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성원이 인지한 경영진 디커플링, 팀장에 대한 신뢰와 팀 정치지각이 구성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 아노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예지,홍계훈,Yejee Jeong,Gye-Hoon Ho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5 인사조직연구 Vol.23 No.2

        최근 인사․조직은 물론 사회, 종교,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는 아노미(anomie)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무규범(normlessness)으로 인한 혼란과 가치 구조의 분열로 인한 긴장 상태를 뜻하는 아노미는 현대 사조직 내에도 만연한 현상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아노미로 인한 혼돈이 구성원의 역할 외 행동 및 반생산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은 물론 선행 연구를 통해 구성원들이 인지한 경영진들의 디커플링(decoupling), 팀장에 대한 신뢰(trust in team leader), 팀 내 정치지각(perceived politics in team)의 세 요소가 조직 아노미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이러한 선행 요소들이 구성원들의 반생산적 행동 및 역할 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 아노미가 매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 4개 회사의 949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 아노미는 역할 외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동시에 반생산적 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조직 아노미는 경영진 디커플링, 팀장에 대한 신뢰, 팀 내 정치지각과 구성원 행동(반생산적 행동과 역할 외 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영진 디커플링과 두 결과 변수 간의 관계에서는 조직 아노미가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팀 내 정치지각과 두 결과 변수 간의 관계에서는 조직 아노미가 부분 매개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조직 아노미는 팀장에 대한 신뢰와 역할 외 행동 간의 관계에서도 부분 매개변수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 반면, 팀장에 대한 신뢰와 반생산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완전 매개변수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대한 실무적, 이론적 함의점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한다. This study examined organizational anomie, which has emerged recently as a popular focus of research. Anomie, which today is associated with normlessness and alienation, has developed primarily from the work of Durkheim (1897) and Merton (1957). The organizational anomie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was based not only on the notion that trying to achieve the expected goals of most organizations was impossible, and thus organizational members would resort to illegal or immoral means to do so, but also on the amorality that resulted from deregulation.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determine which factors in teams and organizations aggravate or mitigate organizational anomie. In this study, we explored three factors affecting anomie in organizations: perception of top management team (TMT) decoupling, trust in the team leader, and perceived team politics. Decoupling is the organizational practice of disconnecting structure from action in other words, formal statements of how and why things should be done in organizations are often decoupled from how they are actually done. TMT decoupling in this study means the variance between the decision-making or behaviors of the TMT and the organizational mission, vision, and culture. TMT decoupling may lead to high levels of anomie. Trust in the team leader refers to a team members’ belief in their leader, even if the consequences of the leader’s behavior are risky to the team members. Trust in the team leader may lower anomie through team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s based on confidence and faith. Finally, perceived team politics have been defined as the degree of perception that an intentional social influence exists in teams. Perceived team politics may therefore lead to high levels of anomie. We hypothesized about the effects of these three factors on members’ extra-role behavior (ERB)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CWB) and examined the anomie in an organization as a mediator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members’ behaviors. This mediation mechanism dovetails with previous research on anomie in organizational settings and the hypotheses call attention to members’alienation and relative deprivation, in addition to the breakdown of the members’ sense of attachment to the organization. To advance the analysis, we collected data from 949 employees from four industries. The sample consisted of 412 males (43.4%) and 507 females (53.4%). The mean team tenure of the participants was 37.63 months and the average age was 32.64. We designed a robust research model in order to assess model fit and avoid common method variance issues. Using the verified model,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re examined to test our research hypotheses. Supporting most predic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team politics and TMT decoupling had a positive impact on CWB and a negative impact on ERB. In addition, trust in the team leader had a negative impact on CWB and a positive impact on ERB, and all of the above relationships were mediated by organizational anomie. In particular, the effects of TMT decoupling on CWB and ERB was fully mediated by organizational anomie.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in detai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부모의 자녀 진로 기대에 대한 대학생의 지각이 진로결정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정예지,유계숙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자녀 진로 기대가 진로결정 어려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자녀의 공공부문 및 대기업 취업 희망 여부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탐색함으로써 청년층 취업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진로결정에 당면한 대학생자녀와 그들의 부모를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4년제 남녀공학 9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4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진로 기대와 대학생의 진로결정 어려움 및 대학생이 원하는 일자리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진로 기대는 다소 높은 수준이었으며, 진로결정 어려움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이 향후 가장 원하는 일자리는 공공부문이 48.7%로 가장 높은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대기업 일자리를 희망하는 경우가 31.3%를 차지하였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자녀 진로 기대가 진로결정 어려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대학생자녀의 연령이 낮을수록, 그리고 자신의 향후 진로에 대한 부모의 기대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진로결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자녀 진로 기대가 진로결정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공부문이나 대기업 일자리를 희망하는지 여부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분석한 결과,대학생자녀가 향후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부모의 기대 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진로결정에서 보다 높은 수준의 어려움을 겪는 현상은 대학생이 공공부문 일자리를 희망하는 경우 현저하였으며, 대기업 일자리 희망 여부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ptions of parental expectations for a child’s future careers on one's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among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desire for the future jobs in public sector and big busi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246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several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he respondents were requested to complete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cluding the ‘Perceptions of Parental Expectations for a Child’s Future Career Scale’, the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Scale’, and questions regarding desired future careers and demographic inform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showed slightly high levels of perceptions of parental expectations for their future careers with moderate levels of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Their desired future careers were ‘public-sector jobs’(48.7%)and ‘jobs in big business’(31.3%). Secon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younger college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perceived parental expectations for their future careers reported higher levels of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especially when they perceived high levels of parental expectations for a child's happiness and sustaining reputation of the family. Third, this study also found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of students' desire for the future jobs in public sec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ceived parental expectations for a child’s future careers and their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Students with desire for public-sector jobs in the future who perceived high levels of parental expectations reported high levels of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 팀 자본이 팀 동적역량과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예지,윤정구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1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1 No.1

        팀의 성과는 성과 달성을 위한 핵심 자본을 팀이 보유하고 있는가의 여부, 그리고 그 핵심 자본을 팀이 얼마나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느냐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조직 자본, 지적 자본 및 무형 자본에 대한 연구들을 토대로 팀 자본(team capital)의 개념을 제시한다. 팀 자본은 팀의 역량 증진과 가치 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팀의 자본으로서 구조적 자본, 사회적 자본, 문화적 자본과 인적 자본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한편 팀이 이러한 자본을 보유했을 때 이를 조직 및 팀의 목적에 맞도록 확장, 수정 및 재창조하는 능력을 팀의 동적 역량(dynamic capability)이라 칭한다. 동적 역량 관련 선행 연구들은 '동적 역량이 보유 자본을 성과로 바꾸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일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있다. 즉 팀이 가지고 있는 자본을 결합, 활용 및 재구축하는 능력이 바로 동적 역량이며 이를 토대로 보다 높은 성과를 창출해낼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조직 내팀이 보유한 자본들이 팀의 동적 역량을 혁신적으로 끌어 올릴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다. 또한 동적 역량은 팀 자본과 팀이 창출하는 성과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서 팀 활동이 활성화 되어 있는 4개 회사의 94개 팀의 536명의 팀원들을 팀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의 구조적 자본, 사회적 자본, 문화적 자본, 인적자본 모두는 팀의 동적 역량을 신장시키는데 긍정적 영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가설에서 예측한대로 동적 역량은 팀 자본이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해주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실무적, 이론적 의미에 대해서 심도있게 논의했다.

      • 대학생의 ESG 가치관이 ESG 신념과 행동 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소재 Y대학 재학생을 중심으로 -

        정예지 동중앙아시아경상학회 2023 동중앙아시아연구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Z세대의 대표격인 20~26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ESG 가치관(ESG value)이 ESG 행동 의향(Pro-ESG action)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있으며 그 과정에서 ESG 신념(ESG belief)의 매개효과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Y 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322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SPSS 21.0을 활용하여 EFA 검증,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Lisrel 9.2를 이용해 문항의 타당도 값(CFA, AVE, CR)을 구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ESG 가치관 중 이타주의 는 ESG 신념에 긍정적(+) 영향을 행사하며 이기주의는 ESG 신념에 부정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이 지니는 ESG 신념은 이들의 행동 의향에 긍정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ESG 신념은 ESG 가치관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재학생들의 ESG 가치관 교육 및 고양을 통한 신념의 구축이 실제 친 환경적 소비, 친 사회적 행동 등 ESG 관련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며 대학 내 ESG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G value of generation Z students on ESG act. The focus was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ESG belief between ESG value and ESG act. I used SPSS 21.0 for EFA and reliability test and Lisrel 9.2 for CFA, AVE and CR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esting the hypothesis. The final number of surveys analysed in this study was 280.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First, egoistic value orien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negative effect on ESG belief, however, social-altruistic value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SG belief. Second, Z generation students’ ESG belief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ESG value and ESG act. The study implied that maximization of ESG belief through increased ESG value can lead to pro-ESG act of university students.

      • 윤리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정예지,김문주,이수정,Yejee Jeong,Moon-Joo Kim,Soojung Lee 대한리더십학회 2012 리더십연구 Vol.3 No.3

        2000 년대 초반부터 전 세계적인 경제 불황이 시작되면서 가장 부각되고 있는 이슈는 바로 각계 리더들의 진정성과 윤리성을 회복하는 일이다 . 본 연구는 무한경쟁의 자유 시장 체제 하에서 진정성 없이 부정을 저지르면서도 재무적 이익을 극대 화하던 조직 내 가짜 리더십 (pseudo leadership) 의 한계점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리더십 , 즉 윤리적 리더십 (ethical leadership) 과 진성 리더십 (authentic leadership) 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 기업 경영에 있어서의 윤리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윤리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의 공통점 , 두 리더십의 차이점과 구성 요소 , 두 리더십이 조직 및 팀에 미치는 성과 에 대한 연구들은 여전히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리더 십과 진성 리더십 관련 선행 연구들을 고찰함으로써 두 리더십에 대한 이론적 이해 를 풍부하게 함과 동시에 두 리더십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In recent years, we are witnessing a serious problem of the market-capitalist system caused by immorality and unethical practice of leaders. This research analyzes and compares the theories and constructs of ethical leadership and authentic leadership which emerged a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but unknown field in leadership studies. Many researchers on ethical leadership and authentic leadership point out the limitation of traditional leadership theories, because they only concentrate on the skill and style of leaders. Unlike the traditional leadership approaches, ethical and authentic leaders highlight ethic-related performance like ethical decision making, moral emotion, moral identity, and employees' psychological positivity than any other type of leaders. Even though these two leadership have been based on ethicality and integrity and have concern for others, they are different concepts and constructs. Authentic leaders emphasize authenticity and need to be fully aware of themselves through the self-awareness. Ethical leaders emphasize moral management through other-awareness and ethical leadership, which is more transactional than authentic leadership. In conclusion, authors argue that they are independent leadership forms and they are the root leadership for any other kinds of lead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