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됨의 변화가 남녀의 무급노동시간에 미치는 영향

        정지연(Jiyoun Jeoung) 한국가족학회 2016 가족과 문화 Vol.28 No.2

        이 연구는 생애과정에서 자녀의 출산과 성장에 따른 부모됨의 변화가 여성과 남성의 무급노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 1차-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고정효과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됨의 변화는 여성과 남성의 무급노동시간에 다른방식으로 영향을 미쳤다. 첫째, 자녀 출산은 요일에 상관없이 여성의 무급노동시간의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남성에게는 출산이 평일의 무급노동시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주말의 무급노동시간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마지막 자녀가 학령기가 되는 미취학 자녀에서 취학자녀로의 변화는 여성의 무급노동시간을 감소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마지막 자녀가 성인자녀로 성장하는 취학 자녀에서 성인자녀로의 변화는 여성의 평일의 무급노동시간감소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여성과 달리 남성의 경우 미취학 자녀에서 취학자녀로의 변화와 취학자녀에서 성인자녀로의 변화는 토요일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급노동과 관련된 변수가 투입되자 유의미한 효과는 사라졌다. 따라서 생애과정에서 부모됨의 변화는 무급 노동시간의 변화에 성별로 다르게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즉, 부모됨의 변화는 여성의 무급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인 반면, 남성은 여성에 비해 부모됨의 변화로 인한 무급노동시간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결국 부모됨의 변화는 무급노동시간의 젠더화를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influence changes parents experience through childbirth and growth on hours of unpaid labour of men and women. To do this, resources from women family panels from the first to the third years as well as fixed effect model have been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nges caused by becoming parent have influences on hours of unpaid labour of men and women in different ways. Firstly, for women childbirth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increase in hours of unpaid labour regardless of days of week. On the other hand, for men this has no meaningful influence on hours of unpaid labour on weekdays but has on increase of hours of unpaid labour on weekends. Secondly, the changes caused by the youngest child going to school for the first time have meaningful influences on decrease of hours of unpaid labour for women. However the changes caused by the youngest child leaving school into adulthood have meaningful influence on decrease of hours of unpaid labour on weekdays. Thirdly, for men the changes caused by the youngest child going to school for the first time and leaving school have meaningful influence on decrease of hours of unpaid labour on Saturday. Thus we understand that the changes in parental role work as main factors to intensify gender difference in hours of unpaid labour as the changes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men and women.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에서의 아동돌봄과 모성의 재구성

        정지연(JEOUNG, JIYOUN)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사회과학논총 Vol.2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를 어린이집에 맡기는 여성들의 모성 인식과 모성 수행을 어머니들과 교사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심층면접 참여자들은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낸 어머니들이 전일제 모성을 수행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지니기보다 효율적인 자녀돌봄을 위해서 자녀와 떨어져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아동의 발달에 적합한 경험과 기회제공이라는 모성규범을 교사들이 수행하는 동안 어머니는 어린이집 활동에 대한 관리자 역할을 한다. 즉, 어린이집에서의 자녀돌봄은 기존의 전일제, 대면적 모성에서 탈피하여 시간제 모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강화하며, 어린이집에서의 아동의 활동참여에 적극 개입하는 전문가로서의 모성수행으로 전환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tructuring of motherhood and mothering following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children going to day care centers. In modern society, according to the ideology of motherhood, women are supposed to be wholly responsible for child care and provide the environment and activities necessary for child development. However, as the number of children being sent to day-care centers has increased. Mothers who send their children to day-care centers are not able to abide by the ideology of motherhood. In-depth interviews revealed that those interviewed thought that all-day child care is difficult and that to provide high-quality child care, time apart from the child is needed for the mother. In addition, while the mothers are aware that the many activities provided by the day-care centers are necessary for their children, they also play an active part in deciding which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hoice and age range of the child. Dur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 mothers interact with the day-care providers. As a result, young mothers accept extensive mothering, which mothers have positive views for child care at daycare center and manage the activities in terns of child development and children’s opinions.

      • KCI등재

        미혼모에서 좋은 엄마로 위치하기: 양육미혼모의 낙인 대응에 대한 연구

        정지연(Jeoung, Jiyoun),이미정(Lee, Mijeou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20 젠더와 문화 Vol.13 No.2

        본 연구는 미혼모의 자기인식과 가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낙인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살펴본다. 자신을 비정상적 모성으로 인식하던 미혼모들은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책임을 지려는 자신의 태도나 행동과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된다. 또한 이들은 차별과 배제 이외의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자신을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 여기며 낙인 기제인 정상가족 규범을 부인하고 자신의 가족을 다양한 가족으로, 자신을 좋은 양육자로 위치시킨다. 이는 소수자로서의 미혼모가 주체적으로 낙인에 대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혼모의 자기 비낙인화는 거시적 관점에서 사회적 비낙인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나 동시에 공고한 정상가족 규범으로 인해 미혼모 가족이 여전히 주변화된 가족으로 남아있을 가능성도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unwed single mothers respond to social stigmas by analyzing their perceptions of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Unwed single mothers who perceive themselves as providing abnormal motherhood find that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diverge from social expectations. Various positive experiences enable them to regard themselves as being equal to normal people, despit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Consequently, they tend to reject conventional family norms which stigmatize single motherhood. Instead, they perceive their families as diverse and position themselves as good caregivers, demonstrating that unwed single mothers who considered to be a minority that can respond independently to social stigmas. This self-destigmatization implies the possibility of social destigmatization on a macro level. However, it also suggests a possibility that the families of single mothers might remain marginalized due to the established norms of conventional families.

      • KCI등재

        장애인의 가족 내 주변화 경험에 대한 연구

        정지연 ( Jeoung Jiyoun ),김정석 ( Kim Cheong-seok ),허준기 ( Heo Jungi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4 한국사회 Vol.25 No.1

        장애가족에 관한 기존연구들은 이들이 겪는 사회적 배제와 차별, 돌봄의 문제에 집중해 오고 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가족성원간의 일상적 상호작용이 사적인 삶의 영역으로 간주됨으로써, 가족내 갈등과 적응의 양상은 충분한 사회적, 학문적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장애인이 일상생활을 해나가는 가운데 자신의 가족 성원과의 관계 속에서 느끼는 차별경험과 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장애인의 가족은 장애인을 지지하고 지원한다. 그러나 이들이 능력주의 가치관을 내면화하고 있을 때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이 동시에 나타나기도 한다. 장애인의 가족은 장애를 가장 가까이 경험하는 집단으로 장애에 대한 이해가 풍부한 반면, 비장애인 중심으로 운영되는 사회구조와 문화의 영향을 받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장애인은 장애가 없는 가족성원과의 일상 관계에서 미세한 차별과 주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총9명의 지체, 시각장애인을 심층면접하여 주제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은 가족으로부터 결혼이나 진학, 연애, 독립 등 비장애인과 같은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인정받지 못하며, 무능력하고 의존적인 존재, 가족에게 도움을 받아야만 하는 존재로 위치된다. 또한 장애인은 자신과 관련된 의사결정이나 가족관련 의사결정에서 지속적으로 배제되기도 하며, 장애를 부끄러워 하는 가족들로부터 함께 외출을 거부당하기도 한다. 이 결과들은 장애인의 가족이 비장애 중심주의 가치관을 내면화할 때 장애인은 동등한 가족구성원이 아닌 ‘장애’인으로 주변화됨을 보여준다. 장애인이 사회참여를 시도할 때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는 비장애인 가족 구성원들에게서 조차도 일상에서의 주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장애인이 겪는 사회적 배제가 가장 기초적이고 일상적인 부분에서조차 어떻게 나타나는지 장애차별의 양상을 다양하게 조명하여 설명하는데 의의가 있다. Previous literature on the famil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focused on the problems of social exclusion, discrimination, and care that they experience. As the daily interactions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family members are considered a private sphere of life, aspects of conflict and adaptation within the family have not received sufficient social and academic atten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discrimin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family members in their daily lives. Famil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elp and support the disabled person. However, when they internalize meritocratic values, discriminatory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sometimes appear at the same time. This is because the family of a disabled person is the group that experiences disability most closely and has a rich understanding of disability but is also influenced by the social structure and culture that operates around non-disabled people. Within this, people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subtle discrimination and marginalization in their daily relationships with non-disabled family members. This study conducted a thematic analysi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physically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The analysis revealed that disabled people are not recognized by their families as capable of leading the same lives as non-disabled people, such as marriage, higher education, dating, and independence, and are positioned as incompetent and dependent beings who need to be helped by their families. In addition, disabled people are constantly excluded from decisions that affect them or their families and are sometimes refused permission to go out with their families, who are ashamed of their disabilities. These findings show that when the family of a disabled person internalizes non-disability-centered values, the disabled person is marginalized as a 'disabled' person rather than as an equal family member. By showing that when disabled people try to participate in society, marginalization occurs in everyday life, even among non-disabled family members to whom they are most closely related, it shows how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disabled people is manifested in even the most basic and everyday aspects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 여성의 생애주기별 안전강화를 위한 정책과제(Ⅰ) : 가정과 생활공간에서의 여성안전을 중심으로

        장미혜(Mi-Hye Chang),동제연(Cheyon Tong),정지연(Jiyoun Jeoung),이주호(Ju-Ho Lee),전혜진(Hyejin Jeon)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른 안전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중요한 부분은 여성들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과 생애주기별로 필요로 하는 적절한 안전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국가적 재난사고 및 각종 생활안전사고의 발생으로 여성들의 안전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여성들에게 있어 실생활에서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는 안전교육 및 훈련의 기회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실태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정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생애주기별 여성 안전에 대한 현황파악과 정책요구도의 발굴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대다수 여성들이 그들의 주생활공간인 가정에서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식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설문문항을 개발하고 경험적인 자료에 근거해서 일생생활에서의 안전역량의 성별 격차가 존재하는지 밝혀 보고자 한다. 나. 연구의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주기별로 일상생활에서 여성들이 빈번하게 경험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분석한다. 둘째, 여성안전실태조사를 통해 여성들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교육경험과 요구도를 생애주기별로 파악할 것이다. 셋째, 여성안전지수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작업을 진행한다. 일상생활에서 여성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수화하여 생활영역별, 생애주기별 여성안전이 비교 가능하도록 한다. 넷째, 여성의 생애주기별 안전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안전교육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고 안전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2. 연구 내용 및 연구방법 가. 연구내용 □ 이 연구에 포함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론인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 내용 및 방법 등을 소개한다. 이후 국내외의 문헌과 사례를 바탕으로 여성안전 및 안전교육 현황과 안전교육 정책 그리고 여성안전지수 관련 자료들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수행한다. 2부에서는 국민안전처에서 제공하고 있는 안전교육콘텐츠를 성인지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안전교육 전문가들의 FGI 분석 결과를 통해 안전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3부에서는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실태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분야별 안전현황의 성별차이 및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부모의 안전인지 및 교육현황 그리고 노인의 안전인지 및 교육현황의 성별 차이 등을 분석하여 안전교육의 사각지대에 위치한 집단을 규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4부에서는 종합적으로 일상생활공간에서 생애주기별 여성의 안전강화를 위한 정책과 여성안전교육의 효율적 시행을 위한 방안을 제언한다. 나. 연구방법 □ 이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 여성안전지수개발, 여성안전실태조사, 전문가 FGI, 국제포럼 등을 시행하였다. 문헌연구는 여성이 생애주기별로 경험할 수 있는 가정과 생활공간에서의 위험에 대한 국내외의 학술논문, 정책보고서, 통계자료 등을 검토하였다. 여성안전지수와 관련하여 국내외에서 개발된 안전관련 지수(지표)들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안전교육의 실태와 일반 시민들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안전교육을 파악하기 위해 생애주기별 여성안전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여성의 생애주기별 안전교육에 대한 개선점과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전문가 FGI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대만, 중국, 미국의 여성안전관련 전문가를 초청하여 여성안전정책에 대한 국제컨퍼런스를 개최하여 안전 전문 연구자들과의 여성대상 위험 대처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Ⅱ. 이론적 검토 및 국내외 정책사례 분석 1. 생애주기별 여성안전과 안전교육에 대한 기존연구 가. 생애주기별 가정과 생활공간에서의 안전 □ 여성안전 일반이 아니라 여성의 생애주기별 안전현황과 교육경험, 안전역량에 대해서 연구하게 된다. 생애주기는 한 개인이 태어나 성장 및 발달하고 죽음에 이르는 일련의 변화과정을 의미하며 이는 부분의 사람들이 생애주기를 기준으로 일정한 시기가 되면 유사한 현상 혹은 변화를 경험하게 됨을 뜻한다(김시월, 조향숙, 2014: 49). 한편, 개인이 생애주기에 따라 겪게 되는 경험 및 경험의 변화에는 위험 및 안전에 관한 문제가 포함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여성이 경험할 수 있는 위험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안전강화 방안을 강구하는데 있어 생애주기를 주요하게 고려하고자 한다. As the national desire for safety increases, the necessity to analyze risks and threats and provide safety policies accordingly has become important. In the Korean society, women, along with minors and the elderly, are considered vulnerable when it comes to safety. Additionally, as major activity areas change over one s life cycle, threat factors may change accordingly. Therefore, this study first identifies women s safety status and safety needs; through the identification, this study wishes to present safety strengthening measures according to a woman s life cycle. To identify the current safety status of women in Korea, this study first reviewed literature and case studies both in Korea and abroad in order to examine current conditions on women safety and safety education and also policies related to safety education. Next, this study analyzed the safety education contents currently being provided by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from a gender perspective. Then, the study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on women safety education with safety education experts as interview participant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safety education for women is lacking in Korea and thus the safety competency of women is low. Of the 1,711 safety education contents available, only 31 were for women, accounting for a mere 1.76% of the total contents. This figure showed that there was a severe lack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for women. In reality, there is also a lack of safety education programs and instructors specially geared towards women. Currently in Korea, the majority of required safety education comprises of those received by children and adolescents. Such lack of safety education for women leads to decrease of safety competency of women and absence of safety sensitivity. Moreover, lack of safety education for women may also act as a factor for decreasing safety competency of the children and adolescent who have received safety education. On another note, the vulnerability of safety competency in old age was taken into account. In old age, one gets vulnerable physically. Thus, the elderly are much more susceptible to safety accidents than in other stages of one s life cycle. Investig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women safety in Korea revealed that in terms of safety competency, elderly women scored lower in all areas when compared with their male counterparts. In addition, there is also a lack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for the elderly and such education is not easy to acces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policies as measures for strengthening the safety of women according to the women s life cycle. First, there is need to analyze in detail the various threats and risks women face in different life cycles. Such analysis can be conducted by generating risk statistics according to gender and according to life cycle. Additionally, to strengthen the safety competency of women and the elderly, safety education should be made more accessible by conducting programs such as school parent safety education and outbound safety education. To efficiently proceed with safety education, safety education contents will have to be continually developed for different situations and groups. Such contents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women and elderly. Along with development of contents, professional instructors who can provide the developed contents will also need to be trained and fostered through a safety education management entity (organization).

      • 여성의 생애주기별 안전강화를 위한 정책과제(Ⅱ)

        장미혜(Mihye Chang),전혜상(Haesang Jeon),정지연(Jiyoun Jeoung),동제연(Cheyon Tong),임현(Hyun Im),노지연(Jiyeon Noh),임유미(Yumi Im),김상혁(Sanghyuk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Due to the increase of crime in public places, the level of women safety in the Korean society has been questioned at the fundamental level. Therefore, the public demand is increasing for the ne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women safety and to seek not temporary but long-term solutions. To meet such need, this study has been launched. It is a continuation of the study started in 2016 with emphasis on the family. In 2017, this study looked into the current status of women safety in public spaces and suggested measures for policy improvement. The research methodologies used are as follows: 1) literature review, 2) <Survey of Women Safety in Public Places> for quantitative research, 3) Focus Group Interviews for qualitative research, 4) project analysis by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5) hosting of an international forum. Public places refer to shared areas used by multiple people and include places such as playgrounds, schools parks, libraries, and museums. While accidents in public places can be a threat to anyone, women are more vulnerable to such accident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because they are more vulnerable physically. Currently in Korea, regulations and policies pertinent to safety in public places are scattered here and there in different laws and departments. The majority of such regulations and policies are limited in that their focus is only on facility maintenance. This study first analyzed press material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awareness for public places.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contents related to safety in public restrooms. The scope of the material analyzed was set to the year 2016. Analysis results showed the majority of counter-measures to be short-term and limited in scope. The measures only address adult women; discussions for females in their childhood and elderly stage in life were lacking. In case of serious crimes such as murder, the government was found to put more focus on punishing the perpetrator rather than paying attention to the victim. Also, more emphasis was put on ex post facto measures rather than prevention.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women safety in public plac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3,000 adult males and females over 19 years old. Specifically, 35 public place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7) categories and listed. Then,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answer the following for the places listed: use experience, risk level for safety accidents, experience of safety accidents, measures taken after safety accidents, and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The questions were posed according to life cycle. Survey results came out as follows: First, females showed a higher percentage than males when asked if they considered public places to be dangerous. Second, when having experienced a safety accident in a public place, both males and females showed relatively passive levels of action to prevent recurrence. Third, regarding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gender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all life cycle stages except old age. Thus, the survey confirmed the need to identify the different needs for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life cycle and gender. In addition, when developing and providing safety education, there is need to consider accessibility and field applicability. To identify safety awareness and experience of safety accidents and education, a Focused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women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Answers from the interview revealed that public rest rooms, streets, and public transportation were areas considered to most threaten the safety of women, children/adolescents, and the elderly. Additionally, the following areas were noted to pose risks of safety accidents - for women: underground parking lots, for children: shopping and leisure facilities such as department stores and large size marts, and for the elderly: public bathhouses.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2008년 이후 한국사회에서는 다양한 안전정책을 실시해 전반적인 여성의 안전수준은 향상되어왔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2016년 강남역살인사건이 발생한 뒤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의 수준을 반문하게 되었다. 많은 여성은 자신도 예외 없이 그리고 어느 공공장소에서든 혐오범죄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 이 사건은 공공장소에서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이 별도로 수립되어야 하는 이유를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 사건 발생이후에 많은 대책들이 나왔으나 여전히 단시간의 홍보성 대책들이 중심을 이루었다. ‘공중화장실법 시행령’ 개정을 통하여 신축 건물의 남녀 화장실 분리설치 의무대상의 범위를 확대하기로 하는 내용이 이러한 대책에 포함되어 있다. □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장소에 대한 시설기준을 개선하는 것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사후대책으로서의 안전정책은 미봉책 일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그동안 일시적인 대책으로서가 아니라 보다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여성의 안전의 현황을 파악하고 실질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하다는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배경 하에 2016년부터 가정과 생활공간(1차), 공공장소(2차), 직장(3차) 영역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시작되었고, 이번 2년차 연구에서는 공공장소에서의 여성 안전실태와 정책개선방안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 사후발생적인 대책이 아니라 사전예방이 중요하다는 사회적 공감을 기반으로 2017년 5월 30일부터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인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국민 안전교육 진흥 기본법?이 마련되었다. 다만 이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중이용시설에는 실생활에서 여성들이 경험할 수 있는 위험빈발장소가 상당수 누락되어 있고, 교육수행 주체도 시설관리자 중심으로 되어 있다. □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현황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조사된 바가 없어 이번 연구에서 처음으로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실태조사>와 심층면접, 전문가대상 FGI, 지자체의 안전정책 사례연구 등 가능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에서 여성이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공공장소의 유형을 제시하고 안전현황을 파악하였다. □ 마지막으로 앞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장소별 안전에 관한 행정조직과 법적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해서 살펴보고, 여성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이번 연구는 젠더적 관점에서 여성안전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밑거름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 연구 목적 □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주기별로 공공장소에서 여성들이 빈번하게 경험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분석한다. 위험요소 분석을 통해 생애주기에 따라 특정 공공장소의 위험정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둘째, 공공장소의 안전문제를 다른 최근의 언론 보도의 내용을 분석한다. 언론 분석은 본 연구에서 수행되는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실태조사> 및 사례분석, 정책적 제언을 함에 있어 사회적 배경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 셋째,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실태조사>를 통해 여성들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교육의 요구도를 생애주기별로 파악한다.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실태조사>를 통해 여성들이 인식하고 있는 공공장소에서의 위험 정도와 안전욕구를 파악할 수 있으며 위험에 대한 인식을 낮출 수 있는 안전정책을 제시할 것이다. □ 넷째, 공공장소에서의 안전교육을 주제로 한 정책과 교육현황을 파악한다. ‘시민안전파수꾼’ 제도를 대표사례로 분석하여 교육과정 전반에 나타나있는 성별요인과 사업 효과성을 파악하여 안전문제에 있어 여성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 다섯째, 일반 여성의 안전경험에 대한 분석과 안전교육 수요에 대한 전문가조사를 위해 관련자를 대상으로 FIG(Focused Group Interview, 초점집단면접)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안전교육과 관련 정책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안전강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 여섯째, 여성의 생애주기별 안전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안전정책을 제안하고 안전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현황, 실태조사, 콘텐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위험의 발생가능성을 감소할 수 있도록 여성안전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교육내용과 훈련의 방향성을 제공한다. □ 일곱째, 공공장소의 여성안전에 관한 현행 법령과 쟁점을 파악하여 법적 개선점을 제안하고 여성안전 정책강화를 위한 실효성 방안을 제시한다. 성인지적 관점에서 공공장소 안전교육 강화를 위한 현실적인 방안에 대해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