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시험림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특성 -한남시험림을 중심으로-

        전철현 ( Chul Hyun Jeon ),원현규 ( Hyun Kyu Won ),김하송 ( Ha Song Kim ),조영준 ( Yeong Jun Cho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2015년 7월부터 12월까지 제주도 한남시험림에 위치한 상록활엽수림을 중심으로 현지 답사를 통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제주도 한남시험림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9개의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한남시험림의 상록활엽수림 식생은 임상도(1:5,000)를 바탕으로 각 폴리곤에 따라서 구실잣밤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붉가시나무-개서어나무군락, 붉가시나무-소나무군락, 종가시나무-소나무군락 등으로 구분하였다. 식생학적 정보를 바탕으로 식생단위를 추출하는 방법에 따라 우리나라 상록활엽수림인 구실잣밤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종가시나무군락 별로 분포지, 서식처 특성, 주요 분포종 등을 비교하였다. 제주도에서 발표된 구실잣밤나무림의 주요 군락으로는 구실잣밤나무-자금우군집, 구실잣밤나무-가는쇠고사리군집, 구실잣밤나무-좀비비추군집, 구실잣밤나무-후박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종가시나무군락 등이다. 조사된 구실잣밤나무군락은 구실잣밤나무에 의해서 식별된 군락으로서 한남시험림 중부 지역의 산지대 능선부분과 계곡지역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한남시험림에서 조사된 붉가시나무림에서는 상관 우점 종에 의하여 붉가시나무군락, 붉가시나무-개서어나무군락, 붉가시나무-소나무군락으로 구분하였다. 조사된 붉가시나무림은 한남시험림 중부지역과 하부지역에 산지대 사면지역과 계곡지역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한남시험림에서 조사된 종가시나무-소나무군락에서는 종가시나무와 소나무에 의해서 식별된 군락으로서 한남시험림 하부지역의 산지대 사면에서 군락을 이루고 있다. 종가시나무림은 제주도를 중심으로 곶자왈 지형에서 종가시나무-쇠고비군집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는 지형적 특성으로 형성된 미기후 특이성에 의해 고유식생이 발달하고 있다. 또한 본 조사지역에서 나타난 주요 상록활엽수림 군락들을 중심으로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였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주요 상록활엽수림 군락은 구실잣밤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붉가시나무-개서어나무군락, 붉가시나무-소나무군락, 종가시나무-소나무군락 등으로 구분하였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July to December of 2015 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round Hannam Experiment Forest in Jeju-do. A total of 9 plots were set up in this study area and the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5 communit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Quercus acuta-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Quercus acuta-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glauca-Pinus densiflora community. Overall, in order to extract the vegetation units based on the vegetation ecological information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Korea, the distribution area, habitat characteristic and its main distribution of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Quercus glauca community were compared. The main plant communities of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forest in Jeju-do, were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Ardisia japonica association,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Arachniodes aristata association,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Hosta minor association,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and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Quercus glauca community. The Quercus acuta forest examined in Hannam Experiment Forest by any dominant species were Quercus acuta community, Quercus acuta-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and Quercus acuta-Pinus densiflora community. The Quercus glauca forest was distributed in the Quercus glauca-Cyrtomium fortunei association in Gotjawal around Jeju-do, which developed an unique vegetation due to the specific microclimate formed by its geographical features. Also the actual vegetation map produced by the mai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the survey area. The mai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in the vegetation map were divided into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the Quercus acuta community, the Quercus acuta-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the Quercus acuta-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the Quercus glauca-Pinus densiflora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Tobit모형을 이용한 외래관광객 방한 횟수 영향요인 분석

        전철현(Chul Hyun Jeon),최승묵(Seung Mook Choi)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1 觀光硏究論叢 Vol.23 No.3

        ``국제관광`` 또는 ``관광수요``의 결정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관광학계의 오래된, 그리고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그동안 한국을 방문하는 외래관광객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연구들은 대부분 거시경제적 접근(환율, 국민소득, 국제사건 등)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시경제적 관점의 접근(소득, 성별, 교육수준 등)을 통해서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래관광객의 한국 방문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2009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의 원자료(raw data)이다. 2009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유효 표본 수는 11,912개이나, 실증분석 및 모형 추정 과정에서 무응답, 불성실한 응답, 불명확한 응답 등 분석에 부적합한 표본을 제거하여 6,038개의 표본을 확보하였다. 그 후 모형 추정에서의 편의(bias) 발생 가능성을 제거하고 분석모형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한국 방문 횟수가 5회 미만인 5,054개 표본을 추출한후 Tobit모형을 추정하였다. Tobit모형 추정 결과 한국방문의 주된 목적, 지방방문 여부, 한국 체재 1일당 여행비용, 한국여행 만족도, 성별, 교육 수준, 소득 수준, 연령 등이 외래관광객들의 최근 3년간 한국 방문 횟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도출 되었다. 이들 항목들의 계수의 절대값 크기를 비교해보면 한국여행 만족도(0.191), 한국방문의 주된 목적(-0.102), 지방방문 여부(0.096) 순으로 최근 3년간 한국 방문 횟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외래관광객의 한국 방문 횟수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한국여행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그리고 외래관광객의 성별, 교육수준, 연령 등을 고려한 맞춤형 관광상품, MICE·의료관광 등 다양한 목적의 관광상품 개발이 필요하다. 아울러 인터넷 등 지역 관광정보 접근성 향상, 언어 및 의사소통 문제 해결, 수도권 이외 지역 관광상품 발굴 등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foreign tourists visit behavior and derive implications to improve foreign tourism policies and conditions by using 2009 international visitor survey data(MCST, 2010). As the result of tobit model estimation and the data frequency analysis on the observations 6,038, internet web search is a main approach to korean tour sites and information, which is associated with one of language inconvenience, and a single foreign visitor relatively occupies 40% higher ratio in them. Average tour expenditure of foreign visitors represents about $1,500∼2,300 between individual and full package visitors for a week. Especially, asian people shows a relatively high visit ratio in Korean visitor races and main purpose of foreign visitors in Korea is both travel and leisure, and youth generations show preference of Korean visit trend. In addition frequency of Korea visit increases with less travel costs, improvement of tour satisfaction, variety of visit purpose, more provision of regional sightseeing, higher ratio of male, higher education, high income, and more aged visitors. Hence, tourism policies and advertisements to foreign visit and visitors in Korea need to more strategically focus on thes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response change of rapid tour demand of foreign visitors and elicit Korean visit demand.

      • KCI등재

        수질 악화로 인한 후생변화의 추정

        전철현 ( Chul Hyun Jeon ),이충선 ( Chung Sun Lee ),신효중 ( Hio Jung Shin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 환경정책연구 Vol.9 No.2

        본 논문의 목적은 강릉 남대천처럼 시민들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는 자연환경의 질이 악화될 경우 시민들의 후생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건부가치측정법을 통하여 평가하는 데 있다. 분석 결과, 강릉 남대천은 상수원의 제공뿐만 아니라, 공익적 기능, 생태적 기능, 물놀이, 휴양 및 심미적 만족감을 제공하는 장소로서 중요하다고 인식되고 있으며 강릉 남대천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총 지불의사액은 가구당 연간 117,040원이 도출되었다. 먼저 수질개선 부담금의 지불에 가구당 연평균 약 87,502원으로 나타났고, 자원봉사에 대한 기회비용 측면에서는 연평균 29,538원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근거로 강릉시 전체로 확대할 경우 수질 악화에 의한 간접적인 후생변화는 연간 약 270억원으로 산출되었다. 이처럼 수질 악화에 의한 후생변화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연환경은 비가역적인 특징을 가지면서 한번 파괴되면 복원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되기 때문에, 자연환경의 변화는 궁극적으로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의사결정자들은 자연환경과 관련된 정책을 수립할 때 시장에서 평가되는 부분뿐만 아니라 시장에서 거래가 되지 않는 간접적인 부분까지도 충분히 고려하여야 정책의 효율성과 후생 증대의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e paper are to estimate welfare change from water quality degradation by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in Namdae stream of Gangrung and identify what factors of Namdae stream are important to Gangrun citizens. The study results show their total WTP per year and per household, ₩117,040 to improve Namdae stream quality from grade 3 to grade 1, including monetary WTP ₩87,502 plus opportunity cost of volunteering time for protection campaign, ₩29,538. The amount of total welfare change from water quality degradation based on the total WTP estimated above is calculated to be ₩27 billion of which the amount, as a sort of damage cost from water quality degraded, is so huge. All projects and policies related to natural environments, therefore, should consider both indirect and direct effects from them because natural environments have the irreversibility once degraded or deteriorated and would ultimately be influential on humans, both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with tremendous amounts of time and costs beyond our imagin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주시험림 산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한남시험림을 중심으로-

        원현규 ( Hyun Kyu Won ),전철현 ( Chul Hyun Jeon ),김하송 ( Ha Song Kim ),조영준 ( Yeong Jun Cho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1

        2015년 8월부터 12월까지 제주 한남시험림을 중심으로 현지 답사를 통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한남시험림의 식생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식생 방형조사구 42개를 설정한 후 현존식생도와 군락의 분포현황을 분석하였다. 조사된 삼림식생은 입지의 지형적 특성에 따라 인공조림, 낙엽활엽수림, 상록침엽수림, 침활활엽수림(상록), 침활활엽수림(낙엽), 혼합활엽수림, 기타 식생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 일대의 산지삼림식생은 낙엽활엽수림 3개 군락, 상록침엽수림 1개 군락, 침활활엽수림(상록) 3개 군락, 침활활엽수림(낙엽) 3개 군락, 상록활엽수림 2개 군락, 혼합활엽수림 2개 군락, 기타 식생 2개 군락으로 한남시험림 일대 분포하는 삼림식생은 총 20개 군락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주요 군락의 분포 비율을 보면 산지낙엽활엽수림의 99.7%는 개서어나무와 졸참나무가 분포하고 있고, 인공조림은 삼나무군락이 전체의 98.0%를, 상록활엽수림은 붉가시나무군락이 전체의 85.8%, 산지침활활엽수림은 곰솔-개서어나무군락이 전체의 55.8%를, 혼합활엽수림은 붉가시나무-개서어나무군락이 전체의 64.6%를, 기타 식생은 채종원이 전체의 97.8%를 차지하고 있다. 2015년 한남시험림 상관식생을 토대로 한남시험림의 10년, 30년, 50년 후의 임상별 상관식생 변화를 예상하였다. 인공조림, 기타 식생과 상록활엽수림의 경우 상관식생 변화 없이 원래의 산림으로 그대로 유지되는 결과가 예측되었고, 침활활엽수림(상록)은 50년 후에는 상록활엽수림으로 변화가 예측되었다. 침활활엽수림(낙엽)은 낙엽활엽수림으로의 변화가 예측되었다. 결론적으로 한남시험림 일대의 산림식생은 개서어나무, 삼나무, 붉가시나무, 졸참나무, 구실잣밤나무 등 소수의 수종들이 최상층부의 우점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종들과 관련된 군락들은 식생천이 및 기후적 요인들에 의하여 군락 대체가 매우 빠르게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지역 일대 잠재 자연 식생의 주요종은 점차적으로 상록활엽수림과 혼합활엽수림의 분포비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August to December 2015 to figure out the mountain forest vegetation of Jeju Hannam Experimental Forest``s vegetati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is subdivided into Plantation,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Evergreen coniferous forest, Larix forest(Evergreen), Larix forest(Deciduou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Mixed deciduous forest, and other vegetation areas. These other areas include 18 communities of mountain forest vegetation and 2 communities of other areas vegetation. In total, 20 communities were researched; the mountain forest veget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hysiognomy classification hold 4 communities of Plantation, 3 communities of th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1 community of th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3 communities of the Larix forest(Evergreen), 3 communities of the Larix forest(Deciduous), 2 communities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2 communities of the Mixed deciduous forest, and 2 from the other vegetation areas. As for the distribution rate of surveyed main communities, the Carpinus tschonoskii and Quercus serrata communities account for 99.7 percent of deciduous broad leaved forest. The Cryptomeria japonica community takes up 98.0 percent of plantation and the Quercus acuta community holds 85.8 percent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conclusion, minority species consisting of the Carpinus tschonoskii, Cryptomeria japonica, Quercus acuta, Quercus serrata, and Castanopsis sieboldii are distributed as dominant species of the uppermost part of Hannam Experimental Forest. In addition, because of the vegetation succession and climate factors, numerous colonies formed by the two communities are expected to be replaced by the climax species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and the Mixed deciduous forest.

      • KCI등재

        전라남도 도서지역 귀화식물의 도서생물지리학적 특성

        김현희 ( Hyun-hee Kim ),김다빈 ( Da-bin Kim ),전철현 ( Chul-hyun Jeon ),김찬수 ( Chan-soo Kim ),공우석 ( Woo-seok Ko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7 환경영향평가 Vol.26 No.4

        본 연구는 전라남도 도서지역 귀화식물의 분포 현황을 도서생물지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유인도 47곳, 무인도 194곳의 식물상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귀화식물은 30과 134종이 분포한다. 분포역이 가장 넓은 종은 소리쟁이(Rumex crispus)로 모두 141곳의 도서에 분포한다. 도서별 평균 귀화식물 종수는 유인도 20.6종(±14.22), 무인도 3.7종(±3.89)이다. 도서별로는 여수시 금오도가 59종으로 가장 많다. 자생식물 대비 귀화식물의 비율인 귀화율은 유인도서 7.66%(±3.96), 무인도서 4.97%(±3.70)이다. 지역별로는 전라남도 서해 도서지역 귀화율이 5.92%(±4.49)로 남해 도서지역 4.96%(±2.15)보다 높다. 특히 유인도서 내 귀화율은 서해 도서지역 8.39%(±4.37), 남해 도서지역 5.80%(±1.41)로 그 차이가 더 크다. 도서지역 귀화식물 귀화율은 섬의 크기와 유의한 양의 관계(r=0.412, p<0.01)를 갖지만, 육지로부터의 거리, 해발고도와의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다. 법정 생태계 교란종은 8종이 분포하며 종에 따라 분포역에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도서 및 지역 간 차이는 물리적 환경 차이와 함께 육지와의 왕래 정도, 경작에 따른 토지 간섭 등 자연 및 인문 환경요인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도서지역은 서식지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종이나 각종 환경 변화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도서지역 외래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the naturalized plants in islands in Jeollanamdo from an island biogeographic perspective. As a result of a floristic analysis at 47 inhabited islands and 194 uninhabited islands, 30 families and 134 species naturalized plants are reported. The most commonly occurring naturalized plant from 141 islands was Rumex crispus. The average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by islands is 20.6 species (±14.22) at the inhabited islands and 3.7 species (±3.89) at the uninhabited islands. Presence of fifty nine naturalized species at Geumodo in Yeosu-si is the largest in number. The naturalization ratio, which is the ratio of naturalized plants to native plants, is 7.66% (±3.96) in the inhabitable islands and 4.97% (±3.70) in the uninhabitable islands. The naturalization ratio among islands of the West Sea in Jeollanam-do is 5.92% (±4.49), and it is higher than 4.96% (±2.15) in islands in the South Sea. Especially, the naturalization ratio at the inhabitable islands, i.e., 8.39% (±4.37) at the islands of the West Sea is higher than 5.80% (±1.41) at islands in the South Sea. The naturalization ratio of naturalized plants at the islands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ize of the island (r=0.412, p<0.01), but the correlations with distance from the mainland and altitude above sea level are not significant. Eight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designated by law are reported, and each species shows distinct distributional ranges. Th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seem to be a result of the complex reflection of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degree of traffic between mainland and islands, degree of cultivation activities, along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al differences. Since islands have limited habitats and resources, islands could be more vulnerable to the incoming species from outside, and environmental changes than mainland. Therefore, continuous monitoring and management against the naturalized plants in islands are need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전라남도 남해안과 서해안 유인도서에서 팔색조 분포 및 강수량 비교

        김은미 ( Kim Eun-mi ),전철현 ( Jeon Chul-hyun ),강창완 ( Kang Chang-wan ) 한국도서(섬)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4

        팔색조의 번식지는 19세기와 20세기 산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개발의 목적으로 훼손되거나 상실되었고 현재도 번식지 훼손이 지속되고 있다. 이로 인해 현재 개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국제적 멸종위기종으로 등록되었다. 국제적 멸종위기종은 개체수 유지 혹은 증가가종 보전을 위해 중요하며 개체수 감소를 막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서식하는 분포지와 개체군 그리고 기상조건 같은 기본적인 정보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번식지에 대한 기존의 정보를 가지고 도서환경에서 팔색조의 분포는 숲의 구조와 식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강수량과 관련이 있을 거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에 팔색조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전라남도 남해안과 서해안 유인도서 27개를 대상으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팔색조가 도래하는 5월 중순부터 8월 하순까지 월 2회 이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임상도 비교를 위해서 조사 대상 도서 중 전라남도 남해안은 여수시 금오도와 고흥군 거금도, 서해안은 진도군 첨찰산 일대, 그리고 신안군 안좌도와 임자도, 제주도는 남원읍 한남리 사려니오름 일대를 선택하였다. 기상조건을 비교하기 위해 기상자료 중 강수량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기상청의 AWS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팔색조가 도래하는 5월부터 월동지로 떠나기 전인 9월까지의 기상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전라남도 남해안과 서해안 유인도서에서 총 64개체의 팔색조가 확인되었다. 조사를 실시한 전라남도 남해안 유인도서 12개 중 9개의 유인도서에서 41개체의 팔색조가 확인되었고 전라남도 서해안 유인도서 15개 중 5개의 유인도서에서 23개체가 관찰되었다. 전라남도 남해안 유인도서는 조사한 대부분의 도서에서 팔색조가 확인되었지만 서해안 유인 도서에서는 진도군에 속한 도서에 팔색조가 집중되었다. 전라남도 남해안과 서해안 그리고 제주도의 일부지역에 대한 임상도 영급을 살펴보았을 때 남해안 유인도서와 서해안 진도 그리고 제주도의 임상도는 3영급과 4영급의 수목들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전라남도 서해안 유인도서인 경우 도서마다 다소 차이는 있으나 2영급의 수목도 차지하는 면적이 넓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서해안 유인도서는 교목층으로 곰솔이 우점하고 있으나 중간층이 없고 하층은 수고 1-2m의 관목이 빽빽하게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 전라남도 남해안과 서해안 유인도서의 강수량은 2014년, 2015년, 2016년 모두 1,000mm이하로 나타냈다. 팔색조의 최대번식지인 제주도는 강수량이 1,000mm 이상을 나타냈으며 2014년과 2015년에는 1,500mm를 상회하기도 하였다. 팔색조의 분포와 강수량과는 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팔색조가 관찰된 전라남도 남해안 유인도서와 서해안유인도서 중 진도는 상록활엽수림대로 제주도와 비슷한 식생을 나타내지만 강수량에 있어서는 제주도보다 훨씬 낮았고 전라남도 서해안 신안군의 유인도서와 비슷하였으며 팔색조의 분포와 강수량은 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냄으로서 강수량이라는 한 가지 요인만을 고려할 때 강수량의 많고 적음은 팔색조의 서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Breeding sites of the Fairy Pitta (Pitta nympha) have been lost or degraded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The number of Fairy Pittas have decreased accordingly, and it is enlisted as Vulnerable species in the IUCN Red List. In the context of the conservation of threatened animal species, it is important to collect and understand basic information about the distribution of target species, their population size, and non-biological factors like weather conditions. Based on the previous knowledge on its breeding environments, we hypothesized that the distribution of Fairly Pittas in insular environments were related with both of forest structure and precipitation which often determines the density of foods and vegetation covers. In order to confirm the distribution of Fairy Pittas breeding in insular environments in the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Jeollanam-do Province, we conducted field surveys on 27 inhabited islands more than twice a month from the middle of May to the end of August from 2014 to 2016. We used forest maps of selected islands in Jellanam-do and known breeding habitats in Jeju Island were also used for comparison of forest structures. Data about the amount of precipitation accumulated from May to September between 2014 and 2016 were downloaded from the Automated Weather Station (AWS) archives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the field surveys, we confirmed 64 individuals in the study sites in Jeollanam-do Province; a total of 41 pittas were found on 9 of 12 islands in south and 23 birds on five of 15 islands in west. Fairy Pittas were commonly observed in most of the southern islands as well as five islands in Jindo-gun and Shinan-gun in the west where forests were dominated by old growh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similar to the breeding habiats in Jeju Island. On the other hands, pittas were seldom found on inhabited islands, outside Jindo and Shinan, in the west where the proportion of old forests is lower and the shrubby underlayer below the Pinus thunbergii canopy is too densely developed for foraging of pittas. Precipitation on the islands where the pittas were confirmed was below 1,000 mm over the breeding period and lower than that of the breeding habitats in Jeju Island (>1,000-1,500 mm), suggesting a weak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Fairy Pittas and the precipit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stribution of Fairy Pittas in insular environments in Jellanam-do may be more determined by forest structures but not by precip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