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예술보다 독립적인 삶의

        김월식(Kim, Wol Sik)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연구소 2013 Visual Vol.10 No.-

        「예술보다 독립적인 삶의 - 장소」는 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민과 삶에 다가가는 예술, 사건화되는 삶의 의미에 대하여 작가 김월식과 무늬만 커뮤니티의 지난 수년간의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되었다. 또한 2013년 동시대 로컬의 혼성적인hybrid 욕망의 표현과 그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다양한 삶의 가치에 대한 존중으로서의 수행형, 과정형 작업을 토대로 하여 장소(지역)에서 발생되는 차이의 미학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들과 그 방법들을 소개한다. 장소(지역) 안에서의 노인들의 역할과 삶에 주목한 ‘무늬만 커뮤니티 - 박달동’과 작가들의 패자부활전이었던 생활문화예술재생레지던시 ‘인계시장 프로젝트’, 공공미술의 전체적이고 획일적인 미적 횡포로부터 대안을 모색한 ‘2013 지동 프로젝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금 지역에서의 공공의 의미와 공동체의 의미, 예술의 역할에 대한 의미를 묻는다. “Place: a place of life that is more independent than art” examines the role of art in the society, art approaching life, and the meaning of life, focusing on the several years of projects by Kim Wol Sik and Munuiman Community (Seems Like Community). In addition, it introduces various approaches to the aesthetics of difference resulting from different places, by analyzing performance-type and process-type projects which express hybrid desires of the contemporary locals as of 2013 and respect the values of various lives with different desires. This article questions the meaning of “public,” “community,” and “role of art” in the present communities, reviewing such projects as “Munuiman Community ― Bakdal-dong” which paid attention to the roles and lives of the elderly inside a place (or community), “Ingye Market Project,” a residency program for recycling living culture and art, and “2013 Ji-dong Project,” which sought alternatives to counter the aesthetic tyranny of totalitarian and uniform public art.

      • 위기의 미술대학:누가,누구에게,무엇을 가르치는가

        심상용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연구소 2014 Visual Vol.11 No.-

        한국의 예술 교육은 심각한 단계로 접어들었다. 외부로부터 유입된 우위의 예술을 잠시 동안 저장하는 탱크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예술 교육이 장기적인 비전을 고민하지 않을 때 제국적, 팽창주의적 야망을 실어 나르게 된다. 대학은 기업의 인재를 길러내기에 급급하고, 장기적인 비전에 대해 고민하지 않는다. 이는 예술대학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 학생은 스타 작가가 되기 위해 작업한다. 대학은 시장에서 통하는 작가를 양성하는 데 주력한다. 교수는 채용이라는 굴레 속에서 순응적이고 타협적인 태도를 갖게 된다. 성공의 기준이 잘 팔리는 것으로 가늠됨에 따라, 교과 과정은 당대 우위의 취미에 부응하는 감각과 전략을 가르친다. 이러한 예술대학의 체제 아래 개혁 미학의 지평이 열리기를 기대하기란 어려운 일이다.예술 분야의 과도한 이론과 고등 학위는 예술 교육이 당면한 파국을 시야에서 가리기 위한 기제다. 시각예술 전문가가 아니라 예술가가 되기를 원한다면, 미술대학의 실기실과 강의실로부터 탈주하는 것이 답이다. Art education in Korea has entered a serious phase. It is because of its function as a tank temporarily storing superior art flowing in from outside. When art pedagogy fails to struggle with a long-term vision, it ends up transporting Imperialist and expansionist ambitions. The university is preoccupied with fostering corporate talent, impervious to any long-term visions. This applies to art schools, too, and students' ultimate goal is becoming a star artist. The art school focuses on supplying the market according to the latter's demands. Pressured by their employment contracts, professors adopt accommodating and compromising attitudes. With marketability the dominant measure of success, curricula are geared toward indoctrinating in sensibilities and strategies meeting the times' prevailing tastes. Challenging is to expect an unfolding of new horizons for reformative aesthetics under such a system governing art colleges.The excessive theorizing and high degrees in the arts serve as a device to conceal art pedagogy's catastrophe. If one wishes to become an artist, instead of a visual arts specialist, the answer for them is to escape from the studios and classrooms of the art college.

      • 단색조 회화의 성립과 전개

        권영진(Kwon, Youngjin)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연구소 2013 Visual Vol.10 No.-

        단색조 회화는 1970년대 한국 현대미술의 대표적인 성과로 평가된다. 그간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던 단색조 회화의 성립과 전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적 모더니즘Korean Modernism’이라는 명제를 지배하고 있는 구조적 모순을 살펴볼 수 있다. 단색조 회화는 전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의 재편 과정에 식민과 분단, 전쟁의 혼란을 딛고 본격적인 산업화에 박차를 가하던 한국 사회의 열망과 모순적인 현실이 일구어 낸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박정희 정부에 의한 강력한 ‘조국 근대화’ 프로젝트는 한국 미술의 근대화를 추상의 이름으로 추동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1965년 이후 재개된 일본과의 교류는 단색조 회화의 창작과 미학적 담론이 ‘한국적 모더니즘’으로 수렴되는 중요한 매개변수로 작용했다. 이 시기 박서보Park Seo-Bo와 이우환Lee UFan은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단색조 회화가 탄생하고 번성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쇄도하는 서구식 근대화에 대응하여 동양인 또는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일깨운 이들의 시대적 자각과 예술적 실천은 정치적 식민의 종식 이후 여전히 지배적인 경제적 문화적 후기 식민의 상황에 대처한 후발 산업국가 예술인의 대응이었다고 할 수 있다. Korean monochrome painting called dansaekhwa is considered one of the significant achievements of Korean painting of the 1970s. A closer look in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dansaekhwa, which has not thus far been clearly illuminated, reveals the contradiction inherent in Korean Modernism. Dansaekhwa resulted from the specific situation of the Korean society where the reality of life contradicted the aspirations of the people who tried to spur the industrialization out of the chaos of successive tragedies - the colonialization, division of the territory and the Korean War - in the midst of the post-war reorganization of the world order led by the United States. The modernization of the nation pursued by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laid a foundation for the modernization of Korean art in the form of abstraction, and the resumed cultural exchanges with Japan following the normalization of the bilateral diplomatic ties in 1965 allowed the creation of and the aesthetics on dansaekhwa constitute parts of Korean Modernism. In the 1970s, Park Seobo and Lee Ufan, who worked in both Korea and Japan, played core roles in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dansaekhwa. With awareness of the times and artistic practices, the two artists aroused the Asian and Korean identities in reaction to the rush of Western modernization, as being the artists of a developing country which remained colonialized economically and culturally even after the end of political occupation.

      • 과학과 예술을 아우르는 공간에서의 미디어아트 : 독일의 예술과 미디어 기술 센터(ZKM)를 중심으로

        공채영(Gong Chae-Yeong)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연구소 2011 Visual Vol.8 No.-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예술과 과학기술 사이에 융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술과 과학기술의 융합은 이질적인 두 분야를 단순 통합하거나 종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목적과 방법을 통해 모든 분야가 함께 도약jumping together하는 것을 뜻한다. 최근에 박물관이나 미술관 등 여러 기관들은 예술과 과학기술의 융합을 추구하는 다양한 활동이나 작품 등을 전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예술과 과학기술의 융합을 강조하는 사회적 흐름에 발맞춰 예술과 과학기술 사이의 융합에 대해 정의한 후 규모와 전문성에서 세계적인 미디어아트 미술관으로 주목받고 있는 독일에 위치한 ZKMZentrum fur Kunst und Medientechnologie을 중심으로 예술과 과학기술의 융합을 지향하는 전시물이나 프로젝트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997년에 개관한 ZKM은 예술과 과학기술 사이의 간극을 연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 ZKM은 단순히 작품을 수용하고 전시할 목적의 전시실로 구성된 전통적 미술관이 아니라 한 건물 안에 여러 기관을 두어 서로 상호 교류하고, 연구와 실험이 가능하고, 발전된 과학기술을 이용해 작품을 제작하는 동시대의 바우하우스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ZKM은 작가, 관람자, 작품 사이에 소통을 중시하는 프로젝트나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미디어아트는 소통을 중시하는 인터랙티브 아트Interactive art라는 개념으로 확대되었다. 인터랙티브 아트는 창작과정의 일환으로 관람자의 능동적이고 창조적인 참여를 중시한다. ZKM은 급진적으로 발전한 테크놀로지에 힘입은 미디어아트, 즉 후지하타 마사키나 제프리 쇼 등의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들을 전시하고 이를 현실화해 관람자들이 예술 작품을 삶의 일부분으로 경험하도록 하고 있다. ZKM은 미디어아트에 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해 예술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보다 많은 관람자들이 예술 작품과 소통할 수 있도록 이끌고 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혹은 지역적으로 불평등한 격차를 보이며 미디어아트가 발전하고 있고 그 부작용이 따르고 있다. 과학기술이 발전한 선진국은 과학기술에 무한정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반면에 그렇지 못한 국가도 있다. 부의 불균형이 고도로 발전된 과학기술을 이용한 작가들의 예술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과학기술 자체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기업의 광고에 그치고 마는 미디어아트 작품들이 양산되고 있다. 이렇듯 과학기술 자체가 갖고 있는 한계점이 부각되고 미디어를 이용한 상품 활동이나 홍보 활동 등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인문학적, 사회학적 관점에서 미디어아트의 특성을 바라보는 다양한 전시들이 모색되고 있다. As technology advances, convergence between the arts and technology becomes more common. This convergence means that all areas combine together for specific targets with application of varied methodologies, not simple synthesizing of two different areas. Recently, many museums and art galleries have attempted to present diverse interdisciplinary projects aimed at fusing arts and technology, and the project results often unravel in exhibition. This paper will initially define the amalgamization of arts and technology, considering the rapid changes in social understanding of these disparate areas. ZKM (Zentrum fur Kunst und Medientechnologie) is one example, showing that highlighting the convergence between arts and technology has become the general current these days. ZKM, located in Germany is an internationally renowned organization devoting to Media Art. This center is famous for its scale and expertise. While looking into the case of ZKM, this paper will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s and projects focused on the union of art and technology. Since 1997, ZKM has worked at bridging gaps between the disparate areas of arts and scientific technology. The center is not a typical museum : it exceeds the general role of museums. While typical museums mainly pay attention to accommodating and exhibiting artwork, ZKM is more focused on communication among different sectors within the center so that many-sided research and experiments become possible. ZKM plays the role of a contemporary Bauhaus in that it produces artwork with the foundation of advanced technology. This center has introduced many projects and artworks, which stress mutual communication among artist, works, and viewers. Media Art has now expanded to include the concept of 'Interactive Art'. Interactive Art involves cognitive participation and creative motivation of viewers as a key of the production process. ZKM has presented Media Artworks with the aid of rapidly advanced technology, including works by Masaki Fujihata and Jeffrey Shaw. ZKM lets people perceive the works as a part of their daily lives while the specific exhibition actualizes them. ZKM has expanded the realm of arts while proposing a new vision of Media Art, and has triggered significant understanding between viewers and artwork. Clearly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national and local changes in development of Media Art, which has some side effects. Developed countries with high levels of technology are open to unlimited use and access of the latest technology, while other countries cannot afford to be so. Clearly, the economic imbalances among nations can affect efficiency of artistic activities. In addition, this results in increasing numbers of media artwork that end as mere advertisement of a certain enterprise or as an absence of suggestions for problems of technology. As this situation continues, exhibitions with varied content are explored, aiming to highlight the unique qualities of Media Art from multidisciplinary and sociological viewpoints.

      • ‘Print/Out’, 차원을 넘어서

        호경윤(Ho, Kyoung-yun)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연구소 2013 Visual Vol.10 No.-

        예술이 행해지는 ‘공간’으로, 책이라는 곳을 생각해 보면 어떨까. 일견 시시해 보일 수도, 혹은 의아하게 들릴 수도 있겠다. 그러나 사실 장소 특정적 예술이나 미디어 아트의 경우에서 조금만 더 확장해 본다면, 책 역시 충분히 가능한 공간이며 온전히 독자적인 예술 영역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미술잡지를 기반으로 삼아 활동해오면서, ‘잡지’라는 공간이 가장 친숙한 곳이다. 물론 잡지는 보도나 저널리즘의 기능을 수행하기에 앞으로 본격적으로 소개하게 될 사례들과는 종류가 다르다. 그러나 디자인의 툴을 통해 레이아웃을 잡고, 인쇄소에서 색을 뽑아낼 때면 이따금씩 ‘이것이 예술과 무엇이 다른가’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특히 동시대 미술처럼 비가시성과 비물질성, 그리고 시간성과 장소성 등은 지면 위에서 표현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게다가 정해진 그리드와 서체 등 상당히 제한적인 조건 속에 놓여져 있기에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오히려 컨텍스트와 매체가 주어지고 그 안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프로세스와 비슷하기도 하다. 필자는 책이라는 공간이야말로 시각예술을 ‘시각화’하고 거기서 의미를 만들어내는 다양한 방법론이 도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또한 예술 작업으로서의 출판 프로젝트는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로서의 연구’를 타진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비평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책은 시작과 끝이 있는 무엇이며, 독자가 들어가서 이리저리 돌아다니고, 심지어 길을 잃기도 하다가 어느 순간 하나의 출구를, 혹은 여러 개의 출구를 찾는, 밖으로 나갈 수 있는 길을 만들 가능성을 찾는 공간이다.” 소설가 이탈로 칼비노Italo Calvino의 말처럼 책은 미술가에게 자유로운 공간이며, 무한한 우주가 되어준다. Can the book serve as a place of art creation? This question may sound boring or strange. However, if we extend our sight a little bit further from site-specific art or media art, we can see that the book constitutes an independent field of art, and thus surely can be a place of art creation. For the author who has been working for art journals, the journal is the most familiar place. Of course, the journal is different from the other kinds of books that are to be analyzed in this paper, in that it performs the specific functions of reports and comments. However, as the author decides the layout using design tools and prints out colors in a print shop, this question often arises: “How is it different from art?” In fact, such themes of contemporary art as invisibility, immateriality, space and time are hard to be expressed on the paper. It is all the more so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e fixed grid and fonts. However, such limitations make the publishing look similar to the process of contemporary art in which an artist performs a project using a given medium within a given context.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book is the place where visual art can be visualized and many meanings can be found, and that the publishing as an art project opens a way for a new kind of criticism that allows the research on the image about an image. As novelist Italo Calvino said, the book is a free place as well as an infinite universe for the artist: “The book is something that has the beginning and the end, and is a place where the reader enters, wanders, gets lost, and suddenly finds one or more exits, looking for possibilities to leave.”

      • 기본으로 돌아가기: 글로벌시대의 비주얼 프로젝트들,그리고 예술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기

        신보슬(Shin, Nathalie Boseul)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연구소 2012 Visual Vol.9 No.-

        교통 통신의 발달은 세계를 지구촌으로 만들었다. 물리적인 거리의 한계가 줄어들고 통신으로 인한 소통의 가능성이 확대되면서 예술은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국내미술계의 현실은 오히려 반대로 가고 있다. 실험적인 예술기획 보다는 미술 시장이 주도권을 잡아가고, 다양한 실험이 가능하고 신진 큐레이터와 작가들의 활동무대가 되었던 대안공간들은 문을 닫거나 그 성격이 모호해졌다. 본고는 기존의 미술계 시스템에서 벗어난 몇 가지 프로젝트들을 통해서 미술이 나아가 예술이 할 수 있는 보다 많은 다양한 일들을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시도들이 어떻게 지역(local, 국가)이라는 한계를 넘어서서 세계global와 소통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 논의함으로써, 향후 우리 미술(예술)이 세계 속에서 좀 더 견실한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본문에서 세 가지 프로젝트를 소개하였다. 히말라야 산중에서 벌어지는 미디어아트 페스티벌인《CeC》은 프레젠테이션이라는 형식을 통해서 전 세계에서 온 참가자들이 소통의 플랫폼을 만들어간 예이다. 《로드쇼 코리아》의 예를 통해서는 전시가 전시장이라는 한정된 공간을 벗어나 거리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슈가 되는 현장에서 작가와 큐레이터가 보다 진지하게 현실을 고민하는 자리를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끝으로《The show must go on》은 포트폴리오 및 작가와의 대화라는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작가의 작품 세계를 보다 직접적으로 해외 큐레이터(및 기관)에 소개하고자 했다. 물론 앞서 소개한 예는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실험과 노력들에 비한다면 매우 미비한 부분에 지나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오늘날 예술이 가지는 의미, 그리고 예술을 통해서 하고 싶은 것들에 대한 아주 기본적인 질문에 솔직하게 다가간다면 아직 찾아내지 못한 많은 창의적인 방식들로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made the world a global village. Surpassing physical distances, the possibilities to communicate expanded enabling what art can do in various ways. But what happens in Korea is rather backward. The art market takes control over local art scene than experimental curation, and alternative spaces for young and rising curators and artists were closed or rather changed their initiatives into something more vague. This thesis is in an attempt to see various spectrums that visual art, and further an art can take by reviewing some projects deviated from traditional art system. Taking a critical view of how these projects wer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global) beyond its locality(nation), I am going to look into the ways in which Korean visual art(Art) can speak up for itself. In this context, I will introduce three projects. Held in the middle of Himalaya Mountain,《CeC》is a media art festival aims to be a communication platform for the participants from all over the countries in the form of presentation.《Road show Korea》is an experimental exhibition that explores the possibilities that an exhibition can be held anywhere on the road, and in doing so artists and curators can actually get involved in the situation where things are happening on site. And finally,《The show must go on》makes use of the traditional artist’s portfolio and artist’s talk program in relation to different programs like artist residency or exhibition so much so that international curators and institutions could approach informally. Though those projects mentioned above might be less interesting compared to what’s happening around the world, there will be a way to communicate in all sorts of creative ways if you just ask basic questions. What does art mean today and what do you want to do with it?

      • 한국 미술사 서술의 문제

        베아트릭스 메치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연구소 2011 Visual Vol.8 No.-

        본고는 한국에서 한국 미술과 미술사에 대한 논의가 일본의 식민 통치로 인해 어떻게 변화되고 형성되어 왔는지 소개하면서, 한국 미술사에 대한 최근 연구에서 보여지는 식민주의 시대 학문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있다. 식민시대 때 쓰여진 미술사를 보면, 몇 가지 다른 시각들이 눈에 띤다. 일본은 한국이라는 식민 영토 내에서 자신들의 자금과 조직력을 동원하여 중요한 발굴들을 많이 진행했는데, 이는 한반도 점령에 대한 합법성과 통치로 이어졌다. 한국인들이 그들 자신의 역사를 만들어 나가고자 하는 노력과는 상당히 다르다. 일본인들은 한국의 민속 예술에도 관심을 가졌는데, 이 역시 한국 미술을 서술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양상이며, 그 영향은 아직도 한국에 남아 있다.

      • 오타쿠, 일본 현대 미술의 초상

        구나연(Ku Na-Yeun)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연구소 2010 Visual Vol.7 No.-

        Otaku means the people who are addicted to manga, animation, game, PC, SF. trick shooting, figure and the others, the namely Japanese subculture, which is deeply related to one another. The generation of Otaku culture is more connected with inherent collective tendency of social inevitability in Japan. Otaku appeared on that stage in the era of high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which means that the formation of Otaku stands for the appearance of the generation who has experienced the division of reality and fantasy through the full-color combination of the animation which dominates the public perspective and the monochrome of Construction State represented by air pollution and cement during the period of growth. In other words, although they have material prosperity in reality, they failed to relieve it but just satisfied with the visual fetish through popular fantasy in extremely individualized status. This visual fetish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and cultural current in Japan since they have played major role in the society. Murakami Takashi and Nara Yoshitomo, the very artists leading ‘NiPPJl1 Pop’ flooded in 1990s’, are the representative artists in Japan recently. The post-war contemporary art in Japan has enclosed itself in the name of ‘Art’ and has produced recursive meaning constantly, while the art of the Otaku generation has been accomplished in the process of breaking from ‘art’ area and redefining of themselves. It is caused by mixing the basement of the so-called subculture with the rigid highbrow, but one can say that it is the reflection of will for flatting the prevalent cultural hierarchy rather than just transplanting lowbrow into the frame of highbrow or just pastiche it. Accordingly, contemporary art in Japan, which has developed with Otaku culture is still ongoing project. However, Otaku culture that constantly reproduces a sharing point in extremely individualized taste refers to the way of identifying the individual who live in the giant Japanese society, and also the way that could be extended only in so far as it continually evolves and dissolves in development.

      • 사건과 현상, 두 스토커의 숨바꼭질 보고서

        서원석(Seo, Wonseok)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연구소 2009 Visual Vol.6 No.-

        What is it that we see on the newspaper photos? Is it what we wished to see or what the journalist wanted us to see? The frame of reality is very much flexible unlike the one in the newspaper, meaning there is so much more on the other side. What both Suntag NOH and Seungwoo CHAE, as a journalism photographer, try to show through their work is those stories behind the scenes. It is their attempt to extend the overall perception of photograph by distorting the fra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