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강현실 기반 추리게임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김영서(Young-Seo Kim),박호현(Ho-Hyun Park),이예원(Ye-Won Lee),이강희(Kang-Hee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8

        In this paper, we design a reasoning game based o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try to make the user feel the real sense of presence and the sense of reality during the game. Based on the virtual crime story, there is one victim and three suspects, and the user can reason about the incident by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Each room of the suspects is made in the form of drawings, and the room containing the evidence of the suspects is displayed in 3D form by recognizing the drawings, where they acquire and combine the evidence. In addition to the evidence shown in the drawings, clues in furniture or objects that make up the actual room should also be searched. The two safes in the crime scene contain the necessary evidence and items to control the game through the Arduino and UDP communications. Within the time limit, you need to combine the clues necessary for the actual reasoning, and finally, you have to guess three things: the actual case, the date of the case, and the criminal tool. Users can enjoy games that cross the augmented reality and real space while directly intervening in case resolution from a third party. 본 논문은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한 추리게임을 설계하였으며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하는 동안 사건현장의 실재감, 현장감을 효과적으로 느낄 수 있게 제작하고자 하였다. 가상의 범죄 스토리를 기반으로 피해자 한 명과 용의자 세 명이 존재하며 사용자는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면서 사건의 진범을 추리할 수 있다. 용의자들의 방은 각각 도면 형태로 제작하였으며 도면을 인식함으로써 용의자들의 증거가 담겨있는 방이 3D형태로 띄워져 증거를 획득 및 조합한다. 도면에서 보이는 증거들 이외에도 실제 방을 이루고 있는 가구나 사물에 있는 단서 역시 탐색해야한다. 사건 현장에 놓여있는 금고 두 개 속에는 게임진행에 필요한 증거 및 물품이 들어있는데 이는 아두이노와 UDP 통신을 통해 금고를 게임 시스템에 따라 컨트롤 할 수 있다. 제한시간 안에 진범 추리에 필요한 단서들을 조합해야하며, 최종적으로 진범, 사건 날짜, 범행 도구 세 가지를 추리해야한다. 사용자는 제 3자의 입장에서 사건 해결에 직접 개입하면서 증강현실과 실제 공간을 넘나드는 게임을 즐길 수 있다.

      • KCI등재

        자재물류관리를 위한 자재 속성별 자재관리 프로세스 모델 - ETO 범주 자재를 중심으로 -

        영서,유정호,창덕,Ha, Young-Seo,Yu, Jung-Ho,Kim, Chang-Duk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4 No.3

        건설산업에서 자재와 관련된 비용은 프로젝트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원가구성비 측면에서 40% 이상을 차지한다. 최근 대형화, 전문화, 복잡화 되어가는 건축 공사에서 자재의 반입, 이동 및 적재공간의 협소로 인해 자재관리가 매우 복잡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자재관리는 현장 관리자의 경험에 의존해 관리되고 있으며 건설관리분야 중 자재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낮은 실정이다. 이에 대한 건설 산업에서 자재관리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재의 속성에 따른 MTS(Make-to-stock), ATO(Assemble-to-order), MTO(Make-to-order), ETO(Engineered-to-order)의 네 가지 분류 방법과 자재 조달 특성 및 자재 고유 특성 분석을 통하여 현장 자재의 효율적인 공급관리를 위한 자재의 속성별 관리체계를 분석한다. 이를 이용하여 자재 속성별 자재관리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In construction industry, the cost related to material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under the characteristic of projects. However, it has 40% of the whole cost in the composition of prime cost. Recently, While the construction work become bigger, specialized and complex, it is complex to carry in materials because of shortage of space. However, in many cases, material management has been underestimated as well as the material management is depending on experience of site managers so it has been studied about frequently. In this study, I suggest four classification methods of material characteristic ETO, ATO, MTO, MTS. I also analyze what the most efficient supply management of the site materials is through research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distribution.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build the material management classification for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 2) X-선 간접촬영 흉부영상의 병변패턴 검출

        김영서,황충연,허만용,유대인,Kim Young seo,Hwang Chung Yeun,Her Man Yong,Yoo Dae In 대한방사선사협회 1999 대한방사선사협회지 Vol.25 No.1

        The detection of X-ray fluoroscopy is tedious and time-consuming for human doing. Lowering of efficiency for chest diagnosis is caused by lots mistakes of radiologist because of detecting the micro pathology from the film of small size. Therefore, in the

      •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 인정 기준 : 노동생명표를 이용한 은퇴기대연령의 활용 -대법원 2019. 2. 21. 선고 2018다248909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김영서(Young Seo Kim),서예린(Ye Rin Seo)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20 법학평론 Vol.10 No.-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은 손해배상 시 일실이익 산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대법원은 1989. 12. 26. 선고 88다카16867 전원합의체 판결 이후로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만 60세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대법원은 2019. 2. 21. 선고 2018다248909 전원합의체 판결(이하 ‘대상판결’)에서 경험칙의 기준이 되었던 제반 사정들이 현저히 변화하였으므로 만 60세를 넘어 만 65세까지도 가동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경험칙에 합당하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의 다수의견과 별개의견 1, 별개의견 2는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만 60세를 넘어서까지 인정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었다. 그러나 대법원이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일률적으로 특정 연령으로 선언해도 되는지 여부, 선언해도 된다면 어떤 연령으로 선언할 것인지에 대하여 견해를 달리했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가동기간의 의의 및 기능을 개관하고, 가동기간 전반에 관한 기존 대법원 판례의 흐름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가동연한 인정 기준에 대한 판례의 태도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적용되는 가동연한의 인정 기준에 있어서 ‘경험칙상’ 가동연한이 가지는 체계적 위치를 규명하였다. 먼저 본고는 경험칙상 가동연한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요인과 노동시장 요인, 제도적 요인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기존에 대법원이 인정하던 만 60세를 넘어 경험칙상 가동연한이 상향조정되어야 할 만큼 사회 현실이 변화했다는 점에 대해서 대상판결과 견해를 같이하였다. 다음으로 대법원이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특정 연령으로 단정하여 선언해서는 안 되고, 별개의견 2의 견해와 같이 포괄적인 법리를 제시하는 데에 그쳐야 한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더 나아가 손해의 공평한 분담이라는 관점에서 구체적 타당성을 추구하는 방법으로 바람직한 가동연한 산정방식의 탐색이 필요하고, 구체적으로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인정함에 있어서는 통계적인 수치를 활용하여 법 규범과 현실의 간극을 좁힐 것이 요구된다는 점을 보였다. 이 점에서는 고령자고용법상 법정 정년을 경험칙상 가동연한의 기준으로 하자는 별개의견 2의 견해와 의견을 달리하였다. 본고에서는 노동생명표를 이용한 연령별․성별 은퇴기대연령의 산출방식을 소개하고, 이를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인정하는 기준으로서 활용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언하였다. 이 방식을 통해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특정 연령으로 단정하여 선언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통계적인 수치를 활용하여 법 규범이 현실을 시의 적절하게 반영하도록 함으로써 구체적 타당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을 보이고자 했다. 나아가 직종별 가동연한을 달리 보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는 별개의견 2의 첨언에 대하여, 직종별로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달리 보는 현재 대법원 판례의 태도가 타당하다는 입장을 개진하였다. The legal maximum working age based on empirical standards (hereinafter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of manual laborers is a very important criterion for calculating damages for lost earnings. Since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88Daka16867 decided December 26, 1989, the Supreme Court had maintained the view tha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of manual laborers should be 60 years old. However, in the en banc decision 2018Da248909 (hereinafter ‘the Case’), the Supreme Court declared that manual laborers are highly likely to work beyond the age of 60 to the age of 65, considering significant changes in the underlying soci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that substantiated the previous standards. The majority opinion, the first concurring opinion and the second concurring opinion in the Case all agreed tha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of manual laborers should be beyond the age of 60. However, they disagreed with each other on whether the court can uniformly se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at a certain age and what the age should be, if the court could. By analyzing the existing Supreme Court cases concerning the legal working period including the Case, this paper identifies the status of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in the current legal regime for determining the legal maximum working age ultimately applied to an individual. This paper agrees with the Supreme Court tha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should be raised from the age of 60, considering biological, economic, and institutional factors. However, this paper stands with and explores the second concurring opinion’s idea that the Supreme Court should refrain from declaring a uniform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for manual laborers and should only present comprehensive legal principles about it. Furthermore, this paper purports to show that the gap between legal norms and reality should be narrowed by adopting statistical measures in calculating damages, as it would enhance the specific justice. Regarding this point, this paper differs from the second concurring opinion, which contends tha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should be primarily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retirement age set by the Act on Aged Employment. This paper introduces a method of estimating the expected retirement age by age and gender groups using the Work-Life Table, and subsequently suggests using it as the new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The new method is expected to enhance the specific justice as it would resolve the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the Supreme Court uniformly declares a certain age as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and ensure that legal norms reflect reality in a timely manner. Finally, whereas the second concurring opinion added that courts should not discriminate based on profession when determining the legal maximum working age,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Supreme Court’s current approach, which applies different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by profession, is more valid.

      • 편안한 숙면을 위한 IoT 베개 및 매트

        나령 ( Kim-na Ryoung ),장우석 ( Jang-woo Seok ),준영 ( Kim-jun Young ),안치형 ( An-chi Hyeong ),김영서 ( Kim-yeong Seo ),이경용 ( Lee-kyung Y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2

        최근 현대인에게는 질좋은 숙면이 필수적이다. 건강한 숙면을 위해서는 편안한 수면환경이 중요하므로 IoT베개와 매트는 개개인에게 맞는 수면 자세를 잡아 효율적으로 현대인들의 수면의 질을 높여줄 것이다. IoT의 베개의 센서가 머리의 움직임과 방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설치된 장치가 자세를 바로잡아주고 장치와 연동된 앱을 통하여 수면의 종류와 패턴, 수면 시간을 상세분석하는 체계적인 맞춤형 수면 관리를 통해 수면 건강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수면 건강정보를 서버에서 종합하여 각 가정의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원격진료가 가능하다.

      • KCI등재

        유지관리 모니터링을 통한 국가어항 방재시스템의 유지관리수준에 관한 연구

        조영진(Young-Jin Jo),김영서(Young-Seo Kim) 한국연안방재학회 2019 한국연안방재학회지 Vol.6 No.2

        The breakwater of the national fishery port is currently under going rapid aging and the possibility of destruction due to climate change is increasing and maintenance costs are expected to rise sharp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cost of LCC by securing the safety of the national fishery port breakwater and long life.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study defines the maintenance level of the national fishery port breakwater and suggests appropriate maintenance level for rational decision making of maintenance. The appropriate maintenance level of national fishery port breakwater is as follows: 1. The maintenance according to service life of facilities is current maintenance level, 2. The maintenance according to breakwater damage rate is Current maintenance level or preventive maintenance level, 3. The maintenance according to change in design wave is preventive maintenanc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