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헬리코박터 양성인 과증식 위용종 환자에서 제균 치료 후 용종 소실에 관한 연구

        임상아,윤재원,윤대웅,최원재,김승한,최정완,김미나,강은주,박종재,주문경,이범재,박영태,이상우,박종태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1 Clinical Endoscopy Vol.42 No.2

        목적: 과증식 위용종은 위내의 가장 흔한 용종으로 악성화 가능성은 드물지만 크기가 1∼2 cm 이상인 경우에는 악성화의 가능성이 증가하여 절제하는 것을 권유하고 있다. 또한 과증식 위용종은 대다수의 환자에서 만성 위축성 위염을 동반하고 있으며 이는 H. pylori가 대표적인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 경우 위선암 발생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H. pylori 양성인 과증식 위용종은 제균 치료가 과형성 위용종의 치료 방법일 뿐만이 아니라 위선암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H. pylori 양성인 과증식 위용종 환자에서 제균 치료 후의 내시경적 크기 변화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전향적으로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최근 5년간 고려대학교의료원 구로병원에 내원하여 내시경 소견에 의해 과증식 위용종으로 진단받은 환자 218명중 H. pylori 양성인 환자 187명을 대상으로 하여 제균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이후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용종의 크기를 평가하였다. 결과: H. pylori 양성인 환자 187명에서 제균 치료 후 85.6%(160/187)의 제균 성공률을 보였다. 제균군에서 용종의 크기가 부분적으로 감소하거나 완전히 사라진 소실률은 90.6% (145/160)로 비제균군에서의 소실률 70.3%(19/27)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용종의 크기가 10 mm 이하이거나 무경성인 경우에 소실률이 높았으며 용종 소실의 예측인자로는 H. pylori만이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H. pylori 제균 치료된 160예에서 약 90%의 과증식 위용종의 치료 성공률을 보였고 특히 10 mm 이하 또는 무경성의 용종일 경우 치료 효과가 우수하였다. 이에 용종 절제술 외에도 용종을 치료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H. pylori 제균 치료를 권장할 수 있겠다. Background/Aims: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Hp) may lead to the regression of hyperplastic polyps (HPPs) in the stomach. We evaluated the sizes of HPPs after Hp eradication and we also compared the clinical parameters between the regression and non-regression groups. Methods: We enrolled 187 patients who had HPPs in the stomach. The polyps were measured by using biopsy forceps, and the endoscopically observed changes of the polyps were assessed by two endoscopists. Results: Total regression was observed in 68 patients of the eradicated group and in 6 patients in the non-eradicated group (42.5% vs. 22.2%, respectively, p<0.05). The non regress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non-eradicated group than that for the eradicated group (33% vs. 10%, respectively, p<0.05). Comparing between the regression and non-regression groups, the incidence of polyps that were smaller than 10 mm in size and sessi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gression group. Hp eradication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regression. Conclusions: Hp eradication could be a therapeutic option for Hp positive-hyperplastic gastric polyps, and especially for those that are less than 10 mm in size and sessile.

      • KCI등재

        직장-구불 결장부 거대 표재성 종양의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치료 성적

        고진성,박종재,정원호,이준영,임상아,권민정,노혜진,주문경,이범재,김지훈,연종은,김재선,변관수,박영태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1 Clinical Endoscopy Vol.42 No.4

        Background/Aim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of a colorectal tumor is technically difficul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s of superficial large rectosigmoid tumors after ESD. Methods: Medical records of 15 patients with large rectosigmoid tumors (more than 30 mm), in which ESD performed,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mean tumor size was 42.5±14.3 mm (range, 30∼78 mm). A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a well-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in five cases (33.3%), adenoma with high-grade dysplasia in six cases (40%), and low-grade dysplasia in four cases (26.7%). The mean procedural time was 90.5±60.7 min (range, 22∼246 min). The en bloc resection rate was 86.7%, and the complete resection rate 100%. The lateral resection margin was positive in four cases (26.6%), but no cases with a positive vertical margin were observed. Bleeding occurred in three cases (20%), and all were treated successfully using endoscopic measures. Perforations occurred in three cases (20%); two cases were treated by clipping and the other by a laparotomy. Conclusions: ESD is a treatment option for superficial large rectosigmoid tumors. Further studies with larger cases and a longer term follow-up are needed to establish the efficacy and safety of ESD for colorectal tumors. 목적: 대장의 거대 종양의 경우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직장-구불 결장부의 표재성 거대 종양에서 시행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서 크기가 30 mm 이상인 직장-구불 결장부 종양에 대하여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을 시행한 15명을 대상으로 병리결과, 시술성적, 합병증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결과: 병변의 평균 크기는 42.5±14.3 mm(30∼78)이었다. 조직병리 검사에서 고분화 선암 1명(6.6%), 고도 이형성을 동반한 선종 4명(26.7%), 그리고 저도 이형성을 동반한 선종 10명(66.7%)이었다. 평균 시술시간은 90.5±60.7분(22∼246)이었다. 일괄절제율은 86.7%이었고 완전절제율은 100%이었다. 측방 절제연 양성은 4명(26.6%), 수직 절제연 양성은 없었다. 합병증으로 조기출혈이 3예(20%)에서 발생하였으나 내시경으로 모두 치료하였다. 천공은 3명(20%)에서 발생하였고 이중 2명은 내시경 클립술, 1명은 개복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직장-구불 결장의 표재성 거대 종양에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은 높은 일괄절제율을 기대할 수 있는 치료법 중 하나이다. 향후 많은 증례와 장기 추적 관찰에 의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의 안전성과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소화기 ; 내치핵에 대한 내시경적 밴드 결찰술의 치료 효과

        이준영 ( Joon Young Lee ),임상아 ( Sang Ah Lim ),정원호 ( Won Ho Chung ),김성호 ( Sung Ho Kim ),고진성 ( Jin Sung Koh ),임은혜 ( Eun Hye Lim ),김창하 ( Chang Ha Kim ),주문경 ( Moon Kyung Joo ),이범재 ( Beom Jae Lee ),김지훈 ( Ji H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0 No.2

        목적: 내시경적 고무 밴드 결찰술은 증세가 있는 내치핵 환자에서 각광받고 있는 비침습적인 시술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EBL의 효과 및 안정성에 대해서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굴곡성 위장관 내시경을 이용하여 증세가 있는 내치핵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시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Goligher 등급체계와 대변과의 연관성에 따른 출혈 점수를 이용하여 임상적 소견을 분류하였고, 치핵 내강의 범위와 크기를 이용하여 내시경적 소견을 분류하였다. EBL 시행 전후로 임상적 소견과 내시경적 소견을 비교하여 유의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30명의 남녀 비는 13:17이었고, 평균 연령은 56.2±13.6세였다. 증상은 항문 출혈이 24예(80.0%), 점막돌출 20예(66.7%)로 가장 흔하였다. Goligher 등급은 시술 전 2.12점에서 시술 후 0.54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출혈점수는 시술 전 1.80점에서 시술 후 0.40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내치질의 범위에 따른 점수 체계는 시술 전 3.03점에서 시술 후 1.55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치질의 크기는 시술 전 1.80점에서 시술 후 0.85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적색 징후는 치료 전 19예(63.3%)에서 관찰되었으나 치료 후 15예(89.5%)에서 소실되었다. 추적관찰 기간 중 재발은 총 2예(6.7%)에서 발생하였고, 그 중 1예(3.3%)에서는 EBL을 추가적으로 시행하여 경과관찰 중이고, 1예(3.3%)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받았다.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으로 통증이 총 21예(70.0%)로 가장 흔하였다. 대부분은(19예, 90.5%) 경도 통증으로 2~3일간의 진통소염제로 증세가 소실되었고, 2예(9.5%)에서는 중등도 이상의 통증이 관찰되어 1예(4.7%)에서는 급성 치핵 혈전증에 의한 통증으로 응급 수술을 하였고, 또 다른 1예(4.7%)에서는 통증으로 인해 결찰한 밴드를 제거하였다. 대량 출혈로 인해 수혈 혹은 재입원을 요하는 환자는 없었다. 시술 후 발열은 1예(3.3%)에서 관찰되었고, 항생제와 해열제 사용 후 3일째 호전되었다. 3일째 호전되었다. 결론: 내치핵 치료에 있어서 EBL은 효과적이고 비교적 안전한 시술이다. 향후 EBL에 대한 장기간의 전향적이고, 대규모의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Aims: Elastic band ligation is a well-establishe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internal hemorrhoi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treatment outcomes of flexible endoscopic rubber band ligation of internal hemorrhoids. Methods: Using a flexible endoscope, 30 patients with symptomatic internal hemorrhoids were evaluated based on change in clinical symptoms (Goligher grade, bleeding score) and endoscopic classifications (range, size) before and after the procedure. Results: Goligher grade and bleeding scor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procedure (Goligher grade from 2.12 to 0.54, p<0.01, and bleeding score from 1.80 to 0.40, p<0.01). Endoscopic classification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procedure (range 3.03 to 1.55, p<0.01, and size from 1.80 to 0.85, p<0.01). As a complication, mild pain developed in 19 patients (90.5%) and severe pain in two patients (9.5%). Most (90.5%) were well controlled by conservative management, but one patient was operated on for hemorrhoidal thrombosis and in another patient the ligated rubber band had to be released promptly for pain relief. One patient (3.3%) experienced mild infection, which was relieved by medical treatment. During the 16.7±3.2-month period of follow-up, two patients relapsed, one was treated with additional endoscopic band ligation, and one underwent surgery. Conclusions: Flexible endoscopic band ligation is an effective and safe method of treatment in patients with symptomatic internal hemorrhoids. (Korean J Med 2011;80:179-186)

      • SCOPUSKCI등재

        MiroCam® 캡슐내시경 검사의 완전 소장 검사 및 양성 진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원호 ( Wonho Jung ),고진성 ( Jin Sung Koh ),김성호 ( Sung Ho Kim ),임상아 ( Sang Ah Lim ),임은혜 ( Eun Hye Lim ),이준영 ( Joon Young Lee ),주문경 ( Moon Kyung Joo ),이범재 ( Beom Jae Lee ),김지훈 ( Ji Hoon Kim ),연종은 ( Jong Eu 대한장연구학회 2011 Intestinal Research Vol.9 No.1

        Background/Aims: Mirocam® capsule endoscopy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 however, data with respect to Mirocam® capsule endoscopy is lacking. We have assessed the factors affecting complete small bowel studies and diagnostic yield in Mirocam® capsule endoscopic studi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03 cases that were assessed with Mirocam® capsule endoscopy between June 2007 and February 2010 at Guro Korea University Hospital. Results: The mean age of the 103 cases was 55.47 years (range, 16-99 years) and 67 cases (65%) were male. The indications for capsule endoscopy were hematochezia/melena (77 cases, 74.8%), anemia (8 cases, 7.8%), abdominal pain (12 cases, 11.7%), and miscellaneous (weight loss and chronic diarrhea; 6 cases, 5.8%). The mean stomach transit time was 59.9±88.3 minutes (range, 1-630 minutes) and the mean small bowel transit time was 396.0±131.7 minutes (range, 117-708 minutes). The rate of successfully performing a complete small bowel study was 82.5% (85 cases), and the stomach transit time was a significant factor for a complete small bowel study (OR=0.991, 95% CI= 0.984-0.998, P=0.012). The diagnostic yield was 51.5% (53 cases); visual quality was a 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diagnostic yield (OR=6.776, 95% CI=1.32-34.70, P=0.022). Conclusions: In a Mirocam® capsule endoscopic study, short stomach transit time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completion of the small bowel study. Achieving excellent visual quality by good bowel prepar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for improving the diagnostic yield. (Intest Res 2011;9:0-34)

      • KCI등재후보

        소화기 ; 판토프라졸이 난소 적출한 ICR 생쥐의 골교체에 미치는 영향

        임은혜 ( Eun Hye Lim ),김기현 ( Key Hyeon Kim ),이범재 ( Beom Jae Lee ),주문경 ( Moon Kyung Joo ),고진성 ( Jin Sung Koh ),이준영 ( Joon Young Lee ),임상아 ( Sang Ah Lim ),김지훈 ( Ji Hoon Kim ),연종은 ( Jong Eun Yeon ),박종재 ( Jo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0 No.1

        목적: 장기간의 양성자 펌프 억제제 투여는 골다공증과 연관된 병적 골절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장기간 사용이 어떤 기전으로 골절의 위험을 높이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난소 적출한 ICR 생쥐의 골교체에 양성자 펌프 억제제인 판토프라졸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실험동물로 난소를 적출한 암컷 ICR 생쥐를 사용하였다. 이들은 무작위로 판토프라졸군(n=10) 및 대조군(n=10)으로 나누었다. 판토프라졸군은 매일 20 mg/kg의 판토프라졸을 복강 내로 두 차례씩 주입했다. 4주간의 실험이 끝난 뒤 이들을 희생시켜 골밀도 및 경골의 건중량을 측정하였고 채취한 혈액으로 ELISA를 이용하여 골교체 표지자인 osteocalcin 및 CTX-1을 측정하였다. 또한, 비장을 추출하여 균질화한 후 RT-PCR을 통해 파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골대사와 연관이 있는 혈청 calcium, phosphorus, ALP (alkaline phosphatase) 등도 측정하였다. 결과: 혈청 osteocalcin 농도는 판토프라졸군에서 의미있게 낮게 측정되었으나(p=0.023) 골밀도, 경골의 건중량, 그리고 혈청 ALP, calcium, phosphorus, CTX-1 농도는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T-PCR을 통해 측정한 IL-1β의 발현은 판토프라졸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p=0.058), TNF-α, IL-1β, IL-6의 발현은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번 실험에서 판토프라졸은 난소를 적출한 ICR 생쥐의 혈청 osteocalcin 농도 및 비장 세포에서의 Il-1β 활성도를 감소시켜 판토프라졸이 골형성 및 골흡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추후 보다 많은 개체수를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Long-term exposure to proton pump inhibitors is associated with osteoporosis-related fractures; however, the mechanism is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antoprazole on osteoporosis and bone turnover in ovariectomized ICR mice fed a calcium-free diet. Methods: Ovariectomized female ICR mice were divided into a pantoprazole group (n=10) and a control group (n=10). The mice in the pantoprazole group were given an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pantoprazole at 20 mg/kg twice daily. After 4 weeks, the mice were humanely euthanized,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dry tibia weight were measured. Serum osteocalcin and CTX-1 levels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cytokines that stimulate osteoclast differentiation were determined using RT-PCR. Serum calcium, phosphorus,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levels were also analyzed. Results: Serum osteocalc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antoprazole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23). There was no difference in BMD, dry tibia weight, or serum ALP, calcium, phosphorus, or CTX-1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ression of interleukin (IL)-1β was lower in the pantoprazole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ut not significantly lower (p=0.058). The levels of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L-6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Pantoprazole, a proton pump inhibitor, decreased serum osteocalcin and suppressed IL-1β expression, suggesting that pantoprazole affects bone formation and resorption in ovariectomized ICR mice. Further studies using larger sample sizes are needed. (Korean J Med 2011;80:56-6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