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혼 청년층의 성공적 결혼에 대한 태도가 독신성향에 미치는 영향

        유계숙,김민정,서진솔 한국생활과학회 2019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8 No.5

        This study examined how attitudes toward successful marriage are associated with singlehood predisposition among never-married young adults. Using convenience sampling, data came from 307 never-married young adults age 25-39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attitudes toward successful marriage scale and the singlehood preference and expectation scal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never-married young adults placed importance on ‘being faithful’, ‘being willing to discuss and resolve the problems that may arise between husband and wife’, ‘having some time to socialize with one’s friends, and to engage in personal hobbies/activities’ a successful marriage, and reported markedly low singlehood predisposi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successful marriage by respondents’ gender, age, and employment status. The singlehood predisposition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age, and partner status. Third, after controlling for on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ever-married young adults’ attitudes toward successful marriag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inglehood predisposition, such that respondents attached higher importance to ‘having some time to socialize with one’s friends and to engage in personal hobbies/activities’ and lower importance to ‘having children’ for a successful marriage reported higher singlehood predisposition. This study suggests wider discussion of the issues about finding a balance between personal needs and married life. 본 연구는 성공적 결혼에 대한 미혼 청년층의 태도와 독신성향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성공적 결혼에 대한 태도와 독신성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으며, 성공적 결혼에 대한 태도가 독신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25세에서 39세까지의 청년층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편의표집을 실시하였으며, 307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 미혼남녀는 성공적 결혼생활 영위를 위한 조건 중 특히 ‘배우자에 대한 신의, 신뢰’, ‘부부 간의 문제를 함께 의논하려는 의지’, ‘부부 각자가 자신의 친구나 개인 취미/활동을 위한 시간 갖기’를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이들의 독신성향은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성공적 결혼에 대한 태도는 성별과 연령, 취업여부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독신성향은 성별, 연령, 이성교제 파트너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성공적인 결혼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자녀’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낮을수록, ‘부부 각자가 자신의 친구나 개인 취미/활동을 위한 시간 갖기’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높을수록 독신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물리적, 심리적으로 개인의 영역이 존중받을 수 있는 결혼모델에 대한 학문적, 사회적 논의가 지속되어야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기혼 성인 남녀의 스트레스 경험: 젠더와 계층의 교차성을 중심으로

        유계숙,주수산나,김종우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0 여성연구 Vol.106 No.3

        본 연구는 2020년 상반기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었던 시점에서 배우자와 함께 동거하는 기혼 성인 남녀의 스트레스 경험을 젠더와 계층의 교차성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범유행 상황의 스트레스와 관련한 문항을 연구참여자와 참여자의 배우자, 이웃/지역사회에 대한 인식까지 포괄하는 방향으로 설계했다. 자기기술식 응답은 텍스트 마이닝 기법(tf-idf 가중치 어휘 빈도와 bigram 분석)을 활용해 분석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젠더와 계층의 교차성을 토대로 네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범유행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사회적 상호작용 제한은 기혼 성인이 경험하는 공통적 스트레스로 나타 난다. 특히 젠더와 관련하여 코로나-19로 인한 가사 및 돌봄활동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활동들이 여성 중심인 규범적 특성에 의하여 가사와 자녀돌봄으로 인한 여성 참여자들의 스트레스가 많이 언급되었다. 이 과정에서 젠더 규범에 따라 남성 중심의 가계부양자 모델과 여성 중심의 자녀 양육및 가사노동 모델이 작동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그 결과 코로나-19의 범유행은 중위소득 미만 계층의 여성에게 강한 스트레스를 부여하고 있었고, 이 과정에서 젠더와 계층의 교차성 효과가 두드러졌 다. 저소득층 여성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취약성과 자녀 양육에 관한 스트레스를 이중적으로 경험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범유행 상황에서 기혼 성인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젠더와 계층의 교차적 관계를 통해 구성됨을 확인하며 추후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고등학생․대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헬리콥터 부모역할과 주관적 안녕감

        유계숙,기나휘,양다연 한국생애학회 2018 생애학회지 Vol.8 No.2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increased concern about helicopter parenting, which reflects parenting behaviors that are overinvolved or over controlled without granting sufficient autonomy given the age and maturity level of children. This study examined how helicopter parenting is associated with mothers' subjective well-being.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hundred and thirty-four married mothers who had the first children attending high schools o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Mothers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cluding the adjusted parent form of Helicopter Parenting Scale and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th of mothers with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 children similarly reported moderate levels of helicopter parenting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ly children’s school grad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mothers’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ull-time mothers with higher family incomes and children with higher school grades reported higher levels of helicopter parenting. Finally, mothers with higher levels of helicopter parenting reported higher levels of negative emotion after controlling for mothers’ employment status, family incomes, and children’s school grad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for family therapy and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with adolescent and early adult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남녀 대학생의 부부역할분담 시나리오가 결혼·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유계숙,이수빈 한국가족관계학회 2020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5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for gender equality policy, work-family policy, and population policy by analyzing the relative variables of anticipated scenarios of a division of household labor on students' intentions to marry and to have children. Metho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bout life path scenarios, marriage intention, and intention to have children was used to survey the preferences of unmarried university students sampled from five universities in Seoul. Results: First, students expected their future married life to be balanced egalitarian, home-centered egalitarian and career/job-centered egalitarian, whereas they didn’t expect a family in which mothers alone cut back on their career lives, the need for role reversal, or the mother’s need to be a superwoman. The score of marriage intention and childbirth intention was a little lower than ‘likely’. Second, the anticipated scenarios of a division of household labor were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and dating status. Career/job-centered egalitarian, mother-cuts-back and role reversa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addition, balanced egalitaria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ting status. Thir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actors like mother-cuts-back, role reversal, and home-centered egalitarian are positively related to women's marriage intention. Moreover, career-/job-centered egalitarians significantly predicted men's childbirth intention, whereas role reversal, career/job-centered egalitarian, and mother-cuts-back significantly reflect women's intention to have children. Conclusions: To clarify changes in university students' preference of specific anticipated scenarios of a division of household labor, particularly women's preference for ‘role reversal’, it is essential to undertake a longitudinal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