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ifferential effects of triterpene glycosides, frondoside A and cucumarioside A<sub>2</sub>-2 isolated from sea cucumbers on caspase activation and apoptosis of human leukemia cells

        Jin, J.O.,Shastina, V.V.,Shin, S.W.,Xu, Q.,Park, J.I.,Rasskazov, V.A.,Avilov, S.A.,Fedorov, S.N.,Stonik, V.A.,Kwak, J.Y. North-Holland Pub ; Elsevier Science Ltd 2009 FEBS letters Vol.583 No.4

        Frondoside A is a pentaoside having an acetyl moiety at the aglycon ring and xylose as a third monosaccharide residue. Cucumarioside A<SUB>2</SUB>-2 is a pentaoside having glucose as a third monosaccahride unit. We compared the effects of frondoside A and A<SUB>2</SUB>-2 for cell death-inducing capability with close attention paid to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Both frondoside A and A<SUB>2</SUB>-2 strongly induced apoptosis of leukemic cells. Frondoside A-induced apoptosis was more potent and rapid than A<SUB>2</SUB>-2-induced apoptosis. A<SUB>2</SUB>-2-induced but not frondoside A-induced apoptosis was caspase-dependent. This suggests that holothurians may induce apoptosis of leukemic cells caspase-dependently or -independently, depending on the holothurian structure.

      • KCI등재후보

        Biochanin A의 미백 효과에 관한 연구

        박성하 ( Sung Ha Park ),김아현 ( A Hyun Kim ),박병준 ( Byoung Jun Park ),김진준 ( Jin Jun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13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9 No.4

        본 연구는 미백 소재 개발을 위하여 강진향(Dalbergia odorifera T. Chen) 추출물에서 분리한 활성물질인 biochanin A의 멜라닌 생성에 연관된 효과를 알아보았다. Biochanin A는 B16F1 melanoma 세포에서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양을 억제하였으며,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는 10 μg/mL 농도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48%로 나타났다.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Trp-1와 Trp-2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biochanin A는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To develop a new whitening agent for cosmetics,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biochanin A on melanogenesis. The biochanoin A is an active component in the extracts of Dalbergia odorifera T. Chen. It reduced melanin contents of B16F1 melanoma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decreased to about 48% at a concentration 10 μg/mL. It also inhibited the expression in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1), and Tyrosinase related protein 2 (Trp-2) in melanocyt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biochanin A has considerable potential as a cosmetics ingredient with a whitening effect.

      • KCI등재

        DACUM 기법에 의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 개발

        차진아 ( Jin A Cha ),김강은 ( Kang Eun Kim ),김은미 ( Eun Mi Kim ),박미선 ( Mi Sun Park ),박유경 ( Yoo Kyoung Park ),백희준 ( Hee Joon Baek ),이송미 ( Song Mi Lee ),최수경 ( Soo Kyong Choi ),서정숙 ( Jung Sook Seo ) 대한영양사협회 2013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DACUM 기법을 통해 국내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를 조사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를 평가함으로써 병원 임상영양사를 위한 직무기술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2011년 7월초에 DACUM 워크숍을 통해 1차적으로 직무기술서를 도출하고 전문가 집단의 자문회의와 Delphi 조사 방법을 적용한 표적집단 면접을 통해 수정 및 보완 작업을 거쳐 직무기 술서를 도출하였다. DACUM 위원회의 패널로는 3차 의료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현직 임상영양사 9인과 임상영양학을 전공하는 교수 4인, 직무분석을 담당하는 교수 1인 등 총 14명이 참여하였다. 전문가 자문단을 별도로 구성하였으며, 의사 1인, 간호사 1인, 임상영양분야 실무자 및 교수 5인이 포함된 전문가의 의견을 추가적으로 수렴하였다. 도출된 직무기술서는 2011년 7∼8월까지 전국 500병상 이상의 종합 병원 90개 중 설문조사에 응답한 46개 병원에서 각각 임상영양 실무책임자 1인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현장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DACUM 기법에 의해 처음 도출된 직무는 총 8개의 직무, 33개의 과업, 114개의 과업요소였으나 수정 보완작업을 거쳐 총 7개의 직무, 27개의 과업과 93개의 과업요소로 재분류되었다. 최종적으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는 영양판정(A), 영양진단(B), 영양중재(C), 영양모니터링ㆍ평가(D), 자문ㆍ협력(E), 영양연구(F), 자기계발(G)로 도출되었다. 2. 각 직무영역별로 세부내용을 보면, (A) 영양판정은 A1. 영양 초기평가하기, A2. 식품영양관련 자료 수집·평가하기, A3. 의학적 자료 점검하기, A4. 신체계측 자료 수집·평가하기, A5. 신체증상 자료 점검하기, A6. 개인력 및 과거력 점검하기, A7. 영양 요구량 결정하기, A8. 영양판정 기록하기의 8개의 과업으로 구분하였다. (B) 영양진단은 B1. 영양진단 도출하기, B2. 우선순위 정하기, B3. 영양진단 기록하기로 나뉘었고, (C) 영양 중재는 C1. 영양중재 계획하기, C2. 영양처방 관리하기, C3. 영양상담하기, C4. 영양교육하기, C5. 영양집중지원하기, C6. 영양중재 기록하기로 구분 하였다. (D) 영양모니터링·평가는 4개의 과업으로 D1. 영양상태 모니터하기, D2. 영양중재과정 모니터하기, D3. 영양중재 결과 평가하기, D4. 영양모니터링·평가 기록하기로 구분하였다. (E) 자문·협력은 E1. 영양자문하기, E2. 협력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로 (F) 영양연구는 F1. 질 향상 활동하기, F2. 연구 활동하기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G) 자기계발은 G1. 전문성 향상, G2. 자기관리가 포함되었다. 3. 도출된 임상영양 직무기술서에 대한 평가를 위해 설문조사에 참여한 대상 병원의 유형은 상급종합 병원이 65.2%를 차지하였으며, 종합병원은 34.8%였다. 병원의 재원일수는 8.0±1.5일이었으며 병원 조직에서 영양부서는 6곳을 제외한 39개의 병원에서 진료부서 또는 진료지원부서에 속하였다. 또한 병원에서 영양부서가 단독으로 편제되어 있는 경우가 93%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병원 임상 영양사의 성별은 여자가 100%로 나타났으며, 연령별 분포는 40∼49세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근무경력은 10년 이상인 경우가 50% 이상을 차지하였고 최종학력은 석사졸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전체 과업요소의 인지된 중요도를 비교하면 6개의 과업요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과업요소들이 4.0점 이상이었고 총 7개 직무영역에 대한 중요도는 ‘영양중재’가 4.6±0.6점으로 가장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진단’과 ‘영양모니터링·평가’의 직무가 4.5점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조사 되었다. 전체 과업요소 중 수행도가 4.5점 이상으로 매우 자주 수행되는 과업요소가 13개, 4.0점 이상의 자주 수행되는 과업도 29개의 과업요소로 나타났으며, 직무영역 중 ‘영양중재’가 4.2±1.0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영역별 난이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영양연구’ 업무가 4.1±0.9점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영양진단’과 ‘자문·협력’은 각각 3.8±1.0점, 3.7±0.9점으로 비교적 어렵게 인식되는 직무로 나타났다. 직무영역별 과업요소 전체의 중요도, 수행도, 난이도의 평균은 각각 4.5±0.8점, 3.7±1.3점, 3.5±1.0점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5. 임상영양사 업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격자도 분석에서 영양 초기평가하기, 영양요구량 결정하기, 영양판정 기록하기, 영양진단 도출하기, 영양중재 계획하기, 영양처방 관리하기, 영양교육하기, 영양집중지원하기, 영양중재 기록하기, 영양상태 모니터하기, 영양중재 과정 모니터하기는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영역(doing great)에, 식품영양관련 자료수집·평가하기, 의학적 자료 점검하기, 신체계측 자료수집·평가하기, 신체증상 자료 점검하기, 개인력 및 과거력 자료 점검하기, 영양진단의 우선순위 정하기, 영양진단 기록하기, 영양상담하기, 영양 모니터링·평가 기록하기는 수행도는 높으나 중요도가 낮은 영역(overdone)에 속하였다. 중요도가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영역(focus here)에는 협력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 질 향상 활동하기가 속하였고,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낮은 영역(low priority)은 영양중재 평가하기, 영양 자문 활동하기, 연구 활동하기, 전문성 향상하기, 자기관리하기가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본 연구에서 DACUM 기법에 의해 개발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는 현장에서 임상영양서비스를 수행하는데 가이드라인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인지된 중요도가 평균 이상으로 높지만 그에 비해 수행도가 미흡한 과업들에 대하여는 임상영양사에 대한 교육 실시, 업무 분담, 적정인원 배치 등 제도적인 뒷받침을 마련하여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질병별 맞춤형 임상영양 업무에 관한 후속연구를 통하여 보다 전문적인 환자 영양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tandardized job description for clinical dietitians working in hospitals. A developing curriculum (DACUM) method was used for the job analysis of clinical dietitians. Based on DACUM analysis with 14 members, including clinical dietitians and professors majoring in clinical nutrition and job analysis, information on the duties, tasks, and task elements of clinical dietitians was determined. To verify the job descriptions derived from DACUM analysis, a total of 46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with over 500 beds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The final developed job description for clinical dietitians included 7 duties, 27 tasks, and 93 task elements. The duties consisted of nutritional assessment, nutrition diagnosis, nutrition intervention, nutrition monitoring·evaluation, consultation·cooperation, nutrition research, and self-development. The mean scores of perceived importance, performance, and difficulty on the clinical dietitian`s task elements (out of a maximum score of 5.0) were 4.5, 3.7, and 3.5,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tems (P<0.001).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grid of clinical dietitian`s tasks showed tha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collaboration” (E2) and “activity of quality improvement” (F1) received relatively low scores for performance despite their high importance scores; thus the performance of these tasks require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nclusion, the job descriptions of clinical dietitians developed from this study are useful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in hospitals.

      • KCI등재

        자궁내막암 환자의 재발여부 확인에 있어 FDG-PET scan 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홍성진 ( Hong Seong Jin ),이삼미 ( Lee Sam Mi ),박천숙 ( Park Cheon Sug ),김호아 ( Kim Ho A ),김법종 ( Kim Beob Jong ),김문홍 ( Kim Mun Hong ),최석철 ( Choe Seog Cheol ),유상영 ( Yu Sang Yeong ),이경희 ( Lee Gyeong Hu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2

        목적 : Inhibin은 α-subunit와 β-subunit로 구성된 이질 이량체의 당단백으로 β-subunit의 차이에 의해 inhibin A (α-βA)와 inhibin B (α-βA)로 구분된다. 여성에서 inhibin은 주로 난소의 과립막세포 및 황체에서 생산되어 뇌하수체의 FSH 분비를 억제한다고 알려져 왔으나, 임신중 태반과 남성의 고환에서도 생산된다는 사실이 밝혀져 다양한 생리적 작용이 추정되고 있으며 최근에 inhibin A와 B를 분리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 inhibin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가임기 여성, 폐경이행기 여성, 폐경후기 여성에서 inhibin A와 inhibin B의 농도를 측정하여 월경주기에 따른 정상치의 변화와 노화에 따른 농도 변화를 관찰하고, 난소에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법으로 inhibin A와 inhibin B의 발현 양상과 변화를 비교 관찰하여 inhibin의 정확한 생리작용, 폐경이행기에서 inhibin의 역할 및 폐경이행기와 폐경의 예측 지표의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월경주기와 난소기능이 정상이면서 난소종양이 없는 정상 가임기 여성 160명, 폐경이행기 여성 60명, 폐경후기 여성 20명에서 정맥혈을 채혈하여 혈중 inhibin A와 inhibin B 농도를 ELISA로 측정하였고, 그중 정상 가임기 여성 35명, 폐경이행기 여성 20명, 폐경기 여성 5명의 난소 조직을 inhibin α, βA 및 βB subunit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식을 시행하였다. 결과 : 1. 정상 가임기 여성에서 혈중 inhibin A 농도는 중증식기까지 낮은 농도를 유지하다 후증식기 (16.53±1.57 pg/ml)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중분비기 (45.85±2.08 pg/ml)에 최고치에 이른 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Inhibin B 농도는 전증식기 (65.40±4.08 pg/ml)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증식기 동안 계속 높은 농도를 유지하다가 배란기 (110.74±9.83 pg/ml)에 최고치에 이른 다음 분비기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2. 폐경이행기 여성에서 혈중 inhibin A 농도는 증식기에 6.68±0.53 pg/ml, 분비기에 21.78±3.61 pg/ml로 모두 정상 가임기 여성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P<0.01). Inhibin B의 농도는 증식기에 52.16±7.46 pg/ml, 분비기에 22.41±6.73 pg/ml로 모두 정상 가임기 여성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각각 P<0.01, P=0.025). 3. 폐경후기 여성에서 inhibin A와 inhibin B 농도는 모두 검출되어 않았다. 4. 정상 가임기 여성에서 inhibin α subunit의 면역염색반응은 과립막세포, 난포막세포 및 황체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Inhibin βA의 면역염색반응은 난포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았으나 황체에서는 관찰되었다. Inhibin βB의 면역염색반응은 일차난포에서 처음 발현되어 성장난포와 성숙난포의 과립막세포와 난포막세포에서 관찰되었으나 Inhibin α보다는 약했고 황체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5. 폐경이행기 여성에서 inhibin subunit들의 면역염색반응은, 정상 가임기 여성과 같은 양상으로 발현되었으나, 발현정도는 약했다. 모든 면역염색반응은 과립막세포보다 난포막세포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6. 폐경후기 여성에서 inhibin subunit들의 면역염색반응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Inhibin A는 후증식기 성숙난포에서 처음 생산되기 시작하여 배란 후 황체에서 주로 생산되며, Inhibin B는 일차난포에서 생성되기 시작하여 배란 시까지 분비되므로 inhibin A는 황체기능을, inhibin B는 난포의 기능을 반영한다. 폐경이행기가 되면 inhibin A와 B의 분비는 급속히 감소하게 되어 폐경 후에는 난소에서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inhibin A와 B는 여성의 월경주기에 따라 생산과 분비가 서로 다른 호르몬으로 난자 성숙과 난포발달에 관여하며, 난소의 노화 정도를 측정하는 폐경이행기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 effects and secretion pattern of inhibin A and inhibin B during menstrual cycle and menopausal transition, inhibin A and inhibin B levels were measured. And to detect any changes in expression of inhibins in human ovary with age, we examin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α, βA, and βB subunits of inhibin in ovarian tissues. This study was also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inhibin is an early marker for menopausal transition. Methods : Inhibin A and inhibin B levels were measured in 320 samples from normal reproductive women, in 60 from perimenopausal women, and in 20 from menopausal women by ELISA. And we examined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α, βA, and βB subunits of inhibin in ovarian tissues of 35 normal reproductive, 20 perimenopausal, and 5 menopausal women, respectively. Results : In the normal reproductive women, inhibin A begins to increase in the late proliferative phase (16.53±1.57 pg/ml), reaches the peak in the mid-secretory phase (45.85±2.08 pg/ml), reaches the peak in the ovulatory phase (110.74±9.83 pg/ml), reaches the peak in the ovulatory phase (110.74±9.83 pg/ml), and thereafter declines rapidly. In the perimenopausal women, mean inhibin A serum concentration was 6.68±0.53 pg/ml during proliferative phase and 21.78±3.61 pg/ml during secretory phase,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same phase in the normal reproductive women (P<0.01). Mean inhibin B serum concentration was 52.16±7.46 pg/ml during proliferative phase and 22.41±6.73 pg/ml during secretory phase,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same phase in the normal reproductive women (P<0.01, P=0.025). In the menopausal women, both inhibin A and inhibin B were not detected. In the normal reproductive women, we observed strong immunostaining for α subunit in granulosa cells, theca cells, and corpus luteum. Immunostaining for βA subunit was observed in corpus luteum, but not in growing follicles. Immunostaining for βB subunit was observed in primary follicle, granulosa and theca cells of growing follicle, and mature follicle, but less strong than immunostaining for α subunit. No staining for βB subunit was observed in the corpus luteum. In the perimenopausal women, immunostaining for inhibin subunits were observed in the same pattern as that of the normal reproductive women, but weaker. Stronger immunostaining was observed in theca cells than granulosa cells. In the menopausal women, none of the immunostaining of inhibin subunits were observed.

      • KCI등재

        역세권내 역 인접 소공원의 유형별 이용행태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이주희,박진아,Lee, Joo-Hee,Park, Jin-A. 한국조경학회 2008 韓國造景學會誌 Vol.36 No.3

        2005년 3월 31 일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도시공원 분류체계에서 소공원과 주제공원을 세분화하여 추가하였으나, 기능, 규모, 유치거리가 명확한 개념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조성 과정상의 확실한 설계되어 있지 않으며, 최근 법제화된 '도시공원 , 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 등에 관한 지침'(2007.2)에서도 유형을 공원의 설치위치 빛 성격에 따라 근린, 도심소공원으로 구분하였으나, 유형별 공원의 지정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 보고자 하는 역세권내 위치한 소공원은 설치위치 및 지역의 성격에 따라 그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유형에서의 설치위치 및 지역적 특징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유형별 특성에 따른 공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유형화를 위한분석기준은 각각의 공원은 인접한 역의 성격과지역의 성격이 다르므로 첫째, 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정의에서의 지역적 특성과 이용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로서 근린소공원과 도심소공원의 분류체계에 따라 공원유형분류 한다. 소공원 주변 용도배분비율과 기존의 소공원 설치 당시 공공에서의 설치목적을 각 구청의 담당자의 문의를 통하여 파악하고, 이용자의 거주특성의 경우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거주지와 거주동에 대한 질의응답을 통하여 각 공원의 주 이용자의 거주특성을 파악하여 최종 대상지 근린소공원 3개소, 도심소공원 3개소를 선정하였다. 둘째, 각 유형 관찰조사를 통하여 이용자들의 이용행태특성을 파악하고, 설문조사를 행하여 유형별 대상지의 이용실태 및 이용특성의 차이점과, 어떤 측면에서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이용실태 및 공원시설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공원 환경적 측면의 만족도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다. 셋째, 관찰조사와 설문분석에 따른 결과와 관리 공무원과 공원설계자와의 인터뷰 결과를 종합하여 추후 계획시 고려하여야할 점으로 공원이용 활성화를 위한 시설 및 설계적 측면과 이용행태적 측면, 관리 및 운영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한다. The government is planning to link a small park with the soon to be ready subway line 9 as a part of Seoul's policy, "The standard or plan for making a water-friendly space by water use" (2007). However, the specified concepts and instructions of the small parks need further work. Therefore, the policy is expected to expand to neighboring small parks near the subway station, but these are not supported by research or data which suggests the needs or actual user behavior and utilization of small parks. our country added the specified concept of small parks and theme parks to the classification of urban parks in the Urban Park Act Revision (2005.3.31), but the concept of small parks is not clearly settled in the law in the scopes of its function, scale, promotion nor particularly defined plans for small park projects. This study examines as small park near a subway s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re region and users vary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ion and region. In the "directions for concrete standards under the types of urban parks and green zones" (2007.2) the types of small parks are classified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user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s the subject of neighboring small parks near subway stations as the neighborhood and small urban parks according to the Urban Park Act. The study was paralleled with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s on the analysis of the neighborhood and small urban parks. The actual conditions of park utilization and user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deducted by observation, while the questionnaire determined actual user utilizatio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as well as the small park environment. This study largely focused on three aspects: park facility, design of this sentence isn't even complete. The second aspect isn't finished and the third isn't here.

      • 한국인 좌심실 비대증 환자들에서 파브리병 선별검사의 의의

        박형두,조성윤,이수연,전은석,박승우,이상훈,이상철,최진오,박성지,장성아,김형관,기창석,김종원,진동규,Park, Hyeong-Du,Jo, Seong-Yun,Lee, Su-Yeon,Jeon, Eun-Seok,Park, Seung-U,Lee, Sang-Hun,Lee, Sang-Cheol,Choe, Jin-O,Park, Seong-Ji,Jang, Seong-A,K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4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4 No.2

        목적: 파브리병(Fabry disease)은 alpha-galactosidase A의 결핍으로 인하여 리소좀에 globotriaosylceramide(Gb3)가 축적되어 여러 장기에 이상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본 연구에서는 파브리병의 만성 합병증 중 심장 질환을 주로 보이는 환자들, 그 중에서도 좌심실 비대증을 보이는 한국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파브리병의 빈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좌심실비대증을 진단받은 환자 25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남성이 172명(평균 56세, 범위 30-81세), 여성이 84명(평균 66세, 범위 45-85세)이었다. 파브리병 선별을 위하여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탠덤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소변 Gb3 농도를 측정하였다. 확진은 형광분석법에 의한 말초혈액의 alpha-galactosidase A 활성도와 염기서열분석법에 의한 GLA 유전자 돌연변이 유무를 검사하여 이루어졌다. 결과: 소변 Gb3 검사에서 cutoff (25 ug/mmoL creatinine)를 초과하는 환자는 4명이었지만, 최종적으로 추가 검사를 통해 진단된 파브리병 환자는 여성 환자 한 명이었다(1/257명, 0.4%). 확진된 환자는 54.3 ug/mmoL creatinine의 Gb3 농도와 15.5 nmole/hr/mg protein (참고범위, $55.2{\pm}12.7nmole/hr/mg$ protein)의 alpha-galactosidase A 활성도를 보였다. GLA 유전자에서는 c.796G>A (p.D266N) 돌연변이가 이형접합체로 관찰되었다. 추가로 시행한 가족검사에서 환자의 딸은 아직 파브리병의 증상을 보이지 않았지만, 엄마와 같은 GLA 돌연변이(c.796G>A)를 가지고 있었으며, alpha-galactosidaseA 활성도는 42.5 nmole/hr/mg protein, 소변 Gb3 농도는 25.5 ug/mmoL creatinine을 나타냈다. 결론: 한국인 좌심실 비대증을 가진 환자들에서 파브리병의 유병율은 0.4%였다. 유병율이 낮아 보임에도 불구하고, 파브리병 진단 전 환자와 가족 구성원을 발견할 수 있는 장점 덕분에 선별검사의 의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Fabry disease (FD) is a lysosomal storage disease caused by the inappropriate accumulation of globotriaosylceramide (Gb3) in tissues due to a deficiency in the enzyme ${\alpha}$-galactosidase A. Hypertrophic cardiomyopathy is one of the chronic complications of FD. We tri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Fabry disease in the Korean patients with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Methods: A total of 257 patients with LVH were recruited and they were 172 males (mean 56 years, range 30-81 years) and 84 females (mean 66 years, range 45-85 years). Urinary Gb3 was used to screen F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Confirmatory tests were done by alpha-galactosidaseA activity using fluorometric assay and by GLA mutation analysis using sequencing. Results: Four patients were screening positive by urinary Gb3 analysis (cutoff, 25 ug/mmol creatinine). But, one female patient was diagnosed with FD confirmed by enzyme analysis in leukocytes as well as by genetic analysis (1/257 patients, 0.4%). She showed 54.3 ug/mmoL creatinine of Gb3 and 15.5 nmole/hr/mg protein (reference range, $55.2{\pm}12.7nmole/hr/mg$ protein) of alphagalactosidase A activity. And she had a heterozygous GLA mutation of c.796G>A (p.D266N). Her daughter was found to be a carrier for FD confirmed by GLA mutation analysis. Asymptomatic carrier showed 25.5ug/mmol creatinine of Gb3 and 42.5 nmole/hr/mg protein (reference range, $55.2{\pm}12.7nmole/hr/mg$ protein) of alpha-galactosidase A activity.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FD in Koran patients with LVH was detected as 0.4%. Although the prevalence seems to be low, screening studies are of great importance for detecting hidden cases as well as for identifying other effected family members.

      • KCI등재후보

        소화기 ; 대전 지역에서 급성 A형 간염의 유전자형에 따른 임상 특성 고찰

        이영우 ( Young Woo Lee ),양현웅 ( Hyeon Woong Yang ),이진아 ( Jin A Lee ),윤기호 ( Ki Ho Yun ),양성은 ( Seong Eun Yang ),이민지 ( Min Ji Lee ),박세영 ( Se Young Park ),김새희 ( Sae Hee Kim ),이향이 ( Hyang Ie Lee ),이윤정 ( Yun Ju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0 No.5

        목적: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 등은 유전자형에 따른 차이가 알려져 있지만, 국내에서 증가하는 IIIA 유전자형과 기존의 IA 유전자형에 의한 간염의 차이가 거의 알려진 바 없다. 따라서 대전 지역에서 발생한 급성 A형 간염의 유전자형에 따른 차이를 알고자 한다. 방법: 2009년 1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급성 A형 간염으로 진단되면서 유전자형이 확인된 8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소견들과 검사실 소견들을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평균 나이는 32.6±7.4세이며, 평균 입원 기간은 7.7±2.4일이었다. 직업은 서비스직, 사무직 그리고 교육직이 가장 많았다. 유전자형 간의 급성 간염에 따른 증상들의 종류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유전자형에 따른 증상의 빈도는 IIIA 유전자형에서 구토와 설사가, IA 유전자형에서는 복통과 피부 반점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검사실 소견에서는 IIIA 유전자형에서 헤모글로빈의 평균, CRP 평균, AST 최대 수치 평균은 상대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AST와 ALT 및 총 빌리루빈 최대 수치들과 INR의 수치가 IIIA 유전자형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대전 지역에서 유행하는 급성 A형 간염에서 IIIA 유전자형에 따른 급성 간염은 기존의 IA 유전자형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다기관 연구를 통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겠다. Background/Aims: Acute viral hepatitis A is a major health problem in Korea and the influx of genotype IIIA is thought to be one reason.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findings of genotypes IA and IIIA in Daejeon. Methods: From November 2009 to June 2010, 81 patients positive for IgM anti-HAV were enrolled prospectively. The hepatitis A was genotyped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results were compared on the Results: The mean patient age was 32.6±7.4 years. The mean hospitalization was 7.7±2.4 days. The patient occupation varied. Clinically, vomiting and diarrhea were relatively more prevalent in genotype IIIA than in IA. Abdominal pain and skin spots were relatively more prevalent in genotype IA than in IIIA. The hemoglobin, peak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level, and C-reactive protein were statistically higher in genotype IIIA than in IA. The distributions of the peak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total bilirubin values tended to be perched in genotype IIIA than in IA. The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INR) tended to be slightly prolonged in genotype IIIA than in IA. Conclusions: Recently, genotype IIIA of acute viral hepatitis A has become prevalent in Daejeon. Hepatitis A genotype IIIA probably causes worse laboratory abnormalities than genotype IA.

      • KCI등재
      • Upregulation of NAD(P)H:quinone oxidoreductase by radiation potentiates the effect of bioreductive beta-lapachone on cancer cells.

        Choi, Eun K,Terai, Kaoru,Ji, In-Mi,Kook, Yeon H,Park, Kyung H,Oh, Eun T,Griffin, Robert J,Lim, Byung U,Kim, Jin-Seok,Lee, Doo S,Boothman, David A,Loren, Melissa,Song, Chang W,Park, Heon Joo Stockton Press 2007 Neoplasia Vol.9 No.8

        <P>We found that beta-lapachone (beta-lap), a novel bioreductive drug, caused rapid apoptosis and clonogenic cell death in A549 human lung epithelial cancer cells in vitro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clonogenic cell death caused by beta-lap could be significantly inhibited by dicoumarol, an inhibitor of NAD(P)H:quinone oxido-reductase (NQO1), and also by siRNA for NQO1, demonstrating that NQO1-induced bioreduction of beta-lap is an essential step in beta-lap-induced cell death. Irradiation of A549 cells with 4 Gy caused a long-lasting upregulation of NQO1, thereby increasing NQO1-mediated beta-lap-induced cell deaths. Although the direct cause of beta-lap-induced apoptosis is not yet clear, beta-lap treatment reduced the expression of p53 and NF-kappaB, whereas it increased cytochrome C release, caspase-3 activity, and gammaH2AX foci formation. Importantly, beta-lap treatment immediately after irradiation enhanced radiation-induced cell death, indicating that beta-lap sensitizes cancer cells to radiation, in addition to directly killing some of the cells. The growth of A549 tumors induced in immunocompromised mice could be markedly suppressed by local radiation therapy when followed by beta-lap treatment. This is the first study to demonstrate that combined radiotherapy and beta-lap treatment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uman tumor xenografts.</P>

      • Polyphenolic compounds from Korean <i>Lonicera japonica</i> Thunb. induces apoptosis via AKT and caspase cascade activation in A549 cells

        Park, Kwang Il,Park, Hyeonsoo,Nagappan, Arulkumar,Hong, Gyeong Eun,Yumnam, Silvia,Lee, Ho Jeong,Kim, Eun Hee,Lee, Won Sup,Shin, Sung Chul,Kim, Jin A,Lee, Sang Joon,Ma, Jin Yeul,Min, Taesun,Heo, Jeong D.A. Spandidos 2017 Oncology letters Vol.13 No.4

        <P><I>Lonicera japonica</I> Thunb. (<I>L. japonica</I> T.) has historically been used in Korean herbal medicine due to its anticancer and protective effects on the respiratory system. In the present study, the polyphenolic compounds in <I>L. japonica</I> T. were investigat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and its anticancer effects on A549 non-small-cell lung cancer cells were studied. Polyphenolic compounds potentially inhibit A549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Flow cytometry and western blot analysis demonstrated that polyphenolic compounds induce apoptosis by regulating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caspases, poly-(ADP-ribose) polymerase and the B-cell lymphoma-2-associated X-protein/B-cell lymphoma-extra large ratio. Furthermore, polyphenolic compounds inhibite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ctivity. Caspase-3 activity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polyphenolic compounds inhibited the activation of protein kinase B by dephosphory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yphenolic compounds in A549 cells indicate the anticancer activity through the induction of apoptosis.</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