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세권내 역 인접 소공원의 유형별 이용행태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이주희,박진아,Lee, Joo-Hee,Park, Jin-A. 한국조경학회 2008 韓國造景學會誌 Vol.36 No.3

        2005년 3월 31 일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도시공원 분류체계에서 소공원과 주제공원을 세분화하여 추가하였으나, 기능, 규모, 유치거리가 명확한 개념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조성 과정상의 확실한 설계되어 있지 않으며, 최근 법제화된 '도시공원 , 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 등에 관한 지침'(2007.2)에서도 유형을 공원의 설치위치 빛 성격에 따라 근린, 도심소공원으로 구분하였으나, 유형별 공원의 지정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 보고자 하는 역세권내 위치한 소공원은 설치위치 및 지역의 성격에 따라 그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유형에서의 설치위치 및 지역적 특징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유형별 특성에 따른 공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유형화를 위한분석기준은 각각의 공원은 인접한 역의 성격과지역의 성격이 다르므로 첫째, 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정의에서의 지역적 특성과 이용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로서 근린소공원과 도심소공원의 분류체계에 따라 공원유형분류 한다. 소공원 주변 용도배분비율과 기존의 소공원 설치 당시 공공에서의 설치목적을 각 구청의 담당자의 문의를 통하여 파악하고, 이용자의 거주특성의 경우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거주지와 거주동에 대한 질의응답을 통하여 각 공원의 주 이용자의 거주특성을 파악하여 최종 대상지 근린소공원 3개소, 도심소공원 3개소를 선정하였다. 둘째, 각 유형 관찰조사를 통하여 이용자들의 이용행태특성을 파악하고, 설문조사를 행하여 유형별 대상지의 이용실태 및 이용특성의 차이점과, 어떤 측면에서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이용실태 및 공원시설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공원 환경적 측면의 만족도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다. 셋째, 관찰조사와 설문분석에 따른 결과와 관리 공무원과 공원설계자와의 인터뷰 결과를 종합하여 추후 계획시 고려하여야할 점으로 공원이용 활성화를 위한 시설 및 설계적 측면과 이용행태적 측면, 관리 및 운영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한다. The government is planning to link a small park with the soon to be ready subway line 9 as a part of Seoul's policy, "The standard or plan for making a water-friendly space by water use" (2007). However, the specified concepts and instructions of the small parks need further work. Therefore, the policy is expected to expand to neighboring small parks near the subway station, but these are not supported by research or data which suggests the needs or actual user behavior and utilization of small parks. our country added the specified concept of small parks and theme parks to the classification of urban parks in the Urban Park Act Revision (2005.3.31), but the concept of small parks is not clearly settled in the law in the scopes of its function, scale, promotion nor particularly defined plans for small park projects. This study examines as small park near a subway s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re region and users vary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ion and region. In the "directions for concrete standards under the types of urban parks and green zones" (2007.2) the types of small parks are classified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user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s the subject of neighboring small parks near subway stations as the neighborhood and small urban parks according to the Urban Park Act. The study was paralleled with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s on the analysis of the neighborhood and small urban parks. The actual conditions of park utilization and user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deducted by observation, while the questionnaire determined actual user utilizatio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as well as the small park environment. This study largely focused on three aspects: park facility, design of this sentence isn't even complete. The second aspect isn't finished and the third isn't here.

      • KCI등재

        중국 물류단지 육성정책과 시사점에 관한 연구 -상해물류단지를 중심으로-

        이연미 ( Yeon Mi Lee ),박정희 ( Jung Hee Park ),두해도 ( Hai Tao Du ) 한국물류학회 2014 물류학회지 Vol.24 No.2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였으며 이제는 더 이상 세계의 공장이 아닌 세계의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급속한 경제성장의 배경에는 물류산업이 뒷받침하고 있으나 중국 물류산업의 발전수준은 아직까지 초기성장단계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정부는 물류산업의 발전을 위해 물류단지를 핵심요인으로 인식하여 발전을 추구하고 있지만 정책과 지원체계가 일관되지 않기 때문에 발전의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물류단지란 물류 공동화와 운영의 효율성을 위해 물리적으로 물류시설과 물류기업들을 집중시키는 지역을 의미한다. 상해는 중국에서 물류단지가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는 지역이며, 상해에는 외고교, 푸동공항, 심수항, 서북종합 물류단지와 계획 중인 서남종합 물류단지까지 총 5개의 물류단지가 있다. 대부분의 물류단지는 「10,5 상해 현대물류산업 발전」에서 구축이 제기되었고 푸동공항 물류단지와 심수항, 외고교 물류단지로 이어지는 "3항3구" 가 형성되어 있다. 최근 상해 지유무역시범지역의 구축으로 인해 상해 물류단지의 많은 발전 가능성뿐만 아니라 항만과 공항의 연계작용 또한 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물류단지의 육성정책과 상해 물류단지의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항만과 상해로의 진출을 모색하는 기업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해주고자 한다. Since the country reopened, China has been achieving rapid economic growth. They are emerging as a huge market in the world. Although the logistics industry has lead to growth, the development level of Chinese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The government in China regards Logistics Park as a key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China``s logistics industry. There are many difficulties, however, because of the inconsistent government policies and support systems. Logistics Park is an area that has gathered logistics facilities and firms for logistics cooperation and efficiency. Shanghai manages its logistics parks very aggressively and there are five logistics parks. They are operating four logistics parks such as Waigaoqiao, Pudong International Airport, Yangshan Deep-water Port, North-West Comprehensive logistics park and South-West Comprehensive logistics park is under contemplation. Most logistics parks were planned in the 10th Five-Year Plan for Modern Logistics Industry Development of Shanghai. And there were formed "Three Port Three Park" by connecting Pudong International Airport logistics park, Yangshan Deep-water Port logistics park and North-West Comprehensive logistics park. They are expected to grow remarkably as they designate a Pilot Free Trade Zone and to actively interact between port and airpor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suggestions for ports in Korea and firms that want to enter into Shanghai. This paper will provide assistance through the analysis of China``s development policies and case studied of Logistics Park in Shanghai.

      • KCI우수등재

        국내 역사공원의 지정 및 조성 경향 분석

        길지혜,박희성,박재민,Gil, Ji-Hye,Park, Hee-Soung,Park, Jae-Mi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2

        2005년 도시공원법 개정 이후 국내에는 역사유산의 보전은 물론 도시민의 휴식과 교육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역사공원이 등장하였다. 이제는 역사공원의 운영 실태를 통해 국내 역사공원의 특성을 알고 그에 따른 제도적 보완을 모색할 때이다. 본 연구는 주요 국가의 역사공원 제도의 특성과 국내 역사공원의 지정 및 조성 경향을 분석하여 역사공원의 기능과 역할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하되, 역사공원 현황과 조성 과정을 관계 공무원과 전문가에게 전화 및 이메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역사자원은 주로 조선시대 유적에 집중되어 있지만 인물, 사건, 장소 등의 유산도 포함되며 근대기 유산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역사공원은 기존도시와 신도시, 대도시와 지방도시 사이에 차이가 있으며 지방도시는 최근 경제 활성화와 정체성 강화를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역사공원을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공원의 종류를 역사공원으로 변경한 경우, 기존 기능과 일부 상충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국내 역사공원은 역사유산공원, 역사기념공원, 역사주제공원과 역사적공원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세부적 유형분류는 향후 역사유산의 보전과 활용을 위한 전략적 토대가 되며 역사공원의 구체적인 운영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After the revision of the Urban Park Act in 2005, historical parks emerged in Korea to promote the preservation of historical heritage while also offering recreation and education to ordinary citizens. It is now tim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historical parks by examining their current operational conditions, and seek appropriate institutional improvements.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parks in various countries, as well as the trends in the designation and development of domestic historical park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function and role of historical parks, and seeks a direction for future action. Through its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historical parks through cooperation with relevant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despite historical resources being concentrated in sites dating to the Joseon Dynasty, they also include heritage pertaining to persons, events, and places. There is also a trend toward increasing the focus on modern heritage. Historical parks show differences across existing cities and new towns, as well as between major cities and provincial cities. Provincial cities showed a recent trend of using historical parks as important resources for strengthening their economics and solidifying their identities. Also,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designated category for a park is changed to a historical park. In such cases, there may be a problem where certain functions of the park run into conflict. Domestic historical parks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heritage parks, memorial parks, historical theme parks, and historic parks. Such detailed classification schemes may serve as the strategic foundation for later conservation and usage of historical heritage, as well as a standard for suggesting concrete direction in the operation of historical parks.

      • KCI등재

        미국, 일본 도시공원의 면적 산정에 대한 비교 연구

        김현(Kim, Hyun),최희선(Choi, Hee-Sun),박은별(Park, Eun-Byul)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6

        우리나라의 공원녹지정책에서는 인구당 원단위 기준을 적용한 1인당 공원면적 6㎡/인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게다가 2013년 수립된 국토해양부 지침에 따라 12.5㎡/인이라는 지표가 모든 기초자치단체에 일괄 적용되면서 지자체의 부담은 가중되고 있는 현실이다.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의 적정성에 대한 의문과 논의는 오래전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오고 있으나, 이러한 논의와 달리 정책적인 변화는 없다. 실제로 해외 도시의 공원 조성 면적에 대한 정확한 자료와 공원 조성 면적 관련 정책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여 1인당 도시공원 면적 산정기준의 배경과 흐름을 파악하고 미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공원 확충 정책의 흐름과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원 조성목표의 경우 일관된 수치보다는 자치체가 자기 지역의 특성을 감안하여 목표를 수립하도록 열린 목표치를 설정한다. 2) 공원계획의 대상은 도시공원뿐만 아니라 녹지, 하천, 운동장, 도립공원, 옥상과 벽면녹화 등을 포함시켜 도시의 질적 제고를 지향하고 있다. 3) 공원정책에 있어 양적 확충보다는 공원서비스 개선, 주민 참여를 통한 질적 개선에 대하여 정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 구에서는 도시의 특성을 고려한 자율적인 공원면적 확충 목표 설정, 목표 대상에 녹지, 하천 등의 다양한 녹지자원 포함, 공원의 질적 서비스 향상을 위한 주민 참여와 만족도 조사가 실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In Korea, the goal of urban park policies is obsessively set to meet 6㎡ park area/person, But since 2013, a new guideline of 12.5㎡ park area/person is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As the new guideline is applied to all primary local authorities, the burden of local authorities is being increased. While the question related to the minimum park area per person has been consistently raised,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minimum. In practice, correct materials on park creation area and park area used for park-related policies in other cities around the world. Focusing on the cases in U.S. and Japan, case studies are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to find out the international trends related to the minimum park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case of setting park creation goal, open target values are set such that local authorities establish goals in consider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instead of monolithic values. 2) The target of park project includes green belt, river, playground, provincial park, rooftop and green wall, so that quality enhancement of cities is aimed. 3) Park policies are focused on qualitative enhancement rather than quantitative expansion, through park service improvement and resident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suggestions, it is suggested that flexible park creation goal should be set in consideration of urban characteristics - a variety of green resources, such as greenbelt and river should be added to quantify minimum per capita park area, Resident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surveys should also be performed in order to enhance qualitative measure of park service.

      • KCI등재

        도시공원 바닥포장의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김신원(Shin Won Kim),박태석(Tae Seok Park),노희곤(Hee Gon N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3

        도시가 발전하면서 사람들은 삶에 있어 정신적, 문화적 욕구의 충족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다. 도시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요구는 과거에 비해 더욱 심화되었다. 조경 분야에서 외부 환경의 물리적 요소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외부 공간을 형성하는 주요한 골격은 토지, 식물, 정형적 요소 등이다. 도시생활에서 이용자가 향유하는 공간으로는 주로 자연이 우세한 자연적 공간, 인공적 요소가 가미된 자연적 공간, 인공성이 주가 되는 자연적 공간 등이 있다. 이러한 공간은 사람들이 자연과 접하며 휴식하고 만나고 담소를 나누는 장소가 된다. 외부 공간은 실용적인 기능뿐만이 아니라 시각적인 아름다움도 지녀야 한다. 최근 들어 조경디자인 분야에서 공간을 구성하는데 질 높은 다양한 재료들이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도시공원을 보면 특히 바닥포장과 관련해서는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이 있다. 시대의 흐름 및 도시민의 요구에 부응하여 빠른 시일 내에 도시공원 바닥포장 디자인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고 재료 선정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도시공원의 바닥포장은 이용자의 쾌적성, 안전성, 접근성 등에 영향을 준다. 도시공원 바닥포장의 디자인 개선에 관한 본 연구는 쾌적한 도시공원을 위해 필요로 하는 바닥포장의 조성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선유도, 서울숲, 월드컵공원의 현황을 조사하여 바닥포장과 관련된 문제의 요인과 유형을 분석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공간의 질을 높이기 위해 바닥포장 개선 방안을 연구하여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도시공원 바닥포장의 품질 개선을 도모하며, 향후 도시공원 바닥포장 디자인의 수준을 제고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와 목적이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도시공원 바닥포장에 대해 현황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졌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바람직한 바닥포장 재료 및 색채를 선정하고 적절한 바닥포장 디자인의 변경안을 제시하였다. 도시공원 바닥포장의 디자인 변경이 요구되는 현황을 조사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안을 제시한 본 연구의 내용은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쾌적하고 아름다운 도시공간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s cities continue to develop, people desire to fulfil their mental and cultural desires. So the demand for improving the city environment is more palatable than ever. The `outer-space` physical element in landscape architecture has its own role to play in satisfying this demand. The general frame of `outer-space` is mostly based on land, plants, and formative factors, regardless of size, fixedness, or location. The space for leisure us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is `natural space` including mountains, rivers, and seas. The second is `natural space with added artificial elements` such as parks and terraced land on the rivers, which are created to protect the natural space from probable damage and to make full use of the space as rest areas. The third is `purposeful space` such as squares and parks with environmental and human facilities. They are the spaces made for the purposes of resting, recreation, and/or indicating the border of inside or outside of buildings. The ideal function of the elements of outer space is not only providing beauty, but also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atmosphere of limited space like parks.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al norm, the design period tends to get shorter and shorter, and the recent trend is to use materials with high quality and diversity. However, the design of pavement in city parks has not been remodeled. Great improvements to facility maintenance, repair work, and plant preservation in parks have been made, but the issue of remodelling pavement has hardly been considered. Given that the type of pavement can give comfort or stress to the people visiting park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park design. This study is to design and create surface pavement for improving the outdoor spatial quality of city parks. The specific goals and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design criteria for creating user-responsive outdoor space, based upon the research findings drawn from site survey and analysis focusing on the surface pavement in city parks; and to make specific design recommendations, if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for improving the outdoor spatial quality of city parks. This research study focused on surface pavement in 3 city parks (Seonyu Island, Seoul Forest, World Cup Park) such as overall image, arrangement of pavement, design and pattern, material, and color. With this background, and with survey and analysis, this study will suggest design changes to pavement in order to make the public space of the city park more satisfying and comfortable to its users. Finding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study could be used in the designing of future projects in order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eds of users. The changes in order to meet users` needs and to improve the spatial quality of the city parks should be implemented.

      • KCI우수등재

        변화와 변용으로 본 근대기 서울 남산의 공원

        박희성,Park, Hee-Soung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4

        남산은 수도 서울의 대표적인 랜드마크로, 여타의 다른 산과 달리 도심의 공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남산이 공원으로 인식되는 시점인 대한제국기와 식민지기를 주요 배경으로 변화와 변용의 과정 및 내용을 살폈다. 남산이 공원이 되고 공원이 다시 종교시설로 변용되는 일련의 과정이, 실은 일본의 도시 식민지화 과정과 식민지적 공간 통치와 연관되어 있음을 밝혔다. 일본이 왜성대공원(矮城臺公園)을 시작으로 경성공원(京城公園), 한양공원(漢陽公園)에 이르기까지 도성 안 남산을 모두 공원화한 것은 한성부에 대한 일본의 세력 확장과 관련한 것으로, 여기서 공원은 일본이 한성부를 점거하는 전략적 도구가 되었다. 그러므로 남산의 공원화는 단순히 위락과 여가시설의 확보가 아니라 공원 조성을 명분으로 한 타자의 공간 점유로 보아야 한다. 이 시기 남산의 공원 가운데 왜성대공원과 한양공원은 각각 경성신사(京城神社)와 조선신궁(朝鮮神宮)으로 변용되는데, 주체와 목적에 따라 그 양상은 점진적이기도 하고 폭력적이기도 하였다. 공원에 일본의 문화가 이식되고 공원이 지배자의 공간으로 치환되는 이러한 사실은 일본이 공원을 이용해 남산을 물리적으로 점거한 것과는 또 다른 공간 지배 양상을 의미한다. 즉 남산의 공원화가 한성부 내 일본의 세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었다면 이후의 변용은 식민지 지배를 공간의 양태로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남산은 공원이라 불렸지만 실제로 공원으로 이용된 시간은 매우 짧았다. 그나마 남산이 공원으로 인식될 수 있었던 것은 경성공원 일대의 산림자원 덕분인데, 그 배경에는 신사와 신궁을 위한 신원의 보존과 관리가 있다. 이 또한 식민 공간 통치의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Unlike other mountains in Korea, Seoul Namsan(南山), which is one of the landmarks that represent the country's capital city, is perceived as a city park.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process that Namsan became a park and the transformation of its place in Korean Emperor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erial changes in Namsan, in early modern era, mean that is associated with the colonial urbanization and the rule of space by Japan. The stages of Waeseongdae Park(倭城臺公園), Gyeongseong Park(京城公園) and Hanyang Park(漢陽公園) under the leadership of Japan, due to the extension of Japan's power, Namsan has became the park. Here, the park has become a strategic tool of other's occupying Hanseongbu(漢城府), a capital city. The process that Namsan became a park dose not mean making the space for recreation and rest, but is an excuse for using the land. Since then, Namsan's parks barely fulfilled its original function as park as it was transformed into a shrine, Gyeongseong Jinjya(京城神社), for Japanese warriors or was incurred upon by Joseon Singung(朝鮮神宮), which was established as a facility to govern Korea, sometimes is gradually and sometimes is mercilessly. The fact, transplantation of Japanese culture and replacement as ruler space, is another aspect of occupying and govern place. In other words, while the process that Namsan became a park is the way of establishing Japanese force, the transformation of its place show a colonial rule as an aspect of space. Meanwhile, in spite of transformation to shrine, Namsan became accepted as a park for a long time, because of the forest of Namsan. Japan managed forest as a sacred place. It is also a result of the Japanese rule of space.

      • KCI등재

        지역사회의 동물복지문화 증진을 위한 도그파크 계획 모형

        임수희,이관규,양병이,박종화,신남식,Lim Soo-Hee,Lee Gwan-Gyu,Yang Byoung-E,Park Jong-Hwa,Sin Nam-Sik 한국조경학회 2005 韓國造景學會誌 Vol.33 No.4

        Korea's pet-related society has been fast growing without the base and preparations of socio-cultural animal welfare. For the most part, Korea's current public parks, in particular, have a space structure in which a lot of friction between the general public who are not fond of dogs and dog owners in public places has been happening unavoidably. A lot of countries that are taking a lead role in animal welfare have built dog parte that the general public and dogs can enjoy together. This research starts with the realization that the concept of 'dog park' needs to be introduced in Korea as more and more Koreans own dogs and other pets.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guidance for dog park planning by drawing a dog park planning model and to promote basics for co-existence of dogs and people in a park and set in place animal welfare early and raise the level of awareness. Total 7 types of dog put 56 planning items including dog zone, dog playground, and agility, and a selective matrix by which it is possible to select essential recommendatory optional items by each type of dog park were drawn in this research. Overall there were the highest needs in separated area for dogs in park. A dog park planning model is designed as follows. 1) To select a dog park type that was introduced. 2) To set up facilities applicable in common and planning items desired in advance by each type. 3) To zone dog park areas by the priority order of planning items that were introduced and to position necessary facilities. 4) To plan program that should be were introduced. A dog park was expected to take some positive roles such as providing opportunities to socialize dogs, activating social communities, more effective park management by participating local community members and so on.

      • 12M의 고해상도 360° 카메라를 사용한 주차장의 14면 주차 상태 판단 프로그램

        이영지(Young-Ji Lee),이희열(Hee-Yeol Lee),고태영(Tae-Young Ko),곽동훈(Dong-Hoon Kwak),김재형(Jae-Hyung Kim),김주호(Joo-Ho Kim),오승진,이태윤(Tae-Yoon Lee),박상민(Sang-Min Park),이승호(Seung-Ho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9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6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ogram to identify 14 parking status in a parking lot using a high resolution 360° camera of 12M. The proposed program consists of three steps: Match with plane image, parking area detection algorithm, and discrimination of parking using learning method. Tests on a model car to evaluate the program to identify 14 parking status in a parking lot using a high-resolution 360° camera of 12M showed 100% accuracy for both parking and double parking.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 to identify 14 parking status in a parking lot using a high-resolution 360° camera of 12M proposed in this paper has been proved.

      • KCI등재

        서울숲 공원관리조직의 사회 연결망 분석

        최선주,황원실,김선희,박창석,Choi, Sun-Ju,Hwang, Won-Sil,Kim, Sun-Hee,Park, Chang-Sug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3

        본 연구는 공원관리 참여조직간의 사회적 연결망을 분석하고, 참여조직의 활동을 활성화하는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공원관리 참여조직 간의 신뢰, 참여, 정보교류의 실태를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서울숲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행정기관, 시민단체, 주민단체, 기업으로 구성된 15개 참여조직과 핵심인물 30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조직간 신뢰, 참여, 정보교류 및 연구 통계적 속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분석은 사회 연결망 분석 프로그램인 UCINET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1) 신뢰, 참여, 정보교류의 연결구조에서 다른 조직에 비해 많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중추조직(HUB)는 서울숲 사랑모임과 서울숲 관리사무소로 나타났다. 2) 함께 일하고 싶은 조직과 향후 활발한 참여를 바라는 조직에 대한 연결망 분석에서는 환경 예술분야의 시민단체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3) 부녀회, 통장단 등 지역 주민단체 연결망을 살펴보면 중심성이 매우 낮으며 서로간의 연결관계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와 함께 다양한 도시공원과 지역을 대상으로 공원관리 참여조직간의 사회 연결망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주민참여와 협력 이 활발한 공원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ise means to encourage participation for organizations taking part in "resident participation parks.", "Resident participation" has become increasingly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ans of park management in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networks for civic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park management with respect to their degree of participation, credibility and trust, and exchange of information. Among resident participation parks, "Seoul Forest Park"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a model example; accordingly this study designated Seoul Forest Park as its primary research focus. Thirty core members of resident participation organizations were selected as test subjects. Members of the resident participation organizations under review came from various backgrounds, including government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citizens' groups, residents' groups, and private businesses. Surveys were used to provide data on credibility and trust between organizations, levels of participa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as well as statistics on demographic affiliation. Results were examined through UCINET, a program designed to analyze social networks.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Seoul Forest Park Conservancy" and the "Seoul Forest Park Management Office" constituted a hub within their social networks that maintained significantly more relationships than other organizations with regard to levels of credibility and trust, participa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2) Social networks for organizations wishing to work together, or desiring active participation in the future tended to center on citizens' organizations in the environmental and arts fields; and 3) Women's associations and meetings of neighborhood("tong") leaders had very little significance as a center in the social networks of local residents groups, and indeed very few connections amongst themselv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in the devising of proposals for encouraging participation in resident participation parks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networks between organizations engaging in park management activities for a diverse array of urban parks and other areas.

      • KCI등재

        門中文獻의 기록범위와 자료의 활용가능성

        朴明姬(Park Myung-hee) 역사문화학회 2001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4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ange of documents in the lineage literature of 'O-han-gong' lineage among 'Ham-yang Park' clan in Gu-rim, Ri Yeong-am Province. Park Sung-gun who called himself as O-han, was the progenitor of 'Ham-yang Park' clan in Gu-rim. He settled in the area, getting married to the Park Jim-myong's daughter. Through the fact that his clan made its genealogy and established 'Seo-won', a private school, for its clan, it is presumed that is took two hundred years for the clan to settled down in the area. The representative lineage literature of 'O-han-gong' lineage is 『The Remains of 'O-han-gong' Lineage in 'Ham-yang Park' Clan』. The documents of those lineage literature largely cover people and remains. In those documents, the people were mostly who were of exceptional merit. And representative remains are 'Juk-jeong Seo-won' and 'Gan-juk Jeong' which both are symbolic place of present 'O-han-gong' lineage in 'Ham-yang Park' clan. It seems to be possible to use the result, from the study on the range of documents, in four aspects; as follows. First, it is possible for us to presume historically how the lineage moved into and settled in Gu-rim area. Second, we can find and introduce the people who were renowned in their area, but not nameless in central governments. Third, we can find how the people as above contacted with the people in center. Lastly, among 'O-han-gong' lineage, there were many people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wars in 1592 and 1636. The fact could be practical reference to study the movement of a righteous army in Ho-nam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