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과학적 참여로서의 과학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실천적 이해 탐색

        이향운,임미연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ers' practical understanding of science education as “scientific participation.” Through purpose sampling, three science teachers with rich experience in science education as scientific participation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plore experiences and thought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on science education as scientific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cluded the discussion on the topic of the practical understanding of research participants on science education as scientific participation, in terms of 1) the perspective of science connected to the real world, 2) understanding of scientific participation as learning, and 3) the role of the science teacher as a guide with expertise. The researchers focused on following aspects in the discussion. First, scientific participation as participatory, as explained by research participants, refers to the practical use of science in society. For the learners to participate in science, it was essential to understand and put into practice the role of science by expanding the role from an individual perspective to a social point of view through the learner's experience of solving problems as a member of society. Second, it was emphasiz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truct an experience of scientific participation in clas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learning occurs through scientific participation. As teachers viewed learners as citizens with the capacity to participate in scientific science, they explored scientific participation in the class to actively participate in solving problem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it was emphasized that it is essential t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a practical attitude as a member of society by continuously attempting scientific participation in class. Third, as 'guides with expertise with the direction of scientific participation, the teachers guided learners to view science from a participatory point of view at the initiation of science class. In addition, they accompany the learner's scientific participation process and help the learners take the initiative in constructing scientific participation based on practical knowledge. Teachers thought that scientific participation means understanding and acting by expanding science from a social point of view, rather than staying at the subject level and provided learners with an opportunity in class to build practical knowledge through experiences of using science in a social context to exercise their belief. 본 연구는 “과학적 참여”로서의 과학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실천적 이해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 표집을 통해 과학적 참여로서의 과학교육에 대한 신념과 경험을 가지고 실천하고 있는 3명의 과학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심층 면담을 통해 과학적 참여로서의 과학 교육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과 생각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과학적 참여로서의 과학교육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실천적 이해를 1) 실제세계와 연결된 과학에 대한 관점, 2) 학습으로서 과학적 참여에 대한 이해, 그리고 3) 전문성을 갖춘 안내자로서 과학교사의 역할의 측면에 초점을 두어 논의하고자 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이 설명하는 참여로서의 과학적 참여는 과학을 사회 안에서 가치 있게 활용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학습자가 과학적 참여를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경험을 통해 과학의 역할을 개인적관점에서 사회적 관점으로 확장하여 이해하고 실천으로 옮기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과학적 참여를 통해 학습이 일어난다는 이해를 바탕으로 수업에서 과학적 참여 경험을 구성해나가는 것을 강조하였다. 교사들은 학습자를 과학적 참여를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시민으로 바라보고, 공동체의 문제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수업 내에서 과학적 참여를 시도하였다. 또한 지속적으로 수업에서 과학적 참여를 시도하여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책임감과 실천적인 태도를 갖는 것을 강조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과학적 참여로서의 과학교육에서 과학 교사들의 역할을 전문성을갖춘 안내자로 규정하고 있다. 교사들은 과학적 참여의 방향성을 가진 ‘전문성을 갖춘 안내자’로서 과학 수업의 시작점에서학습자가 참여적인 관점으로 과학을 바라볼 수 있도록 안내하였으며, 과학적 참여 과정에 동행하여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과학적 참여를 구성해나갈 수 있도록 실천적 지식을 기반으로 조력하였다. 과학적 참여란 과학을 교과차원이 아닌 사회적인 관점으로 확장하여 이해하고 행동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며, 수업에서 학습자에게 사회적 맥락 안에서 과학을 활용하는 경험을 통해 실천적 지식을 쌓는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실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Narcolepsy Variant Presented with Difficult Waking

        이향운,홍승봉,Lee, Hyang-Woon,Hong, Seung-Bong KOREAN ACADEMY OF SLEEP MEDICINE 2000 수면·정신생리 Vol.7 No.2

        목 적 : 십년 이상 각성장애를 보인 20세 남자환자를 분석하였다. 환자는 두통, 만성피로, 경한 주간졸리움증을 호소하였으나 조절할 수 없는 수면발작, 탈력발작, 입면시 환각이나 수면마비의 병력은 없었다. 방 법 : 야간 수면다원검사 (PSG), 반복적 수면잠복기 검사 (MSLT) 및 조직적합성 유전자검사 (HLA-typing)를 시행 하였다. 결 과 : PSG상 수면잠복기가 짧고 (4분), 렘수면잠복기도 감소하였고 (2.5분), 각성지표 (arousal index)가 시간당 15.7로 약간 증가되었으며, 수면 중 주기적 사지운동지표 (PLMS index)가 시간당 8.1로 관찰되었으나 운동과 연관된 각성지표 (movement arousal index)는 시간당 2.1로 높지 않았다. 잠효율은 (sleep efficiency)는 97.5%로 정상이었다. MSLT상 수면잠복기는 15분 21초로 정상이었으나 sleep-onset REM (SOREM)은 5회의 낮잠 시도 중 4회에서 관찰되었다. HLA-typing에서 DQ6-양성이었는데, 이는 기면증 환자에서 대개 관찰되는 유전자 위치인 DQB1*0602, DQA1*0102와는 다른 DQB1*0601 부위에 상응하였다. 결 론 : 일차성 각성장애의 원인이 되는 여러 질환 특히 일주기리듬장애나 기면증, 원발성 다면증과의 감별진단이 필요하며, 수면검사와 유전자검사 상 기면증의 새로운 변종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Objectives Summary: A 20-year-old man was presented with a history of difficult waking for 10 years. He suffered from morning headache, chronic fatigue and mild daytime sleepiness but had no history of irresistible sleep attack, cataplexy, hypnagogic hallucination or sleep paralysis. Methods: Night polysomnography (PSG), multiple sleep latency test (MSLT) and HLA-typing were carried out. Results: The PSG showed short sleep latency (4.0 min) and REM latency (2.5 min), increased arousal index (15.7/hour), periodic limb movements during sleep (PLMS index=8.1/hr) with movement arousal index 2.1/hr and normal sleep efficiency (97.5%). The MSLT revealed normal sleep latency (15 min 21 sec) and 4 times sleep-onset REM (SOREM). HLA-typing showed DQ6- positive, that corresponded at the genomic level to the subregion DQB1*0601,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usual locus in narcolepsy patients (DQB1*0602 and DQA1*0102). Conclusion: Differential diagnosis should be made with circadian rhythm disorder and other causes of primary waking disorder. The possibility of a variant type of narcolepsy could be suggested with an unusual clinical manifestation and a new genetic marker.

      • 전기적 뇌자극과 광시각 유발전위 검사를 통한 인간의 시각 피질에서의 기능적 분화 양상

        이향운,홍승봉,서대원,태우석,홍승철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1999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Vol.1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시각 인지 과정은 영장류 실험을 통하여 다소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나 인간에서는 아직 완전하게 이해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뇌자극과 시가유발전위 검사를 토대로 인간의 시각피질의 기능적 분화와 시간 순으로 활성화되는 양상을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 : 간질 수술을 위하여 후두엽과 인접 부위에 광범위하게 피질하전극을 넣은 2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기적 뇌자극과 시각유발전위 검사를 시행하였다. 뇌자극시 나타나는 반응은 형태, 색, 및 움직임의 세 가지로 크게 나누고 형태는 다시 단순, 중간 및 복잡한 형태로 세분하였다. 시각유발전위는 P1 혹은 IV파의 latency를 측정하였다. 결과 : 단순 혹은 중간 형태는 흔히 occipital pole과 striate cortex에서 발생하였다. 색반응은 후두엽의 기저부 즉, fusiform, lingual, inferior occipital gyri를 자극할 때 관찰되었다. 움직임 반응은 내측기저부 및 외측의 측후두엽 혹은 측두정후두부의 경계부에서 주로 나타났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인간의 시각피질이 시각의 여러 가지 구성성분 즉, 형태, 색, 및 움직임에 대해서 각각 별도로 분화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한 시각자극이 전해지면 striate cortex와 occipital pole이 가장 먼저 활성화되고 이어서 내측 및 외측 후두엽 부위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하여 보면 인간의 시각피질은 시각의 여러 구성성분별로 별도로 발달된 해부학적 경로를 통하여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특수하게 분화된 뇌세포에서 시각정보를 각각 분석하되 일정한 시간순서에 의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Retention Rates and Successful Treatment with Antiseizure Medications in Newly-Diagnosed Epilepsy Patients

        이향운,황성은,안형미,신동우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24 Yonsei medical journal Vol.65 No.2

        Purpose: Treatment for epilepsy primarily involves antiseizure medications (ASMs), which can be characterized using the clinical data warehouse (CDW) database. In this study, we compared retention rates and time to successful treatment for various ASMs to reflect both efficacy and adverse effects i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epilepsy. Materials and Methods: We identified newly diagnosed epilepsy patients with ASM treatment for more than 12 months using CDW of a tertiary referral hospital.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with successful and unsuccessful treatment. Cox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independent variables of age, sex, comorbidities, and attributes of ASM regimens. Results: Of 2515 eligible participants, 46.2%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 the first ASM regimen, and 74.7% with all ASM regimens with the median time-to-treatment success of 14 months. Participants with second-generation ASM as the first ASM were more like ly to be successfully treated with the first regimen compared to those with first-generation ASM (51.6% vs. 42.3%, p<0.001) and more successfully treated [hazard ratio (HR)=1.26; 95% confidence interval (CI): 1.15–1.39]. Overall, valproic acid was the most common ASM across a wide range of ages under 65 years, while levetiracetam in patients aged over 65 years or lamotrigine in female adult patients.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less favorable treatment outcomes included renal disease (HR=0.78; 95% CI: 0.66–0.92), liver disease (HR=0.65; 95% CI: 0.52–0.81), depression (HR=0.70; 95% CI: 0.57–0.84), and mechanical ventilation (HR=0.58; 95% CI: 0.50–0.67). Conclusion: Second-generation ASMs have the advantage of more successful treatment with fewer ASM regimen changes com pared with first-generation drugs. Various comorbid conditions as well as age and sex should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ASM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