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nveiling Pre-Service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in the Planning of Korean Language Assessment

        천해주,유성령 국어교육학회 2023 국어교육학연구 Vol.58 No.5

        This study explores the epistemological belief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ir impact on performance assessment task planning. Grounded in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instructional approaches, the research aims to redefine Schommer’s (1990) epistemological dimensions in tasks designed by pre-service teachers. Data from 150 participant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revealing three belief-based clusters: Naive (24.7%), Mixed (51.3%), and Sophisticated (24.0%). Task planning patterns in all groups focus on individual perspective analysis and selfreflection. The Mixed group emphasizes related readings, exposing participants to various perspectives. In contrast, the Naive group employs diverse tasks in multiple sessions, emphasizing critical interpretation and real-life situations. The Sophisticated group chooses perspectives from given texts, relying on textbooks or worksheets. Understanding how these beliefs are shaped or regulated during the assessment task planning informs the intersection of educational philosophy and practical application, laying the groundwork for well-informed educational practices and a nuanced understanding of epistemological beliefs.

      • KCI등재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ICILS)의 국어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1) -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을 중심으로

        천해주,서민희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5 한국어문교육 Vol.51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licability of the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ICI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the alignment between the ICILS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CIL) domain and the 2015 and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a. The analysis found that the ‘gathering information’ strand aligns with the reading area, ‘producing information’ with the writing area, and ‘digital communication’ with both speaking/listening and writing. Among these, the ‘digital communication’ strand is closely linked to ethical writing and information sharing, which emphasize audience awareness and coherence. These features are less prominent in the informatics curriculum, which focuses more on copyright and online safety. Notably, the standards from the media area in the 2022 Korean language curriculum show strong alignment with the CIL framework. This alignment suggests that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supports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in lin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 KCI등재

        고등학생의 독자 유형에 따른 내용지식의 영향 연구 : 정보 텍스트 읽기를 중심으로

        천해주 한국독서학회 2022 독서연구 Vol.- No.64

        본 연구는 정보 텍스트 읽기 맥락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의 독자 유형을 확인하고, 내용지식이 정보 텍스트 독해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을 독자 유형에 따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56명을 대상으로 인지·정의·행동적 차원과 관련된 독자 요인과 정보 텍스트 독해 성취를 확인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토대로 K-평균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정보 텍스트 읽기에 대한 고등학생 독자의 유형은 총 네 가지(① 높은 행동적 몰입; ② 능숙한 독자; ③ 소극적 독자; ④ 고군분투하는 독자)로 분류되었다.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내용지식은 정보 텍스트 독해 성취를 12.1% 설명하였다. 그러나 독자 유형별로 효과 크기를 비교한 결과, 오직 ‘소극적 독자(전체 중 23.7%)’ 유형에 속한 학생에게만 내용지식의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이들은 읽기에 대한 평소 태도, 텍스트 흥미, 읽기 중 전략 사용 빈도, 행동적 몰입이 상대적으로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정보 텍스트 독해 성취를 보였다. 이는 결과는 정보 텍스트에 대한 소극적인 읽기 수행을 내용지식이 보완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한적인 내용지식의 영향력은 내용지식의 활성화를 넘어, 독자의 특성을 고려한 정보 텍스트 독해에 대한 다양한 교수학습 지원 방법의 모색 필요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중학생의 장르 지식과 설명문 쓰기 결과 간의 관계 연구

        천해주 한국어교육학회 2024 국어교육 Vol.- No.186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장르 지식과 설명문 쓰기 결과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했다. 중학교 154명의 설명문 장르 지식을 묻는 개방형 문항의 응답을 질적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중학생들의 설명문에 대한 장르 지식은 ‘설명문의 정의’, ‘설명문의 내용 요소’, ‘설명문 쓰기 방법’, ‘쓰기 일반 지식’과 같은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설명문에 대한 장르 지식이 적절하고, 다양한 필자일수록 작성한 설명문의 양과 질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장르 지식은 설명문의 질에 대한 분산을 17.5%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장르 지식의 수준에 따라 설명문의 장르 지식에 대한 응답 내용에도 질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학생들은 대체로 ‘설명문의 내용 요소’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장르 지식이 높은 필자일수록 ‘설명문 쓰기 방법’에 대하여 폭넓은 이해를 보였다. 이는 쓰기의 수행에 있어 선언적인 장르 지식뿐만 아니라 절차적 지식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re knowledge and explanatory writing outcomes in middle school students. A qualitative analysis of 154 student responses to open-ended questions identified key elements of their genre knowledge, including the definition of explanatory writing, its components, the procedures for explanatory writing, and general writing knowledg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students with more comprehensive genre knowledge produced higher-quality and more extensive explanatory texts. Additionally, genre knowledge accounted for 17.5% of the variance in the quality of explanatory writing. Responses also varied based on genre knowledge level. While most students recognized the components of explanatory writing, those with greater genre knowledge exhibited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explanatory writing procedures.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ocedural knowledge in the explanatory writing process.

      • KCI등재

        계층화분석(AHP)을 통한 전문대학교에서의 직업문식성교육 우선순위 분석 - 전문대의 공학계열 졸업생을 중심으로

        천해주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3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priorities of the vocational literacy education of engineering workers who received vocational higher educat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used to identify job literacy tasks that are shown in the actual job site an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job literacy. This process was also used to analyze the subjects who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tenure. As a result, the demand for literacy education in engineering field has shown complicated level compared with that of the existing literacy education contents in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The demand for multimodal literacy, writing based on multiple texts, and critical reading education were high. However, these are not included in the NCS. Furthermore, there were differences in priority of job literacy education between groups especially in writing education. 본 연구는 전문대학교의 공학계열 학과를 졸업한 후 관련 직군에서 근무하고 있는 재직자 17명을 대상으로 전문대학교에서 필요한 직업문식성교육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이는 직업 현장에서 실제로 수행되는 문식성 과제를 확인하고, 직업문식성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계층화분석을 수행하여 직업문식성교육 내용에 대한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근속연수에 따른 우선순위 차이를 확인하였다. 설문 결과 복합양식 문서의 작성, 다양한 문서를 종합한 쓰기, 비판적 읽기 등 기존 NCS 기초직업능력 중 의사소통능력에서 포함하고 있지 않고 있는 문식성교육 내용에 대한 높은 요구가 나타났다. 또한 근속연수에 따른 직업문식성교육의 우선순위 차이가 쓰기교육을 중심으로 드러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는 전문대학교 재학생들이 취업 후 겪을 수 있는 읽기․쓰기 과제 상황과 문식성 능력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문대학교에서 직업문식성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을 설정하는 데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작문 평가 준거의 평가자 간 해석 차이에 대한 연구

        천해주 ( Cheon Hae-ju ),김영서 ( Kim Young-seo ),박소희 ( Park Sohee ),김주환 ( Kim Joo-hwan ) 한국작문학회 2020 작문연구 Vol.0 No.47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작문 능력 비교 평가를 위해 도출된 작문 평가 준거의 평가자 간 해석 차이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평가자 3인이 동일한 평가 준거를 사용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 29명의 글(설명글 15편, 설득글 14편)을 독립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자 간 일치도 확인 결과, 평가자 3인 사이의 의견 일치도는 설명하는 글이 77.86%, 설득하는 글이 76.45%였다. 준거별 일치도의 경우 ‘문체의 적절성’ 준거를 제외한 모든 준거가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인 70%를 넘었다. 이후 평가자 간의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평가 범주 해석상의 쟁점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로, ‘내용’ 범주에서는 주제와 소재, 세부 내용 등 평가 준거의 표현에 대한 평가자의 이해 차이로 인해 준거의 일관된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로 ‘조직’ 범주의 평가에 있어 글의 내용이나 분량의 개입이 불가피했다. 이는 ‘내용’과 ‘조직’ 범주의 독립적인 평가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셋째로 ‘표현’ 범주 중 ‘문체의 적절성’ 준거에 있어 쓰기 목적별 어조 및 문체의 예시를 포함한 준거 상세화 작업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표기’ 범주에서 표기상 오류, 언어 관습의 적용을 평가하는 데 있어 척도 적용의 일관성 문제가 있었다. 본 연구는 학생 글 표본의 수가 한정되어 있고 쓰기 평가 준거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그러나 기존 작문 교육 연구 영역에서 평가 준거에 대한 해석의 차이를 바탕으로 평가 준거를 더욱 타당한 쓰기 평가 도구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단계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ree raters interpretate writing evaluative criteria differently when they apply them to assess writing ability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ree raters independently evaluated a total of 29 (15 explanatory and 14 persuasive) essays written by 8th-grad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interrater agreement, an exact agreement rate among the three raters on the total criteria was 77.86% for explanatory essay and 76.45%for persuasive essay. All criteria except the ‘appropriateness of style’ criterion exceeded the acceptable rate of the exact agreement (70%). The following issues about interpreting the categories of the rubric were drawn during the rater discussion. First, in the ‘Ideas’ category,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of interference of several criteria due to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some terms between the raters, such as theme, topic, and details. Secondly, the content or amount of the article influenced the raters’ evaluation of the ‘Organization’ category. Third, in the ‘Presentation’ category, interpreting the ‘appropriateness of style’ required further information on tone and style in eachwriting purpose. Finally, in the ‘Conventions’ category, the raters applied the evaluative criterion less consistently when assessing conventional error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erms of its small sample size and no statistical testing on the validity of the rubric. Nonetheles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examines differences of raters’ interpretation systematically in order to move forward to the large-scale study on rubric valid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읽기 유창성 인식 및 지도 유형 탐구

        천해주 ( Cheon¸ Haeju ) 한국독서학회 2021 독서연구 Vol.- No.61

        This study explored teachers’ perceptions and teaching profiles of reading fluenc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176 primary school teachers in Korea.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were notably aware of prosody in three components (automaticity, accuracy, and prosody) of reading fluency. Furthermore, they emphasized the need for fluency instruction for students in higher grades rather than lower grades. The fluency instruction was mainly conducted at the sentence, paragraph, or text level rather than with letters and nonwords. The most preferred material to teach reading fluency was a textbook unlike an official diagnostic tool such as BASA-R. However, teachers with more preparation experience utilized nonwords or diagnostic tests more often. Based on PAM Cluster Analysis, the teaching profil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and teaching experience: passive novice, active intermediate, and active exper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meaningful teacher education to motivate teachers to become an “active expert type” that utilizes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for reading fluency i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