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632 다발성 폐결절로 발현한 림프종양 육아종증 및 활동성 폐결핵 동시 감염 증례

        하영우,윤영경,박용,강가원,이유진,김철환,김종훈,손장욱,김민자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6 No.1

        서론: 주로 호흡기계 질환으로 매우 드물게 발현되는 림프종양 육아종증(lymphomatoid granulomatosis)은 아직 치료의 정설이 없고 예후가 불량하다. 저자들은 이전에 보고되지 않았던 림프종양 육아종증 및 활동성 폐결핵 동시 감염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87세 남자가 일주일 전부터 발생한 발열 및 쇠약감으로 내원하였다. 과거력상 폐결핵 및 전립선암 치료력이 있었다. 발열, 화농성 객담, 잦은 기침으로 연고지 병원에서 일주일간 폐렴에 대한 항생제 치료를 하였으나 흉부 방사선 검사상 양측 폐의 전반에 걸친 다발성 결절이 호전되지 않았다. 내원 당시 시행한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패혈성 폐렴 또는 진균성 폐렴이 의심되어 우선 경흉부 심초음파를 시행하였으나 특이 소견이 없었고, 혈중 갈락토만난 항원 검사 및 반복한 혈액 배양 검사는 음성이었으나, 광범위 항생제와 항진균제를 병합 사용하였다. 투약 전 기관지내시경을 이용한 기관지폐포세척액 검사에서 항산성 염색 검사, 객담 세포진 검사 및 일반 세균 배양 검사 모두 음성을 확인하였다. 항균제 투약에도 흉부 방사선 소견은 호전을 보이지 않아 경피적 세침 흡입술을 시행하였으나 비특이적 소견만 확인되었다. 이후 항균제 투약 28일째 비디오 흉강경 수술을 통해 폐 우중엽과 우하엽의 쐐기절제술을 시행한 결과 다형성 림프세포양 세포의 침윤이 확인되어 림프종양 육아종증 진단 후 약물 치료를 계획하였으나, 객담 배양 검사에서 결핵균이 분리되어 우선 항결핵제 투약을 시작하였다. 하지만, 환자의 전신 상태는 점차 악화되었고, 항결핵제 투약 34일째 결국 사망하였다. 결론: 감별 진단이 어려운 다발성 폐결절 환자에서 드물지만 림프종양 육아종증에 대한 평가가 요구된다. 또한, 면역저하자에서 특히 호발되는 활동성 폐결핵의 동시 감염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순천 지역어의 단모음 실현 양상과 특징

        하영우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8 언어와 정보 사회 Vol.35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monophthongs in the Jeonnam Suncheon dialect.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residents in their 60s and late teens living in Sunche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Unlike previous studies, Suncheon dialect speakers have 7 vowel systems(/i, E, a, ə, ɯ, u, o/) regardless of their generation or gender. The young generation of Suncheon speakers entirely pronounced /ㅚ/, /ㅟ/ as diphthong and the older generation mostly pronounced /ㅚ/, /ㅟ/ as diphthong. /ㅔ/ and /ㅐ/ were not pronounced distinct in every generation. However, the vowel space varies between generation and gender. The phenomenon that /ㅜ/, /ㅡ/ moved toward front and /ㅗ/ moved toward high in the vowel space occurs in only young generation. The phenomenon that /ㅓ/ moved backwards and downwards in vowel space was occurred in young generation and older generation of females. It shows that the phenomenon of /ㅓ/ moving backwards and downwards in vowel space was the trigger for the phenomenon of back vowels chain shifting in Suncheon dialect.

      • KCI등재

        전남 방언의 단모음 체계와 음가 변화

        하영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5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vowel system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monophthongs in the Jeonnam dialect. For this purpose, along with the results of existing research on the southwestern regions and eastern regions of Jeonnam dialec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residents in the elderly and the adolescent living in Yeonggwang (the northwestern part of Jeonn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Jeonnam dialect, the vowel system varies according to generation, rather than region. The younger generation has seven vowel system (/ㅣ, E, ㅡ, ㅓ, ㅏ, ㅜ, ㅗ/), while the older generation has tentative seven vowel system because /ㅟ/, /ㅚ/ remains a monophthongs even though they are weak. And unlike other Jeonnam province, older people of Gurye that is a border area between Jeonnam and Gyeongnam, have a 8 vowel system (/ㅣ, ㅔ, ㅐ, ㅡ, ㅓ, ㅏ, ㅜ, ㅗ/). Meanwhile, the monophthongs in the Jeonnam dialect is changing its place of articulation around the younger generation. The phenomenon that /ㅜ/, /ㅡ/ moved toward front and /ㅗ/ moved toward high occurred in the young generation only. And /ㅓ/ also showed signs of moving to the rearward position and the low vowel position when most of the younger generation. Only a group of elderly women in the eastern part of Jeonnam province have been observed to change /ㅓ/ in a similar way to the younger generation. This phenomenon suggests that the change in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the monophthongs in Jeonnam dialect started from /ㅓ/. The reason why /ㅓ/ was the first subject of change in the place of articulation in Jeonnam province was attributed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vowel space. 본고는 전남 방언의 단모음 체계와 음가 변화 양상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남 서북부 지역을 대상으로 단모음 실현 양상과 음가를 살펴보았으며, 유사방식으로 연구된 전남 서남부, 동부 지역의 결과를 함께 종합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전남 지역의 단모음 체계는 하위 방언권보다는 세대를 중심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청소년층은 /ㅟ/, /ㅚ/가 단모음 체계에서 완전히 이탈한 7모음 체계인 데 비해노년층은 두 모음이 단모음 체계에 한정적으로 남아 있는 잠정적 7모음 체계였다. 다만 전남⋅경남 접경지대인 구례의 노년층은 예외적으로 /ㅔ/, /ㅐ/를 변별 산출하는잠정적 8모음 체계를 보였다. 단모음의 음가 역시 세대를 중심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노년층의 /ㅓ/는 전남 방언 연구의 전통적 가정대로 /ㅡ/에 가깝게 실현되었으나 청소년층은 /ㅓ/가 후설저모음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노년층과 달리 청소년층의 단모음 음가는 ‘/ㅓ/의 후설저모음화’를 포함하여 ‘/ㅗ/의 고모음화, /ㅜ/와 /ㅡ/의전설화’로도 나타났다. 단모음 음가 변화는 일부 노년층의 /ㅓ/에도 나타났는데, 이를통해 노년층도 단모음 음가 변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전체 단모음 음가 변화와 관련하여 /ㅓ/가 주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해석하였다.

      • KCI등재

        수의적 /ㅎ/ 탈락의 경향성과 해석

        하영우 겨레어문학회 2017 겨레어문학 Vol.59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aspects of optional /h/ deletion based on 'The Korean Corpus of Spontaneous Speech', to investigate how phonological conditions and grammatical status relate to this phenomen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Optional /h/ deletion frequently occurs at the non-word initial position rather than at the word initial position. Optional /h/ deletion of word initial position occurs due to elimination of phonological phrase boundary, and consequent creation of preceding [+son] which causes optional /h/ deletion. Optional /h/ deletion at the non-word initial position occurred frequently when syllable's structure is more complicated and when the preceding sonorant consonants is [+ant]. Meanwhile, Optional /h/ deletion is also related to grammatical status. Optional /h/ deletion of word initial position occurs more frequently in Modifiers, and Optional /h/ deletion of non-word initial position varies depending on the morphreme’s boundary effect and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본고는 구어 자료를 바탕으로 수의적 /ㅎ/ 탈락 양상을 계량화하여 음운론적 조건, 문법적 속성이 이 현상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수의적 /ㅎ/ 탈락은 어두 위치보다 비어두 위치에서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어두 위치의 /ㅎ/ 탈락은 어절 간 운율 경계 해지와 그에 따른 ‘공명음 사이’라는 조건 형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았다. 비어두 위치의 /ㅎ/ 탈락은 개음절보다는 폐음절에서, 단모음보다는 이중모음 구성에서 더 빈번하게 나타나 이 현상이 음절 구성의 복잡도와 유관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ㅎ/ 탈락은 선행 공명 자음이 [+전방성]일 때 더 빈번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선후 분절음의 조음 위치 간 거리에 영향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ㅎ/ 탈락은 문법적 속성과도 상관관계가 있었다. 어두 위치의 /ㅎ/ 탈락은 피수식언에서 더 빈번하게 발생하며, 비어두 위치의 /ㅎ/ 탈락은 형태소 경계 효과와 문법화의 정도성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이 연구는 수의적 /ㅎ/ 탈락의 양상을 계량화된 자료를 바탕으로 음운론적 조건과 문법적 속성에 따라 객관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어두 위치의 /ㅎ/ 탈락에 대한 논의를 통해 수의적 /ㅎ/ 탈락의 연구 범위를 확대했다는 점, 그간 음운론적 관점에서 주로 기술되었던 /ㅎ/ 탈락 현상을 문법적 속성과 관련지어 해석했다는 점은 수의적 /ㅎ/ 탈락 현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고 본다.

      • KCI등재

        전남 진도 지역의 음장과 운율 구조

        하영우 민족어문학회 2020 어문논집 Vol.- No.89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nunciation patterns of length in the dialect of Jeonnam from the viewpoint of linguistic chan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erms of duration, the realization rate of length of the dialect in Jeonnam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dialects. It was mainly affected by generational variables, and gender variables were also partially affected. However,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are not noticeable in the realization of length. Unlike the duration, the prosodic structure of length was very differen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erms of prosodic structure, the generation that accurately distinguishes the length in Jeonnam dialect was limited to the elderly. Teenagers of Jeonnam dialect could hardly distinguish length regardless of gender. Among the two conflicting results, the study determined that the pro-sodic structure better showed the length of the Jeonnam dialect. This is because the prosocid structure of length is regular, but the duration only shows the tendency. In other words, the length of the Jeonnam dialect remains only for the elderly, and the youth group is rapidly disappearing. 이 연구는 전남 방언의 음장 실현 양상과 운율 구조 간의 관계를 방언의 변화 관점에서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남 진도 지역의 토박이 화자를 대상으로 음장과 운율 구조에 관한 음성 실험을 실시했다. ‘장음 > 단음’의 길이 구조를 바탕으로 볼 때 전남 진도 지역의 음장 실현률은 타 방언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다만 세대와 성별에 따라 음장 실현률이 ‘노년층 남성 > 노년층 여성 > 청소년층 남성 = 청소년층 여성’의 경향을 보였다. 이와 달리 장음의 운율 구조를 기반으로 한 음장 실현 양상은 세대에 따른 차이가 극명히 나타났다. 장단음 정보를 운율 구조에도 명확하게 반영하는 세대는 노년층에 한정되었으며, 청소년층은 장음 정보를 운율 구조에 반영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즉, 운율 구조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남 진도 지역의 청소년층은 음장이 소멸 과정에 들어선 것으로 생각된다. 전남 진도 지역의 음장 실현이 길이 측면과 운율 구조적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 데 대해 본고에서는 후자가 이 지역의 장단음 양상을 보다 잘 보여 주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장단음의 길이 차이는 경향성을 보여 주는 데 그치지만 장음의 운율 구조 반영은 규칙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전남 진도 지역의 음장 실현 양상은 세대를 주요 변수로, 성별을 부차 변수로 하여 차이를 보인다. 노년층은 높은 음장 실현률을 보이나 성별에 따라 ‘남성 > 여성’의 부분적 차이가 있으며, 청소년층은 성별과 관계없이 음장이 소멸 단계에 놓여 있다.

      • KCI우수등재

        접속문의 의미‧통사 구조와 운율 실현 양상 -연결어미 ‘-고’ 접속문을 중심으로-

        하영우,김민국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8

        이 연구는 연결어미 ‘-고’ 접속문을 중심으로 접속문의 의미‧통사 구조와 운율 구조 간의 상관관계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등접속문의 설정 근거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 접속문의 점진하강 기울기는 대칭적 용법과 비대칭적 용법에서 각각 양의 값과 음의 값으로 나타나 접속문의 의미‧통사 구조와 운율 실현 양상 간에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된다. 둘째, 이러한 상관관계는 연결어미 ‘-어’ 접속문과 의미 관계에 따른 대등접속문의 운율 실현 양상에서도 확인되므로 대등접속문과 종속접속문의 운율 실현 양상 차이는 정도성의 차이보다 ‘점진하강 재설정’ 여부로 구분되는 질적인 차이로 해석된다. 셋째, ‘순접’, ‘이접’과 ‘역접’의 대등접속문의 운율 실현 양상 차이는 대등접속문의 의미적 특성보다는 통사적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접속문의 운율 실현 양상은 의미 구조보다는 통사 구조와 더 긴밀한 관련을 맺는다. 넷째, 대등접속문의 선후행절 사이에는 점진하강 재설정을 통한 운율적 경계가 형성되는데 이는 선행절과 후행절이 독립된 문장과 마찬가지로 통사적 독립성을 지님을 보여 주는 것이다. 특히 접속문의 운율 실현 양상은 접속문의 통사 구조를 반영하는 것이므로 종속접속문과 구분되는 대등접속문의 운율 실현 양상은 한국어 대등접속문의 설정 근거 중 하나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우즈베크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 양상과 특성

        하영우,안성민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2 언어와 정보 사회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monophthongs by comparing the pronunciation of Korean and Uzbek vowels by Uzbek learners of Korea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monophthong pronunciation of Uzbek learners are revealed through a contrastive analysis of Uzbek and Korean. The pronunciation of monophthongs in Korean by Uzbek learners shows that the vowel space is generally expanded in word utterances, and the tendency of space overlap between vowels is strong. First, it is confirmed that the spatial overlapping pattern of the front vowels /E/ and /ㅣ/ is directly influenced by the mother tongue and /E/ is articulated close to /ㅣ/. The space for the vowel /ㅡ/ expands to meet the space of /ㅏ/, reaching a low vowel. The vowel spatial overlap of /ㅓ/ appears partially with /ㅏ/ in the case of female speake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ale speakers, /ㅓ/ has a wide overlap with /ㅗ/, and there is also some overlap of /ㅜ/ and /ㅡ/. Female speakers show overlap of /ㅗ/ and /ㅜ/ most of the time, whereas male speakers show overlap of /ㅗ/ to a greater extent with /ㅓ/ than with /ㅜ/. The overlap appeared to be much more widespread. 이 연구는 우즈베크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 양상과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단모음의 조음 학습 및 지도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모어의 영향 관계를 살피고자 우즈베크어와 한국어 단모음 산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우즈베크인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 양상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우즈베크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은 단어 발화에서 전반적으로 단모음의 모음 공간이 확장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모음 간 공간 겹침 경향이 매우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먼저 전설모음인 /E/와 /ㅣ/의 공간 겹침 양상은 모어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아 /E/를 /ㅣ/에 가깝게 조음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즈베크어에 대응 음소가 없는 /ㅡ/는 /ㅏ/와 공간이 맞닿을 만큼 확장되어 저설모음에 다다르고 있었다. /ㅓ/의 모음 공간 겹침은 여성의 경우 /ㅏ/와 부분적으로 나타났지만 전체적 구조는 독립적이며 한국어 모어 화자의 모음 공간 구조와 동일했다. 반면 남성의 경우 /ㅓ/는 후설 원순모음인 /ㅗ/와 공간 겹침이 넓게 나타났으며 /ㅜ/, /ㅡ/와도 일부 겹침이 있었다. 후설 원순모음 /ㅗ/, /ㅜ/의 공간 겹침 현상도 남녀가 상이한 양상을 보였는데 여성의 경우 주로 /ㅗ/와 /ㅜ/가 겹쳐 나타나는 데 반해 남성의 경우 /ㅜ/보다는 /ㅓ/와 공간 겹침이 훨씬 넒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우즈베크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은 모어의 영향을 받아 모음 공간 겹침이 두드러지게 관찰되었고 특히 고저 위치에 대한 학습이 미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모음에 대한 발음 교육이 대부분 언어 학습을 시작하는 초기에만 이루어지고 있는데 지속적인 발음 교육이 없이 발음 오류가 수정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중고급자로 도약해서도 여전히 단모음에 대한 정확한 조음을 어려워 하는 학습자를 위해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단모음 발음 재교육 과정이 한국어 교수 현장에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우즈베크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 양상과 특성을 대조분석과 실험음성학적 방법론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즈베크어 단모음의 양상과 특성이 한국어 단모음 발음 습득에 영향 관계가 있음을 밝혔고 한국어 발음 교육 현장에 실제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 KCI등재

        섬진강 유역 방언의 말소리와 변이 - 단모음의 체계와 공간 구조를 중심으로

        하영우 한말연구학회 2023 한말연구 Vol.64 No.4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honological system and phonetic variation of vowels in the dialect area of ​​the Seomjin River basin based on the experimental phonetic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sentence read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targeting Gurye, Gwangyang, and Hadong regions, and vowel pronunciation and forma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Gurye and Gwangyang regions, /ㅟ/ and /ㅚ/ were rarely pronounced as monophthong, and in the Hadong region, /ㅟ/ and /ㅚ/ did not exist as monophthong. /ㅔ/ and /ㅐ/ are distinguished in the Gurye, Gwangyang, and Hadong regions, but /ㅔ/ and /ㅐ/ can be distinguished only in the elderly group, and the youth group cannot distinguish between the two vowels. In addition, in the Hadong area, the older group could not distinguish /ㅡ/ and /ㅓ/, while the young group correctly distinguished two vowels. On the other hand, the monophthong of the dialects of the Seomjin River basin showed phonetic variation with generation as a variable. With the young generation as the main variable, /ㅡ/ was frontalized, and /ㅓ/ showed an increase in nF1 and a decrease in nF2. However, not all phonetic variations of vowels appeared with generation as a variable. Regardless of generation, the fact that /ㅜ/ and /ㅗ/ are distinguished by nF1 shows the dialectal conservatism of the Seomjin River basin dialect.

      • KCI등재

        전남․경남 접경 지역의 용언 어간 말 자음군 단순화 현상

        하영우 민족어문학회 2023 어문논집 Vol.- No.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mplification of consonant clusters and dialect changes in the border between Jeonnam and Gyeongnam. For this purpose, we quantitatively investigated the simplification of consonant clusters of 'ㄺ' and 'ㄼ' in Gurye, Gwangyang, and Hadong. In the simplification of the 'ㄺ' consonant cluster, the 'ㄱ' and 'ㄹ' choices coexisted, but the 'ㄹ' choice tended to be a little more dominant, a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region. This phenomenon was interpreted as a result of being influenced by both Jeonnam and Gyeongnam dialects at the same time due to their dialect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simplification of the consonant cluster of "ㄺ" has also changed depending on the phonological conditions of the conjunctive ending. The simplification of the consonant cluster of 'ㄼ' was similar to that of 'ㄺ'.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in phonological mechanism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implification of consonant groups according to the conjunctive ending.

      • KCI등재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 오류와 모음조화 간의 상관관계

        하영우,안성민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4 No.-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monophthongs pronunciation errors and vowel harmony inMongolian Korean learners. To this end, a survey wasconducted of 70 Mongolian learners on the perception ofKorean vowels. As a result, in the survey, the majority oflearners classified Korean /ㅏ, ㅓ, ㅗ/ as male vowels, /ㅔ(ㅐ),ㅜ/ as female vowels, and /ㅡ/ as neutral. However, dependingon the learners’ level, /ㅣ/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aneutral or female vowel. Afterward, based on these findings, ina separate analysis 5 female Mongolian Korean learners, wereverified as having a very high pronunciation error rate inmale-female vowel combination and in female-male vowelcombination that do not harmonized vowels. In addition,pronunciation errors that contained vowel harmony conditionswere more prominent in male_female vowel combination than infemale-male vowel combination. Moreover, the error rate of /ㅣ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vowel harmony classificationtype. For instance, when /ㅣ/ vowels were classified as aneutral vowel, the first and second vowel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Still, when classified as a female vowel,pronunciation errors increased when linked to male vowels. Theresearch findings clearly show Mongolian learners mayexperience pronunciation errors depending on the recognitionof vowel harmony of monophthongs. 이 연구는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 오류와 모음조화 현상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몽골인 학습자 7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모음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ㅏ, ㅓ, ㅗ/를 남성 모음으로, /ㅔ(ㅐ)/, /ㅜ/를 여성 모음으로, /ㅡ/를 중립 모음으로 분류하는 것이 우세하였다. /ㅣ/는숙달도에 따라 중립 또는 여성 모음으로 분류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후 여성 몽골인한국어 학습자 15명을 대상으로 모음조화 조건에 따른 단모음 오류 양상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산출 실험에서 몽골인 학습자는 모음조화 위배 조건인 남성_여성 연쇄와여성_남성 연쇄에서 발음 오류율이 두드러졌다. 또한 모음조화 조건에 따른 발음 오류는 남성_여성 모음 연쇄 조건이 여성_남성 모음 연쇄 조건에 비해 작용력이 강했다. 두 유형으로 분류되었던 /ㅣ/는 모음조화 유형 분류 방식에 따라 오류율이 상이했다. 중립 모음으로 분류한 경우 선후행하는 모음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여성 모음으로 분류한 경우 남성 모음과 연쇄할 때 발음 오류가 증가했다. 이를 통해 몽골인학습자는 단모음의 모음조화 인식에 따라 발음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