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위산업 후발국의 추격과 발전패턴: 한국과 이스라엘의 사례연구

        지일용,이상현 한국국방연구원 2015 국방정책연구 Vol.31 No.1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patterns of catch-up and development in the latecomer countries` defense industry,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future advancement of the Korean defense industr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introduces the notion of ‘crisis construction’, and proposes a framework consisting of three stages; (i) construction of security crises, (ii) provision of economic incentives, and (iii) construction of economic crises. Utilizing this framework, this paper analyse the cases of Korea and Israel. Based on the analyses supporting the framework,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latecomer countries ought to open their defense industries to heighten the level of economic crises if they want their defense industries globally competitive.

      • KCI등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소비자 선호 속성에 관한 연구: 예지적 표준화 활동을 반영한 컨조인트 분석

        지일용,박효주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4

        As fierce competition is expected in the wearable devices marekt, it is needed to develop a technology planning that can increase consumer acceptance.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echnology planning of wearable devices by examining consumer preferences for the devices. For this purpose we employed a conjoint analysis. In the process of the analysis, we considered the trend of anticipatory standardization for wearable devices in an attempt to improve objectivity of analysis whilst many previous studies relied on focus group interview. For the anticipatory standardization information, we utilized liaisons and projects of wearable devices at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and we designed a conjoint survey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and a total of 229 individuals responded to our survey. The result of conjoint analysis shows that main use and enhanced features were more important attributes than the others were. However, consumer preferences for detailed levels of each attribute were different by gender and age groups. This result implies that technology planning of wearable devices require distinct approaches by consumer segm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둘러싼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 짐에 따라, 소비자들의 수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기술기획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소비자 선호 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이 분야 기술기획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초점집단면점을 주로 사용한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표준화 기구의 예지적 표준화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분석의 객관성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예지적 표준화 활동으로는 국제전기기술위원회의 리에종 및 프로젝트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컨조인트 분석을 설계하였다. 컨조인트 설문은 온라인으로 진행하여, 총 229명이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주용도와 강화된 기능이 중요한 속성으로 파악된 가운데, 속성 수준별 세부 선호도는 소비자 성별, 연령대별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술기획 시에는 소비자 세그멘트별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거대연구장비 기반 혁신클러스터 건설의 가능성과 한계

        지일용(Ilyong Ji),김병근(Byung-Keu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는 거대연구장비(LSRF) 기반 혁신클러스터 조성의 가능성과 한계점을 확인하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우선 기존 문헌을 분석하여 혁신클러스터의 성공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들을 지식 및 기술, 거래비용 및 집적경제 등의 주요소, 소프트웨어·하드웨어적 인프라와 정부정책 및 전략 등 보조요소로 구분하였다. 그 리고 이를 분석의 틀로 활용하여 CERN과 SPring-8등의 LSRF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우선 지식 및 기술 측면에서 CERN과 SPring-8 공히 다양한 혁신 과정이 존재하여 혁신클러스터화에 유리한 점이 존재하였다. 지식과 기술이 LSRF를 활용한 연구로부터는 물론, 해당 설비의 건설, 운영, 관리 과정에서도 개발되고 파급되었다. 그러나 SPring-8의 경우 장비의 특성으로 인해, 거래비용 및 집적경제 측면에서 기업들에게 불리한 곳에 위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SPring-8은 경우 소프트웨어·하드웨어적 인프라의 미흡으로 인한 한계도 존재하였다. 정부 정책 및 전략과 관련하여, CERN은 다국적 기관이라는 특성상 정책적으로 특정지역의 클러스터화를 추진하지 않았으며, SPring-8은 다른 요소의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지원에 따라 어느 정도나마 클러스터 구축이 촉진될 수 있었다. 종합하면, LSRF는 기술 및 지식 차원에서 다양한 기회 제공이 가능하였으나, 장비의 특성상 거래비용 및 집적경제 측면의 불리함이 존재하였다. 소프트웨어·하드웨어적 인프 라와 정부 정책 및 전략은 주요인의 장점과 단점을 보완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본 연구는 과학벨 트를 위한 시사점으로 전주기 관점에서의 참여자 그룹 발굴, 산업 인프라 및 정주환경 관점에서의 인센티브, 인근지역의 산업 적 특징을 고려한 입주유치 전략 마련, 지식 인센티브 강화 전략 등을 제시한다. This paper examined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of building an innovation cluster based on large scale research facilities (LSRF). For this purpose, success factors of innovation clusters were drawn from the literature, and categorized into knowledge & technology, transaction cost & agglomeration economies, hardware & software infrastructure, and government policy & strategy. Utilizing the categorization as an analytic framework, case studies of CERN and SPring-8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various innovation processes for both cases, creating opportunities for developing innovation clusters in terms of knowledge and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Pring-8, there were disadvantages in the transaction cost and agglomeration economies, being located in a remote area due to the nature of the facility. Software & hardware infrastructure of SPring-8 limited its potential for innovation clusters. Regarding government policy and strategy, CERN, as a multinational institution, did not consider an innovation cluster in a specific region despite some advantages. An innovation cluster around SPring-8 was promoted by government policy despite some disadvantages. In other word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ere enhanced or complemented by software & hardware infrastructure and government policy & strategy.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provides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International Science-Business Belt.

      • KCI등재

        Kano 모델과 잠재적 고객만족개선지수(PCSI)를 활용한 농업 창업 지원프로그램의 만족 패턴과 우선순위 분석

        지일용(Ilyong Ji),강민정(Min Jeong Kang),김병근(Byung-Keu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8

        최근 창업 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온 가운데, 농업 분야 창업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 역시 확대되어 왔다. 그런데 농업 분야는 일반적인 제조업이나 서비스업 분야와 다른 특성으로 인해 창업이나 기업활동에 대한 요구사항이 타업종과 다를 수 있다. 이에 농업 분야 특유의 창업 지원프로그램에 대한 만족 패턴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효과적인 지원프로그램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Kano 모델과 잠재적 고객만족개선지수를 활용하여, 농업 창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만족 패턴을 분석하고 우선순위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의 창업보육 지원을 받은 창업기업들을 대상으로 Kano 설문을 실시하고 만족 패턴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농업 분야에서는 창업 준비보다는 창업실행과 기술사업화, 마케팅의 우선순위가 높았다. 세부 프로그램들의 우선 순위에는 농업 분야의 특성이 반영되었다. 이들 결과는 농업 분야에서는 창업 준비보다는 창업실행 및 기술사업화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창업자금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가운데, 기술개발과 관련하여서는 직접적인 지원보다는 시설, 장비, 공간 및 지재권 관련 지원이 효과적일 것이다. 마케팅의 경우 정부구매의 우선순위가 높게 분석되었으나, 그와 함께 농업 창업기업들이 독자적으로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할 필요도 있다. As the interest in startup activities has increased recently, the governmental support for startups in the agricultural sector has also been reinforced. However, due to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agricultural sector, the needs of startups or other business activities of this sector may differ from other se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entrepreneurs" satisfaction patterns of startups specific to the agricultural sector and to design effective support programs considering these pattern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ntrepreneurs" satisfaction patterns with startup support programs and evaluate the priorities of the programs using the Kano model and PCSI .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startup firms that have been incubated by the Foundation of Agricultur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Transfer (FACT). The results show that programs for startup implementati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marketing have higher priority than startup preparation. The results also show priorities at a detailed level, and they seem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ricultural sector. These results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agricultural startups, support programs for startup implementa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re needed rather than those for startup preparation. It is important to enhance financial support for startup budgets, and technology support for facilities, equipment, space for product development, and support f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R) applications are also important. Lastly, regarding marketing, demand creation such as government procurement is important, but it is also important to drive agricultural startups to compete in the market.

      • KCI등재

        특허 지표와 동시분류 네트워크를 활용한 안전 기술 분야 국가별 경쟁력과 핵심기술 분석

        지일용(Ilyong J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4

        본 연구는 안전 기술 분야 국가별 기술경쟁력 및 전문화 분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국내 안전 기술 분야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제특허분류 중 안전에 대한 것을 수집하였고, 이들 국제특허분류를 활용하여 미국에 출원된 안전 기술 특허 26,404건을 수집해 주요 특허 지표와 특허분류 동시출현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안전 특허 건수 측면에서 미국, 일본, 독일이 각각 11,837건, 4,023건, 2,955건 등으로 가장 많으며, 한국과 중국의 경우 2000년대에 비해 2010년대에 각각 287.1%, 1225.0% 등의 급격한 성장률을 보였다. 미국과 캐나다 등은 특허의 영향력에, 유럽 국가들은 특허의 시장확보력에 중점을 두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영향력(0.878)과 시장확보력(1.008) 모두 중간 정도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면 상대적 특허활동력 측면에서 한국은 0.407로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특허분류 동시출현 네트워크를 통한 국가별 핵심 기술 분야로 볼 때, 세계적으로 제어 및 신호(G05B, G08B, G05D), 전기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 처리(G06F), 공작기계(B23Q) 등이 공통적으로 주를 이루는 가운데, 국가별로 다른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은 특허의 생산량, 영향력, 시장확보력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상대적 특허활동력은 최하위에 머물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specialization in the field of safety technology by country to draw implications for strategies in safety technology fields.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s (IPCs) of safety technologies were identified, and 26,404 safety technology patents filed in the US were used. The patents were analyzed using key patent indicators and co-occurrence network analyses. The result shows that the United States, Japan, and Germany had the most safety patents, with 11,837, 4,023, and 2,955 patents, respectively. Korea and China showed a rapid growth rate of 287.1% and 1225.0%, respectively. While countries like the US and Canada focused on the influence of patents and European countries on the market-securing power of patents, Korea showed a moderate level in both influence (0.878) and market-securing power (1.008). On the other hand, Korea remained at the bottom in relative patent activity with a score of 0.407. When looking at the core technology fields by country through co-occurrence networks of patent classifications, the control and signal fields (G05B, G08B, and G05D), digital data processing by electricity (G06F), and machine tools (B23Q) were commonly dominant worldwide,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ound among countries. Although Korea has no major issues with the production volume, influence, and market-securing power of patents,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relative patent activity.

      • KCI등재

        한국 영화산업의 기술혁신체제 분석

        지일용(Illyong Ji),고영욱(Youngwook Ko),서은영(Eunyoung Seo),정재용(Jae-Yong Cho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2

        한국 영화는 개화기에 도입된 이후 현재 세계적으로 호평 받는 수준으로 발전하였으며 산업적으로도 큰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최근 디지털시네마 및 입체영화의 등장 등 급진적 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해외 기술의 도입 위주로 진행되던 기술 전략?정책에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영화산업의 기술혁신에 초점을 두고 한국 영화산업의 기술혁신체제를 분석한다. 영화산업 관련 기존 문헌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한국 영화산업의 기술 및 지식, 제도, 혁신주체와 네트워크를 조망해 보며, 이를 통해 한국 영화산업 기술혁신체제의 특징과 문제점을 규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 영화산업 기술혁신의 한국적 특징을 규명하였으며, 지식 축적 과정의 단절, 영화산업 특수적 연구 개발 활동의 부재, 혁신주체의 전문성 결여 등과 같은 문제점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영화산업 기술혁신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논문은 기술혁신연구 분야에 영화산업을 소개함으로써 새로운 연구 기회를 제공한다는 의의도 갖는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motion pic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motion picture industry has gradually evolved as one of the world leaders. However, due to the rapid technological change as exemplified by the emergence of the new digital and 3D cinema technologies,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the existing technology policy and strategy designed for the adoption and effective use of new technologies. In this paper, the authors address this issue by emphasizing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side rather than the use/adoption side. In order to provide policy makers with critical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sector, we analyzed the sectoral innovation system of the Korean motion picture industry. In order to conduct this analysis, we re-visited previous literature and interviewed experts in the motion picture sector. Then, the authors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Korean motion picture industry. Based on the insights gained from this research, we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is sector. However, the implications from this paper are not limited to the motion picture industry. As the motion picture industry is a new case for innovation studies, our paper may provide new research opportunities to the academia.

      • KCI등재

        TV용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지배적 디자인 예측을 위한 소비자 선호속성 분석 : 컨조인트 분석의 활용

        이민우,지일용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6

        최근 10여 년간 디스플레이 시장에서의 지배적 디자인은 LCD로 한국 업체들이 이를 주도해 왔다. 그러나 최근 중국 기업들로부터의 위협이 증가되고 있어, 국내 업체들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로 진출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최근 양자점 디스플레이 및 유기발광디스플레이 등의 신기술을 출시하여, 특히 TV용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지배적 디자인을 차지하기 위한 표준 경쟁에 돌입하였다. 지배적 디자인을 결정하는 요소는 다양한 가운데, 디스플레이 제품은 특히 제품 자체의 기술적 속성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V용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 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이 분야 표준 경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초고해상도 화면에 자연스런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내구성 높은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가운데, 제품의 가격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uring the last decade, the dominant design of display has been LCD, and it has been led by Korean manufacturers. However, their leading positions has been recently threatened by Chinese manufacturers, Korean manufacturers are endeavoring to move toward next generation display technologies. They embarked on standards battle to win dominant design especially in the next generation display market for TVs by launching new technologies such as Quantum-dot display and OLED. While there are a number of factors of dominant design, it is expected that the technical attributes of the technology itself may be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scrutinizes consumer preferences for technical attributes, and attempt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standards battle in the display (for the TVs) sector. For this purpose, we employed a conjoint analysis for the preferences of potential consumers. The results show that potential consumers prefer displays with higher resolution, natural color, and durabillity.

      • KCI등재

        산업 클러스터링 분석을 통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클러스터 발전 방향 연구

        정혜진(Hye-Jin Jung),옥주영(Joo-Young Og),김병근(Byung-Keun Kim),지일용(Il-Yong J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2

        우리나라는 중이온 가속기 건설을 중심으로 과학지식이 사업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지리적 공간으로서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에 관한 계획을 2009년에 확정하였다. 과학기반 클러스터의 형성 단계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각 클러스터의 우선 유치업종의 선택은 클러스터의 성격과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정부에서 제시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과학기반 혁신클러스터의 조성을 위해 유치해야 할 핵심 업종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산업별로 클러스터 형성과정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산업 내 특정 업종이 클러스터의 성장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기 때문에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한 앵커 섹터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내 4개 클러스터의 형성 및 성장을 위한 기업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Swann & Prevezer의 산업 클러스터링(industrial clustering)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관련 자료의 경우 2014년의 제조업 및 서비스업 대상 한국기업혁신조사(ICT 클러스터), 2014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바이오헬스케어 클러스터), 2015 국내 나노융합산업 실태조사(첨단산업 클러스터)에 관한 최신자료를 이용하였다. ICT, 바이오헬스케어, 나노 등 3개 산업군에 대한 클러스터링 분석을 수행한 결과 각 산업군에는 다른 여러 섹터에 속하는 기업들의 지역 내 진입을 유발하는 중심적 역할을 하는 섹터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ICT산업의 경우 정보통신서비스 섹터,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의 경우 바이오공정/기기 섹터, 나노 산업군의 경우 나노전자 섹터가 각각 중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클러스터를 육성하기 위한 기업 유치 전략과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plans for the International Science Business Belt as a spatial area for promoting the linkage between scientific knowledge and commercialization in 2009. R&D and entrepreneurial activities are essential for the success of the International Science Business Belt. In particular, prioritizing the types of businesses is critical at the cluster establishment stage in that this largely affects the features and development of clusters comprising the International Science Business Belt. This research aims to predict the entry and growth of firms that specialize in four industrial clusters, including Big Science Cluster, Frontier Cluster, ICT Cluster, and Bio-Healthcare Cluster. For this purpose, we employ the Swann & Prevezer`s industrial clustering model to identify sectors that affect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industrial clusters in the International Science Business Belt, focusing on ICT, Bio-Healthcare and Frontier cluster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2014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and University Alimi for the ICT cluster, 2014 National Bio Industry Survey and University Alimi for the Bio-Healthcare Cluster, and the 2015 National Nano Convergent Industry Survey and Annual Report of Nano Technology for the Frontier cluste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ICT service sector, bio process/equipment sector, and Nano electronic sector promote clustering in other secto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discus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and strategies that can attract relevant firms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clusters.

      • KCI등재

        대전지역 뿌리산업 업체들의 혁신활동 특성과 정책적 시사점

        임종일(Jong Il Lim),지일용(Ilyong J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1

        최근 국가 차원에서는 물론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도 뿌리산업 육성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대전지역 역시 이 분야를 육성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그간 뿌리산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대전지역 뿌리산업의 혁신활동 및 실제 기업들의 애로사항 등에 대한 조사보고는 많지 않아 정책적 방안 마련에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 뿌리산업 업체들의 혁신활동 동향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한국기업혁신조사 설문지를 사용하여 대전테크노파크의 뿌리산업 관련 사업의 지원을 받은 적이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기업들을 대전지역 뿌리산업 업체들로서 혁신의도가 높은 기업들로 가정하였으며, 이들 기업들에 대한 혁신활동 조사 결과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2014년 한국기업혁신조사와 비교하여 대전지역 뿌리산업 업체들의 혁신의 특성 및 문제점을 도출해 보았다. 연구 결과 대전 뿌리산업 업체들은 많은 설문항목에서 전산업과 비슷한 맥락을 가지고 있는 가운데, 뿌리산업으로서의 특징과 대전이라는 지역 특유의 특성을 모두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 미완 비율이 높으며 혁신활동 저해요인으로 내부 자금부족이 높게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산업적 특징이 반영된 정책, 동일 산업 내에서도 지역성이 반영된 정책, 혁신 미완율 제고를 위한 지원방안 마련 등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national government, as well as many regional governments, have supported the "Ppuri industries", and the Daejeon region is in need of developing these sectors. Various research studies have examined the ppuri industries. However, there are limited studies concerning innovative activities and difficulties in the industries.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firms" innovative activities and difficulties in the ppuri industries in the Daejeon region and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firms supported by Daejeon Technopark"s Ppuri industries programs, utilizing an innovation survey questionnaire developed by STEPI. We assumed that these firms have high intention for innovation among firms in the Daejeon"s ppruri industries, and trie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innovative activities by comparing results with those of STEPI"s Korean Innovation Survey. The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pattern of innovative activities of Daejeon"s ppuri industry firms do not differ from those found in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However, there are a few notable differences. The rate of aborted innovation in the Daejoen"s ppuri industries was higher than those found in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Lack of financing was a major factor hampering innovation. These results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hat industri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ppuri industries must be reflected in the policy, and also policy measures for lowering the rate of aborted innovation.

      • KCI등재

        기업별 핵심기술 탐색을 위한 특허의 동시분류 네트워크 분석

        윤남식(Namshik Yun),지일용(Ilyong J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4

        글로벌 폴더블 디스플레이 시장은 최근 업체들 간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어, 정확한 기술 동향 분석을 통한 전략적 기술기획이 요구되고 있다. 기술기획을 위한 분석 방법으로서의 특허분석은 그 개방성, 정형성, 기술에 대한 상세정보 등의 데이터 특성으로 인해 현장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 가운데 정성분석은 특허의 내용을 건별로 파악하여야 하는 관계로 시간과 비용의 문제가 발생하며, 전통적인 정량분석은 주로 특허의 수에 의존함으로써 특허의 내용 및 기업별 핵심기술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허의 동시분류 네크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기업별 핵심기술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폴더블 디스플레이 관련 특허 출원은 2014년부터 급격히 성장하여 출원 기업의 92%가 한국의 2개 패널 제조사(SDC 및 LGD)와 2개 세트 제조사(SEC 및 LGE)의 출원으로 확인되었다. 동시분류 네트워크를 분석해 본 결과, 패널 제조사인 SDC와 LGD는 핵심기술 분야가 서로 유사한 반면, 세트 제조사인 SEC와 LGE는 눈에 띄는 차별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분야 기업의 기술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특허 동시분류 네트워크를 통해서만 확인이 가능한 것으로, 이 분석이 기업 기술전략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s there is severe competition in the global foldable display market, strategic technology planning is required. Patent analysis as a tool for technology planning has frequently been used due to data characteristics such as openness, formality, and detailed information. However, traditional patent analysis has various limitations such as quantitative approaches are limited in evaluating contents of patents and identifying core technologies of firms as they rely on number of patents, and qualitative approaches have time and cost problems as researchers have to investigate each patent on a case-by-case basis. In this research, we analyze core technologies of firms in the foldable display sector analyzing patent co-classification Network.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has rapidly increased since 2014, and 92% of these patents are held by two panel manufacturers, SDC and LGD, and two device manufacturers, SEC and LGE. Network analysis shows that the two panel manufacturers" core technologies are similar and two device manufacturers are notably different. This research provides implications to the sector. Moreover, this study provides unique results drawn from co-classification network analysis, and therefore, our research suggests patent co-classification analysis as an effective tool for technology pla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