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전학회 20년과 한국 사전학의 과제

        남길임,안의정 한국사전학회 2022 한국사전학 Vol.- No.40

        본 연구는 2003년 한국사전학이 발간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사전학』에 등재된 논문들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사전학이 변혁기를 거쳐 온 과정과 발전상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사전학의 발전 방향성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2003년 한국사전학회의 창립 전후부터 지금까지 한국사전학이 도출한 성과를 양적으로 분석하고(2장), 사전학 관련 논문에서 사전학의 연구 경향을 각각 거시구조적 측면과 미시구조적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3장), 최근 20년간의 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전학계가 말뭉치 혁명과 컴퓨터와 IT의 발달, 사용자의 참여 확장 등 사회 변화에 따른 요구를 한국사전학계가 어떻게 수용해 갈 것인지를 함께 논의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사전학』에 등재된 모든 논문이 주요 대상이나, 『한국사전학』 이전에 사전학 전문지로서 관련 주제들을 담당했던 『사전편찬학연구』와 이외 KCI 학술지 중 현대 한국사전학의 주요 성과를 모두 포함한다. 또 분석의 체계는 사전학 이론의 내적 체계인 이론사전학과 사전편찬학의 체계를 따르는 한편, 국내외 사전학계의 주요 연구 동향을 참고하기 위해 한국사전학회, 아시아사전학회, 유럽사전학회의 주요 연구 분야를 고려하여 논의한다.

      • KCI등재

        뜻풀이의 교육적 활용 - 영어 관사의 정보를 중심으로 -

        송효원 한국사전학회 2025 한국사전학 Vol.- No.45

        본 연구에서는 국립국어원『한국어ᐨ외국어 학습사전』 중 『한국어ᐨ영어 학습사전』의 영어 뜻풀이를 어떻게 영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을지, 특히 영어 관사의 사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뿐만 아니라 한국 모어 화자 중 영어 학습자를 겨냥한 『한ᐨ영 학습사전』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24년국립국어원에서실시한 『한ᐨ영 학습사전』 의 번역 작업 목록 중 대역어 점검 작업 대상 표제어인 623개 중 명사 표제어를 대상으로 하였다. 416개의 명사 표제어 중 무작위 선택을 통한 명사 목록, 선택된 명사 표제어의 한국어 뜻풀이에 대역이 되는 영어 뜻풀이를 조사하였다. 『한ᐨ영 학습사전』의 영어 뜻풀이에서 영어 부정관사 사용을 살펴보기 위해, 『옥스퍼드 학습자 사전』과 『케임브리지 학습자 사전』을 기준으로 하였다. 영어 부정관사의 사용은 단일어 학습자 사전(옥스퍼드/케임브리지 학습자 사전)에서는 가산성에 따라 대부분 일치하여 사용되는 반면, 『한ᐨ영 학습사전』에서는 가산성과 관사 사용의 일치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의 경우 가산성 정보보다는 분류사 정보의 중요성이 높기 때문일 것이다. 몇 가지 제언으로는 먼저,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습자, 특히 영어 모어 학습자를 위한 『한ᐨ영 학습사전』의 영어 뜻풀이 활용에 대한 것이다. 그들에게 영어 관사 사용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것으로 『옥스퍼드 학습사전』이나 『케임브리지 학습사전』과 비슷한 수준의 가산 정보와 관사 사용의 일치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한ᐨ영 학습사전』의 영어 뜻풀이의 관사 사용을 기존의 영어 단일어 학습 사전의 수준과 비슷하게 하여 영어 모어 학습자의 사용성 편의를 제공할 필요는 있다고 제언한다. 또한 한국어 표제어 및 뜻풀이에서 가산 정보의 부재를 영어 뜻풀이와 비교하여 한국어에서 가산 정보의 비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학습자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 모어 학습자는 한국어 표제어-영어 대역어, 한국어 뜻풀이-영어 뜻풀이 순으로 일반적인 이중어 사전(영어 표제어-한국어 대역어)의 구조가 아닌 한국어 표제어-한국어 뜻풀이-영어 대역어-영어 뜻풀이라는 구조에 노출되게 된다. 이는 아직 한국어 어휘력이 필요한 초, 중, 고등학생에게는 하나의 접근 방법이 될 수 있고, 영어 대역어 및 영어 뜻풀이까지 확인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영어 교육적 측면에서 영어 단일어 사전을 사용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영어 관사와 같이 예문과 용법이 다양하게 요구되는 문법적 자질 같은 경우, 영어 뜻풀이 자체가 예문이 되고 활용도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한ᐨ영 학습사전』의 영어 뜻풀이에서의 가산성 정보를 통한 영어 교육의 활용적 측면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의 가산 정보에 대한 비중요성에 대한 한계점 및 구체적인 교육적 활용을 위한 연구 조사는 향후 연구 과제로 남겨 두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he English translated definitions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s Korean-Foreign Language Learners’ Dictionary, specifically the Korean-English Learners’ Dictionary, can be utilized in English educa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use of English articles. This study suggests ways to utilize the Korean-English Learners’ Dictionary not only for learners study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but also for native Korean speakers learning English. The research examines noun entries among the 623 entries selected for translation review in the 2024 Korean-Foreign Language Learners’ Dictionary translation project condu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here are 416 noun entries out of 623 words, and a random selection of 104 noun entries was made for the data of this study. Their corresponding English definitions, based on their Korean meanings, were investigated. To analyze the use of the English indefinite article in the English translated definitions of the Korean-English Learners’ Dictionary, the Oxford Learner’s Dictionary and the Cambridge Learner’s Dictionary were used as reference points. The use of the English indefinite article is consistently used in monolingual Learner’s dictionary (Oxford Learner’s Dictionary and Cambridge Learner’s Dictionary) based on the countability of nouns. However, the Korean-English Learners’ Dictionary shows somewhat lower consistency between countability and article usage. This may be because, in Korean, classifier information is more important than countability information. Several suggestions include, first, the utilization of English definitions in the Korean-English Learners’ Dictionary for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specially native English learners. For them, the use of English articles is very natural, and they can expect a similar level of countability information and consistency in article usage as found in the Oxford Learner’s Dictionary and Cambridge Learner’s Dictionary. Therefore it suggested that the use of articles in English definitions in the Korean-English Learners’ Dictionary should be similar to the level of existing English monolingual learner dictionaries to provide convenience for native English learners. Additionally, by comparing the absence of countability information in Korean headwords and definitions with English definitions, one can understand the insignificance of countability information in Korean. For native Korean learners of English, the suggestion is as follows: Korean native learners, in the Korean-English Learners’ Dictionary, are exposed to a structure of Korean entry-Korean definition-English equivalent-English translated definition, rathe than the typical bilingual dictionary structure, English headword-Korean equivalent. This approach can be advantageous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ers who still need to build their Korean vocabulary, as they can check both the English equivalent and the English definition. For grammatical features like English articles, which require diverse examples and usage, the English definition itself can serve as an example and be useful. Therefore, the use of countability information in English definitions in the Korean-English Learners’ Dictionary is suggested for its educational utility in teaching English. Lastly, the limitations regarding the insignificance of countability information in Korean and specific educational applications are left as topic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한국어 학습사전의 현황과 과제 - 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을 중심으로 -

        이윤미(Lee, Yoonmi) 한국사전학회 2023 한국사전학 Vol.- No.41

        이 글의 목적은 첫째, 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을 기존에 이루어진 한국어 학습사전의 요건에 대한 논의와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고, 둘째는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어 학습사전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이 무엇인가를 짚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기초사전』의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를 면밀히 분석하였다. 이때 한국어 학습사전의 요건에 대하여 다룬 기존의 논의를 살피며 이 요건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확인하였다. 특히 미시 구조에서 뜻풀이와 용례를 일반 국어사전인 『표준국어대사전』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끝으로 『한국어기초사전』의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를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어 학습사전을 편찬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first, to compare and analyz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Basic Korean Dictionary with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equirements of Korean learner’s dictionaries, and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Korean learner’s dictionaries. To this end, the macro- and micro-structures of the Basic Korean Dictionar y were analyzed closely. At this time, by examining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equirements of Korean learner’s dictionaries, it was confirmed how well they met these requirements. In particular, the definitions and usage examples in the microscopic structu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Standard Korean Dictionary , a general Korean language dictionary. Lastl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acro- and micro-structures of the Basic Korean Dictionary , we looked at the points to be considered when compiling a Korean learning dictionary in the future.

      • KCI등재

        ‘N + 하다/되다/시키다/당하다’의 사전 등재 양상과 말뭉치 사용 분포

        최운호,김건희 한국사전학회 2024 한국사전학 Vol.- No.44

        이 글에서는 ‘하다/되다/시키다/당하다’와 결합하는 서술성명사(기능성명사)가 <현대한국어동사구문사전>과 <우리말샘> 사전에서는 어떤 양상으로 처리되고 등재되는지, 사전의 표제어 등재 양상을 밝히고 나아가 말뭉치에서도 분포를 추출하여 그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서술성명사와 ‘하다/되다/시키다/당하다’의 결합 양상에 대한 두 사전의 등재 편차가 크다. <현대한국어동사구문사전>에서는 한 패턴만 등재되지 않았지만 <우리말샘>에서는 여섯 가지 유형의 패턴이 표제어로 등재되지 않았다. 둘째, 주요 유형에 대한 <현대한국어동사구문사전>의 등재 양상은 <모두의 말뭉치> 자료와 유사하게 나타난다. <현대한국어동사구문사전>의 경우 ‘N+시키다’의 확장세와 같은 언어 현실을 어느 정도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말샘>은 <현대한국어동사구문사전> 및 <모두의 말뭉치> 자료와 매우 많은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우리말샘>에서는 ‘하다’ 이외에 ‘되다/시키다/당하다’ 결합 유형의 표제어가 매우 적게 등재되기 때문이다. 셋째, 서술성명사에 ‘하다/되다/시키다/당하다’가 다양하게 결합하는지, 혹은 어느 한 형태와 집중해서 결합하는지를 수치화하기 위해서 변동 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를 측정하였는데, 특정한 술어에 편중해서 결합하여 ‘하다/되다/시키다/당하다’가 균등한 분포를 보여주는 사례를 찾기 어려웠다.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exical entries in dictionary and the corpus distribution of ‘N+hata/toyta/sikita/tanghata’. The registering deviation in the Dictionary of Contemporary Korean Verb Construction (CKorVCon) and Urimalsaym is very large. Only one pattern type is not registered in the CKorVCon but six pattern types are not registered in the Urimalsaym. The registering about the primary ‘N+hata/toeta/sikita/tanghata’ types of CKorVCon is very similar to that of Modu corpus, so they show the actual use of language as like the increase of ‘N+sikita’ partially. But Urimalsaem is very different with both the Modu corpus and CKorVCon, as ‘toyta, sikita, tanghata’ are registered too small except for ‘hata’ in the Urimalsaym.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is measured in order to estimate the combination degree of ‘N +hata/toeta/sikita/tanghata’, but the uniform distribution is not appeared in dictionary and corpus.

      • KCI등재

        『한국외래어사전』(1970)의 구조 및 의의

        김아영(Kim, Ayoung) 한국사전학회 2023 한국사전학 Vol.- No.41

        이 글에서는 『한국외래어사전』(배양서 1970)의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를 분석하고 그 의의를 고찰해 보았다. 이종극의 『모던조선외래어사전』(1937) 이후 첫 외래어 사전인 『한국외래어사전』은 1960년대의 외래어 사용 현실을 충실히 보여 주는 자료적 가치가 있다. 『한국외래어사전』은 일정한 기준에 따라 표제어를 선별하기보다 유입 시기, 분포 등에 관계없이 당시에 사용되던 외래어를 망라하였다. 1만1000여 표제어를 평음, 경음, 격음의 구분이 없는 순서로 배열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현실 발음을 반영하여 순음 뒤의 ‘우’ 표기, 경음 표기를 하고 장모음은 표기하지 않음으로써 표기와 발음을 최대한 일치시키고자 하였다. 의미 기술에는 유의어 제시, 서술형 풀이 등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였다. 간접 외래어의 경우 차용 경로를 상세히 밝히는 등 원어 정보를 충실히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다양한 전문 분야 표지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cro-structure and micro-structure of Korean Loanword Dictionary , published by Pae, Yang-seo in 1970, and to consider its significance. Korean Loanword Dictionary , the first loanword dictionary since Lee Jong-geuk’s Modern Joseon Loanword Dictionar y(1937), is valuable enough as research material since it shows the reality of loanword usage in the 1960s faithfully. It listed loanwords used at the time regardless of the time of introduction and distribution, rather than selecting headwords according to certain standards. About 11,000 headwords are arranged in order without distinction between plain, tensed, and aspirated consonants. Reflecting the actual pronunciation, u(우) was written instead of eu(으) after the labial sound, tensed consonants ㄸ, ㅃ, ㅆ were used, and the long vowel was not marked. In this way, it was tried to match the notation and pronunciation as much as possible. For semantic description, various methods such as the presentation of synonyms or descriptive expressions were used. Information on the original language was faithfully provided, including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orrowing path of indirect loanwords. In addition, field labels of various terminology were presented.

      • KCI등재

        『한국어기초사전』의 구 단위 표제어 선정 방안 연구

        손연정(Son, Yun Jung),강현화(Kang, Hyoun Hwa) 한국사전학회 2023 한국사전학 Vol.- No.41

        본 연구는 『한국어기초사전』에 수록할 ‘구’ 단위 표제어 목록의 구체적인 선정 범위와 선정 방법을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교육용 구 단위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구 단위 표제어의 범위를 정하기 위한 선정 기준과 방법, 절차를 살피고자 했다. 우선, 구 단위의 유형은 ‘문법적 구 단위’, ‘관용어 구 단위’, ‘담화 표지적 구 단위’, ‘어휘적 구 단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들 모두는 한국어 교육이라는 목표에 부합하는 단위로 설정할 수 있었다. 둘째, 선정 범위를 정함에 있어서 『한국어기초사전』의 편찬 지침은 명확하지 않았으며, 유의미한 목록 산정을 위한 단계적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고는 선행 목록을 바탕으로 하여, 사용 빈도, 연어성, 복합성 등의 준거를 바탕으로 한 1차 평정과, 교육적 적용성을 판정하기 위한 한국어 교육 전문가 집단의 2차 평정을 거치는 목록 평정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 총 3848개의 구 단위를 선정하여 제안하였다. 구 단위 사전 표제어 선정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고, 한국어 교육에 특정한 연구가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기초 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of phras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be included in the Basic Korean Dictiona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lso, to discuss the specific methods, procedures and scale for these phrases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this end, the types of phrase were classified and the scale for the Basic Korean Dictionary was organized. The types of phrase could be divided into grammar phrase, idiom phrase, discourse marker phrase, and vocabulary phrase. In addition, referring to the compilation guidelines of the Basic Korean Dictionary, it was examined whether each type is suitable for the Basic Korean Dictionary, although it was difficult to limit the scale of phrase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Since it is difficult to set standards on what vocabulary is necessary for foreign learners, the scale can be limited through the evaluation of a group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3,848 phrases were selected for the Basic Korean Dictiona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re has been no study on the entire phrase in the learners dictionary, and the list of phrase for the Basic Korean Dictionary was selected.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기초사전>의 화용 정보 분석

        박지순 한국사전학회 2024 한국사전학 Vol.- No.44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대표적인 사전인 <한국어기초사전>에 포함된 화용 정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학습 사전은 학습자가 의사소통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화용 정보는 어휘의 실제적 사용 상황, 맥락에 관한 정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기초사전>에 제시된 화용 정보가 정확하고 충실하게 제공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화용 정보를 발화 상황과 사회문화적 상황으로 구분하여 사전에 나타나는 정보를 유형별로 체계화하였다. 발화 상황 정보는 화자, 청자, 발화 태도, 담화 기능 등을 포함하며, 사회적 상황 정보는 시간, 공간적 요인 등을 다룬다. 분석 결과, <한국어기초사전>에 제시된 화용 정보는 전반적으로 충실하게 제공되고 있었으나, 일부 항목에서는 정보의 일관성이나 구체성 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고에서는 <한국어기초사전>이 제시하고 있는 화용 정보 외에도 한국어 학습자에게 필요한 화용 정보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agmatic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 a representative dictionary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Learner’s dictionaries must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nd pragmatic information plays a crucial role as it provides insight into the actual usage and contextual aspects of vocabulary. This research examines whether the pragmatic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is accurate and comprehensive. To achieve this, pragmatic information was categorized into two types: situational information and sociocultural information. Situational information includes details about the speaker, listener, speaker's attitude, and discourse functions, while sociocultural information addresses factors such as time and space. The analysis revealed that, while the pragmatic information provided in the is generally adequate, certain areas require improvement in terms of consistency and specificity.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additional pragmatic information that could benefit Korean language learners beyond what is currently provided in the dictionary.

      • KCI등재후보

        한국어사전 편찬의 현황과 이론적 전개

        유현경(Yoo Hyunkyung) 한국사전학회 2011 한국사전학 Vol.- No.17

        This paper is aimed at describing the trends and prospects for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and exami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This study examines the practice of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from medial 19th century to the present and the theoretical problems in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that have been accumulated in the compiling process.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was started as a bilingual dictionary around the time of enlightenment.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was planned and discontinued because of political and social causes. In this time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was a cultural event to not only the academic world of Korean linguistics but also the whole society along with unification of notation. From the end of 19C to the present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including 〈Keunsajeon〉, has been related to the identity of Korean people and Korean culture and the work that arranges and unifies Korean was materialized by lexicography. These academic discussions about the dictionary continued while compiling dictionary and also after publication. Especially, the study of theoretical lexicography and practical lexicography centered on the laboratory performed the crucial role in raising Korean lexicography to academic level. After 2000, The Korean Association for lexicography was founded and it has contributed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Korean lexicography. From now on web dictionary will be the mainstream among Korean dictionaries and recently it is a trend that mobile dictionary growing fast.

      • KCI등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사전 개관 (pp.7-51)

        배주채(Bae Juchae) 한국사전학회 2009 한국사전학 Vol.- No.14

        Korean dictionaries for foreigners(hereafter KDF) has a long history of 900 years or so, if Gyerimyusa(鷄林類事) is considered the first of them. But many of us would be stricter about the qualification for a KDF so that one of New Korean-English Dictionary(1968), Cosmos Korean-Japanese Dictionary(1988), Shogakukan Korean-Japanese Dictionary(1993), Learner’s Dictionary of Korean (2006) should be the first one. The first three are bilingual dictionaries and the last is a monolingual dictionary.Learner’s Dictionary of Korean(2006) was made with the help of two corpus-based Korean dictionaries for Koreans(hereafter KDK), i.e. Yonsei Korean Dictionary(1998) and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1999). So it has many good points that the preceding KDKs didn’t have. But its Achilles’ heel is that it was written only in Korean, so most of Korean learners below advanced level cannot understand the dictionary texts. It is urgent to translate it into foreign languages. In addition to this regular KDF, many special KDFs have been published home and abroad since 2000. There is a good outlook for KD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