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명진 대한교통학회 1995 대한교통학회지 Vol.13 No.3
One of interesting issues in urban land-use and transportation policy is about an unproven belief that imbalances between employment and residential sites strongly influence urban commuting patterns. The purpose of this study si to find how spatial distribution of jobs and housing affects commuting distanc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1990 Census O-D Data. This study estimates cost-minimizing required commuting distance, given the actual distributions of jobs and housing , and compares required commuting distances with actual commuting distances. One of findings is that the standard urban economic theory explains only 1/3 of actual commuting in the case study area. The policy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jobs-housing balance policy will have only a minor effect on the actual commuting.
토지이용패턴과 통행수단선택간의 관계 : 서울의 통근통행수단을 중심으로
전명진 대한교통학회 1997 대한교통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서울대도시권을 대상으로 토지이용패턴과 통행수단선택간의 관계를 경헙적으로 분석하여 수도권 토지이용 및 교통정책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다중 로짓모형을 이용한 분석에서 직장 및 주거빌도가 높을수록 전철과 버스 등 대중교퉁수단에 대한 의존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중심지의 경우 버스보다는 자가용이용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밀도 정책이 반드시 대중교통수단으로의 이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도시경제모형과 교통 -토지이용모형을 결합한 대도시통합모형-
전명진 대한교통학회 1994 대한교통학회지 Vol.12 No.4
도시확산과 지방분권화의 시대적 추세는 도시경제 및 교통-토지이용모형의 구조에 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첫째, 도시의 공간적 확산과 고밀도화로 인한 도시내 제반 경제.사 회활동이 이전보다는 훨씬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둘째, 지방분권화로 인해 대도시내 작은 지역단위별 주민들이 자신의 지역문제에 대한 관심과 요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도시계획 및 정책은 대도시내 공간적으로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이익집단에 상이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대도시 모형은 1) 도시내 제반활동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2) 도시계획 및 정책의 효과를 도시 내 세분화된 공간별, 업종별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Wilson의 모형에 도시내 중요한 경제활동인 통근과 shopping변수를 추가하여 Wilson의 모형이 대도시모형으로 이용 될 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모형을 구성함에 있어 Matrix Inversion과 Non-linear Programming Model의 두 가지 방법을 도입하고 그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Matrix Inversion의 경우 해 (Solution)을 찾기가 쉬워 실질적이고 승수계산과정에서 각 Round마다 승수의 크기를 알 수 있는 반면 Programming을 통한 모형의 경우 제약식의 도 입이 용이하고 목적함수의 형태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론적 기틀을 세우는데 유리한 접근방법으로 분석되었다.
Discrete Torsion and Numerical Differentiation of Binormal Vector Field of a Space Curve
전명진 한국수학교육학회 2005 이론수학과 교직수학 Vol.12 No.4
Geometric invariants are basic tools for geometric processing and com- puter vision. In this paper, we give a linear approximation for the differentiation of the binormal vector field of a space curve by usi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fferences of discrete binormal vectors. Two kind of discrete torsion, say, back- ward torsion b and forward torsion f can be defined by the dot product of the (backward and forward) discrete differentiation of binormal vectors that are linear approximations of torsion. Using Frenet formula and Taylor series expansion, we give error estimations for the discrete torsions. We also give numerical tests for a curve. Notably the average of b and f looks more stable in errors.
전명진,김한비,심상준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Alzheimer`s disease (AD) is a neurodegenerative disease associated with the loss of nerve cell in areas of the brain. To diagnose AD on early pathological stage, many AD studies focus on the blood-based diagnostic test which is easy to obtain the sample and reflects a change of biomarkers from CSF due to the drawbacks of common tests. Among the rich sources in blood, Amyloid beta, Tau protein and 24(s)-hydroxycholesterol, which are closely associated with key mechanism of AD pathology occurring in the brain, are able to be supportive early screening and diagnostic tools. Here, we developed the multi-detection biosensor of those markers based on Rayleigh scattering and colorimetric assay depend on plasmonic properties of AuNPs. Also, we utilized chaotropic agent which interfere the binding between biomarkers and other plasma protein to increase the detection limit. This is the first platform to detect AD biomarkers in blood, which can be used to diagnose AD directly in the future.
효율적인 웹기반 교육을 위한 네비게이션 화면의 설계 기법
전명진,박판우,Jeon, Myung-Jin,Park, Phan-Woo 한국정보교육학회 200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4 No.2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navigational interfaces on the web-based multimedia courseware, in particular for th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ee different types of navigational strategies for the different structures of information are discussed. For hierarchically organised subject material, a single menu list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means of navigation. The interface of the 'Study of the Internet' provides a combination of child and sibling menus and sequential tools. The menus are used for navigating topics and subtopics, and the sequential method is used for navigating pages. The final navigational interface has the advantages of allowing the student flexible navigation, and proving an indication of progress through the subject material. Finally, the combination of menu and sequential navigational methods allow a student to maintain context, whilst navigating through different levels of hierarchical information. It thus reduces the danger that the student will lose their way, without overconstraining the navigational path. 본 논문에서는 교육용 웹 기반 멀티미디어 코스웨어를 구축할 때 고려해야 하는 네비게이션 화면의 설계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코스웨어를 구성하는 정보구조와 각 구조에 적합한 구체적 탐색 기법에 관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초등학생용 웹 기반 멀티미디어 코스웨어를 위한 네비게이션 화면의 설계 방법으로 메뉴-연속 조합형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화면 설계방법에 따른 구체적인 코스웨어를 구현하여 현장에 적용 분석하였다.
전명진,( Nguyenhunganh ),심상준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Cytosine methylation in DNA refers to genetic changes without mutation of actual genetic nucleotide sequence. DNA methylation in certain genes is deeply involved in several fatal diseases, but current methods for detecting methylation entails high cost and large sample size. Here, we developed a surface-enhanced Raman spectroscopy (SERS)-based platform for detecting global DNA methylation state. The methylation sites were detected with anti-mCpG immunogold colloids, and the signal was enhanced with plasmon coupling effect. The DNA samples were absorbed onto positively-charged surface of silver nanowire (AgNW) and immunogold colloids were attached on methylated sites. The detection limits for global methylated DNA on the silver nanowires were 18 fg/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