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족어문학과 국어학: 영역과 경계를 중심으로

        김양진 ( Kim Ryangjin ) 민족어문학회 2017 어문논집 Vol.- No.79

        본고에서는 최근 `국어학`의 대체 개념으로 부각된 `민족어학`의 개념을 되짚어보고 이러한 개념의 변화가 `한민족`에 대한 정체성의 확보와 유관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를 `한민족어학(혹은 한어학)`으로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과 함께 `한류` 및 `한글문명권`의 시각에서 남북의 정치적 이념에 한계 지어진 명칭`한국어`와 `조선어`를 뛰어넘는 통합적 명칭으로서 `한민족어`의 사용을 강조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최근 `민족어학` 혹은 `겨레말`, `우리말` 등의 대명사적 용법으로 우리 민족어를 지칭하려는 경향에 대해 국제적 시각에서 우리 민족어를 `한민족어` 혹은 `한어(韓語)`로 부를 수 있는 자신감을 획득할 때, 분단의 한계에 기인한 여러 개념상의 혼란이 정지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Replacing the concept of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with the emerging alternative concept `The Study of National Language` is detrimental to securing the identity of Koreas national language. In addition, it emphasizes the use of `Korean National language` as an integrated name that goes beyond the names `Korean National` and `Chosen language`, which are limited to the political ideology of North and Sou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Wave` and `the Hangeul cultural sphere`. In this paper, we have recently examined the tendency to refer to our national language in terms of pronouns such as `ethnic language` or `"Georemal` or `Our language`. When we gained the confidence to call our national language as `Korean National Language` or `Han language` in the international perspective, we expected that various conceptual confusion stemming from the limitation of division would cease.

      • KCI등재

        해방기 어문 운동이 문학에 미친 영향 -문인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김동석 ( Dong Seok Kim ) 민족어문학회 2006 어문논집 Vol.- No.54

        민족 국가 수립이라는 해방기의 역사적 과제 앞에서 활발하게 전개된 `민족어로서의 모국어 회복 운동`은 좌.우익의 정치 이념적 대립을 떠나 찬.반 이론의 여지가 있기 어려운 것이었다. 모국어 상실 위기로까지 치달았던 일제 강점기 경험은 민족의 운명과 언어의 운명을 동일시하게 한 계기가 되기에 충분했다. 훼손된 모국어의 회복을 통해 민족 정신을 보존할 수 있고 민족 국가의 기반을 확립할 수 있다는 믿음은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다. 일본어의 잔재를 A recovery movement of their own language as a nation`s language was spreading out actively under the historical subject of establishing a nation-state in the Liberation era. An experance of the colonial era by japanese imperialism was enough to be a mome

      • KCI등재
      • KCI등재

        1950년대 "중간소설 전문지" 『소설계』의 지형-1950년대 후반에서 1960년까지 초기 잡지를 중심으로

        신은경 ( Eun Kyung Shin ) 민족어문학회 2014 어문논집 Vol.- No.71

        1950년대 잡지는 당시의 시대 속에서 중심적 매체로서의 위치를 차지했다. 그 중 대중잡지는 점차 높아지는 대중들의 관심 속에서 상업적 방식으로 판매 되어 잡지사간의 가열된 경쟁구도를 낳기도 했다. 1957년에 전체적인 출판계의 불황이 일어났고, 고정 독자층이 형성되지 않았던 대중잡지는 판매실적이 점차 낮아지게 되었다. 반면 교양종합지와 순문예지는 판매실적이 높아졌고, 이는 당시의 대중들이 교양적 독서를 원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대중지를 발간하던 출판사는 이러한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중간소설 전문지’를 창간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중간소설 전문지는 기존의 순문예지에 비해 저조한 판매실적을 기록하였고, 폭넓은 독자층을 형성하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은 삼중당에서 창간한 『소설계』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소설계』는 ‘중간소설 전문지’였기 때문에 순문예적 요소와 통속적 요소가 결합된 소설이 실려야 했다. 하지만 이 잡지에 실린 대부분의 소설들은 대중적 오락성을 추구하고 있었다. 이는 매달 소설을 발표한 정비석의 소설과 염상섭, 손창섭과 같은 기성작가들의 작품의 경향 속에서 나타난다. 본고는 『소설계』의 초기 잡지적 지향성을 통해 그들이 구현하고자 했던, 중간소설 전문지로서의 특징을 논의하고자 한다. At the time of the 1950, the magazine occupies a central position as the media. at this time, Public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entertainment magazines. Because of them, the popular magazines have appeared the commercializ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magazines. Starting from 1957 the recession of publishing industry began. Readership of public magazines which were not formed became increasingly lower sales. The public wanted to read educated and intelligent magazines. Intelligent magazines and literary magazines had the increased sales so publishers which published public magazines launched to the novel magazine for overcoming difficult situations. their strategy made readers for education to sell their magazines. but their strategy failed to lower sales. this case appeared to “SOSULGYE” published by samjungdang. “SOSULGYE” was likely to focusing on the ‘Middlebrow Fiction magazin’e but the novels in the novel magazine is entertaining pursue. this is appeared to the novels of ‘Jung Bi Suk’ through vulgar material and characters and the novels of ‘Yeom sang seob’ and ‘Son chang seob’. In other words, “SOSULGYE” is focusing to intelligent public for readers but the part of material and content of novels pursuing entertainment has appeared limitation of the literary magazine.

      • KCI등재
      • KCI등재

        1930년대 김규택의 유모어소설과 웃음의 새로운 가능성

        이주라 ( Jura Lee ) 민족어문학회 2015 어문논집 Vol.- No.74

        이 논문에서는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에 나타난 웃음의 특징과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을 소개하면서 이 작품들에 나타난 웃음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김규택 작품에 나타난 웃음의 양상을 1930년대 웃음에 관한 담론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에 나타난 웃음은 기존의 담론과는 다른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웃음이라는 점이 규명되었다. 1930년대 웃음에 관한 담론은 일반적으로 웃음의 양상을 저항과 비판의 태도를 보여주는 웃음과 낙관과 긍정의 자세로 순응과 도피의 태도를 보여주는 웃음으로 나누어 대립적으로 파악하였다. 하지만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은 웃음에 대한 이항 대립적인 관점을 넘어서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은 모던과 전통의 대립이나 남편과 아내의 대립처럼 당대에 새롭게 대두되었던 사회의 논쟁지점을 민감하게 포착하였다. 그의 작품은 극단적 대립의 지점에 있는 두 가지 가치관들을 대조시키면서 웃음을 유발하였다. 이 웃음의가장 큰 특징은 어느 한쪽이 상대의 부족함을 폭로하며 자신의 우월함을 강조하는 웃음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김규택은 지배적인 담론 속에서 존재 가치를 부여받지 못한 대상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표출할 수있는 장을 마련하였다 일회적인 . 소비 문화로 치부되었던 모던 문화와 전통적인 규범에서 비난받았던 신여성들은 자신들의 입장을 자유롭게 표명할 수 있었다.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은 당대 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했던 가치와 욕망들을 공론의 장으로 끌어냈다.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에서 나타나는 자유로운 토론의 장과 거기에서 발생하는 웃음은 풍자와 냉소의 방식이 아니더라도 현실 체제에 순응하지 않을 수 있는 웃음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며 웃음의 새로운 가능성을 마련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features and possibilities of laughter appeared in the humor fictions by Kim Gyutaek. For this goal, this paper introduced Kim’s humor fictions not yet known, analyzed the features of laughter in these works and compared it with discourse on laughter in 1930s. As a result, the laughter in Kim’s humor fictions showed the new possibilities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iscourse has been elucidated. Discourse on laughter of 1930s was generally devided two confrontational aspects. One was laughing had a role to resist against the social problems by satire. Another was laughing had a role to escape from the social problems by excessive optimism. But there’s no satire and no escape in Kim’s humor fictions. He accepted all values in contemporary society, but took a distance to criticize. Kim’s humor fictions caused a laugh while debating of two different values. Those were generally conflict of modern culture and traditional culture or conflict of wife and husband. In this debate, Two confrontational values expressed their own opinions, even though it wasn’t accepted in common sense. So readers could catch various opinions of their society. Expressing various values, especially expressing minority opinions, it was new possibilities of Kim gyutaek’s humor fictions.

      • KCI등재

        번역과 조선시형의 창안 -김억을 중심으로-

        김문주 ( Mun Joo Kim ) 민족어문학회 2011 어문논집 Vol.- No.63

        1920년을 전후로 한 시기에 진행된 외국문학의 수용과정은 한국근대문학의 방향과 양상을 구체화하는 핵심 동인이었다. 이전의 번역자들이 편내용중심(偏內容中心)의 번역을 수행하였던 데 반해, 김억의 번역 활동은 내용과 형식을 함께 존중함으로써 시문학 장르의 실체에 본격적으로 육박해 들어간 최초의 작업이었다는 점에서 혜성적인 성격을 지닌 것이었다. 김억은 당대 번역자들이나 문학인들과 달리 원본(출발어 텍스트)에 대한 강박이 거의 없었으며, 아울러 시란 기표(記標)와 기의(記意)로 분리할 수 없는 문학 장르라는 사실을 분명하게 인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시는 번역이 불가능하며, 시의 번역은 새로운 시와 시형을 창안하는 작업이라는 인식으로 발전해 간다. 김억은 번역을 통해 새로운 조선의 시를 모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개진된 것이 ``情調``와 ``格調詩``였다. 그는 시의 형식을 정형의 틀로 인식하지 않고 ``인간 내면 운동의 표현``으로 보았으며, 시의 모든 음성적 자질을 시의 내용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주요 요소로 의식하였다. ``情調의 시학``은 시의 음성적 요소를 중시하고 궁극적으로 의미지상주의에 반대하는 김억의 詩觀에서 비롯된 것이었으며, 이후 원시적 감정 표현의 도야를 강조하는 ``格調詩``로 전환된다. 정조에서 격조로의 변화는 언어의 음성적 자질을 언어 내용의 비물질적 영혼으로 인식하고 시어의 음성적 자질의 가능성을 온전히 개방하려는 태도의 부분적 회수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는 정형시(定型詩)와 자유시 사이에서 정형성(整形性)을 지향하는 김억의 리듬 의식의 산물이자 시의 음성적 자질을 중시했던 시의식의 결과였다. 시의 번역불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통해 김억은 ``창작적 번역``을 시도하였고, 이러한 일련의 이해와 작업을 통해 그는 번역 과정에 내재된 상호주체성과 시적 언어의 고유한 자질에 대한 깊이 있는 인식에 도달할 수 있었다. 정조의 시학에서 격조시형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보여준 시의 음악성에 대한 그의 이해와 심미적 한계는 한국근대시사의 성취/실패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그의 번역 작업은 한국근대시사의 내적 변화 과정을 해명할 수 있는 유력한 기지라고 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accepting foreign literature proceeded in around the year 1920 was a core motive to embody the direction and aspect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Existing translators totally focused on contents of text in translation while Kim Eok respected not only contents but also form. His translation activity has the character of sudden prominence in that the work was the first one to really approach the real entity of genre of poetry. Differently from other literary persons, Kim Eok was not nearly obsessed by original text(source language text) and he clearly recognized that poetry is a literary genre where signifiant and signified cannot be separated. This thinking develops to the recognition that translation of poetry is impossible and is a work to create new poetry and poetic form. Kim Eok explored new poetry of Choson through translation and ``sentiment and refined poem`` was disclosed in this process. He did not recognize form of poem as a frame of fixed form but recognized as ``expression of human inner movement.`` He was aware of all phonetic qualities of poetry as main factor closely related to contents of poem. ``Poetics of sentiment`` was originated from Kim Eok`s viewpoint of poem that phonetic factor of poem is important and eventually the meaning-for meaning principle is refused. Later, ``Poetics of sentiment`` was transformed to ``refined poem`` that emphasizes practice of primitive emotional expression. The change from sentiment to refinement meant partial collection of attitude to recognize phonetic quality of language as non-material soul of language contents and to completely open the possibility of phonetic quality of poetic language. This is a product of Kim Eok`s consciousness for rhythm and at the same time, a result of poetic consciousness emphasizing phonetic quality of poem -he pursued refined form between Poems of fixed form and free verse. Kim Eok tried ``creative translation`` through recognition about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of poem and based on such a series of understanding and work, he could reach the deep recognition about mutual subjectivity inherent in the translation process and peculiar quality of poetic language. His understanding and aesthetic limit about poetic musicality shown in the process where poetics of sentiment was transformed to refined form, was closely related to the achievement and failure of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Such his work in translation may be strong base to explain the process of inner change in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 KCI등재

        서사적 욕망과 형식 -「마더」와 정신분석-

        신철하 ( Chul Ha Shin ) 민족어문학회 2011 어문논집 Vol.- No.63

        이 논문은 「마더」에 나타난 인물들의 욕망을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라깡의 명제 ``무의식은 언어처럼 구조지어져 있다``라는 전언을 원용한다. 주지하듯이 그는 소쉬르의 구조주의 언어학을 원용하여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을 언어적 차원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정신분석학적 구조주의의 단초를 마련했다. 그가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해명하고자 한 것은 무의식을 언어적 구조를 통해 해석하는 것이었다. 이 논문은 라깡식으로 ``오인``과 ``응시``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마더」의 두 인물 ``혜자``와 ``도준``의 왜곡된 욕망과 그 무의식의 심층을 탐구한다. 그 해석은 이 필름의 내면이 밀도있는 서사와 인물을 통해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증거하는 과정과 맞물려 있음을 보여준다. This writing attemtps to analyze the desires of the characters appearing in ``Mother.`` To this end, it takes note of the wording ``unconsciousness is structured like language,`` which is one of 라깡`s propositions. As widely known, he once provided a clue to a psychoanalytic structualism by reconstructing Freudianism on the linguistic level based on structual linguistics. What he attempted to make clear ultimately by this was interpreting unconsciousness through linguistic strucure. This writing interprets the distorted desires of ``Hae-ja`` and ``Do-Joon,`` the two characters appearing in ``Mother`` and the depth of the unconsciousness through ``misperception`` and ``stare.`` The interpretation shows it is interlocked with the process proving that the inner side of this film is made up of condensed narration and characters.

      • KCI등재

        최생우진기(崔生遇眞記)>의 서사 기법과 의미

        전성운 ( Sung Woon Chun ) 민족어문학회 2014 어문논집 Vol.- No.71

        본고는 <최생우진기>에 나타난 용궁 체험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를 살폈다. <최생우진기>에서 용궁 세계의 공간적 배경이 되는 용추동은 미지(未知)의 진경(眞境), 진실된 세계로 형상화·신비화된다. 이것은 용추동의 공간적 배경의 묘사나 증공과 최생의 용궁 세계에 대한 태도 등에서 확인된다. 이런 형상은 독자로 하여금 용궁 세계가 실체를 분명하게 드러내지 않는 신비한 세계, 그러면서도 분명히 존재하는 공간이란 믿음을 갖게 한다. 그런데 다른 한편에서는 용궁 세계의 공간성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는 기술 방식을 사용되고 있다. 무주암, 증공이란 명명의 이중적 의미, 3인칭 시점의 모순성, 미지(未知)와 막유(莫有) 등의 글쓰기를 통해 진경 세계가 실체 없는 공간임을 끊임없이 환기시킨다. 이것은 <최생우진기>에서 진가(眞假)의 혼재, 나아가 용궁 세계는 실체가 없는 허구의 공간일 수 있음을 폭로한다. 용궁 세계를 신비화하는 한편, 그것이 믿을 수 없는 세계임을 드러내고 있다. 이와 같은 <최생우진기>의 이중적 의미 지향의 서사 구성은 신광한이 한유(韓愈)를 전범으로 한 기변(奇變)의 창출이라는 서사 기법의 지향과 유관하다. 신광한의 산문에는 문예미(文藝美)의 추구는 물론이거니와 기변(奇變)의 지향이란 특징이 함께 존재한다. <최생우진기> 역시 마찬가지다. 요컨대 신광한은 <최생우진기>를 통해 도불(道佛)의 이교(異敎)가 성행하는 현실에서 도선 세계의 비실체성과 허구성을 적시하고, 유자로서의 도덕적 태도를 실천하기를 권계하려 한 것이다. 이것이 『기재기이』가 민이(民彛)를 붙들어 세워 명교에 공로가 있는 작품집으로 평가받는 근거라 하겠다.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on figuring the experience of visiting the Palace of Dragon King and its meaning. The place of the Palace of Dragon King is depicted as the mystique place and none-knowing site. So readers are sure to be something in there. It could be confirmed by the figuring of the place and attitudes of Jeunggong and Choisaeng. By the way, on the other side the story-teller revealed the possibility that the Palace of Dragon King does not exist or the story-teller is a liar. Those factors are names of Jeunggong and Mujuam, the inconsistency of story-telling view point, and words of unknowing and none etc. This fact make the reader confused. Which is real and which is fiction. And finally, the reader realize the Palace of Dragon King is unsubstantial world. The writer, Ganghan Shin, is good at writing skill of Hanyu. He is skilled in unexpecting change in writing. Shin tried to tell the secret of the Palace of Dragon King unsubstantial. By this, he suggested that should be faithful to your moral life as a Confucianist. Shin tried to criticize to the society of Buddism and Taoism. This is the topic of Choisaengwoojingi.

      • KCI등재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교과과정의 한일(韓日) 비교 고찰 -고려대학교와 교토대학의 예를 중심으로-

        박진완 ( Jin Wan Park ) 민족어문학회 2007 어문논집 Vol.- No.55

        본고는 고려대학교와 교토대학을 대상으로 양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의 교과과정을 검토하여, 한국의 대학원 교과과정 개편에 참조할 수 있는 일본의 제도적 장치를 소개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우선 학점과 학위 수여 시스템을 중심으로 대학원 학제를 비교해 보면, 교토대의 경우 석·박사 모두 종합시험과 같은 논문 제출을 위한 자격시험은 존재하지 않음은 물론, 박사과정에서는 단위 취득 의무가 없으며, 학위 취득은 재학 중에도 가능하다. 이처럼 교토대의 진학과 졸업 연한은 연구 역량과 실적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또 2006년 개설과목을 대상으로 교과과정을 비교해 보면, 수업 형태로서는 고려대에 개설된 모든 과목이 학기제로 운영되는 점과는 달리, 일본의 대학원에는 1년제(6학점) 과목도 편성되어 있다. 또 강의 이외에도 강독(講讀)이 수업 형태로서 인정되고 있고, 방학을 이용하여 1주간에 한 학기 분(12~14코마)을 수업하는 집중강의(集中講義)가 개설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수업 내용으로서는 고려대가 최신의 연구 동향을 반영하는 응용 과목이 많은 반면, 교토대에는 기초 과목(예컨대, 고전 역주)이 많이 개설되어 있으며, 특히 사적 연구의 비중이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 고려대 교과과정은 국어학과 국문학이 구분되어 있는 데 반해, 교토대를 포함한 일본의 대학원에는 문헌 강독과 같은 문학과 어학의 통합 성격이 강한 과목이 많다. 고려대를 비롯한 한국의 대학원 국어국문과 교과과정의 문제점으로서는 교과과정의 편성이 지나치게 세부 전공을 중심으로 나누어져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학제적 커리큘럼을 제시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복합적 사고 능력을 길러 주고, 창의적 연구가 태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의 교과과정 개혁에서 주목되는 것 중에서, 그 도입이 검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우선 F.D.(Faculty Development, 교수법 개발)를 통해 교원 상호간의 수업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다. 또 교과과정의 편성에 학생의 요구를 수용하는 방안, 구체적으로 수업평가의 결과를 검토하고 교수 강의안을 작성하는 과정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는 것도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s for reforming the graduate school curriculum at Korea University by analyzing Japan`s case, especially that of Kyoto University. The study covers both educational systems such as prerequisite credits for completion and degree requirements, special curricular contents and the categories of subject matter, which were mainly obtained by analyzing catalogues.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curricula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thirty-six credits for the completion of the doctoral course in Korea, but there is none required in Japan. Second, for the acquisition of a doctoral degree, a qualification exam is required in Korea, but not in Japan. In the case of Kyoto University, a graduate student who has not finished the doctoral course but who has made excellent academic achievements, can acquire a doctoral degree. The difference of in curriculum contents is as follows: First, courses in Japan are held for one year in general, unlike Korea`s semester system. Also in Japan a intensive courses (``Shutsu-kogi``) of sixteen lessons per week for one credit are scheduled during the year, but not in Korea. Second, master`s and doctoral courses in Korea are divided into two independent programs, such as courses of Korean Language & Korean Literature, while this is not the case at Kyoto University. Thus, the curriculum of Kyoto University has traditionally emphasized the linguistic interpretation of classics, such as annotation of historical Japanese literature. But Korea University has a large number of subjects which mainly reflects the latest research and applied studie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First, graduate programs in Korea University should provide an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which includes classical subjects as well as practical subjects. Second, in-class teaching skills should be evaluated by the graduate students.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execute F.D. (Faculty Development) including the faculty and staff, the courses and programs, all of which can become self-renewing. It is also desirable for graduates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planning the curriculum by reflecting their inp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