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쿠안 겐지의 일본 도시락의 미학

        조현정(Hyunjung Cho)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美術史學 Vol.- No.27

        1980년, GK 디자인 그룹의 회장이자 메타볼리즘 운동의 전 멤버였던 에쿠안겐지(?久庵憲司, 1929- )는 『일본 도시락의 미학: 일본적 발상의 원점』(이하 일본도시락의 미학)을 출판했다. 서론에 이어 두 부분으로 구성된 이 책은 먼저 제 1장에서 일본 전통의 마쿠노우치 도시락(사등분한 사각형의 용기에 음식을 담아내는 일본 전통의 도시락)의 형태와 기능에 반영된 일본 조형론의 특징들을 규명하고, 이어 제 2장에서 도시락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켜 전 세계가 주목하는 일본식 산업론, 조직론, 제품 디자인의 성공 요인에 대한 분석으로 나아간다. 에쿠안은 전통 도시락을 매개로 1980년대 일본의 디자인과 경제 성공의 요인을 설명해줄 일본적 발상의 특성들을 논의한다. 『일본 도시락의 미학』은 전 세계 디자인계의 거물인 에쿠안 겐지의 디자인 철학의 집대성일 뿐 아니라, 니혼진론과 포스트모더니즘이 교차하는 1980년대 일본 디자인계 중요한 쟁점들을 첨예하게 보여준다. 본 논문은 에쿠안의 저작을 경제 대국으로 성장한 일본의 문화적 자부심의 산물인 일본론, 일본문화론을 통칭하는 니혼진론(日本人論)의 구조 속에서 분석한다. 그러나 전통 도시락을 매개로 일본 문화의 정체성을 탐구한 이 책은 일본 전통의 특수성과 우월성을 본질론적으로 규명하려는 시도라기보다는, 일본성이라고 불릴만한 속성들을 선택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서구 모더니즘이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디자인론을 제시하려는 시도이다. 필자는 에쿠안이 활동한 메타볼리즘 운동의 연장선상에서 그가 일본 도시락의 특성으로 제시한 콤팩트성, 휴대성, 다양성, 유연성, 자연친화성 등의 개념을 후기 산업화 시대 정보화 사회를 위한 새로운 디자인의 가치들로 논의한다. In 1980, Ekuan Kenji, Japan’s foremost industrial designer, published a richly illustrated book on the traditional Japanese lunchbox entitled The Aesthetics of Japanese Lunchbox. This book is an exploration of the traditional Japanese lunchbox as a metaphor for things Japanese. This book consists of two parts. Part One enumerates several modes involved in Japanese etiquette for creating forms as embodied in the traditional lunchbox. Part Two discusses the ways in which these techniques for the creation of lunchboxes are embodied in Japanese contemporary products, such as mini calculators, compact cars, and portable audio cassette players. Ekuan’s discussion can be conceived within a context of nihonjinron, a discourse of Japanese national and cultural identity, which was stimulated by Japan’s economic success in the 1980s. However, Ekuan was not interested in constructing ahistorical particularity or the unchanging uniqueness of things Japanese grounded in a homogenized past. Rather, the designer attempted to propose a new vision for design by selectively drawing on Japanese cultural heritage. As a member of Metabolism, a movement born from the futuristic visions of architects and designers in the late 1950s and 1960s, Ekuan developed an idea of experimental design that would be suited to the coming society.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lunchbox spirit represents a list of values needed for an information-age design, such as compactness, portability, and flexibility. This paper investigates how Ekuan developed the lunchbox sprit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West-dominate modern design and formulated an alternative design theory for a postindustrial society.

      • KCI등재

        BIM 설계지원 기술콘텐츠 구축에 관한 연구

        조현정(Hyunjung Cho),장진석(Jinseok Jang),김연수(Yeonsoo Kim) (사)한국CDE학회 2015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20 No.2

        The BIM libraries and technical contents in order to develop common technical standards that reflect the contents for a BIM design support should be based. It is essential to redress the technological burden on design office requirements. The technical contents consisted of Material Information, Standard Details and Cost Information are made by system of standard classification. By connecting BIM libraries with each of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tents, it derives the consistent BIM data application through the integrated model. In addition, we look forward to introducing and applying BIM more easily through securing common technical contents which remove the pressure of engineering developments of each individual architectural design office and prevent overlapping investments.

      • KCI등재

        인류세적 관점에서 본 일본 메타볼리즘 건축 운동과 그 유산

        조현정 ( Cho Hyunjung ),박범순 ( Park Buhm Soon ) 한국과학사학회 2021 한국과학사학회지 Vol.43 No.3

        Laboratories - whether they exist in the form of castles, university buildings, industrial factories, or cross-national structure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from historians as the site of knowledge production and its material culture. What, then, can we read from architecture beyond the laboratory spaces? This paper examines how the biological concept of metabolism was adopted by a group of young Japanese architects in the 1960s, who proposed the design of a flexible and changeable building in response to the fear and anxiety as well as technological optimism and utopian rhetoric in post-World War II Japan. This paper shows that this Metabolist movement provides an insight into how to survive apocalypse and regenerate the city whilst embracing mass destruction and existential anxiety. Recently, after the 2011 Great East Japan Earthquake that led to the Fukushima disaster, the ideas of metabolism have surfaced with renewed urgency in the language of resilience. This paper argues that, from survival architecture promoted by the Metabolists and their followers in decades later, we can see the cultural adoption of scientific concepts in coping with existential disasters - man-made or natural - especially in the era that is now called the Anthropocene.

      • 희망의 정치: 건축 미술, 그리고 유토피아

        조현정(Cho, Hyunjung)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연구소 2012 Visual Vol.9 No.-

        Recently, a growing number of artists are abandoning their 'truthtelling' tactics for a various utopian practices. Why utopia now? What role has utopian thinking played in socially-engaged art and architecture? Utopia offers us a glimpse of an alternative. It provides a goal to reach and a direction toward which to move. In this essay, I briefly explore the rich history of utopias in art and architecture, ranging from Enlightenment visionary architecture to rationalist utopia of the 20th century and contemporary relational aesthetics. The goal of this essay is to urge readers to explore radical potential of utopian thinking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progressive politics.

      • KCI등재

        이소자키 아라타

        조현정(Hyunjung Cho)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7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4 No.-

        Isozaki Arata is one of the most distinguished practicing architects in the world today, not only for his experimental designs but also for his rigorous architectural theses. He is most well known as a pioneering figure of the postmodern trend with his designs of the 1970s and 1980s. However, this study is not a comprehensive survey of Isozaki’s entire career from the 1960s to the present, but a specific look at his formative years when the architect began to articulate his own design methodology. Particular emphasis is given to the architect’s active interactions with the 1960s art circles with an intention to discuss the convergence of creative individuals and cross-disciplinary connections that occurred in postwar Japan. The study examines the dual identity of Isozaki as both artist and architect. If Isozaki’s identity as an architect was formed by his training in Tange Kenzō’s office and his collaboration with the Metabolists, his alter-identity as an artist was indebted to his encounter with the 1960s radical artists. First, it delineates Isozaki’s encounter with the avant-garde art movement of the 1960s, collectively called “Anti-Art,” against the backdrop of the “anti-spirit” of Japanese society. Then it discusses how Isozaki’s interaction with contemporary artists helped him to formulate the idea of “invisible city,” a radically new design concept which was closely linked to the radical expansion of the nature of architecture from isolated built forms to allencompassing natural and manmade environments. The notion of “invisible city” took concrete shape with a dialogue with environment art and it was eventually channeled into a cybernetic model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 KCI등재

        도쿄계획, 1960

        조현정(Hyunjung Cho) 서양미술사학회 2014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1 No.-

        1961년 3월, 일본의 대표적인 건축가 단게 겐조(丹下健三, 1913-2005)는 건축 잡지 『신건축 新建築』의 지면을 통해 「도쿄계획-1960: 그 구조개혁의 제안(東京計?-1960:その構造改革の提案)」(이하 <도쿄계획>)을 발표했다. 1960년 도쿄에서 열린 세계디자인회의에서 단게를 멘토로 하는 실험적인 젊은 건축가 그룹 메타볼리즘(Metabolism)이 해양도시나 공중도시의 형태로 미래도시에 대한 대담한 제안을 발표한 바로 이듬해의 일이었다. 이 글은 당시 세계적으로 유행한 메가스트럭쳐(megastructure) 건축운동과 고도경제 성장기로 진입하던 전후 일본 사회의 조건, 기대, 열망이 만나는 지점에서 <도쿄계획>의 유토피아적 면모를 분석한다. 흔히 유토피아는 “어디에도 없는, 그러나 누구나 원하는 곳”으로 막연하게 말해지곤 하지만, 시대와 사회에 따라 변화하는 역사적인 개념이다. 유토피아를 특정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주는 일종의 모델로 정의한다면, 이 글은 <도쿄계획>이 1960년대의 일본 건축, 나아가 전후 일본 사회를 어느 곳으로 이끌고자 했는지에 대한 고찰이다. 단게의 디자인은 건축을 통해 더 나은 삶에 대한 일본 사회의 집단적인 열망을 이끌고자 했다는 점에서 르 코르뷔제의 기술관료 유토피아의 계보를 잇는다. 르 코르뷔제가 정치적 지향이나 국적과는 무관하게 프랑스 뿐 아니라 소비에트, 알제리, 친나치 비시정권 등 자신의 건축적 이상이 실현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달려가는 국제주의자였다면, 단게에게는 위기에 처한 일본의 부흥과 재생에 몰두하는 국가주의자로서의 면모가 발견된다. 이 글은 도쿄만을 가로지르는 단게의 거대한 인공도시 계획을 현실감이 결여된 건축가의 허황된 과대망상의 산물이라기보다는, 집권 당국이 추진한 성장우선정책과 정보산업화로의 전환을 뒷받침하는 실질적인 도시계획안으로 논의한다. 단게가 꿈꾼 일본의 미래는 계급투쟁을 통한 사회 변혁을 지향하는 사회주의 유토피아도, 체제의 억압으로부터 개인의 자유를 극대화하려는 반문화전통의 무정부적 유토피아도 아닌, 자원과 재화를 효율적으로 동원하고 관리함으로써 국가의 경제성장을 극대화할 있는 일종의 합리주의적 시스템, 즉 모더니즘의 거대한 ‘기계(machine)’이다. In March 1961, Tange Kenz? (1913-2005) presented <A Plan for Tokyo, 1960: Toward a Structural Reorganization>, an illustrated report about a floating megastructure over the sea of Tokyo Bay. Tange’s futuristic design was greatly appreciated within the international architectural circles, wherein the Megastructure movement emerged as a response to rapid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drastic social transformation of the 1960s. The essence of <A Plan for Tokyo, 1960>, though overshadowed by its international quality of megalomaniac scale and technological spectacle, lies in its bureaucratic goal to contribute to the nation’s economic growth by means of innovative architecture and planning methods. In this essay, I would like to describe an utopian vision of Tange"s plan as “technocratic” by comparing it with the visionary schemes by Le Corbusier, a pioneer of modern architecture. If Le Corbusier set a model of architect as technocrat who tried to transform existing urban fabric by applying the principles of scientific management to building production, this technocratic model was reworked and redeployed by Tange’s <A Plan for Tokyo, 1960> within Japan’s specific historical condition of the 1960s, when the country entered the era of rapid economic growth. A technocratic narrative of Tange’s design unfolds on two levels: one, its persistent support for the growth-first policy through metropolitan concentration, and the other, its ambitious proposal for a new urban model in an information society. While its presentation of a linear city model helped justify the government’s land-use policy of industrial concentration within Tokyo’s metropolitan area and along the Pacific belt region, its emphasis on mobility and communications network encouraged the reorganization of urban system in preparation for the impending information society. Despite its radical experimentation with new technology and methods in architecture and urbanism, however, <A Plan for Tokyo, 1960> failed to project an alternative social vision and merely maintained the status quo for the benefit of the ruling Liberal Democratic Party, bureaucrats and the big businesses.

      • SCOPUSKCI등재

        국내 외국인투자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OLI우위 영향성 연구

        박성환,조현정,지일용,Park, Sunghwan,Cho, Hyunjung,Ji, Ilyong 기술경영경제학회 2016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4 No.4

        다국적기업의 해외 연구개발 활동은 현지 국가에 최신 기술 지식 이전, 고급 일자리 창출 등의 긍정적 효과를 가져다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각국 정부는 해외 다국적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진행해 왔으며, 한국 정부 역시 관련 대책을 마련해 왔다. 그러나 국내에 진출한 외투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비율은 여전히 미미하고, 이들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관련 연구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투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Dunning의 절충이론에 기반하여 한국 내 외국자본 국적별로 외투기업 연구개발 규모에 대한 OLI 우위의 영향성을 선형회귀모형 및 Tobit 회귀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산업 기술력 수준과 지분율은 국적 별 공통적으로 연구개발 규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우위 요소 관련 가설은 부분 채택 되어 국내에 진출한 외투기업 별 다양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즉 외투기업들은 L 우위(입지우위)가 있는 분야에서 연구개발을 수행하는데, O 우위(소유자 우위) 및 I 우위(내부화 우위) 고려 여부는 기업 및 국적별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해외 다국적기업의 국내 연구개발 투자 유치 및 외투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확대 관련 정책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Multinational corporations' overseas R&D activities bring host countries positive effects such as knowledge spillover, technology transfer, job creation and etc. For this reason, many countries have made efforts to attract foreign firms' R&D investment in their national territories. Korean government have also implemented some policy measures to expedite foreign firms operating in Korea to increase R&D activities. However, the firms' R&D investment in Korea has still been unsatisfactory, and only few studies have examined this issu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R&D investment of foreign firms operating in Kore, from the perspective Dunning's eclectic paradigm. Utilizing linear regression and Tobit model,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OLI advantages on R&D intensity of foreign firms in Korea. The result shows that locational advantages of Korea (such as revealed technological advantage) had positive influences on foreign firms' R&D intensity. However, the influence of other OLI advantages were different by foreign firms' nationalities. For instance, internalization advantages had influences on R&D intensity, but the directions were different between Japanese and other nationalities. Based on the results, we provided some discussion and attempted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n government's FDI and R&D polic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사회과의 목표와 내용

        심민수(Sim, MinSu),김영현(Kim, YoungHyun),조현정(Cho, HyunJung),채유정(Chae, YouJung),남상준(Nam, Sang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로의 전회에 따라 향후 전개될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의 개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과 교육의 ‘외부인’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외부인’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하여 전문적 판단이 가능한 이공계 전문가 및 과학·컴퓨터·정보교육에 소양이 있는 교사들을 의미한다. 사회과교육의 바깥에 있는 ‘외부인’들이 생각하는 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발전 방향은 미래사회의 사회과교육의 개선 방향에 대한 통찰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연구 결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적 성격으로는 융합과 사회의 환경과 인간의 역할 변화가 꼽혔다. 둘째, 외부인의 관점에서 사회과 교육의 민주 시민 상은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 능력을 갖춘 인재, 이와 더불어 유연성을 갖추고 변화에 잘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으로 정리할 수 있다. 셋째, 사회과교육은 실용성, 적응, 문제해결이라는 측면에서 구조화해야 한다. 넷째, 디지털교과서와 스마트교육을 중심으로 한 사회과 교육의 변화는 재고해야 한다. 다섯째, 사회과교육의 목표에서 추가하거나 수정․보완하여야 할 내용으로 개인의 도덕성, 인성, 가치관과 관련된 부분이 보완되어야 한다. 여섯째, 사회과 내용 체계를 검토한 결과, 4차 산업혁명은 핵심 개념을 선정하여. 핵심 개념을 다루는 데 적합한 기존의 영역에 추가해야 한다. 일곱째, 지역 간의 불균형, 공존, 환경오염, 갈등과 분쟁의 해결, 양극화 같은 4차 산업혁명이 초래할 수 있는 부정적인 부분에 대한 해결책으로서의 사회과 내용 체계 구성을 고려해야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the revision directions for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which will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turning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is study, under a critical idea that the phenomenon sometimes reveals new meanings from totally different perspectives, conducted a Delphi survey on outsider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result of the study, core character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re considered to be convergence, social environment and human role change.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outsiders, the image of democratic citizenship of social studies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a person with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ability, as well as a person who is flexible and capable of coping with change. Third,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be structured in terms of practicality, adaptation, and problem solving. Fourth, the changes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centering on digital textbooks and smart education should be reconsidered. Fifth, the conten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revised and modified in the objectiv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re the part related to individual morality, personality, and values that ​should be supplemented. Sixth,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ontent system of social studies, it is necessary to select core concept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dd them to existing areas suitable for handling core concepts. Seven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mposition of the social studies content system as a solution to the negative parts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y bring, such as regional imbalances, coexistence, environmental pollution, conflicts and conflict resolution, and polarization, etc.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사회과교육의 방향 탐색

        채유정(Chae, YouJung),김영현(Kim, YoungHyun),심민수(Sim, MinSu),조수진(Cho, SooJin),조현정(Cho, HyunJung),남상준(Nam, SangJoo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9 사회과교육 Vol.58 No.1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초등 사회과교육의 변화를 모색하고자 ‘내부인’의 시각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내부인’은 사회과교육에 대해 전문적 판단이 가능한 연구자·행정가 및 사회과교육의 현장 연구를 수행하였거나 소양이 있다고 여겨지는 교원을 의미한다. 내부인은 21명의 전문가로 구성하였고, 4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하였다. 조사는 내부인이 생각하는 4차 산업혁명의 성격과 사회과교육에 주는 영향에 관해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 내부인은 4차 산업혁명의 성격을 인간의 역할 변화, 경계를 넘는 융합, 상호공존으로 보았다. 인재상은 창의·융합적 인재, 협력하는 인재, 비판적 사고능력을 가진 인재, 문제해결력을 갖춘 인재라는데 의견을 모았다. 핵심적인 교육내용과 방법은 문제해결교육, 미래사회에 대한 대응을 도모하는 교육, 인문예술교육을 선정하였다. 또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향후 초등 사회과는 탈학문적 성격과 학습자에게 창의융합적 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교육을 강조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사회과 교육목표와 관련하여 변화 적응 및 문제해결 능력, 비판적 사고력, 공동체 의식 및 연대와 참여,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해야 한다고도 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 사회과교육은 사회현상을 ‘관계’와 ‘융합’의 관점으로 다루어야 하며, 실제적으로 핵심역량이 함양될 수 있도록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을 보다 강화해야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 of elementary school soci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rom the perspective of insiders. Insiders means a researcher, an administrator who can make a professional judgment about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a teacher who has conducted a field study of social studies education or is considered to be a teacher. Insiders consisted of 21 experts. Delphi survey was conducted as a process of collecting opinions about the character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mpact on social studies education that the inside thinks.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insiders regarded the character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change of human role, fusion beyond the border, mutual coexistence. A talented person is a person with creative talent, cooperative talent,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Main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were chosen to solve problems, educate for future society, and humanities and arts education. In addition,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lementary social studies department will emphasize the decentralized nature and education for cultivating creative fusion ability to learners The insiders stated that they should emphasize adaptation to change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community consciousness, solidarity and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ability. As a result,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deal with social phenomenon in terms of relationship and convergence, suggesting that the curriculum needs to be strengthened so that social studies’ subject capacity can be practically cultiv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