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남성 육아휴직과 기업의 조직문화

        홍승아(Hong, Seung Ah)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8 젠더와 문화 Vol.11 No.1

        이 글은 남성의 육아휴직 이용경험에 대한 질적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남성 육아휴직 이용에 있어서 조직문화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성의 육아휴직 이용경험은 휴가신청에서부터 상사의 적극적인 만류와 생계부양자로서의 책임에 대한 질책 등으로 어려움이 있었고, 복직후 업무배치, 승진 등에서의 조직 내 불리한 경험이 있었으며, 이러한 경험은 조직 내에서 육아휴직 이용자에 대한 불이익을 암묵적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 활성화를 위해서 직장내 가부장적 조직문화와 상사의 태도변화, 사내규정 제도화와 조직문화의 변화 등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past and present experiences of fathers undertaking Parental Leave, based on qualitative data obtained from a number of subjects. I investigated how the culture of workplace supports or discourages fathers from taking advantage of their rights, by examining how parental leave usages are affected by the organization. The supervisors are important agents who discourage fathers to use parental leave. and the organizational experiences are not favorable in matters such as job posting and promotion. Finally, in order to promote the use of parental leave for men, this paper proposes changes in the patriarch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attitude of superiors, along wit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l regulations, and changes in organizational culture.

      • KCI등재

        의문사의 기능 확대 용법

        홍승아 ( Hong Seung-ah ) 한민족문화학회 2018 한민족문화연구 Vol.63 No.-

        의문사는 원래 그가 속한 문장을 내용 의문문으로 만드는 요소이다. 그러나 의문사는 대개 미정사로 기능을 확대하면서 여러 가지 용법을 보이는데, 서구어의 문법적인 의문사와 달리 한국어에서는 의미 특성과 관련지으며 파생 확대가 좀더 자유로울 수 있다. 의문사는 단순 의문사와 단순 미정사 외에도 담화 표지, 의미의 추상화, 강조, 수사적인 일반 대명사 용법 등을 꼽을 수 있다. 또한 의문사는 부정사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이 가운데 단순 의문사와 단순 미정사 및 담화 표지로서의 의문사는 비교적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본고에서는 이 외에도 다양한 용법이 훨씬 더 많은 것을 찾을 수 있었다.의문사는 다른 단어들과 공기하여 관용구를 이루기도 하는데, 구성요소들의 의미가 투명한 연어적인 구성과, 의미에 파생을 경험한 숙어로서의 관용적 용법을 다 갖고 있다. 나아가 의문사는 기저 구조에 생략 성분을 설정하지 않는 하나의 문장/발화 단위를 한 단어로써 독자적으로 형성하기도 한다. 의문사 하나만으로 하나의 문장/발화의 단위가 되는 현상은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하나의 문법적 특성이라고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의문사가 여러 가지 기능 확대를 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가리키는 지시 대상이 구체적이거나 단정적이지 않은 의미 특성을 가졌기 때문으로 보았다. Although interrogatives' role is making interrogative sentences originally, usually used as undetermined words and be expanded to various usage. The usage of interrogatives is divided into simple interrogatives and simple undetermined words, discourse markers and also used for meaning abstraction, emphasis, rhetorical pronouns and others. Also interrogatives do a role as indefinite words. There are many studies on interrogatives as simple interrogatives, simple undetermined words and discourse makers, there were more various usage found in this study.Sometimes interrogatives make idioms with other words, it includes collocational structure and idiomatic usage. Furthermore, interrogatives work like one sentence or an utterance in one word. This is one of distinguishing features of Korean Language. According to this study, functional expansion of interrogatives is because its referent has not specific or conclusive meaning.

      • KCI등재

        마그레브 아랍어와 프랑스어 이중언어 화자의 한국어 모음 지각 -아랍어권 학습자 분류를 위한 기초연구-

        홍승아 ( Hong Seung-ah ) 이중언어학회 2018 이중언어학 Vol.71 No.-

        This study aims to show the heterogeneity of native Arabic speakers based on their linguistic background. To this end, bilingual speakers of Arabic and French, from Morocco and Tunisia, were examined their discriminability of Korean monophthongs. Considering the facts that each colloquial Arabic has a distinctive vowel system, and the French vowel system is what they can exploit in common, we could hypothesize that either two groups have discrepancies in perceiving Korean vowel contrasts due to the dialectal effect or they show some commonalities based on French influence. Overall, the participants across the groups discriminated the contrasts accurately, but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perceiving /a-Λ/ and /o-u/ contrasts. The results are distinct compared to Arabic speakers from other regions(e.g., Egypt) in the previous study(Hong and Jun 2013). Although their higher sensitivity in common might reflect the French influence, the Arabic dialects are still involved in their perception of novel contrasts. This suggests that Korean learners from Arab region shall not be treated as a single community, but instead they need to be classified more carefully based on their linguistic background.

      • KCI등재후보

        열성경련의 지속시간과 경련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연구

        홍승아(Seung Ah Hong),김성훈(Sung Hoon Kim),이상락(Sang Lak Lee),김준식(Joon Sik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0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0 No.1

        목적:근래에는 열성경련과 저나트륨혈증의 연관성에 관한 많은 연구와 성인에서 오래 지속되는 비열성경련에서 말초혈액의 백혈구가 증가되는 것이 보고되어, 열성경련에서 경련 지속시간 및 경련횟수와 말초혈액의 백혈구 증가증 및 저나트륨혈증의 연관성을 연구함으로써 말초혈액의 백혈수 증가와 저나트륨혈증이 복합열성경련을 예측 인자가 될 수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1999년 4월부터 2001년 3월까지 열성경련으로 동산의료원 소아과에 입원하였던 223명을 대상으로 경련 지속시간 15분 미만과 15분 이상군, 하루 1회의 경련과 2회 이상의 경련을 가진 군, 초발경련과 누적 경련 횟수가 2회 이상이었던 군으로 나누어 내원 당시의 체온, 말초혈액 백혈구수, 혈소판수, 혈청 나트륨과 뇌척수액 소견을 t-test,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1)전체 대상 환아 263명 중 남아가 137명(61%), 여아가 86명(39%)을 차지했으며, 계절적 분포는 겨울에 83명(37.2%)으로 다른 계절보다 많았다. 2)경련 지속시간을 15분과 30분을 기준으로 나누어 혈청 나트륨치와 말초혈액의 백혈구수치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하루동안 열성경련이 1회 발생군과 2회이상 발생군 그리고 단독 발생군과 다발 발생군을 비교했을 때 혈청 나트륨치와 말초혈액의 백혈구수치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열성경련의 초발연령을 생후 9개월을 기준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떄 뇌척수액의 단백은 9개월 미만군은 76.3 mmg/dL이고 9개월이상군은 28 mmg/dL로 9개월 미만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었다(P<0.003). 5)경련 형태를 전신성인 경우와 국소성인 경우, 그리고 단순 열성경련군과 복합 열성경련군을 비교 했을 때 혈청 나트륨치와 말초혈액 백혈구수치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성인의 장기간의 발작이 말초 백혈구 수의 증가와 연관이 된다는 보고와는 달리, 경련 지속시간에 따른 말초 백혈구 수뿐만 아니라 혈청 나트륨의 변화도 관찰할 수 없었으며, 말초혈액 백혈구 수와 혈청 나트륨이 복합열성경련을 예측하는 인자가 될 수 없었고, 말초 백혈구 수는 열성경련의 원인질환을 밝히는데에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We studied the correlation of duration and frequency of febrile convulsion with peripheral leukocytosis and hyponatremia and identified whether peripheral leukocytosis and hyponatremia to be prognostic factors. METHODS: Two hundred sixty three children who admitted to Pediatric Department of Dongsan Medical Center for febrile convulsion from April, 1999 to March, 2001 were studied. We grouped patient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convulsion, daily frequency and total frequency. Body temperature on admission, leukocytes count, platelet count, serum Na level and CSF findings were analysed among the groups. RESULTS: Febrile convulsions occurred more ofthe in males(61%) than females(31%) and most frequently occured in winter(37.2%).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serum sodium concentration and peripheral WBC count among groups according to seizure duration.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seizure frequency. The protein concentrations of CSF were high in children who developed seizures before 9 months of age(P<0.003).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groups according to seizure types. CONCLUSION: When we compared each group, we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We concluded that peripheral leukocytosis and serum Na level are not predicting factors but they are helpful to find etiology of fever.

      • 가족형태 다양성 논의를 위한 사회적 기구 운영방안 연구

        홍승아(Hong, Seung-ah),최인희(Choi, In-hee),최진희(Choi, Jin-hee),유은경(Yoo, Eun-Ky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Ⅰ. 서론 □ 우리사회 가족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지금까지 전형적인 가족모델로 생각되고 있는 부부와 미혼자녀로 구성된 가족형태의 비중은 전체 가구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 비율은 감소하고 있다. 동시에 한부모가족, 다문화가족, 1인가구, 이혼 및 재혼가족, 비혼.동거가족 등 다양한 가족형태가 증가하고 있다. □ 가족가치와 가족관계에서도 다양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가족의 구성과 형태에 있어서도 개인의 선택과 기획에 의한 삶의 방식으로 만들어나가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으며, 결혼은 더 이상 인생의 필수 과업으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Ⅱ장 참조). ○ 통계청 사회조사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 에 대한 응답률이 1998년 33.6%에서 2014년 14.9%로 지난 16년 동안 무려 18.7%p 나 낮아져, 결혼의 당위성은 크게 감소하고 있다. 또한 이혼이나 재혼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도 수용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국제결혼이나 동거 등에 대한 사회적 시선도 수용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 이에 기존의 표준가족모델, 보편적 가족모델에 기반한 고정된 가족개념과 가족정책의 틀을 넘어서서 가족정의와 가족정책의 틀을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부모가족, 다문화가족, 재혼가족, 입양가족, 국제결혼가족, 1인가구, 동거가족 등 다양한 유형의 가족들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인정하는 사회적 수용성을 확대하고 이들에 대한 편견 및 차별을 해소하는 것이 필요하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가족형태 다양성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사회적 논의의 장(場)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된다. 다양한 가족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제고와 공감대 확산을 위한 사회적 논의기구를 설립하고 운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가족변화와 가족형태 다양성의 증가 □ 우선, 가족의 형태별 분포 추이 및 전망을 보면 핵가족은 여전히 전체 가족의 일반적인 모습을 띠는 가운데 핵가족 내부 구성에서는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부부와 미성년 자녀로 구성된 가족형태의 비중은 여전히 전체 가구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크게 감소하고 있다. 이 비율은 1990년 58.0%에서 2010년 49.4%, 2020년 41.1%로 지속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 2012). 대신 부부가구의 비율이 1990년 9.3%에서 2015년 21.8%로 크게 증가하였고, 한부모와 미혼자녀로 구성된 가족도 1990년 8.7%에서 2015년 15.0%로 증가하였다(통계청, 2010, 홍승아 외, 2015a: 49∼55에서 재인용,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가족구성의 변화는 결혼과 출산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서 중요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한편으로는 결혼을 통하여 가족을 구성하는 가족형성 시기가 지연되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결혼이나 가족이라는 제도에 편입되지 않는 개인으로서의 삶의 방식을 선택하는 형태도 증가하고 있다. 즉 결혼이나 가족에 대한 가치가 절대적 가치에서 상대적 가치로 변화되고 있으며, 개인의 선택과 기획에 의한 삶의 방식으로 만들어나가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 우선, 결혼연령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2000년에는 평균 결혼연령이 남성 29.3세, 여성 26.5세였으나 이후 계속 증가하여 2015년 평균 결혼연령은 남성 32.6세, 여성 30.0세로, 남녀 모두 “30대 결혼” 연령시대로 접어들었다(통계청, 2015). □ 무엇보다 가장 큰 변화는1인가구의 증가 현상이다. 1인가구는 1980년에는 전체 가구 중 4.8%, 1990년 9.0%에 불과하였으나, 최근 급속도로 증가하여 2015년 전체 가구 중 27.2%를 구성하고 있으며 향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서(통계청, 2012, 통계청, 2016) 가족의 변화 중에서 주의 깊게 대응해야 할 정책적 대상이 되고 있다. □ 한부모가족은 지난 15년간 증가추세였으며, 향후 급속하게 증가하기보다는 현재의 비중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전체 가구 중 한부모가구의 비중은 2000년 7.8%에서 2010년 9.2%, 2020년 9.7%로 전망된다(통계청, 2012; 홍승아 외, 2015a: 52에서 재인용). □ 다문화가족수는 2007년 328,000명에서 2015년 818,000명으로 증가하였고, 전체 혼인건수 중 다문화가족 결혼의 비중은 2008년 11.2%에서 2010년까지 전체 혼인 중 10%를 유지하다 최근 들어 8.0%수준(2014년)으로 떨어졌다. 다문화가족의 출생자녀수도 2008년 2.9%에서 2014년 4.9%로 증가하였다(여성가족부, 2015). □ 한편, 국제결혼의 경우에는 1993년 전체 혼인 중 1.6%에 불과하였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5년 13.5%를 기록할 정도로 증가하였다. 이후 다시 감소하여 2015년 현재 전체 혼인 중 7.0%를 차지하고 있다(통계청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2015). Families in Korean society are changing rapidly. A traditional family consisting of parents and their unmarried children still accounts for the largest part of households in Korea; yet, its percentage has rapidly been diminishing in recent years. Simultaneously, a new type of family has emerged in Korean society: single-parents, multicultural couples, single-person households, divorced people, remarried couples, and cohabiting couples. These circumstances have brought about issues regarding children of divorced, remarried, international, and unmarried couples as society, immersed into the ideology of “normal families”, still regards legally binding marriages and blood relationships as being “normal.” Thus, as society is ushered into an era of family diversity, it is imperative that society understands and embraces the new types of families for the growth and socialization process of children from aforementioned households. Family values on marriage, divorce, remarriage, international marriage, cohabitation, and a single-parent are rapidly changing.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re particularly more receptive to changing family values than the older generations. As the diversification of family seems to be accelerated in the future, it is inevitable for society and individuals to accept changing family values. The diversification of families urges society to extend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family-the standard family model and universal model, and to expand the range of family policies. Society should seek to respect and embrace new types of families including single-parents, multicultural and reconstituted households, adoptive families, international married couples, single-person households, and cohabiting couples, as well as to offer various programs to improve social inclusiveness such as social education, campaigns, and discussion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intend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social discussions on responding strategies to family diversity, providing preliminary data to determine the optimal status of a social organization and to draw up specific plans to launch and manage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increase social inclusiveness of new types of families and broaden the social consensus of diverse family structures. To this end, this research is preceded by case studies of Korea and France, and experts workshops on social organizations at home and abroad. The suggestions made by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wo ways of managing social organization should be considered: 1) by the government that can tap into its strong motivation and momentum and 2) by private sectors that can raise questions on a broad range of issues regarding rights and discriminations and seek solutions through comprehension and agreement. Second, two directions can be considered for social organization and its research: 1) focusing on the identification of discriminations and bias against new types of family structures as suggested in the title of this study and 2) paying attention to extensive family issues not only on new family types but also on overall changes in family structures to design new family policies and cultures. Third, social organization should consist of members of the government, experts, religious groups, media, and other concerned parties.

      • KCI등재

        일ㆍ가정양립의 관점에서 본 유연근무제: 전략적 선택인가, 젠더 함정인가?

        홍승아(Hong, Seung-Ah) 한국가족학회 2012 가족과 문화 Vol.24 No.4

        이 글은 취업부모의 일ㆍ가정양립의 관점에서 유연근무제의 효과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재택근무와 원격근무를 이용하고 있는 취업부모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이들의 유연근무제 이용경험, 유연근무제에 대한 평가, 유연근무제 이용으로 인한 긍정적, 부정적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유연근무제의 이용경험은 일하는 여성의 취업중단의 위기를 극복하고 일과 자녀양육을 양립할 수 있게 하는 “전략적 선택”임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가족내 성별역할 분업을 강화하고, 직장내 불이익을 감수하게 하는 “젠더 함정”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남성의 경우에는 유연근무제 이용에 따른 일ㆍ가정양립의 완화효과나 가족생활의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고, 오히려 직장내 불이익의 문제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연근무제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서는 유연근무제 사용으로 인한 고용상의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는 제반 조치를 마련하고, 유연근무제를 남녀가 함께 사용하여 젠더차이를 줄이는 것과, 가족 내에서도 남녀 간의 평등한 역할분업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한 전제조건으로 요구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f Flexible Working on the working parents’ work-life balance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policy development. Based on the experiences of 15 working parents who are using flexible working (Telework and Remote working), I analysed what kinds of changes the flexible working had brought to their WLB. The experiences of using the flexible working show double-edged results. they chose it to benefit from the flexible working as part of ‘strategic choice’ to balance work and family life. But, at the same time, they also had to bear the risk of ‘gender trap’ which strengthen the gender division of labour in the family and fall to the less decent jobs in the labour marke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 suggest some policy suggestions; strengthening systematic and policy foundations of the flexible working, encouraging the shared using of flexible working, between genders, and transforming the gender division of labour in the family.

      • 1인가구 증가에 따른 가족정책 대응방안 연구

        홍승아(Seung Ah Hong),성민정(Min Jung Sung),최진희(Jin Hee Choi),김진욱(Jin Wook Kim),김수진(Su Jin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연구 범주 ○본 연구에서는 1인가구 증가현상을 가족변화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첫째, 1인가구의 증가현상에 따른 가족을 둘러싼 다양한 변화를 이해하고, 둘째, 1인가구의 생활실태, 가족관련 가치관, 정책수요를 파악하며, 셋째, 1인가구 증가에 따른 가족정책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1인가구의 다양한 구성 중에서 25∼44세 비혼/ 미혼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다. 이렇게 연구대상을 설정한 이유는 이들이 결혼과 가족을 둘러싸고 진행되고 있는 변화의 가장 중심에 있고, 변화 가능성이 높은 집단이므로, 가족변화의 관점에서 1인가구 이해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2. 연구내용 ○첫째, 1인가구의 증가현상을 가족변화 속에서 살펴보았다. 다양한 경로와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는 가족변화와 개인화, 생애과정의 탈표준화, 성평등과 결혼, 출산의 이슈 등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논의들을 통하여 1인가구 증가현상을 살펴보았다. ○둘째, 국내 통계자료의 재분석을 통하여 1인가구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가계동향조사(2006년, 2016년)를 통하여 1인가구의 성별 소득 및 소비실태를 분석하고, 생활시간조사(2004년, 2014년)를 통하여 1인가구의 성별 시간사용 특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1인가구의 생활실태와 결혼 및 가족관련 가치관을 살펴보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1인가구의 생활실태, 성 및 가족관련 가치관, 정책수요 등을 살펴보았다. 초점집단면접에서는 1인가구로서 생활하는 모습을 통하여 이들의 독립과 의존 문제, 일의 의미, 삶의 태도, 결혼 및 가족관련 의식과 태도, 가족 및 사회적 관계 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1인가구 증가에 따른 가족정책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 사회정책의 일부분으로서, 혹은 사회정책으로서의 가족정책이 1인가구 증가에 대하여 어떤 이해를 하고 정책지원이 필요한지의 문제를 가족변화 속에서 논의하고 살펴보았다. 3. 연구방법 □국내외 문헌연구 □통계자료 분석 □설문조사와 초점집단면접 조사 □KWDI 가족포럼 운영 □국제심포지움 개최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 Ⅱ. 가족변화와 1인가구 1. 국내외 통계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1인가구 수는 약 520만 가구로, 총가구 대비 27.2%를 구성한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전망에 의하면 2035년에는 1인가구는 총가구의 34.3%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서 1인가구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 2012: 10). ○한편, 1인가구의 내부구성은 젠더, 세대, 소득계층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고 있다. 1인가구 증가의 원인으로는 혼인율 감소, 만혼의 증가, 이혼, 별거, 고령화사회에서의 노인 증가 등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젠더와 세대로 구분해 보면 서로 다른 양상이 나타난다. -전체 1인가구의 성별 비율을 살펴보면, 2005년에는 남성이 44.7%, 여성이 55.3%를 구성하였으나 점차 남성의 비중이 증가하여 2015년의 경우 남성이 49.8%, 여성이 50.1%를 구성한다. -연령별로 보면 남성의 경우 30대∼40대까지 큰 비중을 보이지만, 여성의 경우에는 20대와 50대가 각각 15.4%, 15.3%로 비교적 높고, 다시 60대 이후가 높은 쌍봉형으로 나타난다. 여성 1인가구는 60대 이상이 가장 높은 비율(43.2%)을 차지하지만 최근에는 20대와 30대 여성 1인가구 역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서구국가의 경우 1인가구는 이미 30% 이상을 구성하고 있다. 스웨덴에서는 1인가구 비율이 59.4%, 덴마크 43.9%, 독일 40.9%, 프랑스 34.7% 등으로 나타난다. 이는 이혼이나 비혼 등을 이유로 1인가구를 구성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rom analyzing the trend of increasing one-person households from a family change perspective. Main finding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from a family change perspective, an increase in one-person households is not just a demographic response.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institutional and behavioral adaptations of families. This study addressed the issue of an increase in one-person households through various ongoing discussions such as family change and individualization, de-standardization of the life course, gender equality and marriage, issues in childbirth, and so forth. Although it differs from country to country, the main issues here are the progress in individualization of family and de-standardization. As a part of this change, there has been a delay in family formation, for example, late marriage and late childbearing or low fertility rate and various ways of forming a couple are increasing. Particularly in relation to family formation, many countries display lower mean age at first birth than mean age at first marriage. This means that institutional features of marriage have already weakened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nd childbirth is being weakened. Secondly,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households were examined through a reanalysis of national statistical data. First of all, through Household Survey (2006, 2016), earnings differences by gender and consumption of one-person households were analysed. Through Time Use Survey (2004, 2014), time-use patterns of one-person households by gender were analysed. one-person households have relatively lower level of income and consumption than two-or-more-person households.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one-person households are very vulnerable in terms of poverty and inequality, as more than 20% of one-person households were in lower deciles. From the analysis of Time Use Survey, following gender issue was found. Women from one-person households spent average 2 hours or more on work or study than women from two-or-more-person households, while spending less than 90 minutes on chores or childcare.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m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ne-person households and two-or-more-person households. Thirdly,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life-styles, marriage and family-related values of one-person households (25-44 years old) were as follows: 1) Most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ir economic status as below average. Their actual average living expense were KRW 980,000 which is mainly composed of followings; food(33.5%), housinge(23.1%), dining out(22.4%), transport and communication(5.9%). The most challenging socioeconomic issues faced by one-person households today are housing cost burden and issues of stable residence; 2) One-person households have more flexible attitudes towards marriage and sex-related values compare to others. In terms of marriage, male one-person households chose not to marry for economic reasons, while high proportion of female one-person households chose to be bihon (choose to not to wed). Also, they had a positive perception regarding premarital sex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cohabitation and remaining single.

      • KCI등재후보

        양육수당제도의 젠더효과에 관한 연구

        홍승아(Hong Seung Ah)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1 비판사회정책 Vol.- No.31

        ??오늘날의 복지국가는 신자유주의 경제논리, 저출산 고령화의 위협, 여성경제활동 증가 등으로 인하여 지난 30년간 기반을 두었던 전통적인 케인지언 복지국가로부터 새로운 방향설정을 요구받고 있으며, 이에 다양한 관계와 층위에서 복지재편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아동양육지원정책에 있어서는 재정과 서비스 공급의 문제를 재설계하고 재구성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한 가지가 양육수당제도이다.<br/> ??이글은 핀란드의 양육수당정책을 통하여 정책특성 및 정책의 젠더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양육수당제도는 초기 양육기에 부모가 아이를 직접 양육할 수 있도록 시간적인 배려와 함께 경제적 지원을 제공한다는 의의를 갖는다. 핀란드의 가정양육수당제도(Child Home Care Allowance, CHCA)는 3세 미만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에게 지급된다. 핀란드에서는 1985년제도 도입 이후 수급자 수는 증가하였으며, 양육수당제도는 가족지원정책의 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br/> ??연구결과, 양육수당제도는 부모의 양육노동에 대한 가치인정, 부모의 선택권 강화라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었지만, 주수급자가 여성이라는 점,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여성노동, 젠더역할의 문제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결과적으로 양육수당제도의 젠더효과는 여성의 노동권보다는 부모권을 지원하고 있으며, 장기간의 양육기간과 여성노동 접근권, 취업지속성의 관계는 상호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are two major policy systems on childcare financial assistance: Child Allowance and Childcare Allowance. These two policies are similar as they both provide cash assistance benefits while Child Allowance is a universal social benefits while Childcare Allowance is a cash provision paid to carer with some condi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attributes and gender effects of Childcare Allowance policy by taking a look at Finland’s case. Finland’s Child Home Care Allowance(CHCA) is provided to the parents with children younger than three years old, provided that they do not use the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lthough the number of its beneficiaries has increased continuously since the introduction in 1985, some negative effects have been observed such as its main beneficiaries are women and preventing women’s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The study results show that Childcare Allowance has more negative effects than positive ones: Although the Childcare Allowance recognizes the value of childraising labor and provides more options for the parents, it is shown to have more negative effects on women labor, the role of gender, and social stratification of women. As a result, the gender effect of childcare allowance system pressures women to go back to their traditional role of caregivers. Meanwhile, a more close attention is required for deter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aising period, right of access to the labor market, and continuous employment.

      • KCI등재

        장애와 젠더 :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 경험과 적응방식

        홍승아(Hong Seung-Ah),이영미(Lee Young-Mi) 한국가족학회 2009 가족과 문화 Vol.21 No.2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들이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현실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어려움들은 어떤 문제들이며, 어떤 적응방식을 가지고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아동기 자녀를 키우고 있는 14명의 장애여성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과 11명의 초점집단면접을 통하여 이들의 자녀양육 경험을 파악하였다. 여성장애인들은 장애를 가지고 양육을 해야 하는 물리적, 신체적 제약과 자녀양육 비용을 충분히 마련하지 못하는 경제적 빈곤의 문제, 사회적 편견과 차별 속에서 힘들게 자녀양육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들은 양육노동을 직접 수행하고 있었으며, 제한적인 현실 속에서도 나름대로의 적응방식을 가지고 자녀를 양육하고 있었다. 여성장애인 자녀양육에 가장 큰 지원이 되고 있는 것은 남편의 지원과 도우미지원서비스였다. 여성장애인들은 가사도우미, 학습도우미제도를 적절히 이용한 경우 실제적으로 큰 도움을 받았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이들은 어려운 양육의 현실에서도 자녀양육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었고, 부모역할은 자기정체성에 긍정적인 강화를 제공하고 부모로서의 보람과 긍지를 느끼게 되는 매우 긍정적인 경험이 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장애인의 양육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정책적 방안과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Childcaring has considered as a significant part of women’s lives. Due to aggravated challenges stemming from their disability, childcaring of disabled women should be more emphasised. In this sta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experiences of disabled women who are taking care of their children. The main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1) What is the considerable difficulties of disabled women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2) How do they handle their difficulties due to disabilities when they look after their children? and 3) What is the meaning and value of childcare to them? To accommodate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14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consisted of 11 disabled women with children. The women we met were making every effort to care their children with various practical ways to overcome their limits due to their disabilities. Based on the interviews, this study has found the main difficulties such as physical difficulties, financial problems, mobility constraints, etc. Nevertheless, they were taking care of their children independently with their own endeavour to overcome their limits rather than requiring their original families’ help. In particular, their husbands’ support and the "help services for disabled women" are vital solutions to bring their challenges to a settlement. In addition, the interviewees stated that their experiences of childraising allow them having positive self-identity, fruitful life and motherhood. In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s enhancing social support system to help disabled women’s childrearing and parenting on the basis of results from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social support system to support their childrearing might include: the expansion of the help service system for disabled women and car services for improving disabled parents' mobility and the implementation of services to help children’s outdoor activities or visit to hospitals, peer grouping for disabled parents and economic supports for their childrai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