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감정 관용 표현의 교수 학습

        정유남(Cheong, Yunam),최창원(Choi, Changwon)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2 No.-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감정 관용 표현의 교수 학습을 SIOP 모델에 적용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용 표현 교수 학습은 관용 표현, 즉 해당 어휘에 대한 교수 학습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인 배경지식이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2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그동안 이루어진 관용 표현 교육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의 감정 관용 표현의 개념을 살피고 교수 학습 내용의 범위를 한정한다. 3장에서는 통합적 언어-내용 보호 교수법인 SIOP(The 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 모델을 적용하여 감정 표현 관용어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eaching and learning of emotional idiomatic express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by applying the SIOP model. Teaching and learning idiomatic expression should include not only idiomatic expression itself, that is, through knowledge of the corresponding vocabulary, but also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Chapter 2 examines the concept of emotional idiomatic expression based on major preceding research on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limit the content of emotional idiomatic expression to teaching. Chapter 3 applies the Model of The Sheltered Institute Observation Protocol(SIOP), an integrated language-content protection teaching method, to present the teaching methods for emotional idiomatic expression.

      • KCI등재

        인공지능 콘텐츠를 활용한 국어과 융합 교육 사례 연구

        정유남(Cheong YuNam),이영희(Lee, Yeo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5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AI 콘텐츠를 활용한 국어과 융합 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미래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AI 국어과 융합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초등학교 4학년 120명을 대상으로 국어 교과 내용을 AI 블록코딩과 융합하여 수업을 실시하고 미래 역량 지표를 고려한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AI 콘텐츠를 활용하여 스토리텔링을 고려한 국어 교육적 함의 및 미래 역량을 기르기 위한 융합 교수학습 방안을 제공하였다. 본 교수학습 방안은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AI 콘텐츠를 활용하여 창의적 활동을 하도록 중점을 두었고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역량이 향상되도록 구성하였다. 결과 융합 교육 결과, 학생들은 AI 이해도와 AI 융합 교육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고 스토리텔링을 구현하는 데에도 엔트리 블록코딩이 적절하게 활용되며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이는 미래 교육 변인에 해당하는 융합형 인재, 창의성, 비판적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및 협업 능력과도 밀접하게 연관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기존 융합 교육은 국어 교과에 적용한 사례가 많이 살펴볼 수 없는데 국어 교과는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창의적 활동을 원활하게 한다는 점에서 AI 콘텐츠와 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미래 교육을 위한 AI 리터러시 역량 및 미래 역량 지표가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미래 교육의 목표는 창의 융합형 인재를 키워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서 학습자의 경험과 스토리텔링이 주도적으로 반영되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AI 리터러시가 함양되어야 하며 이는 국어 교과를 토대로 한 융합 교육 방안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이러한 융합 교수 학습을 통하여 유의미한 학습적 성과를 이루고 학습자의 미래 역량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necessity of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using AI content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present AI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plans to cultivate future competencies. Method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aught and learned by converging AI content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 content to cultivate future competencies for 120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for learner-led subject learning were specifically proposed using AI content. Results As a result of the result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 general, all students had increased interest in AI understanding and AI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uture education variables, it was found that convergence talent,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collaboration ability were improve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AI literacy was cultivated by implementing creative activities as AI contents based on the core contents and storytelling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goal of future education is to foster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To this end, this study provided a convergence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the 4-2 semester curriculum and entry block coding, suggesting that AI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Learners in the four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confirmed that AI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were also improved while developing future educational capabilities by utilizing AI content.

      • KCI등재

        북한어의 개념과 분류 기준 연구

        정유남 ( Cheong Yu-nam ) 배달말학회 2021 배달말 Vol.69 No.-

        본고는 북한어 개념 정립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북한어가 가지는 기준을 마련하여 그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2장에서는 북한어의 개념을 남한어와 대비하여 살펴보고 북한어의 개념을 규명하기 위한 기준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남북한 언어를 구조화하여 6가지 기준에 따라 북한어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북한어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지역적 기준, 시간적 기준, 어휘적 기준, 의미적 기준, 어휘 형태적 기준, 언어 정책적 기준을 제시하고,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북한어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This study discuss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he North Korean language and established the criteria of the North Korean language. Chapter 2 examined the concept of the North Korean language against the South Korean language and discussed the need for criterias to identify the North Korean concept. Chapter 3 established the concept of North Korean language based on six criteria by structuring the language of the North-South Koreas. The six conditions that the North Korean language should have presented regional, temporal, lexical, semantic, lexical form, and language policy criteria. Although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North-South Korean studies, the concept of North Korean has not been specified, and the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and criterias of North Korean language.

      • KCI등재

        한국어 ‘그’의 실현 양상과 개념적 연관

        정유남(Cheong, Yunam),강아름(Kang, Arum) 담화·인지언어학회 2021 담화와 인지 Vol.28 No.1

        The purpose of the current paper is to investigate the semantico-pragmatic functions of Korean ku in terms of synchronic and diachronic perspectives. Thus far, the role of ku has been studied with modern Korean data, but the research of historical literature has not been conducted. By looking at the development of ku from 15<SUP>th</SUP> century to modern times, we subcategorize the functions of ku as three-folds: i) demonstrative, ii) definite determiner and iii) modal determiner. Based on a variety of empirical data, we further show that there exist conceptual links among the subcategorized meanings of ku. The demonstrative ku is akin to the modal determiner ku in the sense that they both presuppose anti-uniqueness. The determiner ku and the modal determiner ku are similar in that they bring about the semantic effect of maximality and domain restriction. The implication of this paper is that the polysemous ku in modern Korean is a historical result. The concrete analysis on the grammaticalization is needed which we leave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지역어 어휘의 의미 분화 양상 연구

        정유남 ( Cheong Yunam ),최창원 ( Choi Chang-won ) 겨레어문학회 2021 겨레어문학 Vol.66 No.-

        이 연구는 지역어 어휘에서 나타나는 의미 분화 양상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지역어 어휘를 대상으로 어휘의미론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의미 분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지역어의 의미 분화 양상은 지역의 사회문화적 맥락이 반영되어 나타나는 데 어휘의 의미가 같은데 형태가 다른 경우, 어휘의 형태가 같고 의미가 다른 경우, 어휘의 형태와 의미가 다른 경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표준어와 비교하여 의미가 같고 형태가 다른 경우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개념을 나타내는 유의 관계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의미가 다르고 형태가 같은 경우는 동음이의어로도 볼 수 있으나 어원적으로 동일하거나 의미적 유연성이나 근접성을 기준으로 한 어휘소의 다의 관계로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의미가 다르고 형태도 다른 경우는 음운이나 형태 변화에 기인하여 의미 분화가 나타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mantic differentiation patterns in Korean regional words.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semantic differentiation by applying lexical semantic methodology to regional words. The patterns of meaning differentiation of regional words are reflecte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regions, and the words classified as three types, firstly, same meaning-different form, secondly, same form-different meaning, thirdly, different meaning-different form patterns of words. They reflect the synonymous relation, polysemous relation, and heteronomous relation betwee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vocabulary and regional vocabulary. First of all, the meaning is the same and the form is different compared to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it represents the synonymous relation. Next, the meaning of words is different and the form of words is the same, it represents homophonic or polysemous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words based on etymological identity or semantic relation. Finally, the meaning of words is different and the form of words is different, the meaning is differentiated due to phonemes and morphological changes in vocabulary.

      • KCI등재

        의미적 신어의 생성 과정과 사회문화적 의미 -남북한에서 사용되는 ‘긴장(緊張)’과 ‘갈등(葛藤)’을 중심으로-

        정유남 ( Cheong¸ Yu-nam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본 연구는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의미적 신어의 생성 과정과 사회문화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어휘 ‘긴장’과 ‘갈등’을 중심으로 의미적 신어의 생성 과정을 시기별, 언어사회별로 고찰하여 그 동인을 사회문화적 맥락을 통해서 밝히고, 더 나아가 의미적 신어 연구의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자료의 성격을 기술하고, ‘긴장’과 ‘갈등’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어휘의 출현 빈도를 제시하고, 분석 대상 어휘를 한정하였다. 3장에서는 ‘긴장’과 ‘갈등’의 사전적 출현 양상을 제시하고, 그 뜻갈래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긴장’의 뜻갈래는 ‘심리적 긴장’, ‘상황적 긴장’, ‘물리적 긴장’으로, ‘갈등’의 뜻갈래는 ‘관계적 갈등’과 ‘심리적 갈등’으로 유형화하였다. 4장에서는 남북한의 언어사회에서 의미적 신어의 출현 양상과 그것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분단 이후 남북에서 의미적 신어의 생성 과정을 계량적 분석을 통하여 객관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고, 나아가 그 근본적인 동인이 언어 내적인 요인이 아닌 사회문화적인 요인에서 비롯되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generating semantic neology and the socio-cultural meaning that appear in Korean.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generating semantic neology for the Korean vocabulary 'ginjang' and 'galdeung' by period and language society to clarify the drivers through socio-cultural context, and further to seek a methodology of semantic neology research. Chapter 2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and presents the frequency for quantitative research. Research data were selected by limiting the scope of the discussion. Chapter 3 presents the dictionary appearance patterns of vocabulary related to 'ginjang' and 'galdeung'. It was divided into 'psychological ginjang', 'situational ginjang', and 'physical ginjang' as types of 'ginjang'. It was categorized into 'relational galdeung' and 'psychological galdeung' as a type of galdeung'. Chapter 4 examines the emergence of semantic neology and the socio-cultural meaning that reflects the language society of the South-North Koreas.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generating semantic neology was objectively examined and verified that the cause stems from socio-cultural meanings, which are extrinsic factors in Korean language.

      • KCI등재

        한국어 중첩 개체명 분석을 위한 연구

        송영숙 ( Song Youngsook ),정유남 ( Cheong Yunam ),유현조 ( You Hyun-jo ) 한국어의미학회 2022 한국어 의미학 Vol.76 No.-

        This paper analyzes the hierarchical structures of named entities in the NIKL Named Entity Corpus, which is annotated with 553,830 flat named entity tags. This study will be a base for developing a method to build a Korean nested named entity corpus. The flat version of named entity recognition identifies mentions as linear spans. The nested named entity approach analyzes the hierarchical internal structure of named entities which may consist of smaller component named entities. We extracted candidate mentions for the nested named entity analysis from the NIKL Named Entity Corpus and classified them into three categories: serial named entities, complex named entities, and phrases with a named entity head. These candidates were reviewed manually to be selected as the target of nested named entity analysis. Finally, we discussed the span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named entities and proposed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Korean nested named entity corpus.

      • KCI우수등재

        딥러닝 기반 한국어 개체명 인식의 평가와 오류 분석 연구

        유현조(You, Hyun-Jo),송영숙(Song, Youngsook),김민수(Kim, Min Soo),윤기현(Yun, Gihyun),정유남(Cheong, Yunam) 한국언어학회 2021 언어 Vol.46 No.3

        Named entity recognition is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ask that recognizes and classifies named entities in an unstructured text. The targets of NER are not limited to typical proper names for persons, locations and organizations, but also date, time and quantity expressions and can be further expanded to names of events, animals, plants, materials and other encyclopedic entities. A real-world NER system is also expected to be tuned to process domain-specific terminologie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built and tested a BERT based Korean NER system and proposed methods for evaluation and error analysis. The study trained the system with 140K word NER corpus and evaluated with 60K test. Error types are proposed to be categorized into four classes: detection, boundary, segmentation, and labelling. Error rates are found to vary greatly from 1% to 30% between entity labels, which are grouped into the most accurate time and quantity expressions, relatively accurate proper names, and highly erroneous terminologies. We expect that the error analysis will provide insights for finding a better way of data collection and post-processing cor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