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가 지각한 만 5세 유아의 탄력성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차지량(Cha, Jee-Ryang),정계숙(Chung, Kai-Sook)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5

        본 연구는 유아 탄력성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C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의 아버지, 어머니 각 128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다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여아가 남아에 비해 도움주기 및 감정이입과 조절을 더 많이 하였다. 둘째, 유아 탄력성의 하위요인과 친사회적 행동 전체 및 하위요인 간에는 정적 혹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유아의 성별을 통제하였을 때 유아 친사회적 행동의 도움주기에 대한 탄력성의 영향력이 가장 컸고, 하위요인별로는 유아 탄력성의 자기통제가 친사회적 행동 전체 및 나누기, 도움주기, 그리고 감정이입과 조절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유아 탄력성의 주도성은 나누기와 도움주기에 부적 영향을, 지도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높이기 위한 유아 및 부모교육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pro-social behavior of 5-year-old preschoolers. The subjects were 128 parents each of whose children attend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MANOVA, Pearson-correlation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cluded findings that showed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gender; girls showed willingness to help and empathy more than boys. 2)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correlated positively or negatively with pro-social behavior and its sub-factors. 3) Resilience influenced the most on helping when controlled by gender. In addition, the self-control factor was a variable to influence the total of pro-social behavior and the sub-factors of sharing, helping, and empathy. Also, the initiative factor influenced negatively on sharing and helping, yet positively on leadership.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preschooler and parental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유아교육기관 조직문화 연구: 예비유아교사의 관점

        정계숙(Chung, Kai-Sook),차지량(Cha, Jee-Ryang),김미나(Kim, Mi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관점에서 바라본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의 특성을 양적, 질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3학년 1학기 직전 6주간 어린이집 실습과 3학년 2학기 중간 4주간 유치원 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 63명을 대상으로, 실습기관의 조직문화의 일반적 수준과 현황 파악을 위해 조직문화 인식척도와 소그룹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에게 인식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 문화는 위계문화, 혁신문화, 합리문화 그리고 집단문화 모두 보통 이상이었고, 위계 문화와 혁신문화가 합리문화와 집단문화보다 더 높게 인식되었다. 소그룹면담 결과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조직문화의 특성은 학급운영, 대인관계, 업무소통, 경제적 합리성, 교사 복지, 그리고 부모의 6가지 범주로 유목화 되었다. 학급운영은 획일성 또는 자율성으로, 대인관계는 수직적 관계, 수평적 관계, 갈등해결 책임 등 하위 특성으로 나누어졌다. 업무 소통은 업무 협조와 교사 발언권으로 구성되었고, 경제적 합리성은 출퇴근시간, 결제체계, 회의, 회식에서 융통성 혹은 원칙주의로 특징 지워 졌다. 교사 복지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 기회 제공과 간식 제공의 유무로 나타났으며, 마지막 범주로 부모의 영향은 보여주기 식, 좋은 관계 유지, 기본 원칙 준수와 같은 기관의 조직문화에 영향을 주는 외적 요소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관점에서 바라본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는 6가지 범주 내에서 두 가지 상반된 성격이 공존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건강한 조직문화 형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Subjects were 63 senior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the practicum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and they completed Likert scale and small group in-depth interview to examine the general level and actuality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institutions they observed during their practicum. As a resul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perceiv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found having all of the hierarchical, innovative, rational, and collective cultures at the level of the average and above. The small group interviews yielded six categories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classroom oper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usiness communication, economic rationality and welfare.

      • KCI등재

        유아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교육공동체 인식과 교사

        정계숙(Chung, Kai-Sook),차지량(Cha, Jee-Ryang),이지연(Lee, Ji-youn),문지애(Mun, Ji-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육공동체 구현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시점에 유아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유아교육공동체 인식과 교사-부모 간 협력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총 197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육공동체 인식 척도, 교사 심리적 임파워먼트 척도 및 교사-부모 협력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상관분석 및 Baron과 Kenny(1986)의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유아교육공동체 인식, 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및 교사-부모 협력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유아교육공동체 인식과 교사-부모 협력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부모 협력 증진을 위해 교사의 심리적 역량 향상과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이 중요함을 알게 해주었으며 교사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wareness of educational community and cooperation with parents. This research reflects the current statu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ctor because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community has been raised as a crucial matte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mong 198 nursery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using several rating scales: teachers’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teach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parent-teacher cooperation.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correlation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multiple regressions (Baron & Kenny, 1986). Results demonstrated a positiv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variables. The teach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and cooperation with parents. Findings also show a significant implication regarding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al courses. The promotion of cooperation with parents can be facilitated by teachers’ psychological competence and the establish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유아교육공동체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정계숙 ( Kai Sook Chung ),차지량 ( Jee Ryang Cha ),박희경 ( Hee Kyung Par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유아교육기관을 교육공동체로 인식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향 변인으로는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 모 자신의 의미 기반 교육공동체 진단과 주체 이해, 부모 역량 변인을 선정하였다. 부산과 경남의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자녀를 둔 어머니 총 17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부모 역량 척도,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척도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정규성 검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의 연령이 유아교육공동체 의식과 그하위요인인 동반자 의식, 핵심가치 공유 요인에 영향력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 자신의 의미에 기반한 교육공동체 특성 진단과 주체 이해가 유아교육공동체 의식과 그 하위요인인 동반자 의식 및 핵심가치 공유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부모 역량 하위요인 중 주변 사람과의 협력과 독립성은 유아교육공동체 의식에 영향력이 있었으며 주변 사람과의 협력은 동반자 의식 요인에, 독립성은 핵심가치 공유 요인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공동체 형성과 관련하여 어머니의 연령, 교육공동체 관련 지각과 이해, 부모역량 요인을 어떻게 부모교육에 반영할 것인지 시사점과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factors affecting perception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owar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moth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s and parental self-concept. Also mothers`` personal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s by criteria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agent were included. The subjects consisted of 175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ho attende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s. Parental Self-Concept Scale and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Scale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test of normality, partial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thers’ age has affected their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and its sub-variables (e.g. sense of partnership and sharing key values between members). 2) Mothers`` personal evalua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and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agents have affected their perceptions towar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and its sub-variables. 3) Two sub-variables in parental self-concept have influenced the perceptions toward educational community: cooperation with others was related to sense of partnership and independence was associated with sharing key values of member. The implications and future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how mothers`` ages, their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and parental self-concept could be included in parent education to establish sound educational community.

      • KCI우수등재

        취원 유아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부모 참 역량과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의 영향: 직업유무별 비교

        정계숙(Kai Sook Chung),차지량(Jee Ryang Cha),문지애(Ji Ae Mun) 한국아동학회 2016 아동학회지 Vol.37 No.6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and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others with preschoolers depending on mothers’ employment status. Methods: A total of 238 mothers (98 employed, 130 unemployed) whose children were attending early childhood institutes participated in a survey measuring three variables. Results and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and life satisfaction, regardless of employment status. Second, comparing employed mothers with unemployed mothers, a common variable affecting life satisfaction was social competence, a sub-variable of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Further, self-system competence, a sub-factor of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for employed mothers, and sharing core values, a sub-variable of awarenes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for unemployed mothers.

      • KCI등재

        유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어머니가 지각한 친사회적 행동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공동체생활 기술에 미치는 영향

        정계숙 ( Chung Kai Sook ),차지량 ( Cha Jee Ryang ),문지애 ( Mun Ji A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 친사회적 행동변인의 유아교육기관에서 의 공동체생활 기술에 대한 영향력을 비교하고 어떤 친사회적 행동 변인이 더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세-5세 유아의 담임교사 23명과 어머니 총 339명 에게 유아 친사회적 행동과 공동체생활 기술을 알아 보는 설문지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t검정,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 가구의 월소득 및 기관 유형에 따라 담임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공동체 생활 기술에 차이가 있었다. 이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공동체생활 기술 간의 상관은 -.17∼-.19 사이의 낮으나 유의한 부적 상관이, 친사회적 행동 하위요인과 공 동체생활 기술 간에는 .42∼.50 사이의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공동체생활 기술에 대 해 유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은 6.8%의 설명력이 있고 친사회적 행동 요인은 25.8%의 설명력이 있으며 그 중 나누기와 감정이입 및 조절 요인이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공동체생활 기술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과 앞으로 유아 공동체생활 기술 척도 개발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young children`s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pro-social behaviors perceived by mothers affected on their community living skil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s. Specific attention was paid to recognize any influential sub-factors of pro-social behavior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339 mothers who sent their 3-5 years old children to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 mothers completed a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and 23 teachers in charge completed the Community Living Skills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correlations and regress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s was analyzed using Cronbach`s α. The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d that young children`s community living skill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family monthly income and types of settings. Th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community living skills were low (-.17∼-.19)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rrelations between sub-factors of pro-social behaviors and community living skill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42∼.50). Young children`s community living skills were explained by their socio-demographic variables with a level of 6.8%. Pro-social behaviors was measured at 25.8% with sub-factors sharing, empathy, and control being the most impactful factors. The final part of this study present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such as parent education to promote young children`s community living skills an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living skills scale for young children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역량과 분노 표현과의 관계: 자녀에 대한 염려의 매개효과

        정계숙(Kai Sook Chung),차지량(Jee Ryang Cha),김미나(Mi Na Kim) 한국보육지원학회 2019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5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whether concern for children mediates the impact of parenting competence on the anger expression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Methods: Subjects consisted of 219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6 years old attending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 motehrs were given 3 rating scales about parenting competence, concerns about their children, and anger expression. The Parental Anger Scales measuring anger expression consisted of sub-factors such as situational anger, impulsive behavior, and difficulty of anger control. Results: Using the data colle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procedure by Baron & Kenny(1968) were conduct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was verified by the Sobel test.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other s parenting competence, concern about children, and anger expression. Second, mothers’ concern about their childre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competence and overall anger expression, situational anger and impulsive behavior, an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competence and difficulty with anger control.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approach and content of parent education to help parents with young children control their anger.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척도 단축형의 타당화

        정계숙 ( Kai Sook Chung ),박희경 ( Hee Kyung Park ),차지량 ( Jee Ryang Ch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정계숙, 최은실(2013)의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척도의 활용효율성울 높이기 위해 단축형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 503명을 대상으로 부모 참 역량 척도, 부모 효능감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 자료를 토대로 부모 참 역량 단축형 척도의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양육 역량, 자기체계 역량, 사회적 역량 요인이 도출되었고 전체 설명력은 67.81%이었다. 또한 구성타당도, 변별타당도, 수렴타당도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축형 척도의 신뢰도도 .94-.97 사이로 나타나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참 역량을 측정하기 적절한 척도임을 알 수있었다. 이에 기존의 부모 참 역량 척도 문항 구성 시 주요 역량 영역이 단축형 척도의 구성요인으로 도출된 점,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자기체계 역량 요인의 의미를 발견한 점 및 양호한 단축형 척도 개발 등 연구의 의의를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 short version of the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Scale for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o use efficiently. Total of 503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carried out a survey of Authentic Parental Scale consisting of 129 items with 5 sub-factors, Parent Efficacy Scale, and Life Satisfaction Scale. The 3 factors, ‘parenting competence’, ‘self-system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were extracted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e appropriate fitness of the model. Total explanation of the of short version were 67.81%. In addi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hort version consisting of 54 items showed the appropriate levels of construc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The range of the reliabilities of the scale were .94 - .97.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sugges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