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Activity of Flavonol Glycosides from Cedreia sinensis

        황선우,하태정,고영희,전효곤,이준,권현숙,박기훈,양민석,Hwang Seon-Woo,Ha Tae-Joung,Kho Yung-Hee,Chun Hyo-Kon,Lee Jun,Kwon Hyun-Sook,Park Ki-Hun,Yang Min-Suk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3

        Cedrela sinensis is a broadleaf tree that is widely cultivated in Korea and China. It was used for treating enteritis, dysentery, and skin itch in oriental medicine. In this study, three major flavonoids, kaempferol-3-O-rhamnoside (1), quercetin-3-O-rhamnoside (2), and quercetin-3-O-glucoside (3), were isolated from the leaf of Cedrela sinensis.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se compounds were tested by inhibitory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s-2 (Type IV collagenase) method together with a cytotoxicity and a apoptosis test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참죽나무는 멀구슬과 나무로서 한국과 중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장염(腸炎), 이질(痢疾), 개선(疥癬) 등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참죽나무 잎에서 3종의 flavonol glycosides를 분리하여 NMR을 통해 구조를 확인한 결과, kaempferol-3-O-rhamnoside (1), quercetin-3-O-rhamnoside (2)와 quercetin-3-O-glucoside(3)로 구조 동정되었다. 분리된 화합물들의 생리활성은 matrix metalloproteinase-2 저해 활성과 인체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과 apoptosis실험을 통하여 항암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인체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과 apoptosis 저해활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나, MMP-2활성저해 조사에서는 강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quercetin-3-O-glucoside는 암세포에 직접적인 독성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암의 침윤과 전이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물질로 보여진다.

      • KCI등재후보

        역대하 21, 23장의 다윗 계약에 나타난 다윗 왕조 회복의 소망

        황선우(Sunwoo Hwang)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2 Canon&Culture Vol.6 No.1

        역대하 21장과 23장에 나타난 다윗 계약은 역대기 사가가 다윗 왕조의 부흥을 소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역대기 사가는 극심한 죄 가운데 있던 여호람의 통치 가운데서도 하나님이 그 왕조를 무너뜨리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다름 아닌 다윗과 맺은 계약임을 밝히고 있다. 다윗 계약의 선명한 표현이 여호람의 우상 숭배와 형제 살해로 다윗 계열이 위협받는 때에 나타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역대하 21:7과 열왕기하 8:19를 비교해서 살펴본 세 개의 차이점은 사소한 본문의 차이가 아니라 역대기 사가의 다윗 왕조 신학을 반영하는 중요한 표지들이다. 처음 두 차이점을 통해 역대기 사가가 포로기 이후의 독자들에게 다윗 계약을 구체적으로 환기시키며 이 다윗 계약에 근거해 다윗 왕조 회복의 소망을 고취시키고자 함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차이점에서는 역대기사가가 다윗 계약이 다윗의 후손까지 미친다는 것을 강조했음을 볼 수 있다. 특별히 다윗과 그의 후손에게 항상 등불을 준다는 것은 다윗 계열의 계속성에 대한 역대기 사가의 소망을 피력한다. 역대하 23:1-3에는 평행구절인 열왕기하 11:4에 없는 다윗 계약이 등장할 뿐만 아니라 여호야다 반란의 정당성을 강화하는 여러 요소들이 있다. 늘어난 반란 참가자들과 이스라엘의 중요한 지도자들인 레위인과 족장들의 반란 참가 온 회중 이 반란에 참가했다는 표현은 다윗 계열을 회복시키려는 여호야다의 반란에 폭넓은 지지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더욱이 역대기 사가는 열왕기하 11:4와 달리 반란 참가자들을 자발적 적극적 참가자들로 묘사하였고 늘어난 참가자들을 고려해서 회합의 장소도 성전 보다 큰 예루살렘으로 기록하고 있다. 또한 반란이 끝나기 전에 요아스를 왕으로 지칭하여 요아스를 통한 다윗 계열 회복의 합법성을 보여주었다. 역대기 사가에게 여호야다의 반란은 반란이 아니라 개혁이었으며 이 개혁을 통한 다윗 왕조의 회복은 포로기 이후 다윗 왕조 회복에 관한 그의 열망을 보여 준다. The Davidic covenant of 2 Chronicles 21 and 23 witnesses the Chronicler’s firm belief in the renewal of the Davidic dynasty. In the midst of the full-scale negative assessment of Jehoram, the Chronicler explicitly mentions that God is not willing to destroy the Davidic kingdom because he made a covenant with David in 2 Chr 21:7. It is remarkable that in Chronicles, the sole mention of the explicit phrase of the Davidic covenant(dywId"l. tr:K" rv,a] tyrIB.h;) occurs in the account of Jehoram’s heinous sins of idolatry and fratricide that endanger the Davidic line. The three divergencies between 2 Chr 21:7 and its parallel text of 2 Kgs 8:19 are significant signals for understanding the Chronicler’s view of the Davidic kingdom. With the first two covenant-specific phrases, the Chronicler rouses the postexilic readers’ expectations for the restoration of the Davidic dynasty based on the covenant. In the third divergence, it is observed that the Chronicler emphasizes the efficacy of the promise for the posterity of David. In particular, God’s granting a lamp to David and his descendants stresses the Chronicler’s hope in the continuity of the Davidic line. Not only the Davidic covenant on the lips of Jehoida in 2 Chr 23:3, but the Chronicles’ textual pluses and divergencies in comparison with 2 Kgs 11:4 reveal a more thorough justification for Jehoida’s coup in Chronicles. The larger list of the partakers of the coup(2 Chr 23:1) with the inclusion of important figures such as the Levites and the heads of the fathers of Israel (2 Chr 23:2), and the explicit designation of the participants, “all the assembly”(2 Chr 23:3), witness widespread support for Jehoida’s restoration of the Davidic line. Furthermore, unlike 2 Kgs 11:4, the Chronicler renders the partakers voluntarily as part of the coup in 2 Chr 23:2. The Chronicler, as a meticulous writer, does not forget to designate Jerusalem(contra the Temple of 2 Kgs 11:4) as the place of assembly for the large group of partakers of the coupe. Also, the early designation of “king” to Joash even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coup(2 Chr 23:3) enhances the legitimacy of the restoration of the Davidic line. The Chronicler reveals in his justification of Jehoida’s restoration of the Davidic king a longing for the restoration of the Davidic kingdom in his own postexilic time.

      • KCI등재후보

        Chronological Harmonization between the Two Creation Accounts in Genesis

        황선우(Hwang, Sun-Woo) 한국개혁신학회 2011 개혁논총 Vol.18 No.-

        구약 오경의 문서설(JEDP)이 비평적 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진 이래로 비평적 학계에서는 창세기 1:1-2:3 (1:1-2:4a) 과 2:4-25 (2:4b-25)을 각각 P와 J문서로 보며 하나님의 이름과 문예적 특징, 창조순서가 서로 다른 두 개의 모순적인 기사들로 여겨 왔다. 이 소론에서 필자는 두 창조기사의 여러 대조점 가운데 특별히 창조기사의 순서를 분석하여 두 창조기사의 순서가 서로 모순적인 관계에 있지 않고 보완적이며 조화로운 관계에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분석을 위해 필자는 먼저 창조순서에 있어 여러 논쟁점을 지니고 있는 첫째 창조기사를 분석하였다. 첫째 창조기사의 창조순서를 인정하지 않는 학자들에게 중요한 두 논지는 첫째, 첫 번째 창조기사는 바벨론 신화에서 빌려온 비역사적 기사라는 것이고 둘째, 창조기사의 창조순서는 과학적으로 납득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두 번째 주장은 구체적으로 빛의 창조에 관한 첫째 날과 넷째 날의 관계에 주목한다. 이 두 논지에 반박하여 필자는 첫 번째 창조기사와 바벨론 신화 사이에 고대근동 문학으로서의 유사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이성이 있음을 확인함으로 첫째 창조 기사를 비역사적 고대 바벨론 신화의 아류라고 단정할 수 없음을 논증하였고, 넷째 날 태양의 창조 이전의 시간개념의 도입은 첫째 날 빛의 창조로 가능할 수 있음을 본문 주석을 통해 논증하였다. 두 창조기사의 관계에 관하여는 첫째 창조기사가 창조된 순서대로 (chronologically) 기술된 반면 둘째 창조기사는 인간의 창조에 초점을 맞추어 주제별로 (topically) 기술되었음을 논증하였다. 따라서 창조순서의 측면에서 볼 때 첫째 창조기사와 둘째 창조기사는 모순적 관계에 있지 않고 상호 보완적 관계를 지니며 두 창조기사를 통해 독자는 하나님의 창조를 다각적으로 이해 할 수 있다. Ever since the Documentary Hypothesis (JEDP) was widely accepted in the critical circle of the Old Testament studies, Genesis 1:1-2:3 (or 1:1-2:4a) and Genesis 2:4-25 (or 2:4b-25) have been considered as two different and contradictory creation stories that belong to P and J respectively by noticing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ccounts: names of God, literary style, and creation order, etc. Among the issues of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ccounts, I have focused on the creation order of the two to demonstrate that the two accounts are not contradictory but harmonizable. The first step, for the search of the harmonization, is to decide the debated issue of the chronological order of the first account. There are two major groups of supporting non-chronological reading of the first creation account. The first group believes that the first creation account is an unhistorical account borrowed from Babylonian myths. The second group claims a nonchronological reading of the text mainly from their desire to harmonize their scientific data with the first creation account, specially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day and the fourth day. In opposition to the both arguments I defended the chronological reading of the first account. Many uniquenesses of the first creation story were discovered in comparison with other ancient creation literatures. Concerning the question of the sun’s function before the creation of the sun on the fourth day, I argued that the light created on the first day carried the role of the sun, the light bearer, before it was created on the fourth day, although we do not know exactly how the first light functioned. As for the second creation account non-chronological, topical reading is compelling by observing the author’s intention of emphasis on the creation of man. Therefore, the two creation accounts do not have internal contradiction in terms of the chronology. The author of Genesis did not make a mistake on harmonization of the chronology between the texts. Rather he must have intended to make the accounts complementar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God’s creation of man and the world.

      • KCI등재

        베드로전서 4장 1-6절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고난에 동참

        황선우 ( Hwang Sunwoo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2 No.-

        이 논문의 목적은 베드로전서 4장 1-6절의 심도 있는 주해를 통해 그리스도인의 고난의 이유, 목적, 결과 등을 이해하는 것이다. 복잡한 주해적, 신학적 쟁점들은 베드로전서 4장 1-6절의 절별 주해를 하는 가운데 논의되었다. 베드로는 1절에서 고난 받거나 핍박받는 그리스도인들에게 그리스도의 마음으로 무장할 것을 권면한다. 이 권면을 위하여 베드로는 두 가지 타당한 이유를 제공한다. 하나는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모범을 보이셨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리스도께서 죄를 끊으셨다는 것이다. 그 고난의 목적은 2절에서 기술되었듯이 하나님의 뜻대로 살기 위함이다. 3절과 4절에서 베드로는 그리스도인들이 이전에 빠져 있었던 비그리스도인들의 세상적 삶의 방식을 구체적으로 묘사한다. 이 세상에 속한 사람들이 그리스도인들의 새롭게 바뀐 삶의 방식으로 인해 그들을 학대하고 저주할지라도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그들의 새로운 삶의 방식을 지켜야 한다. 물론 이 세상에서 믿음을 지키기는 어렵지만 5절과 6절이 드러내듯이 그리스도인들은 마지막 심판에서의 소망을 보며 이 세상의 모든 장벽들을 극복할 수 있다. 요약하면 베드로전서 4장 1-6절은 이 세상 사람들과 분리되어 살지 않고 함께 살아가지만 마지막 심판의 소망을 보며 하나님의 뜻을 위해 고난 받으며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변치 않는 격려의 본문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grasp the reason, purpose, and consequence of Christians` suffering by conducting a thorough exegesis on 1 Peter 4:1-6. Intricate exegetical and theological issues in 1 Peter 4:1-6 were disentangled in the exegesis of each verse of 1 Peter 4:1-6. In verse 1, Peter exhorts the Gentile Christians who are suffering or being persecuted to arm themselves with the mind of Christ. For this exhortation, he provides two legitimate reasons: Christ showed us the example and He had ceased from sin. The purpose of suffering is to live by the will of God as stated in verse 2. In verses 3-4, he describes specific worldly life-styles of non-Christians in which Christians were before involved. Even though people in this world mistreat and curse them due to their changed new life style, Christians should keep their new way of life in Christ. Without doubt it is difficult keep faith living in this world. However, as verses 5-6 reveal, they can overcome all the walls of this world when they see the hope in the final judgment. In sum, 1 Peter 4:1-6 is a timeless encouragement for Christian who are not living by themselves separately but living mixed with the people of the world suffering for the will of God, seeing the hope for them in the final judgment.

      • KCI등재

        열왕기의 아하스와 역대기의 아하스

        황선우(Sunwoo Hwang)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7 Canon&Culture Vol.11 No.1

        유다 왕 아하스에 대하여 기록한 두 역사서 본문은 열왕기하 16장 1-20절과 역대하 28장 1-27절이다. 역대기 저자는 열왕기하 16장 1-20절을 기초자료로 삼아 열왕기 아하스 내러티브의 네 개의 틀인 아하스에 대한 개론적 평가, 아하스와 주변국들과의 전쟁, 아하스의 성전훼손과 배교, 아하스의 죽음을 유지하는 가운데 역대기 저자가 강조하는 신학을 위해 상당히 많은 내용에 변화를 주었다. 열왕기의 아하스와 역대기의 아하스의 차이점을 이해하는 열쇠는 역대기사가가 아하스 내러티브에서 강조한 즉각적 보응(immediate retribution) 사상이다. 역대기 저자는 즉각적인 보응 사상을 강조하기 위하여 아하스의 죄를 소개한 서두에 이어 역대하 28장 5절에서 열왕기하 16장 5절의 아람과 이스라엘 연합군이 아하스를 이기지 못한 역사적 사건 대신 아람과 이스라엘이 각각 아하스를 물리쳤던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아하스가 서두에 소개된 그의 죄에 상응하는 벌을 받았음을 기록하였다. 또한 열왕기 저자는 아하스가앗수르 왕 디글랏빌레셀 3세를 의지하여 아람에게 승리했음을 기록한 반면 역대기 저자는 아하스가 에돔과 블레셋과 싸우기 위해 디글랏빌레셀 3세를 의지했지만 오히려 도움을 받기는커녕 디글랏빌레셀 3세에게 공격받았음을 기록함으로서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고 사람을 의지했던 아하스가 그에 상응하는 벌을 받았음을 보여주었다. 악한 왕 아하스가 마땅히 받아야 할 벌을 위해 역대기 저자는 열왕기의 악한 아하스를 더 악한 아하스로 묘사하였다. 열왕기 아하스 내러티브 서두에서 아하스는 정직하게 행하지 않고 이스라엘 왕의 길로 행한 악한 왕으로 소개되는데 역대기 저자는 이에 더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아하스가 바알의 우상을 만들고 힌놈의 아들 골짜기에서 분향하였다고 기록하였다. 열왕기에서 아하스는 다메섹 제단의 구조와 양식을 예루살렘 성전에 적용하여 거룩한 성전을 훼손하는 죄를 지은 자로 기록되는데 역대기 저자는 보다 직접적이고 강력한 말로 아하스의 죄를 지적하였다. 역대기 저자는 아하스 내러티브의 결론에서도 아하스가 죽음 이후에 이스라엘 왕들의 묘실에 들어가지 못했음을 추가함으로 그가 강조하고자 한 즉각적 보응신학을 피력하였다. 2 Kings 16 and 2 Chronicles 28 are the two Ahaz narratives in the historical books of the Old Testament. Taking 1 Kings 16 as the base source for 2 Chronicles 28, the Chronicler maintained the structure of four divisions of 1 Kings 16: the introductory assessment on Ahaz, The wars between Ahaz and the neighboring countries, Ahaz’s defilement of the temple and apostasy, and the death of Ahaz. However, the Chronicler deviates considerably from the content of 1 Kings 16. The key for understanding the discrepancies of the Kings’ Ahaz and the Chronicles’ Ahaz is the Chronicler’s emphasis on theme of immediate retribution. Having introduced Ahaz’s sin in the beginning of the Ahaz narrative, the Chronicler replaced Aram and Israel’s failure to conquer Ahaz in 2 Kings 16:5 with Aram and Israel’s defeat of Ahaz in 2 Chronicles 28:5 in order to emphasize immediate retribution. Likewise, upon the request of Ahaz, the king of Assyria, Tiglath-pileser III, went up to Damascus and captured Rezin in 2 Kings 16:9, but Tiglath-pileser III oppressed Ahaz and did not support him though Ahaz sent to Tiglath-pileser III to help him in 2 Chronicles 28:20. Ahaz, who relied on man rather than God, was punished in Chronicles. To underscore the deserved punishment of Ahaz, the Chronicler described Ahaz more wickedly than the description in Kings. While Ahaz was introduced as a king who did not do what was right and followed the ways of the kings of Israel in Kings’ introductory assessment, the Chronicler described the sins of Ahaz more specifically by saying that he made idols for the Baals worship and burned sacrifices in the Valley of Ben Hinnom. Whereas Ahaz was portrayed as a king who defiled Jerusalem temple by applying the structure and form of the Damascus alter, the Chronicler pointed Ahaz’s sin more directly that Ahaz offered sacrifices to the gods of Damascus which resulted in the downfall of Israel. Furthermore, the Chronicler expressed immediate retribution by adding that Ahaz was not placed in the tombs of the kings of Israel at the end of the narrative.

      • 고효율 다결정 태양전지

        황선우(Hwang, Sun-Woo),김희재(Kim, Hee-Jae),이준신(Yi, Jun-Si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06

        태양광 주택 보급을 위해서는 기존에 고가의 실리콘 기판을 이용한 고효율 달성을 위한 연구중심의 태양전지 개발연구가 주축을 이루어왔다. 이는 개발에 성공하더라도 고가, 고난도, 복잡한 다단계 공정기술을 이용하는 단점 때문에 보급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저가의 다결정 실리콘 기판을 이용한 중 상급 태양전지 상용화 기술개발로 전환할 필요로 인하여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전력용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요소소자인 다결정태양전지 고효율화의 열쇠가 되는 기술력 확보를 통한 저가, 대면적, 고효율, 고수율 제품 대량생산 상용화에 중점을 두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