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베르그손: 탈-형성의 교육학

        주재형 서양근대철학회 2019 근대철학 Vol.14 No.-

        In Bergson’s philosophy, contrary to appearance, the problem of education occupies a central place. A closer look at his texts shows that these texts are not merely a coherent reflection of Bergson’s philosophy, but also contain a new perspective of Bergson’s philosophy. We will examine Bergson’s philosophy of edu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de-formation”. His philosophy of education is the pedagogy of de-formation in that it seeks to destroy and eliminate the natural tendencies of man and education of civilization, but this de-formation is not only negative. We can instead find the unique logic that this negation and destruction in themselves are nothing but the new formation (formation through “de-”). How this logic can be embodied can be seen in Bergson’s theory of classical education, art education, and moral and democratic education. 베르그손 철학에서 교육의 문제는 겉보기와 달리 매우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교육에 관해 그가 남긴 텍스트들을 면밀히 검토해보면, 이 텍스트들은 베르그손 철학의 일관된 반영일 뿐 아니라 더 나아가 베르그손 철학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우리는 ‘탈-형성’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베르그손의 교육 철학을 살펴볼 것이다. 그의 교육 철학은 인간의 자연적 성향과 문명의 교육을 파괴하고 제거하려 한다는 점에서 탈-형성의 교육학이지만, 이 탈-형성은 부정적이기만 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러한 부정과 파괴는 곧바로 새로운 형성이라는 독특한 논리(‘탈(脫)’을 통한 ‘형성’)가 발견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리가어떻게 구체화될 수 있는지는 베르그손의 고전 교육론, 예술 교육론, 도덕과 민주주의 교육론에서 엿볼 수 있다.

      • KCI우수등재

        푸코와 캉길렘 ‒과학, 생명, 주체‒

        주재형 한국철학회 2018 철학 Vol.0 No.134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oucault and Canguilhem, we follow a lead in Foucault’s last plublished text, a slightly modified version of his preface to the english translation of Canguilhem’s The Normal and the Pathological. It should be noted that at the end of the text, the philosophy of concept as the tradition that Foucault and Canguilhem both belong to is presented as another approch to the notion of life. How could a philosophy of concept become a kind of vitalism?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we will reconstruct an invisible debate between The Normal and the Pathological and The birth of the Clinic, and show how some singular vitalism, vitalism of errant life emerges from this tense intellectual relationship between Foucault and Canguilhem, as a philosophical program for our present. 우리는 푸코와 캉길렘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푸코가 마지막에발표한 글인 캉길렘의 『정상과 병리』에 대한 서문에서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이 글에서 푸코는 자신과 캉길렘이 개념의 철학이라는 전통에 속한다고 말하면서도 이 개념의 철학을 생명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특징짓고 있다. 어떻게 개념의 철학이 새로운 생명주의가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다음의질문들을 통해 이 두 사람의 지적 여정을 따라가 볼 것이다. 푸코의 『임상의 탄생』은 캉길렘의 『정상과 병리』를 어떻게 반박했가? 어떻게 캉길렘은 결코 명시적으로 이에 대답하지 않으면서도 논의의 지형을 변형시켜 죽음을 중심에 놓는생명주의로 나아갔는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푸코는 어떻게 자신의 마지막 텍스트에서 오류의 철학에 주목하면서 캉길렘에 화답하는가? 이 질문들을 통해서우리의 탐구는 방황의 생명주의라는 새로운 연구 프로그램 속에서 이 두 철학자가 서로 만나면서 우리에게 이를 과제로 넘겨주고 있다는 결론에 이를 것이다.

      • 공간확장에 따른 목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주재형,박언곤 대한건축학회 200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thod of expanding space and the changes of wooden structure of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s. This study is processed by studying existent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 method of structure and ornaments of Ju-Sim-Po's Architectures used the method of decreasing column in numbers and two types are also mixed in the most of the cases. The size of girder's section was increase as span became longer, and the size of girder's section was decrease as to the approximate number of beam.

      • KCI등재

        노화의 자연경제

        주재형 서양근대철학회 2022 근대철학 Vol.19 No.-

        Unlike life and death, senescence has not been the subject of philosophical attention. In order to attempt a philosophical approach to the senescenc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meaning of senescence for living beings based on the contemporary natural science. First, it is pointed out that senescence is not a physical wear. Schrödinger’s theory of life and the dissipative structure theory of non-equilibrium thermodynamics will be reviewed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herent stability of living beings. These theories are limited in that they do not pay enough attention to the fact that living beings have unique mechanisms to repair their own damages. David Sinclair’s information theory of senescence which tried to explain senescence by focusing on this damage repair mechanism, makes us realize that senescence is a problem relat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sent self and the future self of living beings. In this way, we will point out that senescence reveals the natural economic problem of allocating biological resources between the present self and the future self, and there is no fundamental solution to this problem. In conclusion, it is revealed that senescence is inevitable, but there are various possibilities in the way of senescence and that the task of looking at life and human civi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se possibilities is a philosophical problem of senescence. 노화 현상은 생명이나 죽음과 달리 그간 철학적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 했다. 본연구는 논화 현상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시도하기 위해서, 현대 과학의 성과에기반하여 노화가 생명체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우선 노화는 물리적 마모 현상이 아님을 지적하고, 노화를 설명하기 위해 생명체가 가진고유한 안정성의 성격이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해 슈뢰딩거의 생명 이론, 비평형열역학의 소산 구조 이론 등을 검토할 것이다. 이 이론들은 생명체가 자신의 손상을 복구하는 고유한 기제를 갖고 있다는 점에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 손상 복구 기제에 주목하여 노화를 설명하고자 한 싱클레어의 정보 이론은 노화가 생명체의 현재 자기와 미래 자기 사이의 연결에 관련된 문제임을 깨닫게 해 준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노화는 현재의 자기와 미래의 자기 사이에 생적 자원을 배분하는 자연경제적 문제를 드러내며, 이 문제에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없다는 점을 지적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노화는 불가피하지만 그럼에도 노화의 방식에는 다양한 가능성이 있다는 것, 그리고 이러한 가능성들의 관점에서 생명체와 인간 문명을 바라보는 과제가 노화의 철학적 문제임이 드러난다.

      • KCI등재

        베르그손의 직관의 방법과 실증 형이상학

        주재형 철학연구회 2022 哲學硏究 Vol.- No.137

        The importance that Bergson attached to his philosophical method is not so well known. But when we pay attention to his method, his philosophy is revealed as a new rationalism. Bergson does not simply claim a mystical ineffable intuition, but describes the methodology for reaching that intuition and the close cooperation of intuition and intellect.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main step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of intuition, taking his representative methodological text “Introduction to Metaphysics” as the central object. His methodology has three steps: 1) Distinction between analysis and intuition, 2) Methodology of images, 3) Philosophical integration. Also, there are interesting philosophical issues in each of these three steps: a singular dualistic ontology, the overcoming of solipsism, and the competitive partnership between science and metaphysics. By examining these issues, Bergson's methodology of intuition will be explained more rationally. Finally, we will add a word about the failures and potentials of this methodology.

      • KCI등재
      • KCI등재

        베르그손의 예술철학 연구 1 : 예술의 방법, 체험, 진리, 창조에 대하여

        주재형 한국미학예술학회 2020 美學·藝術學硏究 Vol.60 No.-

        Art occupies a unique position in Henri Bergson's philosophy. Because it is central and peripheral at the same time. Though his thinking was based on art, Bergson did not write an independent book about art, but we can reconstruct an original philosophy of art from his fragmentary texts on art. This study is an attempt at such a reconstruction. To this end, we will begin by analysing a sentence defining art in Bergson's first work, Time and Free Will. From this analysis, we will show that Bergson defines a method of art in close connection with techniques of hypnosis, and characterizes the experience of art as that of the artist's human emotions, ideas, and efforts. This view of art can be regarded as a re-formulation of classical art theories such as Plato's and Kant's in Bergson's own language. After examining some of the issues raised by these conceptions of art, we will end our study with the notion that art allows us to experience Bergson's “Durée” through creative means. 베르그손의 철학에서 예술은 중심적이면서도 주변적이다. 그의 사유는 예술을 모델로 하고 있으면서도 베르그손은 예술에 관한 독립적인 저작을 남기지 않았다. 그러나 우리는 예술에 관한 그의 단편적인 언급들로부터 매우 독특한 하나의 예술 철학을 재구성해볼 수 있다. 이 연구는 바로 그러한 재구성의 시도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먼저 베르그손의 첫 저작인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에서 예술을 정의하는 하나의 문장에 대한 분석에서 논의를 시작할 것이다. 이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베르그손이 예술의 방법을 최면 기법과의 밀접한 연관성 속에서 규정하며, 예술 작품의 감상을 작가의 인간적인 감정, 관념, 노력에 대한 체험으로 특징짓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베르그손의 이러한 예술관은 플라톤, 칸트 등의 고전적인 예술론을 베르그손 자신의 언어로 재정식화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하지만 베르그손의 예술 이해는 또한 몇 가지 문제들을 제기한다. 예술은 존재의 진리에 대한 인식이라는 예술 진리론과 예술은 작가의 감정에 대한 체험이라는 예술 감정론 간의 충돌, 베르그손의 지속 형이상학과 그의 예술론 간의 관계, 저자의 죽음이라는 현대 미학적 관점과 베르그손의 관점 간의 외관상의 대립, 그리고 끝으로 진리 인식으로서의 예술과 창조적 활동으로서의 예술 간의 모순 등이 베르그손의 예술론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우리가 마주하게 될 문제들이다. 우리가 보기에, 예술은 창조적 수단들을 통해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자의 내밀한 본질인 지속을 체험하도록 해주는 것이라는 관념이 이 모든 문제들에 대한 대답의 단초를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