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치사구(PP) 속 지시사의 통사구조연구

        조성윤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19 이탈리아어문학 Vol.0 No.58

        본 논문에서는 지시사의 통사구조에 관하여 살펴보았는데, 지시사를 좀 더 세부적으로 나눠 this/that에 해당하는 지시사와 this here place에서 here가 가지는 직시적 성격을 근거로 강화사를 분류하여 그 통사구조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먼저 장소전치사구가 일련의 계층적 기능투사구로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장소의 개념을 나타내는 처소격 지시사가 한정사에 속하는지 아닌지에 관한 문제를 살펴보았다. 한정사와 지시사 가 계층적 통사구조를 이루고 투사되고 있기 때문에 스페인어나 루마니 아어 같은 언어에서는 영어와는 다르게 DP구 내에서 이 두 가지 요소가 동시에 존재 가능하다는 점을 근거로 내세워 this나 that과 같은 지시사 들은 한정사인 관사와는 별도로 D의 지배를 받는 DeicticP라는 기능투 사구에 위치하고 있음을 보았다. 또한, 지시사인 this/that과 직시적 의미 를 강조하기 위해 쓰인 here/there와 같은 강화사는 어떠한 통사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Kayne(2010)의 주장을 바탕으로 here나 there가 THIS here PLACE와 THAT there PLACE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 고, DeicticP의 지정어-핵-보충어자리를 THIS/THAT - here/there - PLACE가 차지하고 있다고 제안했다. Kayne이 제시한 DeicticP를 바탕 으로 PP구에 존재하는 일련의 기능투사구에서 지시사와 강화사가 전치 사구에서 차지하는 통사구조를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통사구조 속에서 어휘범주를 지배하는 기능투사구들의 존 재 가능성과 그 다양성을 DeicticP가 가진 특성과 PP 내에서의 통사적 위치를 바탕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study of the syntactic structure of DeicticP in PP. There are pronoun(adjective) demonstratives corresponding to here and there(or corresponding to this and that) of English. In the former case, it exists in the DP clause. In the latter case, it refers to a place, so it exists in the bore of the verb phrase as PP or AdverbP. Kayne(2005) suggested that locative here and there are parallel to 'this here place' and 'that there place' (which contain demonstrative here and there) except that locative here and there have an unpronounced counterpart of 'place', and an unpronounced determiner instead of 'this'/'that'. In this paper, I divide the above two types of demonstratives in more detail, and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 syntactic structure. Based on Kayne (2005), Svenonius (2010), Koopman (2000)'s syntactic structure of PP and DeicticP, I will discuss the syntactic structure of the functional projection in PP domain.

      • KCI등재

        慶州 蘿井 八角建物址의 創建年代와 存續時期

        조성윤 영남고고학회 2010 嶺南考古學 Vol.- No.53

        The Najong(蘿井) is well known as the site of legend that is a birth place which Park Hyeokgeose was founding monarch of Silla. The Najong archaeological expedition carried out by JungAng Research Center of the Cultural Heritage during 2002 and 2005. And this report came out in 2008. According to the report, 4 buildings have been duplicated at the site. The main buildings of this are a pit(竪穴), a ditch(溝) round the pit, a octagonal building and a stone wall(담장) round the building. These are overlapped a the octagonal building and stone wall upon the pit(竪穴) and ditch(溝). In this thesis, Based on the roof tile of the Najong archaeological expedition, I analyzed and looked at the time of The main buildings. As a result, I estimated the continuance time of the pit from about 6th century to about 7th century. And I looked at the octagonal building that established during 679 years and around the 8th century, destroyed with the end of Unified Silla. In conclusion, the buildings were established in around 6th~7th century and destroyed in the fall of Unified Silla. 경주 나정은 신라 시조인 朴赫居世의 誕降傳說터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중앙문화재연구원에 의해 총 4회에 걸쳐 발굴되어 보고되었다. 보고서에 의하면 나정에서는 4개의 유구가 중복되어 확인되었다고 한다. 이 중에서 중앙부의 수혈유구와 이를 둘러싼 구, 그 위에서 중복되어 확인된 팔각건물지와 이를 둘러싼 담장지가 나정유적에서의 중심 유구이다. 본고에서는 나정유적에서 출토된 기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혈유구의 상한연대는 6세기경이고 하한은 7세기경으로 추정하였다. 팔각건물지의 창건 시기는 679년부터 8세기경, 폐기 시기는 통일신라말로 보았다. 결론적으로 말해 나정의 신라 건물지는 6~7세기경에 창건되어 신라의 멸망과 궤를 같이하여 폐기된 것으로 보았다.

      • 慶州 出土 中板 打捺紋樣 평기와의 製作時期와 그 意味

        趙成允 위덕대학교 박물관 2002 佛敎考古學 Vol.- No.2

        慶州市內와 인근에서 發掘되고 있는 기와건물지(瓦使用建物址) 遺蹟에서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新羅時代의 평기와(平瓦)가 出土되고 있다. 신라기와(新羅瓦)는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지만 평기와(平瓦)는 그 출토되는 量에 비해 연구성과가 아직까지 疏略한 듯하다. 여기에서는 先學들의 평기와(平瓦) 연구성과를 기초로 하여 慶州에서 出土되는 중판(中板) 타날문양(打捺紋樣) 평기와(平瓦)의 製作時期와 그 意味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판 타날문양 평기와의 제작시기는 안압지발굴보고서(雁鴨池發掘報告書)에 소개된 암키와 탁본(平瓦拓本)을 소재로 하여 알아본 결과 上限年代는 7세기말이고 下限年代는 9~10세기경으로 推定할 수 있다. 평기와(平瓦)에서 관찰되는 屬性, 즉 打捺板의 크기·燒成度·瓦刀痕 등으로 短板과 中板의 打捺文樣 평기와(平瓦)를 비교한 결과, 後者 쪽이 생산에 있어 경제적인 평기와(平瓦) 製作方法임을 파악할 수 있다. 月城周邊 遺蹟, 沙正洞 遺蹟, 龍江洞 園池遺蹟, 東川洞 古代都市 遺蹟 등에서 出土되는 평기와(平瓦)의 出土 量과 範圍를 통해서 統一新羅時代의 기와집(瓦家)은 古新羅時代보다 북천(北川) 以北으로까지 擴散되었음을 알 수 있다. Many roof tiles of Shilla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sites of the buildings with roof tile in Gyeongju.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roduction period and its meaning of the medium-sized roof tile with paddle-beat pattern excavated from Gyeongju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medium-sized roof tile with paddle-beat pattern excavated from Gyeongju, we guess, is from the late 7th century to 9-10th century based on the rubbed copy of roof tile with inscription presented in Anabji Excavation Report.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studie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sites of Wolseong, Sajeongdong, Yonggangdong and Dongcheondong, we come to conclude that the production cost of the medium-sized roof tile with paddle-beat pattern was more economical than that of the small-size roof tile with paddle-beat pattern, and the houses with roof tile during the Unified Shilla period spread over the north of Bukcheon.

      • KCI등재

        慶州 雁鴨池 中心建物 創建瓦 硏究

        조성윤 한국문화유산협회 2013 야외고고학 Vol.0 No.16

        안압지 발굴조사보고서에 보고된 건물지 중, 연못 서쪽에 남북방향으로 자리 하고 있는 건물지가 있다. 필자는 이 건물지를 안압지 내 중심건물지로 보고, 안 압지 발굴조사보고서에 보고된 기와들 중에서 이 중심건물 창건와를 추정한 바 있 다. 창건와는 “儀鳳四年皆土” 명문이 있는 암키와, “儀鳳四年皆土” 명문이 있는 당초문암막새, 중엽연화문수막새, 귀면와이다. 이 안압지 중심건물 창건와는 이전시기의 신라기와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완벽한 문양구성이나 제작기법을 갖춘 신라기와 역사상 한 획을 긋는 자료 이다. 본고에서는 그 출현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서 7세기 중엽경 삼국시대 기와들 을 종류별로 일별하고 검토하였다. 그 결과 중엽연화문수막새와 당초문암막새는 백제 익산지역 출토 막새류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고, 귀면와는 앞으로 치밀한 검토가 요구되지만 고구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귀면와에서 그 기원을 추정해 보았으며, 마지막으로 단판 기하학문 타날문양 암키와는 신라를 포함한 삼 국 어디에서도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없어 통일신라 독창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상의 결과, 안압지 중심건물 창건와에서는 삼국통일 이후 백제와 고구려 문화를 융합한 문화적 통일의 요소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보았다. Among the building sites reported in the Anapji Archaeological Expedition publication, there is a site with buildings, situated along an N-S axis, located to the west of the pond. It was argued that this site represented the main buildings of the Anapji complex, and among the roof tiles recovered during the Anapji Archaeological Expedition, certain examples were assumed to be the founding roof tiles of the main buildings. Such founding roof tiles comprise concave roof tiles with the ‘Uibong-sanyeon-gaeto’’(儀鳳四年皆土) inscription, concave roof-end tiles with arabesque design, convex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and monster-mask roof-end tiles. These founding roof tiles are historically valuable examples of Silla roof tiles and demonstrate a high degree of perfection, in terms of the formative elements of the patterns and production technology, making them incomparably superior to the Silla roof tiles of the previous peri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ir emergence, this article examines the roof til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at date to the mid-seventh century according to typ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origins of the concave roof-end tiles with overlapping lotus design and convex roof-end tiles with arabesque design to the roof-end tiles excavated from the Iksan area of the Baekje Kingdom. Monster-mask roof-tiles were assumed to have derived from the Monster-mas kroof-tiles of the Goguryeo Kingdom but this association needs to be examined more closely. Finally, the concave roof tiles decorated with geometric patterns made using a short paddle could not be identified among the roof tiles of the Three Kingdoms, including Silla. Therefore, it may be suggested that this type of roof tile is characteristic of Unified Silla.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integration of the Baekje and Goguryeo cultures took place following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Elements of this cultural unification can be observed in the founding roof tiles of main buildings at Anapji.

      • KCI등재
      • KCI등재

        태평양 전쟁 말기 요카렌(予科練)의 제주도 주둔과 위안소 -성산 지역을 중심으로-

        조성윤,고성만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9 탐라문화 Vol.0 No.61

        The number of the Japanese army had been increasing on Jeju island since the spring of 1945, the last stage of the second World War. As the battle on the land of Japan set into full swing, the weapons and troops were concentrated into Sung-san, geologically the closest to Japan, with the escalation of military tension. This study aims at demonstrating military facilities constructed in Sung-san by the Japanese Navy, by conducting the field survey, interviews of witnesses, and analysis of historical record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nineteen places of military-related facility in total are figured out in Sung-san, while two of them were used as brothels for Japanese troops. The existence of the brothel facility is confirmed by a testimony of Oh Shi-jong, a resident of Sung-san. He still clearly remembers the scene even though it has passed 70 years that Japanese soldiers belonging to ‘Yokaren Unit’, dressed up with seven buttons-on fancy military uniform, were waiting in line in front of the building. In our humble opinion, any study or research that the brothels for the Japanese army were existed in Jeju has not been made public in the academic world. For that reason, this study leaves task that additional inquiries into people who remember the condition of Sungsan at the end of the Pacific War should be continued. Furthermore, a comparative study on how the brothels were operated in the region stationed by ‘Yokaren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Japanese Empire is required. 제2차 세계대전 막바지인 1945년 봄부터 제주도가 결호 작전(決號作戰) 지역에 편입되면서 약 7만 8천여 명의 일본군이 주둔하게 된다. 미군의 제주도 상륙과 지상전에 대비하기 위해 해안에서 산악 지대에 이르기까지 섬 전역에 대규모의 방어 시설도 구축됐는데, 그 중 상당수가 현재까지 남아 있다. 일본 본토와 인접한 성산 지역 역시 본토 결전이 본격화되면서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되고 화기와 병력도 집중됐다. 그 과정에서 자폭용 병기인 신요(震 洋)와 제45신요대(震洋隊) 소속의 요카렌(予科練) 생도들이 배치됐고 위안소가 설치⋅운용되기도 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전쟁 말기 성산 지역의 상황을현지 조사와 목격자 인터뷰, 사료 분석을 통해 실증하는 것에 있다. 조사 결과, 성산 지역에 총 19개소의 군 관련 시설이 파악됐는데, 그 중에는 위안소두 곳의 존재도 확인됐다. 위안소의 상황을 목격했던 성산 주민은 당시 이지역에 주둔했던 육⋅해군 가운데서도 오직 요카렌만이 유일하게 위안소를이용했고, 그들이 ‘단추가 일곱 개 달린 멋진 군복을 입고’ 위안소 앞에서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던 장면을 똑똑히 기억하고 있었다. 제주도에 일본군 위안소가 존재했다는 조사 결과나 연구가 아직 학계에 발표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학술적, 사회적 의의는 자못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은 제2차 세계대전 말기 성산 지역의 상황을 기억하는 사람들에 대한 추가조사의 과제를 남기고 있다. 또한, 일본 제국권 내에 신요대가 주둔했던 지역에서 위안소가 어떠한 양상으로 운용됐었는지에 대한 비교 연구도 추가적으로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여성을 주체적으로 회상한 행장(行狀)의 애도 내용 고찰

        조성윤,김승호 동악어문학회 2020 동악어문학 Vol.82 No.-

        This study is based on Haengjang(行狀), written by men in the Choseon Dynasty for women, which is based on the fact that unlike the general perception of Choseon society at the time, women were thought and shaped as a independent human being. Haengjiang(行狀)'s mourning for the independent women is three things. First, men respected women's voluntary mental training. Second, the man expressed his awe that the woman actively practiced her firm belief in life. Third, men praised women for their great influence not only at home but also socially, leading others. These result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see new perceptions of “women” in Choseon culture,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value of classics and the cultivation of literary readers of classics. 이 연구는 조선 시대 남성이 여성을 대상으로 쓴 행장(行狀)을 종합하여, 애도의 방식이 당대 조선 사회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는 달리, 여성을 하나의 주체적 인간으로 사유, 형상화했다는 점을 도출한 것이다. 여성을 주체적으로 회상한 행장의 애도 내용은 크게 3가지이다. 첫째, 남성은 여성이 마음 수양을 자발적으로 했음을 존중하였다. 둘째, 남성은 여성이 자신의 굳은 신념을 삶에 적극적으로 실천했음에 경외를 표했다. 셋째, 남성은 여성이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큰 영향력을 미쳐 타인을 인도했음을 칭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조선 문화에서의 ‘여성’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고, 나아가 고전의 가치와 고전의 문학 독자 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