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고연색 백색 광원용 BaSi<sub>2</sub>O<sub>2</sub>N<sub>2</sub>:Eu 형광체의 광학·구조 특성 분석

        이성훈,강태욱,강현우,정용석,김종수,허훈,Lee, Sunghoon,Kang, Taewook,Kang, Hyeonwoo,Jeong, Yongseok,Kim, Jongsu,Heo, Hoon 한국재료학회 2019 한국재료학회지 Vol.29 No.7

        Green $BaSi_2O_2N_2:0.02Eu^{2+}$ phosphor is synthesized through a two-step solid state reaction method. The first firing is for crystallization, and the second firing is for reduction of $Eu^{3+}$ into $Eu^{2+}$ and growth of crystal grains. By thermal analysis, the three-time endothermic reaction is confirmed: pyrolysis reaction of $BaCO_3$ at $900^{\circ}C$ and phase transitions at $1,300^{\circ}C$ and $1,400^{\circ}C$. By structural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single phase [$BaSi_2O_2N_2$] is obtained with Cmcm space group of orthorhombic structure. After the first firing the morphology is rod-like type and, after the second firing, the morphology becomes round. Our phosphor shows a green emission with a peak position of 495 nm and a peak width of 32 nm due to the $4f^65d^1{\rightarrow}4f^7$ transition of $Eu^{2+}$ ion. An LED package (chip size $5.6{\times}3.0mm$) is fabricated with a mixture of our green $BaSi_2O_2N_2$, and yellow $Y_3Al_5O_{12}$ and red $Sr_2Si_5N_8$ phosphors. The color rendering index (90) is higher than that of the mixture without our green phosphor (82), which indicates that this is an excellent green candidate for white LEDs with a deluxe color rendering index.

      • KCI등재

        북핵 대응전략의 실효성 제고에 관한 연구: 강압전략의 조건과 방법의 연계를 중심으로

        이성훈 ( Lee Sunghoo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8 국방연구 Vol.6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강압전략의 관점에서 북핵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 방안들로 강압전략의 구성요소인 억제와 강요의 개념을 바탕으로 북한의 핵개발에 따른 이익거부, 핵무기 보유로 인한 비용증가, 순응시 이익창출의 기대감 조성을 제시하였다. 북핵 위기 사례에서 나타난 강압전략의 함의로 위에서 제시된 세 가지의 방안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야 그 효과성이 크게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첫째, 이익거부 측면에서 북한의 군사적 도발을 무력화 시킬 수 있는 한미동맹의 압도적 능력 구축으로 핵 개발시 갖는 이익을 거부해야 한다. 둘째, 비용증가 측면에서 북한 정권을 지향한 군사적 조치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또한 불안해진다는 역효과성이 크므로 미국에 그 실행의 불가함을 지속적으로 설득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핵화 완료시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재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해상 유류 환적이나 접경지역 밀거래, 원산지 위조 등의 제재 회피책을 방지하기 위해 국제사회와의 공조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이익창출 기대감조성 측면에서 유엔 차원에서의 대북 안전보장 선언, 북미관계 정상화, 남북 간 군비통제를 통해 북한의 안전보장에 대한 기대감 조성이 필요하다. 더불어 북한의 비핵화 조치가 되돌릴 수 없는 상태까지 왔을 경우 제재의 완화 및 해제를 함으로써 북한에 이익창출의 기대감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asures for resolving North Korea 's nuclear issue from the viewpoint of coercion strategy. Based on the concepts of deterrence and compulsion, which are the components of the coercion strategy, the thesis suggested that North Korea's denial of interest in nuclear development, the increase in costs due to the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and the expectation of profit creation in conformity. The implications of the coercion strategy in the cas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suggest that the three coercion methods should be combined to produce a greater effect. The first crisis depended on the expectation of profit creation through compensation. In the second crisis, the effect of the coercion strategy was not significant because it focused only on the cost increase. Therefore, the current government's strategy to 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needs to refrain from North Korea' s interest in the ineffectiveness of nuclear weapons, increase the cost of loss of fundamental profit due to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and profit generation in conformity.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organically link up the countermeasures such as the increase of costs represented by sanctions,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and the easing of sanctions, while strengthening the denial of North Korea's interests.

      • KCI등재

        조영석 작 〈조정만 송하안식도〉 연구: 초상화에 투영된 ‘은일(隱逸) 의식’

        이성훈 ( Lee Sunghoo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2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9 No.-

        〈송하안식도(松下安息圖)〉는 여러 선행 연구자들에 의해 언급되었던 그리고 그 제작 기록만 자세히 전하고 그 그림은 전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던 조영석(趙榮祏, 1686-1761) 작 조정만(趙正萬, 1656-1739)의 초상화이다. 이 그림은 18세기를 대표하는 문인화가 중 한 명인 조영석이 직접 그 제작 과정과 표현 의도를 자세히 소개한, 그가 그린 유일한 산수 배경의 초상화일 뿐 아니라 그가 자신의 선사(先師)인 이희조(李喜朝, 1655-1724)의 친우(親友)였던 조정만의 거듭된 부탁을 받아 성심성의껏 제작한 작품이란 측면에서 그의 대표작으로 새로이 조명될 수 있다. 〈송하안식도〉는 그 주인공인 조정만이 가졌던 은일·탈속 지향의 정신이 강하게 반영된 그림으로 분석된다. 조정만은 평생 관직 생활에 몸담으면서도 은일·탈속의 삶을 열망했으며, 이러한 열망을 때때로 그림이란 매체를 통해 드러내고 자 했다. 그 결과 그는 자기 주변의 몇몇 문인화가들에게 그림 제작을 번번이 부탁해 그들로부터 그림을 그려 받았다. 이 초상화는 바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완성된 그림이다. 조정만으로부터 초상화 제작 의뢰를 받은 조영석은 현실적인 듯하면서도 이상적으로 보이는 은거 공간을 구성하는 한편, 다양한 상징물들을 활용해 그 공간 안에 ‘아취 있는 일상과 탈속·은거의 삶’을 즐기는 조정만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재현함으로써 은거와 탈속의 삶에 대한 그의 염원 그리고 그의 고매한 정신과 일기(逸氣)를 표현하고자 했다. 따라서 이 그림은 조영석이 그 주문자가 요구한 사항들을 단순하게 반영해 완성한 초상화로 한정해 볼 수 없다. 18세기를 대표하는 문인화가로 평가되는 조영석은 명대(明代) 문인화단을 주도했던 오파(吳派) 화가들의 회화 제작 경향과 사상을 수용하고 또한 명나라 말기 중국의 산수 배경 초상화의 도상과 표현 방식을 충분히 인지한 바탕 위에서, 또한 조정만이 지향하고 염원했던 것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토대로 이 그림을 그렸다. 〈송하안식도〉는 18세기 초 한 문사(文士)의 ‘은자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그와 그의 의뢰를 받은 한 문인화가가 어떤 노력을 펼쳤으며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 준다. 이런 측면에서 이 그림은 18세기 초 이후 유행했던 산수 배경의 초상화나 사인풍속화(士人風俗畵)의 성격과 그 내용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The painting Resting Under the Pine by Jo Yeongseok (1686-1761) is a portrait of Jo Jeongman (1656-1739), which was previously believed not to have survived until the present day, although there are detailed records of its production. This work of Jo Yeongseok,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literati painters of 18th-century Joseon Korea, is currently his only portrait featuring a landscape background. Furthermore, there is a precise account of the process and of the intentions behind its creation that is found in one of the artist’s writings. After repeated requests from Jo Jeong-man, who was a close friend of his teacher Yi Huijo (1655-1724), Jo Yeongseok must have executed this painting with utmost sincerity. Therefore, it needs to be examined anew by highlighting that it is a masterpiece of the artist. Resting Under the Pine is analyzed as a remarkable painting strongly reflecting the sitter’s wish for reclusion and freedom from social conventions. While dedicating his entire life to public service, Jo Jeongman longed for a life in reclusion, and occasionally turned to express this desire through the medium of painting. Thus, he often asked literati artists to paint different genres of paintings for himself and received several from them. This portrait originates from such a context. On the one hand, Jo Yeongseok, whom Jo Jeongman commissioned for a portrait, presented a place of retreat in the painting that seems realistic while also idealistic. On the other hand, he used diverse symbols to depict the sitter enjoying “days of refinement and a reclusive life far away from the vulgar world” in order to express his yearning for reclusion as well as his noble mind and detached spirit. In doing so, the painter responded to Jo Jeongman’s wish that the refined lifestyle he pursued throughout his life would be remembered and passed on forever. Consequently, this work cannot be considered a portrait simply mirroring what was requested by the client. Jo Yeongseok embraced the painting methods and ideas of the Wu school, which led the Chinese literati artist circle during the Ming dynasty (1368-1644). Correspondingly, he created the portrait with sufficient awareness about the iconography and style of portraits with landscape backgrounds derived from late Ming paintings. In addition to that, he fully understood what his client, a Confucianist and government official, was aspiring and longing for. After all, Resting Under the Pine demonstrates in detail what process and what efforts a Joseon literati painter had to go through at the beginning of the 18th century, when a scholar asked the painter to create his portrait as the image of a recluse. In this regard, this portrait can be evaluated as an important work for comprehending the character and content of portraits with landscape backgrounds as well as genre paintings of literati life that became popular after the early 18th century.

      • 고성능, 저연비 카파 1.0L3기통 가솔린 엔진

        이성훈(Sunghoon Lee),구영삼(Youngsam Gu),신보성(Bosung Shin),최수길(Sukil Choi),이재용(Jeawong Yi),김광환(Kwanghwan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1 No.5

        This paper describes Kappa 1.0L 3-cylinder gasoline engine that Hyundai has developed for small cars lately. This engine has been installed in small passenger cars named “i10”, “All new morning” etc. since November 2010. These cars are sold in global market including Korea, Europe, etc. Newly developed Kappa 3-cylinder engine is achieved not only the best-in-class performance but also highly improved fuel economy at practical driving condition compared with existing engine for satisfying the customer’s need. It is developed for various fuels, such as LPi-Bi-Fuel and FFV. It copes with emission control regulations in many countries and achieves the best-in-class fuel economy, NVH performance and lightweight. Kappa that is an in-line 3 cylinder DOHC 12 valves engine with D-CVVT technology is new developed engin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engine. Major items for technical highlights are as follows -Dual CVVT and VIS for improving performance -Dual CVVT, offset crankshaft, ISG and reduced number of cylinder from 4 to 3 for improving fuel economy -Applying a ladder frame for reinforcing the tightening stiffness between an engine and a transmission and mounting accessory parts on the engine directly for improving its stiffness. -Optimized catalyst jewelry loading and valve timing for coping with the strict emission control regulations -Timing chain for improving dur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숙종 대 초상화 제작과 ‘닮음’의 구현

        이성훈 ( Lee Sunghoo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3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31 No.-

        초상화란 어느 특정 인물의 모습을 재현한 그림 장르로 정의될 수 있다. 그 결과 초상화 제작에는 ‘닮음(likeness)’이란 요소를 구현하는 것이 반드시 요구된다. 초상화를 보는 사람은 화가가 주인공의 외형을 실제 모습과 비슷하게 재현했을 뿐 아니라 그의 성격, 개성 등의 내적인 면모까지도 아울러 표현했다고 느꼈을 때 비로소 그것을 그를 ‘닮게’ 그린 그림으로 인식하게 된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닮음’의 구현을 자신들이 주문한 초상화 제작의 가장 우선적인 목표로 삼았음은 그들이 초상화 제작 시(時)마다 ‘외형을 그대로 본뜰 뿐 아니라 정신을 전한다’는 뜻의 ‘전신사조(傳神寫照)’를 거듭 중요시했던 사실에서도 미루어 알 수 있다. 초상화 장르가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했던 시기는 대략적으로 숙종(肅宗, 재위 1674-1719) 대와 겹친다. 이 시기에 국왕 숙종을 비롯한 명망 있는 학자 및 고위 관료들은 초상화가 가진 다양한 기능과 효용성에 주목하며 초상화 제작에 이전에 없던 관심을 쏟았다. 이때 그들은 화가에게 무엇보다 그 주인공을 ‘닮게’ 재현하는 것을 요구하였다. 화가들도 다양한 초상화 표현 기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시도함으로써 초상화에 대한 그들의 요구에 부응하였다. 평양 출신의 조세걸(曺世傑, 1635년경-1704년 이후), 김진여(金振汝, 1675-1760) 그리고 도화서 소속의 진재해(奏再奚, ?-1735 이전) 등 숙종 대를 대표하는 초상화가들은 중국의 초상화 기법 및 서양화법 등 새로운 초상화 양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한편, 전통적인 초상화풍을 계승하여 자신만의 고유한 양식을 창안하였다. 이는 이전 시기에 초상화 제작을 주도했던 화가들이 대부분 도화서 소속이었던 것, 그들이 유사한 양식을 공유했던 것, 아울러 각 시기마다 정형화된 초상화 형식이 유행했던 것과 대조된다. 그 결과 사대부들과 화가들은 대상 인물을 핍진(逼眞)하게 재현하는 것이 더 이상 불가능하거나 무모한 일이 아니라는 것을 자각하게 되었다. 숙종 대 바로 직전 시점까지 초상화 제작이 크게 위축되었던 주요한 요인 중 하나는 사대부 간에 넓게 퍼져 있었던 초상화에 대한 고정된 인식이었다. 그것은 해당 시기에 기량이 뛰어난 화가가 없어 주인공이 ‘닮게’ 재현된 초상화가 제작될 수 없었다는 통념이었다. 17세기 말에 <태조어진>의 이모를 추진할 때마다 대신들이 사업을 반대하는 명분으로 내세웠던 것이 바로 이 논리였다. 조선시대에 사대부들은 대상 인물이 ‘닮게’ 그려진 초상화를 제작하게 되면 그것을 바로 ‘그’로 여길 수 있고 그것을 그의 ‘대체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여겼다. 결국 숙종 대 이후 초상화 제작 사례가 급증하고 초상화를 봉안한 생사(生祠), 영당(影堂), 서원 등 초상화를 봉안 대상으로 한 사우(祠宇)가 전국적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고 많은 사대부들이 이들 사우를 방문해 봉안된 초상화를 첨배(瞻拜)했던 것도 바로 초상화를 닮게 그리는 문제가 해결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A portrait can be a work of art that represents a unique individual, but achieving a likeness is a most important requisite of a good portrait. The person who looks at a portrait recognizes a likeness in the painting when he feels that the artist has not only depicted faithfully his physical features, but also has represented his inner aspects including his character or personalit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literati made likeness the most important element whenever they mentioned portraits. This can be confirmed in the fact that they valued the notion of jeonsinsajo which means “conveying the spirit and copying the outer form” repeatedly. The time when the genre of portrait painting began to become popular coincides roughly with King Sukjong’s reign (1674-1719). During that time period, portraiture gained unprecedented attention, as renowned scholars and high-ranking officials, including Sukjong himself, paid attention to the various functions and uses of portrait paintings. Then they asked artists, above all else, to paint their portraits absolutely lifelike. The artists also responded to their growing interest in portraits while actively learning and experimenting with various techniques of portrait painting. Most representative for that time were painters such as Jo Segeol (ca. 1635-after 1704) and Kim Jinyeo (1675-1760) from Pyeongyang as well as Jin Jaehae (?-before 1735) from the Royal Bureau of Painting (Dohwaseo). While inheriting the Korean portrait tradition, they adopted new styles from Chinese portraits or Western paintings. In doing so, they created their own distinct style. This contrasts with previous times, when portraits were produced mainly by painters from the Royal Bureau of Painting, painters used the similar painting styles. And each time period favored another standardized portrait style. Eventually, the literati and painters became aware of the fact that achieving likeness in painting portraits was no longer an impossible undertaking. One of the main explanations why portraiture was largely unpopular before Sukjong’s rule is the stereotypical opinion about portraits which was prevalent among the literati. At the time, there were no outstanding portraitists and accordingly it was difficult for a scholar to get his own portrait in which likeness was realized. When Sukjong commissioned court painters to produce copies of the Royal Portrait of Taejo (Taejo eojin), the ministers justified their opposition to the project by putting forward this reasoning each time. Joseon aristocrats thought that when a person was portrayed in all likeness, then the portrait could be regarded as that person and it could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actual person. After the reign of King Sukjong, the production of portrait paintings grew rapidly, and the number of sau shrines for hanging the portraits, such as saengsa, yeongdang, and seowon, increased in the entire country. After all, numerous noblemen visited those shrines and respectfully bowed down before the enshrined portraits. This new phenomen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issue of achieving likeness in painting portraits had been resol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