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among Female Baby boomers in South Korea: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Model

        채주석(Joosuk Cha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8 No.-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 여성들의 일-가정갈등(Work-Family Conflict)과 우울의 변화궤적을 파악하고 두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Korean Welfare Panel Study) 8차~12차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출생한 베이비붐 세대 여성 636명을 대상으로 일-가정갈등과 우울의 변화를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조건적 모형 검증 결과, 일-가정갈등과 우울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초기값과 변화율의 개인차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가정갈등과 우울의 조건적 모형 검증 결과, 일-가정갈등 초기값은 우울의 초기값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변화율 사이에도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노년기에 진입할 베이비붐 세대 여성들의 일-가정 갈등 및 우울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ork-family conflict (WFC) and depressive trajectory of Korean female baby boomers and to cla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8th ~ 12th data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and analyzed the changes in WFC and depression among 636 baby boomers who were born between 1955 and 1963 using a latent growth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unconditional model verification, WFC and depression showed a tendency towards decreasing, and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initial values and rate of change. Second, as a result of the conditional model verification of WFC and depression, the initial WFC valu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depression. In addition,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between the rate of change of WFC and depression, and causality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discusse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WFC and depression of prospective baby boomers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한국인의 세대 간 연대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의 적용

        채주석(Joosuk Chae),남석인(Seok In Nam)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5

        본 연구는 급속한 사회변화로 고조되는 세대 갈등 속 한국인이 맺는 세대 간 연대의 구조와 양상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성인 30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인의 세대 간 연대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중심현상은 ‘세대를 잇는 가는 실의 존재’로 확인되었다. 참여자들은 세대 간연대를 맺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가족주의 연대에서 벗어나 서로의 삶의 영역을 존중하며 연대를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IT기기를통해 공간적 한계를 넘어 부모와 자녀 사이의 연대를 유지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부모부양 및 노인돌봄의 주제와 관련하여 자녀세대는가족주의 관점에서 부모님 부양에 대한 의무와 책임을 갖는 동시에 미래의 부양부담에 한계를 느끼고 정책적 지원을 기대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세대 간 연대의 변화를 반영한 정책마련과 학문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aspects of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mong Koreans amid generational conflict, heightened by rapid social change. For this purpose, 30 adults (age 18 years and above) were interview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entral phenomenon evident in the solidarity formulation process between different generations of Koreans was “the existence of a thin thread that connects generations.” To form solidarity, the participants respected each other’s lifestyles, break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familial practice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solidarit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as maintained beyond the spatial limit through IT devices. Moreover, with respect to parental support and elderly care, the youngest (children’s) generation had the duty and responsibility to support their parents from a familial point of view, while being aware of the future burden they might have to face and hence expected policy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the necessity for formulating policies that reflect the change in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s and the need for academic discussion and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was suggested.

      • KCI등재

        최고경영자의 기업가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민첩성의 매개역할과 환경동태성의 조절역할 -

        채주석 ( Joo-seok Chae ),이종학 ( Jong-hak Lee ),이남겸 ( Nam-gyum Lee )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9 기업경영리뷰 Vol.10 No.2

        최근, 글로벌화, 경제 불황 등 급격한 기업 환경변화에 따라, 기업은 최고경영자의 기업가지향성을 통한 조직차원의 위기극복과 빠른 대응을 통한 경쟁우위 확보를 추구하고 있다. 기업가지향성은 조직 구성원을 고무시킴으로써 조직성과를 달성할 수 있고, 조직민첩성은 경쟁우위 확보 및 유지를 통하여 기업성과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기업가지향성을 통한 조직역량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개선을 가져오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한 기업가지향성에 대한 실증연구도 매부 미흡한 실증이다. 또한, 경영자들은 기업 외적인 환경적 특성에 따라 전략적 대응을 위해 고민하고 있으며, 조직 동태적인 외부 환경성을 일차적인 근본원인으로 고려하고 있으나 아직도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수준에서 기업가지향성, 조직민첩성, 조직성과 간의 효과를 분석하고, 환경동태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기업의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한 1차 설문조사와 경영성과 측정을 위하여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으로부터 기업별 3개년간의 당기순이익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기업가지향성의 하위요인인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각각이 조직민첩성과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조직민첩성도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민첩성은 기업가지향성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환경동태성은 조직민첩성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기업가지향성과 조직민첩성은 조직의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환경동태성이 강할수록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강화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기업가지향성, 조직민첩성, 환경동태성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한계점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용에 대해 논의하였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Recently, in accordance with rapid changes in the corporate environment such as globalization and the economic recession, companies are seeking to secure a competitive advantage by overcoming organizational crisis and responding promptly to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CEO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s that organizational performance can be achieved by encouraging organizational members, and organizational agility is emerging as the ultimate goal of companies by allowing them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through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competitiveness. However, it does not show how the organizational capability through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mproves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empirical study on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oward the CEO is also insufficient. In addition, managers are struggling for strategic responses based on their extern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considering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organization as the primary root cause, but research on CEO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seek to analyze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rganizational ag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t organizational level, and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dynamics.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research objectives, we collected three years' net profit data from the DART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or the first questionnaire survey and performance measurement for CEOs of Korean compani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organizational ag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agi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innovativeness, risk sensitivity, and entrepreneurship have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agi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Environmental dynamics have been found to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agi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this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agility can enhance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in this process, we have found that the stronger the environmental dynamics, the stronger the impact on management performance. However,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rganizational agility, and environmental dynamics are positive aspects of management performance, but they also have limitations.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se contents and suggested implications.

      • KCI등재
      • KCI등재

        우수인재확보전략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동적역량의 매개역할과 고용안정정책의 이중조절효과: 중소·중견기업을 중심으로

        채주석 ( Joo-seok Chae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1 기업경영리뷰 Vol.12 No.4

        본 연구는 우수인재확보 전략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동적역량의 매개효과와 고용안정정책의 이중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한 후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우수인재확보전략, 동적역량, 고용안정정책, 경영성과에 대한 관련 이론들과 기존에 수행되었던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후 가설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최고경영자 12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우수인재확보 전략은 동적역량을 거쳐야만 기업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수인재확보 전략과 동적역량 간의 관계 및 동적역량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고용유지정책은 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수인재확보전략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동적역량의 매개효과와 고용안정정책의 이중조절효과를 처음으로 실증분석함으로써 연구의 외연적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점이며, 기존의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tudy after empirically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dynamic capability(DC) and the double-regulating effect of job security policies(JS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cellent talent acqusition strategy(ETAS) and management performance(MP). Hypotheses were derived after examining relevant theories on ETAS, DC, JSP, and MP, as well as previous studies. Data were collected from CEOs of SME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llected data were reviewed, and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ETAS improves MP only through DC. It was found that JSP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AS and DC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C and MP.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double moderation effect of JS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AS and MP for the first ti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xisting studies were provided.

      • KCI등재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기업가지향성의 매개역할에 관한 연구

        채주석 ( Joo-seok Chae ),황일영 ( Il-yeong Hwang ),이남겸 ( Nam-gyum Lee ),김희성 ( Hee-sung Kim )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9 기업경영리뷰 Vol.10 No.3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조직의 지속가능한 경쟁우위 확보를 위하여 인적자원관리와 전략실행을 연계시킴에 따라 대두되었고, 전략적 경영연구에 대한 출현으로 기업가 지향성은 최근 심도있게 연구되는 주제이다. 이에 인적자원관리와 기업가지향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새롭게 성장하는 분야이다. 기업은 기업가적 활동을 중요시하며, 기업가지향성을 갖춘 기업으로 운영하고자 한다. 특히, 중소ㆍ중견기업에서 최고경영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고, 또한 강조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최고경영자을 대상으로 한 조직 수준에서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기업가지향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성과 간의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실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기업가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기업가지향성이 경영성과(평균매출액, 평균영업이익, 평균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경영성과에 대한 효과가 나타나는 과정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하여 기업가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결과, 첫째,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기업가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지향성은 평균매출액, 평균영업이익, 평균당기순익 각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지향성은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평균매출액, 평균영업이익, 평균당기순익 간의 관계에서 모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증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의의, 그리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SHRM) has emerged in order to secur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by link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within the organization with strategy and execution,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s been studied intensively in recent years due to the emergence of strategic management research. An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s a new and growing field. Firms take account of entrepreneurial activities and would like to operate as companies with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role of CEO is very important and emphasized in SMEs, research o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t the organizational level for CEO is very insufficient. This study sought to establish and verify a research hypothesis based on the argument that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SHRM and performanc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HRM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analyzed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average sales, average operating profit, and average net profit. In order to better explain the effect of SHRM on management performance, tri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s a result, first, SHRM has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eco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average sales, average operating profit, and average net profit. Thir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strategic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average sales, average operating profit, and average net profi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topics are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LPA)분석을 활용한 노인의 생활시간 유형의 영향요인과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

        남석인(Seok In Nam),채주석(Joosuk Chae),원해솔(Hae Sol Won),이주영(Ju Young Lee)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을 유형화하여 유형별 영향요인과 차이를확인하고 각 유형이 생활만족도에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6차 자료를활용하 여 65세 이상 노인 3,963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생활시간 유형 분류 결과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 활용은 기초생활유지형(16%), 여가자유중심형(26%), 사회활동형(58%)의 3가지로 유형화 되었다. 각 유형별 영향요인 파악을 위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기초생활유지형 대비 여가자유중심형의주요 영향요인은 배우자의 유무(p<.01), 심리적 건강상태(p<.001)로 나타났고, 사회활동형의 주요 영향요인은 연령(p<.05), 경제적 활동(p<.001), 만성질환(p<.001)으로 나타났다.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기초생활유지형에 비해 여가자유중심형과 사회활동형의 생활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바탕으로 기초생활유지형으로 시간을 활용하고 있는 노인의시간사용 유형 변화를추구하여 노년기 생활만족도를제고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daily time use of older adults into different types,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m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by type, and verify the effect of each type on life satisfaction. From the 6th wave of the Korea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eRIS), analysis was conducted on 3,963 older adults aged 65 (n=3,963).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three types of daily time use for older adults were identified: basic life maintenance type (16%), free-leisure oriented type (26%), and social activity type (58%). From the results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each type of daily time use, it was found that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free-leisure oriented type, when compared with basic life maintenance type, were the presence of spouse (p<.01)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p<.001).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social activity type, when compared with basic life maintenance type, were age (p<.05), economic activity (p<.001), and chronic disease (p<.001). The life satisfaction seen during free-leisure oriented time and social activity time was higher than that during basic life maintenance time. From these findings, practical and policy proposals were suggested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during basic life maintenance time by pursuing changes in the use of that time.

      • KCI등재

        A대학교 RC[기숙형 대학] 교육의 효과성 분석

        김희성(Kim, Heesung),채주석(Chae, Joo-Se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5

        This study’s aim is to examine Residential College education. To achieve the goal, the authors analyzed the data collected at a university RC in 2019.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C system has an effect on enhancing core competencies and students’ satisfaction. Next, the RC faculty’s competency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core competencies and students’ satisfaction of RC. The study’s results show that universities should focus on developing RC programs for linking core competencies with improving students’ satisfaction. The RC faculty must make efforts to show their distinctive competency for RC.

      • KCI등재

        지식경영 추구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기술역량의 매개효과와 학습지향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중소·중견 기업을 중심으로

        임승엽 ( Seungyup Lim ),채주석 ( Joo-seok Chae ),옥광 ( Gwang Ok ),김수지 ( Su-ji Kim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0 기업경영리뷰 Vol.11 No.4

        본 연구는 조직의 혁신성과에 대한 CEO의 지식경영추구가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연구가 미흡한 점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기술역량의 매개역할과 학습지향성이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실증분석하고, 이에 따른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식경영추구, 기술역량, 학습지향성,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가설을 설정하였다. 자료는 중소·중견기업의 CEO 88명에게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고, 이를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CEO의 지식경영추구와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 학습지향성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역량과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도 학습지향성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역량은 지식경영추구와 혁신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그리고 지식경영추구가 기술역량을 통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학습지향성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규명됨으로써 완전매개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지식경영추구와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 조절역할을 동시에 고려하였으며, 이를 통해 매개된 조절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학문적 연구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점과, 혁신성과 향상을 위한 최고경영자의 지식경영추구, 조직의 기술역량, 조직의 학습지향성이 중요하다는 실무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In this study, the pursuit of CEO’s KM for IP plays a large role. Nevertheless, the empiric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on the lack of research and how TC played a mediating role and LO played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established hypothesis after reviewing precedent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M pursuit, TC, LO, and IP.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with CEOs of SM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O’s pursuit of KM and IP,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C and IP, it was found that LO plays a moderating role. Also, TC was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suit of KM and IP.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KM pursuit on IP through TC was found to have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ason of LO, indicating that there is a completely mediated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O’s pursuit of KM and IP, both the mediating role and the moderating role wer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and through this,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was identified, thereby expanding the field of academic research. In addition, it provided implications from the practical a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