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폭력이란 무엇인가?: 개념과 유형

        장미혜(Mi-Hye Chang)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21 이화젠더법학 Vol.13 No.3

        최근에는 경제적 이유 등으로 인해 젊은 세대들이 결혼을 통한 관계맺음을 포기하거나 지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남성과 여성의 법적인 결혼을 통해 구성되는 가족의 형태도 크게 바뀌는 추세를 보인다. 결혼을 중심으로 하는 가족형태의 변화는 단순한 가족형태의 변화를 넘어서서 사회 전체를 지배하는 사회문화적 가치관의 변화로 이어진다. 법적인 혼인상태에 있는 배우자가 아닌, 연인이나 사귀는 것까지 포함한 다양한 사회적 관계로 이루어진 사람들 사이에서도 사랑과 의존, 통제와 폭력, 성관계가 이루어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의 변화를 감안할 때, 여성폭력의 가해자를 좀 더 다른 시각에서 바라볼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전에는 가족관계에 있는 배우자에 의한 폭력인가의 여부가 가해자 유형을 파악하는 중요한 기준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여성폭력도 이러한 유형에 따라 크게 가정폭력과 성폭력을 여성폭력의 두 가지 축으로 보는 시각에서 좀 벗어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결혼을 중심으로 가족 내의 가족구성원에 발생하는 폭력은 「가정폭력처벌법」에 의해, 그리고 성폭력은 「성폭력처벌법」과 「형법」 등 여러 가지 법률안에 처벌 규정이 있다. 그러나 개별법에서 정의되고 있는 여성폭력의 개념과 유형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글을 통해 개별적인 하나하나의 여성폭력을 넘어서서 보다 전체적인 시각에서, 여성폭력의 개념을 파악하는 동시에 여성에 대한 폭력을 유형화 하고, 이와 관련하여 여성폭력 통계조사의 한계점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Following the Me Too movement, social interest in violence against women has increased, and the soci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issue has also been rapidly changing. The necessity of the following has been pointed out: 1) reflect changes in the social context in which violence against women occurs, such as changes in values surrounding family relationships and sexuality, and changes in the form of violence against women, particularly in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and 2) to accurately identify the actual situa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In addition, in recent years, various factors have been causing the younger generation to give up or delay marriage. Accordingly, th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of a man and wife in marriage is undergoing significant change. The marriage-centered family type is changing. This change is not limited to change in family type. It leads to changes in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s that dominate society as a whole. Love, dependence, control, violence, and sexual intimacy are no longer limited to legally married couples. They occur in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including people in dating relationships. Given these changes in social relations, we need to look at the perpetrators of violence against women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Previously, the important criterion for identifying perpetrators was to check whether or not the violence was caused by a spouse. Thus, when categorizing violence against women, the conventional method has been to categorize cases largely into domestic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However, we have noted that relationship dynamics that were traditionally thought to occur only between married couples are now occurring in other various types of relationships as well. Consequently, the time has come for us to widen our perspective on how we view violence against women. In Korea, violence that occurs to family members in a marriage-centered family is subject to the Act for the Punishment of Domestic Violence. Sexual violence is punished by various laws such as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Of Sexual Crimes and Criminal Act.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laws differ in how they define the concept and types of violence against women. We need to avoid a fractured view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instead aim for a more holistic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1) identify how the different laws define violence against women and 2)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categorize the wide range of cases of violence against women.

      •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Ⅱ) : 다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정책·사회적 실천 현황과 발전 방향

        장미혜(Mi-Hye Chang),김혜영(Hae-Young Kim),정승화(Seung-Hwa Joung),김효정(Hyo-Jeong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8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8 No.2

        The increasing scale and quickening pace of transnational migration and mobility have brought about increasing levels of social diversity in Korean society. These have led to growing concern and widening debate on the ways and means of coping with cultural differences. Thus, understanding the migration-diversity landscape and dynamics in Korean contexts requires simultaneous attention.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proposes a blueprint for multicultural policies in Korea. It does so on the basis of an examination both of current Korean policy, and of changes in mi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policies by European countries, as well as Singapore and Japan. It makes recommendations concerning children’s and civic education, demands on women, and social problems that have emerged during the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Two principal factors have impacted on this development. Due to mass unemployment and deprivation stemming from economic globalisation, the division of labour in light of occupational category in global level has emerged and this has been attributed to the massive demand for care work and unskilled work in industrialised nations that has brought labour force migration throughout the worlds. In addition, the influx of migrated women through their international marriage which contributes to protecting paternalistic nuclear family is the other factor considered as a solution of low fertility in Korea. Yet multiculturalism policies in Korea have not taken into account the social risks and costs stemming from the transition. Western societies that experienced this transition prior to Korea encountered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racial tensions, riots, foreigners suffering from unemployment, low incomes and slum conditions, social adaptation of second-generation immigrants, government’s social responsibility for their poverty. Korea needs to develop multicultural theories and policies that accommodate both Korean social characteristics and an understanding of Western examples. However, the strong assimilation policy approaches emphasising the integration of immigrants into Korean society has not suggested new perspectives on differences and diversity. Despite the Korean government’s position on multiculturalism, discrimination against immigrants persists. Unregistered migrant workers are simply not considered under a migration policy that thinks in terms of legal and illegal foreigners. In this respect, Korean multicultural policy consists in ensuring cultural citizenship, rather than labour citizenship. Thus women who immigrate to marry are well dealt with, but foreign workers are excluded. New multicultral policies have occasionally been suggested as solutions to social problems, such as low fertility, and labour shortage in specific industries. Furthermore, to date Korean multicultural policies have been in response to political requirements and problems, rather than produced through serious theoretical discussion and social debate. Thus a new, unconfused concept of multiculturalism needs to be produced.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e direction that must be taken for the multicultural empowerment of Korean society. This will involve constructing a basis for the realisation of universal human rights in the public sector through promoting the harmonious integration of minorities within the basic framework of mainstream Korean society and finding political alternatives for recognising the cultural diversity of the minority. As racial and cultural diversity has grown in parallel with increased immigration, multicultural empowerment, which responds to bias and discrimination in daily life, and treats different cultures with tolerance, has come to be considered as the new value of civil society. Multicultural policies are not limited to consideration for, and integration of, minorities. The process of new multicultural empowerment will be accomplished by recognising tha

      • KCI우수등재

        문화자본과 소비양식의 차이

        장미혜(Chang Mi-Hye) 한국사회학회 2001 韓國社會學 Vol.3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소비양식에 미치는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의 상대적 효과를 비교해보는데 있다. 문화자본에 대한 기존의 경험적인 연구들은 소비양식에 미치는 경제자본의 효과는 무시하고 문화자본과 소비형태 사이에 관계를 규명하는데만 초점을 맞추어왔으나, 소비양식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경제자본이 소비양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은 모두 소비에 동원되는 두가지 자원이기 때문이다. 다중회귀분석결과 문화자본과 경제자본의 효과는 각 소비 영역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서 의복이나 음식이나 주택의 인테리어에 대한 선택에는 문화자본보다는 경제자본이 보다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선호하는 음악이나 여가형태에는 문화자본이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다양한 소비양식에 미치는 문화자본의 효과에는 영역별 차이와 더불어서 세대별로 차이가 존재함이 밝혀졌다. 연령별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서 문화자본의 영향력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해본 결과 부모의 문화자본은 나이든 세대에게는 별다른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나이든 세대일수록 소비양식은 경제자본보다는 문화자본의 보유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반면에 50대 미만의 보다 젊은 세대들의 소비양식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문화자본의 영향력은 훨씬 큰 것으로 밝혀졌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compare relative effect of economic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on modes of consumption. Most previous empirical studies of cultural capital ignore the effect of economic capital on consumption and concentr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style of consumption. But I think both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are a two resource of consumption. First the regression models differ with respect to the size of the effect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in each field of consumption. More specifically the effect of cultural capital is larger in the choice of what kind of music, leisure. Second I tested for differential effect of cultural capital between the older generation and the younger generation. The parental cultural capital on consumption has a less significant effect on taste of consumption in the older generation in contrast with the younger generation. The patterns of consumption of elderly people are much more dependents of economic capital than cultural capital. Given previous findings of the effect on cultural capital in Western society, the effect of cultural capital is exaggerated, But this finding does not mean that there is no effect of cultural capital on consumption in Korea. Rather cultural capital is more beneficial to younger generation.

      • KCI등재

        사회계급의 문화적 재생산

        장미혜(Chang Mi-Hye)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4

        이번 연구에서는 부르디외의 이론에 기초해서 부모의 사회적 계급과 자녀의 교육적 성취사이의 관계를 중재시켜주는 문화자본의 역함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2001년도에 775 사례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에 토대를 두고 부모의 문화자본은 계급이나 성, 거주지, 교육년수와 같은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뒤에도 대학생들의 수학능력 시험성적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밝혔다. 부모의 문화자본을 고급예술에 대한 취향과 인지적 능력이라는 요인으로 구분해보았을 때 그 중에서도 인지적 능력의 형태를 통해서 드러난 문화자본이 고급예술에 대한 취향으로서의 문화자본보다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자본가계급출신의 아버지보다는 중간 계급출신의 아버지일수록 부모의 문화자본을 통해서 자신의 계급적 특권을 자녀에게 세대간 전수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여진다. 결과적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사회적 과정에서 개개인의 능력과 노력이 주요한 기제이기는 하지만, 한국사회에서도 교육을 통해서 사회적 위계관계가 문화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rawing on Bourdieu's work on cultural capital, this article studies the role of cultur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ocial class and educational attainment. Using a survey data of Korean college students(N=775), parental cultural capital as cognitive abiliti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al attainment controlling for parents' class and education, sex, residence. The author effort to assess the effect of the kinds of parental cultural capital defined as the content of highbrow cultural taste, cognitive abilities on student ability test. Analysis of data shows that parental cultural capital as cognitive abilities positively affects students' educational attainment more than highbrow cultural taste. At the same time, middle class fathers' cultural capital play more important role to convert their class advantag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an bourgeois fathers. While student ability and effort are the major mechanism in social selection, the analysis finds cultural reproduction of the social hierarchy through schooling in Korea.

      • KCI등재
      • 여성의 생애주기별 안전강화를 위한 정책과제(Ⅰ) : 가정과 생활공간에서의 여성안전을 중심으로

        장미혜(Mi-Hye Chang),동제연(Cheyon Tong),정지연(Jiyoun Jeoung),이주호(Ju-Ho Lee),전혜진(Hyejin Jeon)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른 안전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중요한 부분은 여성들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과 생애주기별로 필요로 하는 적절한 안전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국가적 재난사고 및 각종 생활안전사고의 발생으로 여성들의 안전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여성들에게 있어 실생활에서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는 안전교육 및 훈련의 기회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실태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정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생애주기별 여성 안전에 대한 현황파악과 정책요구도의 발굴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대다수 여성들이 그들의 주생활공간인 가정에서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식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설문문항을 개발하고 경험적인 자료에 근거해서 일생생활에서의 안전역량의 성별 격차가 존재하는지 밝혀 보고자 한다. 나. 연구의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주기별로 일상생활에서 여성들이 빈번하게 경험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분석한다. 둘째, 여성안전실태조사를 통해 여성들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교육경험과 요구도를 생애주기별로 파악할 것이다. 셋째, 여성안전지수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작업을 진행한다. 일상생활에서 여성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수화하여 생활영역별, 생애주기별 여성안전이 비교 가능하도록 한다. 넷째, 여성의 생애주기별 안전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안전교육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고 안전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2. 연구 내용 및 연구방법 가. 연구내용 □ 이 연구에 포함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론인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 내용 및 방법 등을 소개한다. 이후 국내외의 문헌과 사례를 바탕으로 여성안전 및 안전교육 현황과 안전교육 정책 그리고 여성안전지수 관련 자료들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수행한다. 2부에서는 국민안전처에서 제공하고 있는 안전교육콘텐츠를 성인지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안전교육 전문가들의 FGI 분석 결과를 통해 안전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3부에서는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실태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분야별 안전현황의 성별차이 및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부모의 안전인지 및 교육현황 그리고 노인의 안전인지 및 교육현황의 성별 차이 등을 분석하여 안전교육의 사각지대에 위치한 집단을 규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4부에서는 종합적으로 일상생활공간에서 생애주기별 여성의 안전강화를 위한 정책과 여성안전교육의 효율적 시행을 위한 방안을 제언한다. 나. 연구방법 □ 이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 여성안전지수개발, 여성안전실태조사, 전문가 FGI, 국제포럼 등을 시행하였다. 문헌연구는 여성이 생애주기별로 경험할 수 있는 가정과 생활공간에서의 위험에 대한 국내외의 학술논문, 정책보고서, 통계자료 등을 검토하였다. 여성안전지수와 관련하여 국내외에서 개발된 안전관련 지수(지표)들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안전교육의 실태와 일반 시민들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안전교육을 파악하기 위해 생애주기별 여성안전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여성의 생애주기별 안전교육에 대한 개선점과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전문가 FGI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대만, 중국, 미국의 여성안전관련 전문가를 초청하여 여성안전정책에 대한 국제컨퍼런스를 개최하여 안전 전문 연구자들과의 여성대상 위험 대처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Ⅱ. 이론적 검토 및 국내외 정책사례 분석 1. 생애주기별 여성안전과 안전교육에 대한 기존연구 가. 생애주기별 가정과 생활공간에서의 안전 □ 여성안전 일반이 아니라 여성의 생애주기별 안전현황과 교육경험, 안전역량에 대해서 연구하게 된다. 생애주기는 한 개인이 태어나 성장 및 발달하고 죽음에 이르는 일련의 변화과정을 의미하며 이는 부분의 사람들이 생애주기를 기준으로 일정한 시기가 되면 유사한 현상 혹은 변화를 경험하게 됨을 뜻한다(김시월, 조향숙, 2014: 49). 한편, 개인이 생애주기에 따라 겪게 되는 경험 및 경험의 변화에는 위험 및 안전에 관한 문제가 포함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여성이 경험할 수 있는 위험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안전강화 방안을 강구하는데 있어 생애주기를 주요하게 고려하고자 한다. As the national desire for safety increases, the necessity to analyze risks and threats and provide safety policies accordingly has become important. In the Korean society, women, along with minors and the elderly, are considered vulnerable when it comes to safety. Additionally, as major activity areas change over one s life cycle, threat factors may change accordingly. Therefore, this study first identifies women s safety status and safety needs; through the identification, this study wishes to present safety strengthening measures according to a woman s life cycle. To identify the current safety status of women in Korea, this study first reviewed literature and case studies both in Korea and abroad in order to examine current conditions on women safety and safety education and also policies related to safety education. Next, this study analyzed the safety education contents currently being provided by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from a gender perspective. Then, the study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on women safety education with safety education experts as interview participant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safety education for women is lacking in Korea and thus the safety competency of women is low. Of the 1,711 safety education contents available, only 31 were for women, accounting for a mere 1.76% of the total contents. This figure showed that there was a severe lack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for women. In reality, there is also a lack of safety education programs and instructors specially geared towards women. Currently in Korea, the majority of required safety education comprises of those received by children and adolescents. Such lack of safety education for women leads to decrease of safety competency of women and absence of safety sensitivity. Moreover, lack of safety education for women may also act as a factor for decreasing safety competency of the children and adolescent who have received safety education. On another note, the vulnerability of safety competency in old age was taken into account. In old age, one gets vulnerable physically. Thus, the elderly are much more susceptible to safety accidents than in other stages of one s life cycle. Investig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women safety in Korea revealed that in terms of safety competency, elderly women scored lower in all areas when compared with their male counterparts. In addition, there is also a lack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for the elderly and such education is not easy to acces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policies as measures for strengthening the safety of women according to the women s life cycle. First, there is need to analyze in detail the various threats and risks women face in different life cycles. Such analysis can be conducted by generating risk statistics according to gender and according to life cycle. Additionally, to strengthen the safety competency of women and the elderly, safety education should be made more accessible by conducting programs such as school parent safety education and outbound safety education. To efficiently proceed with safety education, safety education contents will have to be continually developed for different situations and groups. Such contents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women and elderly. Along with development of contents, professional instructors who can provide the developed contents will also need to be trained and fostered through a safety education management entity (organization).

      • KCI등재

        가족: 계급과 성별 불평등의 또 다른 영역

        장미혜(Chang Mi-Hye)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2

        이 논문은 가사노동의 분담 속에 내재되어 있는 계급간의 격차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2003년 3월부터 4월 사이에 1200명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를 통해서 중간계급 가족과 노동자계급 가족의 가사노동시간과 시간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남성과 여성간의 성역할분담과 시간사용방식을 설명하는데 크게 두 가지 입장이 존재하는데, 자원이론적 관점에서는 개인에게 초점을 두고 합리적인 과정을 통해서 남성이 임금노동과 여성이 가사노동을 전담하는 방식으로 성역할분담이 결정된다고 본다. 반면에 성역할이데올로기로기적 관점에서는 특정한 성이 수행하는 역할을 이데올로기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입장 모두 가족이라는 사적인 영역에서 발생하는 계급 간 격차를 설명하지 못하고 여성의 계급적 경험을 적절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의 한계를 지닌다. 이번 연구에서는 노동시간, 가사노동시간, 자유시간으로 시간을 세 가지로 구분한 뒤 계급 간 및 계급 내에서의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노동자계급의 여성이 중간계급 여성에 비해서 가사노동을 많이 전담하고 있었으며, 보살핌 노동을 중심으로 중간계급 남성의 참여율이 증대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시간의 결핍감은 노동자계급 여성에 비해서 중간계급 여성이 더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번 조사결과는 계급간의 성별격차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시간사용량과 주관적인 시간에 대한 인식의 결과가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focus on the gap of class embedded in gendered division of labor. Based on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March to April in 2003(n=1,200), I examine differences of investments in household labor time and perception of time between middle class and working class family. There are two explanations of time use pattern and gendered division of labor between men and women. The relative resources explanation focus on the individual as subject and division of labor which men specialize in paid work and women in unpaid work is determined by a rational process. While ideology/sex role explanations conceptualize gender as static and sex role are determined by ideology. Both ideology/sex role explanations have common limitation in explanation of class gap in private sphere and are unable to adequately explain the way women experience class. In this study, I categorize time into three exhaustive and mutually exclusive categories as labor time, household labor time, and free time and compare women's difference between and within class. The result present that the greate portion of household chores such as cooking which has been women's duty are still conducted by women. And working class women spent more time in household labor than middle class women. In comparison to labour class, middle class men increasingly share in household chores as house cleansing, doing laundry with women. But the gender gap in the paucity of time is estimated to be much larger for the middle class women than for working class women. Therefor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analysis genderd time between class, both objective quantity of time consumption and subjective perception of time are included.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취업에 관한 스트레스 강도에 관한 연구

        장미혜(Chang Mi Hye),김세욱(Kim Se Uk)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01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olution to the employment-related stress of Junior College students after examining the employment-related stress intensity of Junior College students with stress factors to be occurred around Junior College students.<BR>  In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preceding studies, Junior College students have recognized sellective basis of their job as a means of displaying their ability. Also, they recognized special technique and ability to be important for the condition and method of employment, or promotion, so it was considered for a desirable view of profession to have been formed.<BR>  However, it was poor to get<BR>  After all, their stress appeared to build up due to discord to expectation of parents abont them, school facilities, and job after graduation by the above-mentioned factors.<BR>  Especially, we should think much of which their discord of job after graduation becomes a factor of stress, though the rate of employment of Junior College students has been far higher than 4-year university students.<BR>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important to rationally restore rel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which have become factor of stress.<BR>  Namely, students who feel not to be sufficiently prepared for their ability necessary for employment will have to continuously try to get license of qualification by improving skill for the short 2-year educational period, but it is necessary for school to continuously offer employment-related materials, and to satisfactorily secure and expand facilities and machines necessary for a major for rapid change of the present times.<BR>  Especially, if professors approach to problems of students through positive communication with students for effective guide of job, they can free their mind from anxiety related to employment.

      • 새 정부 여성정책 비전과 정책과제

        홍승아(Seung Ah Hong),문미경(Mee kyung Moon),장미혜(Mi Hye Chang),박선영(Seon Young Park),이미정(Mi Jeong Lee),김경희(Kyung Hee Kim),전기택(Ki Taek Jeon),김동식(Dong sik Kim),김수진(Su Jin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Gender and family policy issues are gaining renewed importance these days due to the recent social and economic changes, resulting shifts in the family. They have also broadened, as new issues and tasks have emerged. It is thus necessary to assess and revisit the gender/family policy environment general to identify the policy orientation, agenda and specific tasks for the new government. The status of women in Korea remains low despite the unrelenting increase in women s social participation in the past two decades. Korea ranked 116th in the World Economic Forum s 2016 Gender Gap Index(GGI), continuing its slide from 97th in 2007 to 107th in 2011. Moreover, the gender pay gap stood at 37% as of 2014, more than double the OECD average of 15%. Coupled with the persistent rise in female irregular workers, they illustrate the worsening polarization and job insecurity in the labor market for women. Rise in violence and crimes against women and gender inequality in policy making are also important factors keeping down women s social participation and Korea s rank in the Gender Gap Index. Dramatic changes are taking place inside the family as well. Persistent trends of low birthrate and population ageing, growing female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and increasing numbers of late marriage or non-marriage are causing gaps in family caregiving, resistance to the traditional forms of family or family life, and rising needs to accept new family culture. Increase in dual-income nuclear families keeps calling for more social support for family caregiving, in response to which the caregiving roles and responsibilities should be reshaped among the government, family and community. Diversification in the family structure is spawning new types of familial relations and memberships, raising the need to open up to new family structures and cultures. It is important to eliminate social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against different family types and memberships, and to spread a more inclusive concept of family that respects and embraces diversity. There are now beginnings of an alternative discourse on the family (which today is centered on nuclear family), and family values are also rapidly changing, necessitating modifications and broadening of the existing family policy. There is also the challenge of increasing women s participation and representa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al, public and private. In politics, there have been attempts to adopt female quota in the candidacy for National Assembly and local councils, but female representation still has room for improvement. Women s participation in public service has made headways through recruitment targeting (women s quota in public posts, gender-equal recruitment, etc.) but it, too, needs to be further improved. It is against this backdrop that this study offers the gender policy vision and tasks for the new government in 11 areas: labor, family, work-family balance, caregiving, women s representation, gender mainstreaming, safety, gender violence, health, law and peace and unification. 1.Achieve gender equality in the labor market by reducing gender pay gap 2.Implement active family policy as a response to changes in the family 3. Support gender-equal work-family balance 4.Strengthen caregiving support through government-family-community linkage 5. Mainstream gender to achieve gender equality in public policy 6. Secure effectiveness in female representation 7. Enhance gender-specific safety competency by life cycle 8. Eliminate gender violence loopholes 9. Strengthen assurance of women s rights to health 10. Strengthen gender-equal policy making through legislation 11. Pursue gender-sensitive unification policy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최근의 경제·사회적 환경의 변화와 가족의 변화로 인하여 여성·가족정책과 이슈들은 더욱 중요해졌으며, 동시에 새로운 이슈와 과제들이 대두됨으로써 여성정책과 이슈들은 더욱 확대되었음. 이에 여성과 가족을 둘러싼 정책환경을 진단하고 전반적인 재검토를 통하여 새 정부 수립과 함께 추진해야 할 여성정책의 정책방향과 주요 정책의제를 발굴하고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모색할 필요가 있음 ○ 지난 20여년간 여성의 사회참여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으나 한국사회 여성의 지위는 여전히 낮음.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발표한 최근의 성격차지수(Gender Gap Index)는 116위(2016년)로 2007년 97위, 2011년 107위에서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음(World Economic Forum. http://www3.weforum.org/ docs/GGGR2015. 2017. 7.20 검색) ○ 또한 2014년 기준 성별 임금격차는 37%로 OECD 평균 15%의 두배 이상임. 여성비정규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등 노동시장 양극화와 고용불안정은 더욱 심화되고 있음 ○ 여성에 대한 폭력, 범죄의 증가,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성불평등의 문제 역시 여성의 사회적 참여와 성격차지수를 낮추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음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노동, 가족, 일·가정양립, 돌봄, 성주류화, 여성대표성, 안전, 젠더폭력, 건강, 법, 평화·통일 등 11개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새 정부의 여성정책의 비전과 정책과제를 제시하고자 함 ○ 본 연구는 위 11개 영역의 원내 전문가의 협업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영역별 외부전문가를 초빙하여 자문회의를 거쳐 최종 원고를 완성하였음. 각 전문가의 원고는 기존 연구의 관련부분을 활용하여 작성하였음을 밝혀둠 2. 여성과 가족을 둘러싼 정책환경의 변화 가. 여성노동의 변화와 전망 □ 2000년 이후 여성 고용률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주요 선진국에 비해 여성 노동시장 현황은 여전히 저조함 ○ 여성고용 확대와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 해소를 통해 국가 경쟁력 강화와 저출산·고령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갈 적극적인 방안 필요 ○ 2015년 현재 우리나라 여성 고용률은 OECD 35개 회원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고 29위에 머물고 있음 □ 맞벌이가족의 증가로 일가정양립 지원수요는 더욱 증가 ○ 성평등 일가정양립으로의 전환 -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이용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그러나 성별 육아휴직 이용자 수는 여전히 여성에게 크게 편중되어 있음(남성 비율 8.5%, 2016) 나. 가족의 변화와 전망 □ 가족규모의 축소, 가족형태의 다양화 증가 ○ 핵가족은 전체 가구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 비율은 감소하고 있으며, 동시에 한부모가족, 다문화가족, 이혼 및 재혼가족, 1인가구, 비혼·동거가족 등 다양한 가족형태가 증가하고 있음 - 이러한 변화를 기반으로 통계청의 2035년 인구전망에 의하면 부부와 미혼자녀로 구성된 가족은 20.3%로 감소, 1인가구와 부부가구가 각각 34.3%, 22.7%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통계청, 2012) □ 가족형성의 지연과 안정적인 가족생활 유지의 어려움 ○ 교육, 취업 등으로 초혼연령이 상승하고 있으며, 만혼화 경향, 혼인율의 저하가 나타나고 있음. 동시에 취업, 주거, 가족부담은 가족형성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이에 가족관점에서의 저출산대응정책이 필요 다. 젠더폭력의 증가와 대응방안 □ 새로운 형태의 젠더폭력 증가 양상과 적극적 대응방안 강화 필요 ○ 여성폭력 및 젠더폭력을 규제하는 법률이 제정된 이후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졌고, 피해자 보호와 가해자 처벌을 강화하는 관련법과 제도가 제정되어 확산됨 - 성폭력,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 관련법 제정이후 피해자 지원을 위한 정부예산이 투입·확대되면서 피해자 지원서비스는 지난 20여년간 꾸준히 개선되었음 ○ 2004년 성매매특별법 도입 이후 “성매매 피해자” 개념이 등장하고, 이들을 지원하고 보호하는 제도와 서비스가 도입됨. 성매매 예방 및 탈성매매를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음 ○ 최근의 여성혐오, 새로운 형태의 젠더폭력 양상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적극적 대응방안 강화 필요 라. 성평등수준 변화와 전망 □ 우리사회의 전반적인 성평등 수준 제고 필요 ○ 여성가족부의 2016년 한국의 성평등보고서 에 의하면, 보건분야가 95.4로 성평등 수준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교육·직업훈련 분야, 문화·정보 분야, 복지분야, 경제활동 분야, 가족분야 순임. 성평등 수준이 가장 낮은 분야는 의사결정 분야, 다음은 안전분야임 - 2015년 분야별 성평등 수준을 2011년과 비교하면, 성평등 수준이 가장 많이 개선된 분야는 가족분야로 10.4p가 증가함. 그 다음은 의사결정, 보건, 복지, 문화·정보, 경제활동, 교육·직업훈련 순으로 개선되었으며 안

      • KCI등재

        40~50대 여성의 피부관리실 전문화장품과 일반화장품의 사용실태에 따른 인식도

        진란희(Ran Hee Jin),장미혜(Mi hye Chang)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1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2 No.1

        This study is aimed at looking into usage of professional cosmetics in skin care parlors and ordinary ones used by women in their 40s and 50s, suggesting ways to use professional cosmetics and directions after analyz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professional cosmetics. I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390 women who have used both professional and ordinary cosmetics from April 5 to April 25 this year and collected 384 questionnaires. I finally used 377 copies excluding those questionnaires whose responses were unfaithful.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treated by SPSSWIN 12.0. I conducted the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about the influence of cosmetics prices on cosmetics assessment and the Chi-square Test (χ2) about awareness according to features of cosmetics, differences in usage and what to be improved and complimented. Users of professional cosmetics choose cosmetics depending on their effects, while users of ordinary cosmetics choose products depending on their suitability for Korean people's skin. Users of professional cosmetics pointed out high prices as a weak point, while users of ordinary cosmetics pointed out skin troubles as a weak point. Users of professional cosmetics thought that their prices had to be lowered, while users of ordinary cosmetics thought quality of the products had to be improved.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tudy, makers of professional cosmetics should establish a service system satisfying consumer demands by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parts of their products which consumers were less satisfied with than ordinary cosm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