclear tests were carried out in a relatively smaller scale, it broughts about huge tremors to balance of power in North-east Asia. The North Korea nuclear problem can be settled smoothly only when we are decisively disillusioned from the unfounded unconditional cooperation between the international society.

      • KCI등재

        연구논문 : 북한의 핵보유 선언과 "9,19 공동성명" 평가와 과제

        고유환 ( Yu Hwan Koh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05 북한학연구 Vol.1 No.1

        2002년 10월 북한이 고농축 우라늄(HEU) 핵개발을``시인했다``는 미국의 주장으로 재발한 2차 북핵위기가 3년을 넘기고 있다. 1993-94년의 1차 북핵위기의 연장에서 보면 북핵문제는 10년 이상 장기화하고 있는 한반도문제다. 2005년 2월 10일 북한의``핵보유와 6자회담 불참선언``으로 촉발된``한반도 6월 위기설``은``6·17 정동영-김정일 면담``과``9·19 공동성명``채택으로 한고비를 넘기게 됐다. 9·19 공동성명은 북핵 해결의 목표와 원칙 및 방향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을 모색하는 등 한반도 냉전구조 해체를 위한 기본 틀을 마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로써 6자회담 참가국들은 1994년 10월에 만든 제네바 북-미 기본합의를 대체할 새로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만들 것에 합의했다. 다자안전보장과 핵포기를 교환한``9·19 공동성명``에 따라 5차 6자회담에서 관련 국가들은 북한의 핵포기를 향한 구체적 절차를 논의하려 했다. 하지만 선 핵포기를 요구하는 미국과 경수로 제공을 핵포기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우고 있는 북한의 입장 차이, 미국의 북한에 대한 위폐제조 의혹제기와 금융제재 등으로 6자회담은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선군정치``를 하고 있는 북한 내부의 강경기류와 미국 네오콘의 입장을 대변하는 강경파의 입장이 맞서 공동성명 이후 북핵문제는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서는 미국이 북한에게``정상국가``로 변신할 수 있는 기회를 한번 더 주는 외교적 접근이 필요하다. 미국으로부터 안전을 담보 받을 경우, 북한은 핵을 버리고 개혁· 개방을 본격화할 가능성이 높다. 북핵문제는``북·미 적대관계의 산물``이기 때문에 북· 미 양국이 신뢰와 공존에 기초한 협상을 추진하지 않는 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어렵다. 미국과 국제사회는 북한이 국제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는 기회를 한번 더 주고, 북한도 이번 기회를 놓치지 않아야 할 것이다. North Korea`s nuclear declaration and refusal to participate in the six-party talks, both of which were announced in a statement issued by its foreign ministry on February 10, 2005, served to escalate tension on the peninsula. After a three-year-long standoff, a basic framework has finally been formulated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which emerged in October 2002 when U.S. officials made known their "suspicion" that North Korea was secretly developing highly enriched uranium for nuclear weapons. The joint statement, which was agreed to by the parties on September 19, 2005, during the second phase of the fourth round of the six-party talks, outlines a structure and principles for moving forward with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s well as a process for pursuing a peac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thereby laying a foundation for dismantlement of the Cold War structure throughout the region. This joint statement can be perceived as a willingness of the six?party talks participants to pursue a new peace process for the Korean peninsula that would replace the Geneva Agreed Framework signed by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October 1994. A peaceful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ill require a diplomatic approach under which the United States agrees to provide the North with another opportunity to transform itself into a "normal country." Once North Korea receives a security guarantee from the United States, there is a very real possibility that it will agree to abandon its nuclear weapons and implement reforms and a policy of full-fledged openness. The United State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ll have to provide North Korea with another opportunity to become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owever, it is imperative for North Korea to not pass up this chance.

      • KCI등재

        특집 : 분단 60년 북한의 학문세계: 혁명역사 연구분야

        김광운 ( Gwang Oon Kim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08 북한학연구 Vol.4 No.2

        북한 학계에서는 역사학을 사회과학으로 분류하며, 크게 혁명역사와 일반역사로 나눈다. 혁명역사 연구분야는 처음부터 독자적인 영역을 차지했던 것은 아니다. 김일성-김정일 중심의 ``수령제 정치체제`` 구축과정을 쫒아 역사일반에서 분리 독립할 수 있었고, 지금은 사회문화 연구영역 가운데 가장 중요하게 취급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 학계의 혁명역사 연구 성과 및 현황을 살펴보고, 관련 연구기관 및 서술상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하여 동국대 북한학연구소가 북한지역에서 출판한 역사학 관련 학술지들 가운데 수집 가능했던 정기간행물을 대상으로 만든 데이터베이스를 기본적으로 활용하였다. 북한 최초로 간행한 학술지 『역사 제문제』 에는 혁명역사 관련 논문이 거의 없었다. 역사학계는 김일성이 주도한 항일무장투쟁과 조선독립동맹의 투쟁 및 국내 공산주의자들의 반일투쟁을 병렬적으로 서술하였다. 1950년대중반 이후, 항일무장투쟁 관련 연구성과의 축적과 자료 발굴이 적극 추진되면서 『역사과학』 『김일성종합대학학보』 『역사과학논문집』 등에 관련 논문의 게재 편수가 크게 늘어갔으며, "김일성 주석과 우리 당의 혁명역사"로 자리잡아갔다. 혁명역사분야가 역사연구분야로부터 분리·특화한 과정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당 활동과 관련이 깊다. 김정일 비서는 조선노동당에서 활동을 본격화하면서, 1968년 『로동신문』 에 "김일성동지의 혁명투쟁역사"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그가 혁명전통을 당의 유일사상체계 확립과 관련시켜 확대재생산하면서 1987년판 『조선중앙연감』 부터는 사회과학부문에 ``혁명역사연구분야``를 독립시켜 서술하였다. 현재 혁명역사분야는 다시 "백두산 3대장군의 혁명역사"로 다시 한 번 껍질을 벗었다. 결국 195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의 혁명역사 연구자들은 "당의 붉은 전사"로서 한반도 주민의 근현대사를 "승리"의 역사로 덧칠하는데 온 힘을 기울여왔을 뿐이다. 지금 북한의 혁명역사학계는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혁명역사"와 당의 "혁명전통"을 연구하는 데 최대의 역량을 투입하고 있다. 그런데 그들이 "백전백승의 불패의 당"이 지시대로 북한만의 혁명역사를 "승리적으로 전진해온 역사"로 재구성하는 동안, 북한 이외의 지역에서 그 빛은 바래지거나, 아예 관심대상 밖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The historical science is involved in social science in North Korea and it is classified the history as to revolution and common. The part of the revolutionary history was not located in the province of history solely the first time. But now this part of the history has been become the most important part among the sociocultural researches including the historical science because of construction of Great leader(Suryong) political system of the Kim Il Sung and Kim Jung Il. In this article, at first examine the research outcome and states of the revolutionary history and then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cription and relative institutions so that make the best use of the DB(data base) that institute for North Korean Studies of Dongguk University made up which could be possible to collect periodicals among the historic journal published in North Korea. There were few papers about revolutionary history in Several Problems of History(Yeoksa Jemoonje) that was the first historical journal which published in North Korea. Academic circles of history described Anti-Japan armed struggle of Kim Il Sung and struggle of the Korean independence alliance as well as Anti-Japan armed struggle of domestic communists in parallel After middle of 1950s, it has gotten settled as the revolutionary history for Kim Il Sung and the Workers` Party of Korea while number of papers increased in science of history and Journal of Kim Il Sung University, a collection of historic science papers with unearthing material and accumulation of researches outcomes. The process of this part that is separated and specialized is related with the role of Kim Jung Il` in the party. He used expression like revolutionary struggle of Kim Il Sung on the Rodong Shinmun while he was in activity in the party. The current academic world of revolutionary history of North Korea is doing research for their revolutionary history and revolutionary tradition, however, other countries are not interested in revolutionary history of North Korea. Only North Korea is proud of them.

      • KCI등재

        일반논문 : 중국 경제관련법 변화과정과 북한 경제관련법에 주는 시사점

        김동한 ( Dong Han Kim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07 북한학연구 Vol.3 No.2

        중국의 개혁·개방은 냉혹한 국제사회에서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 수 있는가 하는 생존논리이다. 등소평은 농업생산책임제, 개인소유확대, 경제특구창설 등 자본주의적 요소를 과감히 채택하고 서구자본주의 기업을 대거 유치하는 등 개혁. 개방을 추진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개혁·개방에 따른 후유증을 염려하여 4항기본 원칙을 강조하였다. 사회주의 경제체제에 자본주의 경제적요소가 투입되면서 ``사회주의 상품경제``를 조작하였고 나아가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창안하였다. 사회주의 시장경제는 이론은 사회주의이고 현실은 자본주의인 것을 에둘러 표현한 용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은 20여년동안 점진적 개혁·개방을 추진하였다. 그런 가운데 ``부패척결`` ``경제건설은 법제건설`` ``법규준수철저`` 등을 수시로 강조하여 법제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1978년 12월 중국공산당 제11기 3중전회에서 민주와 법제를 강조하는 ``법제 건설 결의``를 채택한 이후 중국개혁·개방관련법제의 체계화는 속도를 더해갔다. 1981년 6월에는 경제법규연구소를 설립하여 경제법규정비에 대처하였다. 1982년 3월에는 이른바 ``경제입법 5개년계획``(1982-1986)을 세워 경제개혁·개방과 관련한 제도적 안전판 마련을 시도하였다. 1982년 12월에는 중국의 현대화에 걸맞는 기본법으로 헌법을 대폭 개정하였다. 이후 사회주의시장경제체제선언을 계기로 기존의 상품경제체제의 경제법제를 시장경제체제의 경제법제로 개정하는 작업이 지속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개혁·개방과 관련한 중국법제의 전모를 살펴보고 중국정부당국자들이 기회 있을 때마다 강조한 법제건설에 대해 개혁·개방과 상관관계차원에서 고찰하고, 중국의 경제법제가 북한의 경제관련법제에 주는 시사점을 파악해본다. ``Reforming and opening`` in China is a survival logic for managing through this mercilessly competitive international society. This made Ding Xiaoping adopt boldly such capitalistic elements as ``responsible system in agricultural production``, ``extension in individual property,`` ``establishment of economically specialized district`` and induce in large scale western capital and enterprise. On the other, however, afraid of an aftereffect possibly caused by reforming and opening, Ding Xiaoping set up four principles. While capitalistic economic elements were being introduced into China`s socialistic economic system, China has created ``socialistic goods economy`` and gone further to create ``socialistic market economy``. Socialistic market economy can be thought to express in a roundabout way socialism in theory and capitalism in practice. China has been gradually promoting reforming and opening over the last twenty years. In the mean time China has occasionally emphasized ``eradication of corruption``, ``economic construction through legislation``, ``thorough law-abidingness``, which reveals the importance of its legislation. Since ``resolution of legislative construction`` emphasizing democracy and legislation was made at Chinese Communist Party 11th 3中全會in December, 1978, the legislative systemization related with reformation and opening in China has gained speed. In Jun 1981 China founded economic law research institute, preparing for readjusting economic laws. In March 1982 it established ``Five-year plan for economic legislation (1982-1986) and made a systematical safety pin regarding economic reforming and opening. In December 1982 it revised its constitutional laws to a degree that it would be well-matched with the modernized China. Since then, China with the declaration of socialistic market economy system has continued to revise the existing economic laws regarding goods economic system into the market economic legislation. This writing is to examine the whole aspect of China legislation regarding reforming and opening and study the legislative construction in its interrelationship with reforming and opining, which the authorities concerned in Chinese government have at any time emphasized. With these Chinese issues in mind, it is also to invest its suggestiveness made to the economic legislation in North korea.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북한의 산림·임업 교육체계 및 연구현황

        박소영 ( So Young Park ),김현근 ( Hyeon Geun Kim ),( Kyeong Seok Park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1 북한학연구 Vol.7 No.1

        국토의 80%가 산림지역인 북한은 산림이용정책을 적극적으로 진행하였고, 이를 위한 교육과 연구체계를 만들었다. 현재 북한에는 산림분야의 중앙대학인 혜산농림대학을 비롯하여 약 7~8개의 대학에 산림과 관련한 학과나 학부가 설치되어 있어 지역적 특성에 맞는 임업과학기술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산림관련 대학에서는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현장실습을 확대하여 생산현장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또한 이를 위해 산림관련 대학의 대부분은 학술연구림과 실습직장, 실습작업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임산연합기업소와 임산사업소에는 야간대학 등을 설치하여 임업전문기술자를 양성하고 있다. 산림관련 연구는 산림과학분원과 혜산농림대학 등에 설치되어 있는 박사원 과정과 연구소에서 담당하고 있다. 산림과학분원은 북한의 산림관련 연구를 대표하는 기구이다. 산림과학분원에는 별도로 박사원 과정을 통해 전문과학자를 양성하고, 대학의 산림 연구기관을 지도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또한 각 지역의 대학에서는 생산현장에 필요한 산림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산림관련 교육과 연구는 오랫동안 경제난으로 인해 여전히 기초적인 부분에 머물러 있어 남북한 협력과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North Korea, consisting of forest area which is 80% of national land, made progress aggressively a forest utilization policy and established the system of education and study for. Now in North, around seven and eight universities with Hyesan Agricultural and Forestry University, the center in the forest field, have departments or undergraduate studies relevant with forest and they train forestry scientific technique talent to fit for local characteristics. Those universities expanded their field placement for juniors and seniors, and train students to make them skilful and suitable for production site. Also most of universities are equipped with forest for the prosecution of studies, practice workplace and working for it. Forest Products United Business Station and Forest Products Enterprise Station also run college at night for and cultivate forestry professionals. The doctor`s courses and research institutes under Forest Research Branch and Hyesan Agricultural and Forestry University are in charge of the study relevant to forest. The Forest Research Branch is a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the forest study in North. They cultivate separately professional scientists through their own doctoral program, also lead forest research institutes in universities. Furthermore, universities in each area are studying forest necessary for production site. However, education and research about forest in North still staforn the basics for a long time due to economic downturn; cooperation and support of South and North are required.

      • KCI등재

        특집 : 북한연구에 있어 일상생활연구방법의 가능성과 과제

        고유환 ( Yu Hwan Koh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1 북한학연구 Vol.7 No.1

        최근 북한연구에 본격 도입된 일상생활연구는 그 동안의 상부구조 중심의 거대담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주민들의 일상생활을 통해서 사회의 구조적 특성과 동학을 밝히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북한연구에 일상생활연구가 본격적으로 도입됨으로써 주민을 공식담론의 피동적인 수용자로 보는 것으로부터 벗어나 거꾸로 주민의 일상적 실천과 삶의 전략이 지배집단의 공식담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수 있게 됐다. 밑으로부터의 미시-행태연구를 통해서 거시-구조의 동학을 파악하는 일상생활(일상사)연구는 위로부터의 거시-구조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북한 일상생활세계에 대한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역사학,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 분과에서 이룩한 연구들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창조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methodology on North Korean Studies, especially everyday life approach. North Korea under Kim Il-sung is a living example of totalitarian society. But totalitarian model approach is too static, narrow and substructurally insensitive to evolutionary changes in totalitarianism. Immanent approach had introduced as a new approach of North Korean studies in 1988, Immanent approach that presented in South Korea has made a false representation of its meanings and subject matters in terms of ``approach`` This article is to emphasize a study on everyday life as a new perspective of North Korean studies. The everyday life approach is based on the methodological self-reflection on the tendency of prevailing North Korean studies, which placed excessive emphasis on the leadership, ideology, and political system of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